KR20030092458A -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458A
KR20030092458A KR1020020030115A KR20020030115A KR20030092458A KR 20030092458 A KR20030092458 A KR 20030092458A KR 1020020030115 A KR1020020030115 A KR 1020020030115A KR 20020030115 A KR20020030115 A KR 20020030115A KR 20030092458 A KR20030092458 A KR 2003009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sound
acoustic
adjust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자 filed Critical 김순자
Priority to KR102002003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458A/ko
Publication of KR2003009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을 하나 이상의 분할된 개별적인 음향공간으로 구획하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가 음향을 일정한 곳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스피커 주위에 있는 사람은 원하든 원하지 않던 음파를 들을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대한 방음장치로는 기계적인 구조물로 방음재료를 사용한 방음벽 또는 방음구조물을 이용하지만 이 경우에는 각 개인 또는 그룹 들 사이에 상기 구조물이 설치되어 자유로운 활동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상기 방음벽 등이 차지 하는 공간이 많아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렵다.
또한 컨벤션 홀 또는 강당의 전면, 좌우 측벽 및 천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는 여러면에서 반사되어 반사음 또는 잔향음등으로 인하여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는 깨끗한 음을 듣기가 어려웠으며, 아울러 여러 사람이 모인 로비, 음식점 등에서는 여러 사람들의 음성이 섞여 시끄럽거나, 심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소음으로 옆사람과 대화하기가 힘든 경우도 많이 발생하였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컨벤션 홀, 로비 또는 강당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향을 여러명이 다른 음향을 원하는 경우에도 각자가 원하는 음향만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도 반사음 또는 잔향음 없이 깨끗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향장치는 합판 또는 플라스틱, 철제로 된 기계적 구조물로된 개별적인 칸막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사무실, 경매소, 은행, 음식점, 컨퍼런스룸, 면회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조용한 환경에서 대화할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에 사용해온 기계적인 칸막이 또는 방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같은 하나의 공간에서도 의도하는 별도의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그룹에 속하는 주변사람의 음성을 약화시켜 비교적 조용한 환경에서 일하거나, 원하는 음향을 청취하고 상대방과 담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장치{ Sound Device }
본 발명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가 음향을 일정한 곳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스피커 주위에 있는 사람은 원하든 원하지 않던 음파를 들을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대한 방음장치로는 기계적인 구조물로 방음재료를 사용한 방음벽 또는 방음구조물을 이용하지만 이 경우에는 각 개인 또는 그룹 들 사이에 상기 구조물이 설치되어 자유로운 활동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상기 방음벽 등이 차지 하는 공간이 많아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렵다.
또한 컨벤션 홀 또는 강당의 전면, 좌우 측벽 및 천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는 여러면에서 반사되어 반사음 또는 잔향음등으로 인하여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는 깨끗한 음을 듣기가 어려웠으며, 아울러 여러 사람이 모인 로비, 음식점 등에서는 여러 사람들의 음성이 섞여 시끄럽거나, 심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소음으로 옆사람과 대화하기가 힘든 경우도 많이 발생하였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컨벤션 홀, 로비 또는 강당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향을 여러명이 다른 음향을 원하는 경우에도 각자가 원하는 음향만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도 반사음 또는 잔향음 없이 깨끗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향장치는 합판 또는 플라스틱, 철제로 된 기계적 구조물로된 개별적인 칸막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사무실, 경매소, 은행, 음식점, 컨퍼런스룸, 면회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조용한 환경에서 대화할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가 음향을 일정한 곳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스피커 주위에 있는 사람은 원하든 원하지 않던 음파를 들을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대한 방음장치로는 기계적인 구조물로 방음재료를 사용한 방음벽 또는 방음구조물을 이용하지만 이 경우에는 각 개인 또는 그룹 들 사이에 상기 구조물이 설치되어 자유로운 활동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상기 방음벽 등이 차지 하는 공간이 많아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렵다.
또한 컨벤션 홀 또는 강당에서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는 컨벤션 홀 또는 강당의 전면, 좌우 측벽 및 천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파는 여러면에서 반사되는 반사음 또는 잔향음등으로 인하여 깨끗한 음을 듣기가 어려웠으며, 여러 사람이 모인 로비, 음식점 등에서는 여러 사람들의 음성이 섞여 시끄럽거나, 심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소음으로 옆사람과 대화하기가 힘든 경우도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방음 또는 차음을 하기 위해서는 합판, 철판 등 기계적인 구조물로된 벽을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 다른 방법이 없었으며, 충분한 방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합판이나 철판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흡음재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첫째, 컨벤션 홀, 로비 또는 강당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향을 여러명이 다른 음향을 원하는 경우에도 각자가 원하는 음향만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둘째,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도 반사음 또는 잔향음 없이 깨끗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반사음발생수단 12 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잔향음발생수단 13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반사음발생기능 또는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직접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직접음발생수단 11 과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반사음발생수단 12 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잔향음발생수단 13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셋째, 합판 또는 플라스틱, 철제로 된 기계적 구조물로된 개별적인 칸막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사무실, 경매소, 은행, 음식점, 컨퍼런스 룸, 면회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조용한 환경에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제어수단, 송수신수단 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우선 초음파의 정의, 성질 및 그 발생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초음파 (Ultrasound)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음파이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역의 주파수는 20 □ 20,000Hz 사이이며, 20,000Hz 이상 주파수를 가진 음파를 초음파라 한다.
초음파는 주파수가 크고 따라서 파장이 짧으며 상당히 강한 진동이 얻어지는 등의 이유로 낮은 주파수의 음파에서 볼 수 없는 성질이 나타난다. 그중 하나가 직진성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청주파수 범위의 음파는 직진성이 낮고 회절현상으로 인해 음파를원하 곳으로 집속시키기가 어렵다.
가청주파수 범위의 음파를 원하는 곳으로 집속하기 위해서는 포물선형의 음향반사판을 이용하여 본 포물선형의 음향반사판의 초점에 음원을 설치하면 어느 정도의 집속은 가능하다.
보다 먼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집속시키기 위해서는 가청음파를 초음파와 진폭변조시켜 어느 정도의 반경을 가진 평면형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송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평면형 스피커의 반경이 크면 클수록 보다 접속하기가 좋다. 이처럼 음파를 원하는 곳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시도 및 이론적 연구는 많이 추진하고 있었지만 스피커의 크기 및 집속 효율면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상당히 실용 가능성을 보인 예가 있다. 이하 관련된 논문을 소개한다.
(1) P. J. Westervelt, "Parametric Acoustic Array," J. Acoust. Soc. Am., vol. 35, pp. 535-537(1963 Apr.).
(2) H. O. Berktay, "Pdssible Exploitation of Nonlinear Acoustics in Underwater Transmitting Applications," J. Sound Vibr., vol.2, pp.435-461(1965).
(3) M. B. Bennett and D. T. Blackstock, "Parametric Array in Air," J. Acoust. Soc. Am., vol.57, pp.562-568(1975).
(4) M. Yoneyama et al., "The Audio Spotlight: An Application of Nonlinear Interaction df Sound Waves to a New Tyoe of Loudspeasker Design," J. Acoust. Soc. Am., vol.63, pp. 1532-1536(1983 May)
(5) M. F. Hamilton and D.T. Blackstock, Eds., Nonlinear Acoustic Array," J. Acoust. Soc. Am., vol. 102, p.3106(A)(1997).
(6) D.T.Blackstock, "Audio Application of the Parametric Array," J. Acoust. Soc. Am., vol. 102, p.3106(A) (1997)
(7) T. Kite, J. T. Past, and M. F. Hamilton, "Parametric Array in Air: Distortion Reduction by Preprocessing." In Proc. 16thInt. Cong. Acoust., nol, 2, P. K. Kuhl and L.
A. Crum, Eds.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New York, 1998), pp. 1091 -1092.
(8) N. S. Ahvalov et al., "Nonlinear Theory of Soud Beam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New York, 1987).
(9) F, Joseph Pompei, "The Use of Airborne Ultrasonics for Generating Audible Sound Beams,"(Audio Engineering Society, San Francisco, 1998)
이들 논문들은 모두 음파를 집속시켜 원하는 곳으로만 음향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 구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논문들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응용에 대한 것은 아니다.
상기 논문에 의하면 가정음파를 60KHz 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와 진폭변조시켜 지름 35 cm 정도의 원형 평판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파를 출력시키면 공기의 비선형 탄성학적 성질로 인하여 음파가 공기중로 전파되어 가면서 Self -Demodulation으로 인하여 음파는 초음파에서 가청음파로 바뀌게 되며 직진성을 가져 음파를 일정한 곳으로 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대로 음파를 원하는 곳으로 집속하기 위해서는 포물선형의 음향반사판을 이용하여 본 포물선형의 음향반사판의 초점에 음원을 설치하면 가까운 거리는 상당히 집속효과가 있다.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와 스피커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스피커는 무빙코일형 스피커와 압전진동자형 스피커 등이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가청음파를 초음파와 진폭변조시켜 어느 정도의 반경을 가진 평면형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압전진동자를 여러 개 배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스피커 구동수단은 상기 스피커가 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전기적 구동회로로서 여기에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이 사용될 수도 있고 특별히 이 용도에 맞는 반도체칩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가청음파를 초음파와 진폭변조시키는 회로도 역시 스피커구동수단에 포함된다.
앞서 언급한 제어수단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동시에 개별적으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부속된 스피를 통해 음향을 송출여부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마치 전화기와 이에 접속된 전자교환기의 관계와 유사하다.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음성 또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 수단으로서 쉽게 무전기 또는 유무선 리모콘 등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도 상기 제어수단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경우는 한편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송수신수단 상호간에도 유뮤선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쉽게 이야기 하면 여러 개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여러 개의 유무선 전화기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유무선 전화기는 상기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선택적으로 on/off하는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수단, 송신수단과 송수신수단에는 RF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인 경우에는 통상의 무선통신기술도 가능하지만, 근거리 무선통신기술로는 블루투스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송수신수단은 여러가지 구현방법이 있지만, 그 한 예로서 그림 에서처럼 여러 개의 블록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은 가청음파(120)가 평판 스피커(110)에서 송출되어 공기중으로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은 초음파(220)가 평판 스피커(210)에서 송출되어 공기중으로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 은 상기 논문(제 9번)에서 설명한 지향성스피커에 의한 Audio Spotlight 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지향성음향발생수단(310)에서 초음파(320)에 의해 진폭변조된 가청음파와(330)가 처음에는 초음파(320)로 전파되다가 차츰 가청음파(330)로 Self-Demodulation 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는 상기 논문(제 9번)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압전진동소자(4l0)를 구비한 지향성스피커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하나 이상의 압전진동소자(410)들은 압전진동소자 고정틀(4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520)을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표면에 분산 배치한 지향성음향발생스피커의 평면도로서, 하나 이상의 압전진동소자(510)가 사용된다.
도 6 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수단(62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평면도로서, 하나 이상의 압전진동소자(610)가 사용된다.
도 7 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760, 770)을 천정에 설치한 거실에서 2 인 이상의 시청자(730, 740)이 소파(750) 위에 앉아 TV(710)와 비디오(720)를 각각 달리 시청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주로 불투명하고 원형 평판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본 그림에서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 아래 사람이 있음을 이해시키기 위해 그 가장자리만을 그렸으며, 도 5 와 도 6 에서 처럼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함께 그 조명수단이 함께 부착될 수도 있다.
도 8 는 본 발명에 의한 사람 마다 모두 하나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810)을 천정에 설치하고 킨막이(820)가 설치된 사무실에서 2 인 이상의 사람(850)이 책상(870)앞에 앉아 일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옆에서는 탁자(840)에 몇 명의 사람이 앉아 있으며, 책상(870) 위에는 전화기(860)가 놓여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 수단(920)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910)의 측면도
무선송수신수단(920)은 안테나(9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마이크로폰(1020)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1030)을 나타낸다. 무선 송수신수단 고정틀(1040)은 안테나(1010),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마이크로폰(1020), 무선 송수신수단(1030)을 모두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수신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전송된 전파신호가 안테나(1110)에서 수신되면 RF 모듈을 거쳐 Baseband Analogue 신호로 바꾼 후에 Modem을 이용하여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꾼 후에 Vocoder를 이용하여 이어폰(1120)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송신의 경우에는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110)으로 음성신호를 감지한 후 Vocoder 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바꾼 후에 다시 Modem 를 통해 Analgue 신호로 바꾼 후에 Baseband Analogue 신호로 바꾼 후에 RF 모듈을 통해 RF 대역의 신호로 바꾼 후 Power Amp 를 통해 증폭한 후에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전파신호로 바꾼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1220)에서 하나이상의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1210)으로 전파신호를 보내면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1210 )에서 음파를 각테이블(1230)으로 보내는 음향장치 또는 음향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각 테이블에 앉은 사람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1220)을 가지고 있어서 그 자리에서 자기의 음성을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1210 )을 통해 각 테이블로 음성을 전달할 수도 있는데 종전의 음향시스템과 달리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이용하므로 자기의 음성을 각 테이블로 주변 잡음은 물론 반사음 또는 잔향음 없이 전달 할 수 있다. 물론 원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테이블로만 자기의 음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3 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1310)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화자"란 이야기 하는 사람을 말함)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음성"이란 목소리를 말함)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 의 경우와 비슷하지만, 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指向性音響發生手段)이 방향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이 음향을 보낼 때 테이블의 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해도 그 곳으로 음향을 보낼 수 있다.
1310은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이며, 1320 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이며, l330은 테이블이며, 1350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 1380은 천정을 나타낸다.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스퍼커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 또는 도 14 와의 차이점 중의 하나는 도 13 또는 도 14 와는 달리 지향성음향발생수단(1410)이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1420 )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1420 )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1430)에서 보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 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는 도 12 와는 거의 같다.
1510 은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이며, 1320 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이며, 1530 은 테이블이며, l35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을 나타낸다.
도 16 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 은 도 4 와 유사하다.
1610 은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이며, 1620 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이며, 1630 은 테이블이며, 165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을 나타낸다.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호텔 등의 로비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소멸음을 발생시킨 후 소멸음을 화자가 위치한 그룹으로 송출하는 대신 화자의 음성은 상대방이 착용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청취하게 함으로써 조용한 호텔 로비를 구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1710 은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720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730은 그룹, 1770은 화자의 음성을 소멸하기 위해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 소멸음 (화자의 음성과 진폭은 같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나는 음을 발생시킴)을 나타낸다.
도 18 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식당 등의 테이블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과 진폭은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통해 화자가 있는 곳으로 송출하는 한편 화자와 이야기 하는 그룹의 다른 사람에게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통하여 화자의 음성을 송출하게 함으로서, 식당 등을 조용하게 유지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1810 은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820 은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830은 화자와 대화하는 상대방의 좌석, 1870은 화자의 음성을 소멸하기 위해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 소멸음, 1850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을 나타낸다.
도 19 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상기 소멸음을 송출하는 소멸음발생수단,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테이블에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다.
1910은 테이블, 1920은 화자음성, 1930은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상기 소멸음을 송출하는 소멸음발생수단, 1940 은 소멸음, 1950 은 스피커, 1960 은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파, 1970 은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을 나타낸다.
도 20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나타낸다.
201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020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03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040 은 플래시를 나타낸다.
도 21 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제1예이다.
2110 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12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13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140 는 마이크로폰을 나타낸다.
도 22 는 본 발명에 의한 탁자위에 거치하는 마이크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제 2 예이다.
221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22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230 은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240 은 마이크로폰, 2250은 스피커 고정틀, 2260은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을 나타낸다.
(실시례)
실시례1]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2]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 실시례 1∼실시례 4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7]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8]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0] 실시례 6 ∼ 실시례 9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1]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특정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2]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3]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4]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5]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6] 실시례 11∼실시례 l5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소형지향성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7] 실시례 11 ~ 실시례 15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압전트랜스듀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8] 실시례 11 ~ 실시례 15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9] 실시례 11 ~ 실시례 15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와 부착하지 않고 이격하되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통신기기 본체에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음향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0] 실시례 11∼ 실시례 15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는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1]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한편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가진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특정방향으로 집증시키는 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2] 실시례 21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소형지향성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3] 실시례 21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압전트랜스듀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4] 실시례 21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5] 실시례 21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와 부착하지 않고 이격하되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통신기기 본체에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음향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6] 실시례 21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는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27] 음향장치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천정 또는 벽 등 실내에 고정하는 스피커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28]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가진 음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가 구비한 스피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음향장치에 구비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29]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가진 옥내외 음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가 구비한 스피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음향장치에 구비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0] 음향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와 상기 출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1]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2]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음향빔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3]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 상기 음향빔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정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4] 실시례 30∼ 실시례 33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5]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6]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7]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8]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39] 실시례 35∼ 실시례 38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0]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와 상기 출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1]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2]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음향빔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3]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 상기 음향빔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정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4] 실시례 40∼ 실시례 43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5] 실시례 35∼ 실시례 38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주위를 평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6] 실시례 40∼ 실시례 44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주위를 평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7] 실시례 45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8] 실시례 46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49] 실시례 35∼ 실시례 38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평면적으로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내부에 골고루 배치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0] 실시례 40∼ 실시례 44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평면적으로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내부에 골고루 배치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1] 실시례 49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2] 실시례 50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3] 실시례 47 ~ 실시례 49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오목한 형태의 반사경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비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4] 실시례50~ 실시례52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오목한 형태의 반사경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비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55]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향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56]
음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57]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공간분할조명방법과;
공간분할조명방법에 의해 형성된 분할된 각각의 공간을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과 음장공간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58]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공간분할조명방법과;
공간분할조명방법에 의해 형성된 분할된 각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과 음장공간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59]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독립방법과;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독립적인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이용하여 독립된 음장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 및 음향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60]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방법과;
분할된 하나 이상의 상기 공간을 각각 독립적인 음장으로 음장을 형성시키는 독립음장형성방법과;
상기 독립된 음장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생체존부감지방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61]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2]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3]
방향조절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4]
방향조절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5]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음향감지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음향감지수단을 고정하는 고정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6]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음향감지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7]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안테나, 송신부, 피부진동감지장치로 구성됨)을 구비하고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68]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상쇄시키는 한편 화자의 음성은 이어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를 제안한다.
실시례 69]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0]
지향성음향재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재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1]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2] 음향장치에 있어서,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반사음발생수단12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잔향음발생수단 13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3] 음향장치에 있어서,
반사음발생기능 또는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4] 음향장치에 있어서,
직접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직접음발생수단11과;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반사음발생수단12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잔향음발생수단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5]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에서 선택한 음향을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6]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에서 선택한 음향을 상기 송수신수단이 있는 방향으로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7] 실시례 61 ∼ 실시례 76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8] 실시례 61 또는 실시례 62 또는 실시례 63 또는 실시례 64 또는 실시례 65 또는 실시례 66 또는 실시례 73 또는 실시례 74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79] 실시례 61 또는 실시례 62 또는 실시례 63 또는 실시례 64 또는 실시례 65 또는 실시례 66 또는 실시례 73 또는 실시례 74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0]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1]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의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2]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3]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4] 실시례 78 ~ 실시례 81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5] 실시례 78 ~ 실시례 81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6] 실시례 78 ~ 실시례 81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87]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88]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89]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상기 전화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0]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부착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 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1] 실시례 87 ∼ 실시례 90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2] 실시례 87 ~ 실시례 90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3] 컴퓨터,TV,A/V 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4] 컴퓨터,TV,A/V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구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5] 컴퓨터,TV,A/V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96] 실시례 93 ~ 실시례 95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구를 제안한다.
실시례 97]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98]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99]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00] 실시례 97 ∼ 실시례 98 중 어느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01] 확성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02] 확성기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03] 확성기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04] 실시례 100 ∼ 실시례 10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를 제안한다.
실시례 105] 조명기구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제안한다.
실시례 106] 실시례 104 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제안한다.
실시례 107] 실시례 61 또는 실시례 63 또는 실시례 67 또는 실시례 75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안테나, 송신부, 마이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08] 실시례 62 또는 실시례 64 또는 실시례 68 또는 실시례 76 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안테나, 송신부, 수신부, 마이크,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09] 실시례 106 또는 실시례 107 에 있어서, 마이크는 피부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10] 실시례 106 또는 실시례 107 에 있어서, 스피커는 이어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11] 실시례 107 에 있어서, 마이크와 스피커는 일체형으로 귀에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12] 실시례 61 ~ 실시례 76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 내부의 음향반사판이 포물선형인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13] 실시례 80∼ 실시례 83 중 한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 내부의 음향반사판이 포물선형인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실시례 114]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음장을 제어하는 음장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115]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수신방법을 이용하여 음장을 제어하는 음장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116]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실시례 117]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수신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제안한다.
[도 1] 가청음파가 평판 스피커에서 송출되어 공기중으로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초음파가 평판 스피커에서 송출되어 공기중으로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상기 논문(9)에서 설명한 지향성스피커에 의한 Andio Spotlight 를 나타내는 그림
[도 4] 상기 논문(9)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압전진동소자를 구비한 지향성스피커의 평면도
[도 5] 본 발명에 의한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을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표면에 분산 배치한 지향성음향발생스피커의 평면도
[도 6] 본 발명에 의한 조명수단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평면도
[도 7] 본 발명에 의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저에 설치한 거실에서 2인 이상의 사람이 TV와 비디오를 각각 달리 시청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 본 발명에 의한 사람 마다 모두 하나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설치한 사무실에서 2인 이상의 사람이 책상에 앉아 일하고 있는 모습
[도 9]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측면도
[도 10]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 수단
[도 11]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12]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셜 홀에서 무선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스피커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 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본 발명에 의한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컨벤션 홀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만 음성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호텔 등의 로비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소멸음을 발생시킨 후 소멸음을 화자가 위치한 그룹으로 송출하는 대신 화자의 음성은 상대방이 착용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청취하게 함으로써 조용한 호텔 로비를 구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 본 발명에 의한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천정에 설치한 식당 등의 테이블에서 무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화자의 음성과 진폭은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통해 화자가 있는 곳으로 송출하는 한편 화자와 이야기 하는 그룹의 다른 사람에게는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통하여 화자의 음성을 송출하게 함으로서, 식당 등을 조용하게 유지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상기 소멸음을 송출하는 소멸음발생수단,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테이블에 구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
[도 21]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제 1 예
[도 22] 본 발명에 의한 탁자위에 거치하는 마이크 겸용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제 2 예
110 : 평판 스피커, 120 : 가청음파
210 : 평판 스피커, 220 : 초음파
3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320 : 초음파,
330 : 가청음파
410 : 압전진동소자, 430 : 압전진동소자 고정틀
510 : 압전진동소자, 520 : 조명수단
610 : 압전진동소자, 620 : 조명수단(620)
710 : TV, 720 : 비디오,
730 : 시청자, 740 : 시청자,
750 : 소파, 76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77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8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820 : 칸막이,
840 : 탁자, 850 : 사람,
860 : 전화기, 870 : 책상
9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920 : 무선송수신수단,
930 : 안테나
1010 : 안테나, 10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마이크로폰,
1030 : 무선 송수신 모듈, 1040 : 무선 송수신수단 고정틀
1110 : 안테나, 1120 : 이어폰,
1130 :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
1210 :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2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230 : 테이블,
1250 :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310 :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3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330 : 테이블,
135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
l380 : 천정
14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42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143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440 : 테이블
145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
1480 : 천정
1510 :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3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530 : 테이블,
155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
1610 :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6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630 : 테이블,
165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의 음성
1710 :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7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730 : 그룹(한 사람 이상의 사람이 모인 집합체)
1770 :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해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 소멸음
1810 : 제어수단에 연동된 지향성음향발생수단,
1820 : 이어폰 겸용 진동감지형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무선 송수신수단,
1830 : 화자와 대화하는 상대방의 좌석
1870 :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해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 소멸음
185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서 송출된 화자음성
1910 : 테이블, 1920 : 화자음성,
1930 : 화자음성을 소멸하기 위한 상기 소멸음을 송출하는 소멸음발생수단,
1940 : 소멸음 l950 : 스피커
1960 :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파,
1970 :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
20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02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03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040 : 플래시
21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12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13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140 : 마이크로폰
2210 : 지향성음향발생수단
2220: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초음파,
2230: 지향성음향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음파,
2240: 마이크로폰, 2250 : 스피커 고정틀,
2260 : 화자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피부진동감지수단
.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장치를 사용하면 컨벤션 홀, 로비 또는 강당의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음향을 여러명이 다른 음향을 원하는 경우에도 각자가 원하는 음향만을 들을 수 있으며, 연설, 회의 또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도 반사음 또는 잔향음 없이 깨끗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향장치는 합판 또는 플라스틱, 철제로 된 기계적 구조물로된 개별적인 칸막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사무실, 경매소, 은행, 음식점, 컨퍼런스룸, 면회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음성으로 인한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조용한 환경에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7)

  1.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
  2.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
  3.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
  4. 지향성음향발생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
  5. 제1항 ~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음향발생장치
  6.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7.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8.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9. 음향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0. 제6항 ∼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1.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특정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2.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3.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4.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5.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등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6. 제11항 ∼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소형지향성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7. 제 11항 ~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압전트랜스듀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통신기기
  18. 제11항 ∼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19. 제11항 ∼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와 부착하지 않고 이격하되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통신기기 본체에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음향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20. 제11항 ∼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는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21.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한편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가진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특정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소형지향성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압전트랜스듀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상기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본체와 부착하지 않고 이격하되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통신기기 본체에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음향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는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정보통신기기
  27. 음향장치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천정 또는 벽 등 실내에 고정하는 스피커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8.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가진 음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가 구비한 스피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음향장치에 구비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9.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를 가진 옥내외 음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TV, PC, Audio, Video, 컴퓨터, 인터폰, 전화가 구비한 스피커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음향장치에 구비된 상기 지향성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0. 음향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와 상기 출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1.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2.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음향빔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3.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 상기 음향빔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정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4. 제30항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5.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6.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7.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8.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9. 제35항 ∼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0.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와 상기 출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1.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2.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과 상기 음향빔조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3.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과;
    하나 이상의 지향성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상기 조명수단 및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음향빔의 모양을 조절하는 음향빔모양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지향성스피커, 상기 출력조절수단, 상기 음향빔조절수단과 상기 방향조정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4. 제40항 ∼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는 지향성스피커의 구현을 위해 음파를 초음파에 진폭변조한 진폭변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5. 제35항 ~ 제 3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주위를 평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6. 제40항 ∼ 제4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주위를 평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9. 제35 ∼ 제3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평면적으로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내부에 골고루 배치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0. 제40항 ~ 제4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평면적으로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내부에 골고루 배치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3. 제47항 ∼ 제4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오목한 형태의 반사경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비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4. 제50항 ~ 제5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오목한 형태의 반사경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비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5.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향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제어방법
  56. 음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
  57.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공간분할조명방법과;
    공간분할조명방법에 의해 형성된 분할된 각각의 공간을 지향성음향발생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과 음장공간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
  58.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공간분할조명방법과;
    공간분할조명방법에 의해 형성된 분할된 각각의 독립된 음장으로 분할하는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과 음장공간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
  59.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독립방법과;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독립적인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이용하여 독립된 음장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조명 및 음향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형성방법
  60.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명하는 방법과;
    분할된 하나 이상의 상기 공간을 각각 독립적인 음장으로 음장을 형성시키는독립음장형성방법과;
    상기 독립된 음장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생체존부감지방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분할조명음장제어방법
  61.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2.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3. 방향조절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4. 방향조절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5.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음향감지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음향감지수단을 고정하는 고정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6.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음향감지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7.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8.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각각의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장치를 통해 화자의 음성을 상쇄시키는 한편 화자의 음성은 이어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9.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0. 지향성음향재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재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1.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2. 음향장치에 있어서,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반사음발생수단12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 잔향음발생수단 13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3. 음향장치에 있어서,
    반사음발생기능 또는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4. 음향장치에 있어서,
    직접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직접음발생수단11과;
    반사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반사음발생수단l2과;
    잔향음발생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지향성잔향음발생수단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5.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에서 선택한 음향을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6. 하나 이상의 유무선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에서 선택한 음향을 상기 송수신수단이 있는 방향으로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7. 제61항 ~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8. 제61항 또는 제62항 또는 제63항 또는 제64항 또는 제65항 또는 제66항 또는 제73항 또는 제7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9. 제61항 또는 제62항 또는 제63항 또는 제64항 또는 제65항 또는 제66항 또는 제73항 또는 제7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80.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1.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의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2.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3. 유무선 통신장치에 있어서,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탁자에 설치가능한 하나 이상의 피부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4. 제 78 항 ∼ 제 81 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5. 제 78 항 ~ 제 81 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6. 제78항 ∼ 제81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7.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88.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89.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상기 전화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90. 전화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부착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 1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91. 제87항 ~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92. 제87항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과;
    상기 피부진동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과 크기는 같고 위상은 180 도 차이가 나는 소멸음을 발생하는 소멸음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93. 컴퓨터,TV,A/V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94. 컴퓨터,TV,A/V 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95. 컴퓨터,TV,A/V등 스피커를 구비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96. 제93항∼ 제9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구
  97.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
  98.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
  99. 자동차, 기차 등의 경적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지향성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
  100. 제 97항 ∼ 제 98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적장치
  101. 확성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102. 확성기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103. 확성기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104. 제100항 ∼ 제10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105. 조명기구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기능 및 비지향성음향발생기능을 함께 가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수단과;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06.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초음파와 음파를 Ampltude Modulation 하여 가청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청음파빔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07. 제61항 또는 제63항 또는 제67항 또는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안테나, 송신부, 마이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08. 제62항 또는 제64항 또는 제68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안테나, 송신부, 수신부, 마이크,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09. 제 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마이크는 피부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10. 제 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스피커는 이어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음향장치
  111. 제 107항에 있어서, 마이크와 스피커는 일체형으로 귀에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12. 제 61 항 ~ 제 7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 내부의 음향반사판이 포물선형인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13. 제 80항 ∼ 제 8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 내부의 음향반사판이 포물선형인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4.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음장을 제어하는 음장제어방법
  115.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수신방법을 이용하여 음장을 제어하는 음장제어방법
  116.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
  117. 음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향성음향발생방법과;
    무선송수신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간분할음장형성방법
KR1020020030115A 2002-05-29 2002-05-29 음향장치 KR20030092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115A KR20030092458A (ko) 2002-05-29 2002-05-29 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115A KR20030092458A (ko) 2002-05-29 2002-05-29 음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58A true KR20030092458A (ko) 2003-12-06

Family

ID=3238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115A KR20030092458A (ko) 2002-05-29 2002-05-29 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65B1 (ko) * 2007-05-14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65B1 (ko) * 2007-05-14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7928C (en) Loudspeaker with shaped sound field
CN102845078B (zh) 具有环绕式、漏斗形声波输出口的扬声器装置
JP5306565B2 (ja) 音響指向方法および装置
US7298853B2 (en) Parametric virtual speaker and surround-sound system
JP2002125283A (ja) 特別な縁細部を備えたフラットパネル音放射体
US20050207590A1 (en) Method of reproducing audio sound with ultrasonic loudspeakers
JP2004527968A5 (ko)
JP2002095080A (ja) フラットパネル音放射体およびアセンブリシステム
CN101878660A (zh) 包括窄指向性和宽指向性扬声器的音频重现系统
US20030215103A1 (en) Parametric virtual speaker and surround-sound system
US4831656A (en) Conference microphone for use with hearing impaired amplification system
CN202679586U (zh) 指向性声源系统
US10171930B1 (en) Localized audibility sound system
JPH03169200A (ja) テレビ受信機
JP2008005346A (ja) 音響反射装置
JP3422296B2 (ja) 指向性拡声装置
KR20030092458A (ko) 음향장치
JP3356847B2 (ja) 音源構成法
JP2002194836A (ja) 吸音外装を有するフラットパネル放射体
CN2393285Y (zh) 天花板式音箱
Olszewski et al. Highly directional multi-beam audio loudspeaker
CN203368720U (zh) 一种指向性声源系统
JP4867248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音声会議装置
CN212367516U (zh) 一种超声波音箱
JP2542563B2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