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0Y1 -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0Y1
KR200300910Y1 KR20-2002-0029493U KR20020029493U KR200300910Y1 KR 200300910 Y1 KR200300910 Y1 KR 200300910Y1 KR 20020029493 U KR20020029493 U KR 20020029493U KR 200300910 Y1 KR200300910 Y1 KR 200300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upport
hole
column
umb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엽
Original Assignee
허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엽 filed Critical 허엽
Priority to KR20-2002-0029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공지의 자동우산에 있어서 우산대의 내부에 제 2기둥을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필요시 우산대로부터 상기 제 2기둥을 빼내어 파라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은, 일반적인 자동우산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 파라솔로 간단히 전환하여 우산을 파라솔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파라솔로 사용할 때 수직기둥의 각도를 꺽어 햇볕의 방향에 대응하여 그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Umbrella combined with parasol}
본 고안은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파라솔은 해수욕이나 낚시 또는 피크닉 등의 야외 활동시 강한 햇볕을 차단하는 물건으로서 햇볕으로 인한 더위를 막고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필수품이다. 특히 어린아이나 여성에게 있어서 강한 직사광선은 피부화상이나 탈수 또는 일사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여름철 야외 활동시 파라솔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안전하다.
보통 상기 파라솔은 보다 넓은 그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크게 설계되므로 무겁고 접은 상태로도 그 크기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또한 자주 사용하는 것도 아니므로 일반 가정에서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따라서 파라솔이 필요할 때에는 파라솔 대여업자나 또는 예컨대 해수욕장의 상인들이나 낚시터 업자 등으로부터 매번 대여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고 그나마 파라솔을 빌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각 가정에서는 적어도 한 개씩의 우산은 가지고 있다. 상기 우산은 그 크기가 일반 파라솔보다는 작기는 하지만 햇볕을 차단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므로 파라솔을 구할 수 없고 직사광선은 차단하여야 할 경우 우산을 파라솔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산을 구성하는 우산대는 길이가 길지 않으므로 우산을 지면에 박아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우산을 파라솔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산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동우산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 파라솔로 간단히 전환하여 우산을 파라솔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파라솔로 사용할 때 수직기둥의 각도를 꺽어 햇볕의 방향에 대응하여 그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상기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잠금기구 및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상하부 기둥의 결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4b는 상기 도 3의 상하부 기둥이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부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우산으로 사용하되 우산을 접은 모습을 일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펼친 모습을 일부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파라솔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제 1기둥 14:지지홀더
16:지지스트레처(stretcher) 18:링슬라이더
20:받침스트레처 22:승강슬라이더
23:걸림턱 24:연결와이어
26:제 2기둥 28:상부기둥
30:하부기둥 32:구멍
34:판스프링 36:돌기
38:돌기관통구멍 40:지지원통
42:완충스프링 44:압축스프링
46:손잡이 48:수납공간
50:암나사구 52:잠금기구
54:원통홀더 56:수나사산
58:기둥통과구멍 60:잠금핀
62:잠금턱 64:보턴
66:스프링 68:핀구멍
70:관통장공 72:기둥연결핀
74,75:구멍 76:평단면부
78:지지벽 80:삽입홈
84:차단막 86:지지면
90:설치공간 92:경사면
98:지지경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파이프로서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지지홀더가 고정되어 있는 제 1기둥과; 상기 지지홀더에 그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향 회동하여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지지스트레처(stretcher)와; 상기 지지스트레처에 지지되며 지지스트레처가 펼쳐질 때 펼쳐지는 차단막과; 상기 제 1기둥을 내부로 통과시키며 제 1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링슬라이더와; 양단부가 상기 링슬라이더 및 각 지지스트레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링슬라이더가 최대한 상승한 상태에서 지지스트레처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스트레처와; 상기 링슬라이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 1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링슬라이더와 승강슬라이더의 사이에 위치하며 링슬라이더와 승강슬라이더를 탄성 이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받침스트레처를 연결하여 승강슬라이더가 하강할 때 받침스트레처를 통해 링슬라이더를 하강시킴으로써 지지스트레처를 하부로 회동시켜 접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제 1기둥을 그 중심으로 통과시키며 제 1기둥에 대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슬라이더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승강슬라이더를 구속하여 임시 고정시키고 필요시 구속력을 해제하여 승강슬라이더가 상승하게 하는 잠금기구와; 상기 제 1기둥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며 필요시 제 1기둥의 하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그 상측부에 제 1기둥 하단의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는 제 2기둥과; 상기 제 2기둥이 제 1기둥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잠금기구와 결합하여 제 1,2기둥의 하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기둥은; 그 하측부가 지면에 박히는 하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의 상단에 핀 연결되며 핀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만큼 회동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상부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기둥에는 상부기둥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탄성 돌출됨과 아울러 설치공간 내부로 삽입 가능한 돌기가 마련되어, 제 2기둥을 제 1기둥으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돌기가 제 1기둥 하단의 구멍과 만나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제 1기둥에 대해 제 2기둥이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기둥의 상단부에는 평평한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상면에는 상호 평행한 대향면을 가지며 이격되어 사이에 삽입홈을 제공하고 동축상의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벽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홈내에 끼워지며 지지벽의 핀구멍에 대응하는 핀구멍을 갖는 사각판 형태의 평단면부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기둥과 상부기둥은 상기 평면단부를 삽입홈내에 삽입한 상태로 핀구멍을 통해 기둥연결핀을 끼움으로써 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부와 하부기둥의 지지면은 상호 면접촉하되 상기 기둥연결핀을 중심으로 상부기둥이 하부기둥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평단면부에는 상향 경사진 지지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둥과 상부기둥의 연결부에는 상기 지지벽과 평면단부의 연결부위를 감싸 그 내주면으로 상기 하부기둥에 대해 상부기둥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속하고 필요시 상기 지지벽과 평면단부의 연결부위로부터 벗어나 하부기둥에 대해 상부기둥이 회동하게 하는 지지원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기구는; 원통공간을 제공하며 중심축부에 제 1기둥이 통과하는 기둥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측부에는 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원통홀더와; 상기 원통홀더의 내부에 길이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제 1기둥을 통과시키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핀구멍을 통과하여 원통홀더 외부로 연장되며 타단부에는 하부로 이동되어온 승강슬라이더의 걸림턱을 걸어 임시 고정하는 잠금턱이 형성된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잠금핀을 원통홀더 내측으로 밀어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잠금턱을 이격시키는 보턴과; 상기 잠금핀을 원통홀더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은, 속이 빈 제 1기둥(12)과, 상기 제 1기둥(12)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제 1기둥(12)의 하부로 인출되는 제 2기둥(26)과, 상기 제 1기둥(12)내에 제 2기둥(26)이 삽입된 상태로 제 1,2기둥(12,26)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손잡이(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기둥(12)은 상하가 개방된 중공 파이프로서 특히 하단 외주면에는 돌기관통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관통구멍(38)의 상부에는 잠금기구(52)가 고정된다. 상기 제 1기둥(12)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52)는 후술할 승강슬라이더(22)가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져 최하점에 도달할 때 승강슬라이더(22)의 걸림턱(23)을 걸어 승강슬라이더(22)가 상승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잠금기구(52)는 손잡이(46)와 결합하여 손잡이(46)와 제 1기둥(12)을 연결한다. 상기 잠금기구(52)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후술된다.
상기 제 1기둥(12)의 상단부에는 지지홀더(1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더(14)에는 그 후단부가 지지홀더(14)에 연결되며 상하로 회동 가능한 다수의 지지스트레처(stretcher)(1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스트레처(16)는 다수개가 등각으로 설치되며 상향 회동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막(84)을 상부로 받쳐 올리는 우산살이다.
상기 지지홀더(14)의 하부에는 완충스프링(42)을 사이에 두고 링슬라이더(18)가 구비된다. 상기 링슬라이더(18)는 링의 형태를 갖는 부재로서 제 1기둥(12)을 그 중심으로 통과시키며 제 1기둥(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링슬라이더(18)와 각 지지스트레처(16)의 사이에는 받침스트레처(2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스트레처(20)는 그 일단이 링슬라이더(18)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타단은 각각의 지지스트레처(16)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받침스트레처(20)는 링슬라이더(18)가 최상점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스트레처(16)를 받쳐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스트레처(20)는 지지스트레처(16)와 일대일 대응하므로 우산을 펼 때 방사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링슬라이더(18)의 하부에는 승강슬라이더(22)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2)는 제 1기둥(12)을 그 중심으로 통과시키는 파이프 형태의 부재로서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연결와이어(24)를 통해 받침스트레처(2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와이어(24)는 승강슬라이더(22)와 각 받침스트레처(20)를 연결한다.
상기 링슬라이더(18)와 승강슬라이더(22)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4)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스프링(44)은 링슬라이더(18)와 승강슬라이더(22)를 탄성적으로 이격시켜 우산이 자동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축스프링(44)의 기능은 종래의 자동식 우산과 동일하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2)는 우산을 접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부위이다. 즉, 사용자가 승강슬라이더(22)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면 승강슬라이더(22)는 제 1기둥(12)에 대해 하부로 이동하며 연결와이어(24)를 통해 링슬라이더(18)를 하부로 당긴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2)의 화살표 a방향 하강시 승강슬라이더(22)에 대한 링슬라이더(18)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고 압축스프링(44)은 압축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승강슬라이더(22)를 하부로 하강시키다가 놓으면 압축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슬라이더(22)와 링슬라이더(18)의 간격은 다시 이격되어 우산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2)를 하부로 완전히 당기면 지지스트레처(16)와 받침스트레처(20) 및 연결와이어(2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혀지게 된다.
상기 완충스프링(42)은 링슬라이더(18)의 상승시 링슬라이더(18)와 지지홀더(14)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완충수단이다.
상기 지지홀더(14)와 링슬라이더(18)와 승강슬라이더(22)와 지지스트레처(16)와 받침스트레처(20) 및 연결와이어(24)의 링크구조 및 지지스트레처(16)의 펼쳐짐 및 접힘 메카니즘은 공지의 자동우산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 2기둥(26)은 상부기둥(28)과 하부기둥(30)으로 나뉜다.
상기 상부기둥(28)은 속이 비어있는 중공(中空)기둥으로서 내부에 설치공간(90)이 마련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설치공간(90)을 외부로 연결하는 구멍(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90)의 내부에는 판스프링(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34)은 그 양단이 상부기둥(28)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상기 구멍(32)을 향하는 일단부 외측면에는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36)는 상기 구멍(32)을 통과하여 상부기둥(28)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기(36)는 판스프링(34)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화살표 c방향으로 누르면 눌려 구멍(32)의 내부로 삽입되고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다시 구멍(3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36)는 제 1기둥(12) 하단의 돌기관통구멍(38)에 삽입되어 제 1기둥(12)에 대한 제 2기둥(26)의 위치를 고정한다. 즉, 상기 돌기(36)는 제 2기둥(26)이 제 1기둥(12)의 내부에 위치할 때에는 제 1기둥(12)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 구멍(3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대기하다가 제 1기둥(12)으로부터 제 2기둥(26)을 하부로 인출할 때 상기 돌기관통구멍(38)을 만나 돌기관통구멍(38)에 삽입됨으로써 제 1기둥(12)에 대한 제 2기둥(26)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기둥(30)은 상부기둥(28)과 마찬가지로 제 1기둥(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기둥(30)의 하단부는 뾰족하게 가공되어 하부기둥(30)이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기둥(30)은 전체가 제 1기둥(1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고 그 하측부 일부는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도 5와 같이 손잡이(46)내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기둥(30)의 일부를 삽입하지 않는 것은 제 1기둥(12)으로부터 제 2기둥(26)을 용이하게 잡아 빼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기둥(28)과 하부기둥(30)은 핀(72)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은 핀(72)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상기 상부기둥(28)과 하부기둥(30)의 연결구조 및 하부기둥(30)에 대한 상부기둥(28)의 제한된 각도 내에서의 회동메카니즘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후술된다.
한편, 상기 잠금기구(52)는 그 중심축부로 제 1기둥(12)을 통과시키며 제 1기둥(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같이 최저점으로 하강한 승강슬라이더(22)를 잡아 임시 고정한다.
상기 잠금기구(52)는, 대략 원통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그 하부에는 수나사산(56)이 마련되고 중심축부에는 기둥통과구멍(58)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홀더(54)와, 상기 원통홀더(54)가 제공하는 원통형 내부공간내에 설치되며 화살표 d방향으로 길이방향 운동 가능한 잠금핀(60)과, 상기 잠금핀(6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통과구멍(58)의 내주면은 제 1기둥(12)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나사산(56)은 손잡이(46)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50)에 결합하여 손잡이(46)가 제 1기둥(12)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원통홀더(54)의 일측부에는 핀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구멍(68)은 잠금핀(60)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상기 핀구멍(68)의 형상은 핀구멍(68)을 통과하는 잠금핀(6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핀구멍이 잠금핀의 화살표 d방향이동을 가이드하게 함이 좋다.
상기 잠금핀(60)은 상기 원통홀더(54) 내부의 중심축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부는 상기 핀구멍(68)을 관통하여 원통홀더(54)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잠금턱(6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잠금핀(60)의 중앙부에는 관통장공(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장공(70)은 제 1기둥(12)이 통과하는 구멍임은 물론이다.
상기 원통홀더(54)의 외부로 연장된 잠금핀(60)의 일단부에는 보턴(64)이 고정되며 보턴(64)과 원통홀더(54)의 외주면 사이에는 스프링(66)이 끼워져 있다. 상기 스프링(66)은 압축스프링으로서 보턴(64)이 항상 원통홀더(54)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턱(62)은 승강슬라이더(22)가 최하점에 도달할 때 승강슬라이더(22)의 하단부에 밀려 화살표 e방향으로 비킬 수 있도록 그 상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다.
따라서 승강슬라이더(22)가 최하점에 도달하는 동안 잠금턱(62)은 화살표 e방향으로 일단 이동하고 승강슬라이더(22)가 최하점에 위치한 순간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23)에 걸린다.(도 5참조)
상기와 같이 승강슬라이더(22)가 잠금턱(62)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승강슬라이더(22)가 자력으로 상승하지 못한다. 승강슬라이더(22)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보턴(64)을 눌러 걸림턱(23)으로부터 잠금턱(62)을 이격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원통홀더(54)의 하부에 결합하는 손잡이(46)는 막대형태의 손잡이로서그 내부에 수납공간(48)을 갖는다. 상기 수납공간(48)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2기둥(12,26)의 하측부를 수용한다. 상기 수납공간(48)의 상단부에는 원통홀더(54)의 수나사산(56)에 결합하는 암나사구(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홀더(54)와 손잡이(46)의 결합을 나사방식으로 하였지만 양자간의 결합방식은 실시예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잠금기구 및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손잡이(46)는 원통형 막대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단부에는 암나사구(50)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축부에는 수납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6)의 외부 형상은 그 미감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46)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통홀더(54)는 원통형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잠금핀(60)이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내부공간의 바닥에는 수직의 기둥통과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통과구멍(58)은 상기한 바와같이 제 1기둥(12)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제 1기둥(12)의 소정위치에 밀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핀구멍(68)이 원통홀더(54)의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핀구멍(68)은 잠금핀(60)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원통홀더(54)내부에 장착되는 잠금핀(60)은 그 중앙부에 관통장공(70)을 가지며 장착된 상태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관통장공(70)은 잠금핀(60)의 화살표 d방향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다. 상기 관통장공(70)은 제 1기둥(12)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 폭이 기둥통과구멍(58)의 직경보다 커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핀구멍(68)을 통과하여 원통홀더(54)의 외부로 연장된 잠금핀(60)의 일단부에는 보턴(6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턴(64)과 원통홀더(54)의 외벽 사이에는 스프링(6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6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잠금턱(62)은 잠금핀(60)의 타단부를 상부로 절곡하고 절곡부의 상단에 형성한 것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상기 걸림턱(23)이 이루는 경사면(92)은 승강슬라이더(22)의 하단부에 의해 눌려 잠금핀(60)이 화살표 e방향으로 물러나도록 하는 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의 상하부 기둥의 결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기둥(28)의 하단부에 플레이트 형태의 평면단부(7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평면단부(76)는 일정두께(t) 및 폭(w)을 가지며 상부기둥(28)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L만큼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기둥(28)의 하단부에는 지지경사면(9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경사면(98)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경사면이다.
또한 상기 평면단부(76)의 하측부위에는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75)은 기둥연결핀(72)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한편, 상기 하부기둥(30)의 상단부에는 상기 평면단부(76)와 핀(72)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벽(7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78)은 하부기둥(30) 상단의 지지면(86)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사이에 삽입홈(80)을 갖는다. 상기 삽입홈(80)은 일정간격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평면단부(76)가 삽입된다.
상기 각 지지벽(78)에도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74)은 기둥연결핀(72)이 수평으로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동축상에 위치함은 물론이다.
결국 상기 지지벽(78)이 제공하는 삽입홈(80)의 내부에 평면단부(76)를 삽입하고 기둥연결핀(72)으로 연결하면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한 쪽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연결부위 외측에는 지지원통(4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원통(40)은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 부재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하거나 또는 절곡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지지원통(4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결합부위를 그 내부에 포함하여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부기둥(28)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결합부위로부터 이격되어 하부기둥(30)에 대한 상부기둥(28)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4a,4b는 상기 도 3의 상하부 기둥이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가 기둥연결핀(7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의 외측에는 지지원통(40)이 끼워져 있다. 아울러 상기 평면단부(76) 하부선단의 지지경사면(98)은 지지면(86)에 대해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면(86)에 면접하고 있다.
상기 지지원통(40)은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있으므로 상기 평면단부(76)는 지지원통(40)의 내주면에 막혀 이를 테면 도 4b와 같이 회동하지 못하고 수직으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 상태로 사용하다가 기둥을 절곡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원통(40)을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연결부위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상부기둥(28)을 회동시킨다. 도 4b와 같이 지지원통(4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평면단부(76)를 구속하던 구속력이 제거된 것이므로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기둥(28)이 회동함에 따라 평면단부(76)의 지지경사면(98)이 하부기둥(30)의 지지면(86)에 점차 근접하고 마침내 지지면(86)에 도달하여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정지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기둥(30)에 대한 상부기둥(28)은 수직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최대한 회동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기둥(30)에 대한 상부기둥(28)의 세부적인 각도조절을 위해 공지의 각도조절수단을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우산으로 사용하되 접힌 모습을 일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기둥(12)의 내부에 제 2기둥(26)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1,2기둥(12,26)의 하단부는 손잡이(4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원통홀더(54)의 하부에는 손잡이(4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원통홀더(54)는 제 1기둥(12)에 대해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원통홀더(54)의 내부에 승강슬라이더(22)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잠금핀(60)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는 상기 승강슬라이더(22)의 걸림턱(23)이 잠금핀(60)의 잠금턱(62)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이 접혀있는 상태에서 보턴(64)을 화살표 f방향으로 누르면 잠금턱(62)은 걸림턱(23)으로부터 벗어나고 승강슬라이더(22)는 압축스프링(44)이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산이 펼쳐진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2)이 상승에 따른 우산의 펼처지는 원리는 공지의 자동우산과 동일하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펼친 모습을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스트레처(16)는 압축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최대한 펼쳐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슬라이더(22)를 손잡이(46)측으로 당겨 그 하단부를 원통홀더(54)의 내부에 도달시키면 잠금턱(62)이 걸림턱(23)을 다시 걸어 도 5의 상태가 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46)를 원통홀더(54)로부터 분해하면 손잡이(46)내부에수납되어 있던 제 2기둥(26)의 하단부가 외부로 나타나게 되므로 제 2기둥(26)의 하단부를 잡아 하부로 인출함으로써 파라솔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파라솔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기둥(26)이 제 1기둥(12)으로부터 하부로 완전히 인출되어 지면에 박혀있다. 상기 제 1기둥(12)으로부터 제 2기둥(26)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통홀더(54)로부터 손잡이(도 6의 46)를 분리하여야 함은 상기와 같다. 아울러 제 1기둥(12)으로부터 제 2기둥(26)을 인출할 때 제 2기둥(26)의 돌기(36)가 제 1기둥(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관통구멍(38)에 삽입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원통(40)은 도 4a와 같이 평면단부(76)와 지지벽(78)의 연결부를 구속하고 있어 제 1,2기둥이 전체적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도 8에는 하부기둥(30)에 대해 제 1기둥(12) 및 상부기둥(28)을 일정각도로 절곡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과 같이 사용중 필요시 차단막(84)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 도 4b를 통해 설명한 바와같이 지지원통(40)을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벽(78)에 대해 평면단부(76)를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제 1기둥(12)을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제 1기둥(12)이 회동하더라도 돌기관통구멍(38)에 대한 돌기(36)의 위치변화는 없다.
본 실시예의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을 상기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라솔로 사용하다가 다시 우산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 1기둥(12)을 수직으로 세우고 지지원통(40)을 도 4와 같이 하부로 이동시킨다.
제 1,2기둥(12,26)이 일직선으로 위치되었다면 상기 돌기(36)를 돌기관통구멍(38)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제 2기둥(26)을 제 1기둥(12)내부에 삽입한다. 제 2기둥(26)이 제 1기둥(12)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후 손잡이(46)를 원통홀더(54)에 결합하면 우산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은, 일반적인 자동우산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 파라솔로 간단히 전환하여 우산을 파라솔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파라솔로 사용할 때 수직기둥의 각도를 꺽어 햇볕의 방향에 대응하여 그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파이프로서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구멍(38)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지지홀더(14)가 고정되어 있는 제 1기둥(12)과;
    상기 지지홀더(14)에 그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향 회동하여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지지스트레처(stretcher)(16)와;
    상기 지지스트레처(16)에 지지되며 지지스트레처(16)가 펼쳐질 때 펼쳐지는 차단막(84)과;
    상기 제 1기둥(12)을 내부로 통과시키며 제 1기둥(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링슬라이더(18)와;
    양단부가 상기 링슬라이더(18) 및 각 지지스트레처(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링슬라이더(18)가 최대한 상승한 상태에서 지지스트레처(16)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스트레처(20)와;
    상기 링슬라이더(18)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 1기둥(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슬라이더(22)와;
    상기 링슬라이더(18)와 승강슬라이더(22)의 사이에 위치하며 링슬라이더(18)와 승강슬라이더(22)를 탄성 이격시키는 스프링(44)과;
    상기 승강슬라이더(22)와 받침스트레처(20)를 연결하여 승강슬라이더(22)가 하강할 때 받침스트레처(20)를 통해 링슬라이더(18)를 하강시킴으로써 지지스트레처(16)를 하부로 회동시켜 접는 연결와이어(24)와;
    상기 제 1기둥(12)을 그 중심으로 통과시키며 제 1기둥(12)에 대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38)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슬라이더(22)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승강슬라이더(22)를 구속하여 임시 고정시키고 필요시 구속력을 해제하여 승강슬라이더(22)가 상승하게 하는 잠금기구(52)와;
    상기 제 1기둥(12)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며 필요시 제 1기둥(12)의 하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그 상측부에 제 1기둥(12) 하단의 구멍(38)에 끼워지는 돌기(36)를 갖는 제 2기둥(26)과;
    상기 제 2기둥(26)이 제 1기둥(12)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잠금기구(52)와 결합하여 제 1,2기둥(12,26)의 하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손잡이(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둥(26)은;
    그 하측부가 지면에 박히는 하부기둥(30)과,
    상기 하부기둥(30)의 상단에 핀(72) 연결되며 핀(72)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만큼 회동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공간(90)을 갖는 상부기둥(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기둥(28)에는 상부기둥(28)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탄성 돌출됨과 아울러 설치공간(90) 내부로 삽입 가능한 돌기(36)가 마련되어, 제 2기둥(26)을 제 1기둥(12)으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돌기(36)가 제 1기둥(12) 하단의 구멍(38)과 만나 구멍(38)에 삽입됨으로써 제 1기둥(12)에 대해 제 2기둥(26)이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30)의 상단부에는 평평한 지지면(86)이 형성되고 상기지지면(86)의 상면에는 상호 평행한 대향면을 가지며 이격되어 사이에 삽입홈(80)을 제공하고 동축상의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벽(78)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기둥(28)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홈(80)내에 끼워지며 지지벽(78)의 구멍(74)에 대응하는 구멍(75)을 갖는 사각판 형태의 평단면부(76)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기둥(30)과 상부기둥(28)은 상기 평면단부(76)를 삽입홈(80)내에 삽입한 상태로 구멍(74,75)을 통해 기둥연결핀(72)을 끼움으로써 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둥(28)의 하단부와 하부기둥(30)의 지지면(86)은 상호 면접촉하되 상기 기둥연결핀(72)을 중심으로 상부기둥(30)이 하부기둥(3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평단면부(76)에는 상향 경사진 지지경사면(9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30)과 상부기둥(28)의 연결부에는 상기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연결부위를 감싸 그 내주면으로 상기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속하고 필요시 상기 지지벽(78)과 평면단부(76)의 연결부위로부터 벗어나 하부기둥(30)에 대해 상부기둥(28)이 회동하게 하는 지지원통(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52)는;
    원통공간을 제공하며 중심축부에 제 1기둥(12)이 통과하는 기둥통과구멍(58)이 형성되며 측부에는 핀구멍(68)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원통홀더(54)와;
    상기 원통홀더(54)의 내부에 길이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제 1기둥(12)을 통과시키는 장공(70)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핀구멍(68)을 통과하여 원통홀더(54) 외부로 연장되며 타단부에는 하부로 이동되어온 승강슬라이더(22)의 걸림턱(23)을 걸어 임시 고정하는 잠금턱(62)이 형성된 잠금핀(60)과;
    상기 잠금핀(6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잠금핀(60)을 원통홀더(54) 내측으로 밀어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잠금턱(62)을 이격시키는 보턴(64)과;
    상기 잠금핀(60)을 원통홀더(54)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KR20-2002-0029493U 2002-10-02 2002-10-02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KR200300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93U KR200300910Y1 (ko) 2002-10-02 2002-10-02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93U KR200300910Y1 (ko) 2002-10-02 2002-10-02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0Y1 true KR200300910Y1 (ko) 2003-01-24

Family

ID=4939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93U KR200300910Y1 (ko) 2002-10-02 2002-10-02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037B2 (en) Foldable sunshade with a tiltable canopy
US6152156A (en) Sunshade with a tiltable canopy
US6923193B2 (en) Outdoor used stand frame of an umbrella
US6662815B2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US7509967B2 (en)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JP4628368B2 (ja)
US6196242B1 (en) Hanging sun umbrella
US7341071B2 (en) Tent frame
US10107005B2 (en) Tent supporting structure
US20190203499A1 (en) Spring assist system for a canopy frame
US11096458B1 (en) Multi-use umbrella with water filtration and sail functions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TWI230042B (en) Tilting umbrella
US11013303B2 (en) Umbrella assembly set up devices
KR200300910Y1 (ko) 파라솔 겸용 자동우산
KR200440972Y1 (ko) 자동텐트용 접이식 폴대
KR20090051407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US11666125B2 (en) Parasol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1384760B1 (ko)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CN217364889U (zh) 一种可以在任何倾角状态下开合的遮阳伞
KR200365539Y1 (ko)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CN110973789B (zh) 一种体育用遮阳伞
KR100899474B1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