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539Y1 -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 Google Patents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539Y1
KR200365539Y1 KR20-2004-0011581U KR20040011581U KR200365539Y1 KR 200365539 Y1 KR200365539 Y1 KR 200365539Y1 KR 20040011581 U KR20040011581 U KR 20040011581U KR 200365539 Y1 KR200365539 Y1 KR 200365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angle
support
colum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원
Original Assignee
김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호 filed Critical 김운호
Priority to KR20-2004-0011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45B2017/005Tiltable umbrellas with additional rotation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파라솔의 살에 결합된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주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접철(摺綴)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접철되는 제1 및 제2 힌지부; 직결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가 관통되어 상기 제1 지주와 제2 지주가 직립 상태로 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결착삽입홈에 단부가 삽입되는 결착대로 이루어진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Parasol for control of awning angle and elevation of practical use of central space inside awning screen}
본 고안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터나 해변 등 지면에 설치된 파라솔의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활용도를 높여 사용자의 행동범위를 넓히고, 차양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자외선이나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해변이나, 낚시터, 휴게시설 및 야외 등에서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 들고 다니는 우산보다는 다소 큰 차양막이 지지살대를 통하여 지주에 대하여 접히거나, 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파라솔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보통 침봉을 구비하여 지면에 박아서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파라솔은 파라솔 내부의 중심공간에 지주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파라솔 중심공간의 절반밖에 사용할 수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파라솔은 실사용시 시시각각 이동하는 태양의 이동 방향을 따라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효과적인 차양을 이룰 수 없어 수시로 위치를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파라솔 내부의 중심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태양의 조사각에 따라 파라솔의 위치를 신속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2-0023164호의 '파라솔 지지장치'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파라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파라솔(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2-0023164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파라솔의 각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라솔은, 파라솔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체(1)들이 각각 각도조절수단(2)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2)은 라체트(3a)가 구비된 제1 관통구멍(3)과 제1 관통구멍(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치자(4a)가 구비된 제2 관통구멍(4)이 돌출부(5)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사각홈(6a)이 구비된 제3 관통구멍(6)이 지지체(1)의 돌출부(7)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사각돌기(8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라체트(8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나사부(8c)가 축(8)에 형성되어, 축(8)이 제1,2 관통구멍(3,4)에 삽입되고 축(8)의 타측에 스프링(8d)을 매개로 너트(8e)에 의해 나합되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의 다수개의 지지체(1)들이 각각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파라솔은 파라솔 내부의 중심공간을 활용도를 어느 정도 원하는 높일 수는 있으나, 상기 각도조절수단(2)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으며 각도조절시 매번 축(8)을 풀고 조이는 작업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파라솔은 장기간 사용시 라체트(3a,8b), 치자(4a), 사각홈(6a) 및 사각돌기(8a) 등으로 구성된 각도조절수단(2)의 마모로 인하여, 비바람이 부는 현장에서 장시간 자연적인 힘의 저항과 파라솔 차양막의 무게를 단순히 나사결합 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수단(2)으로 지지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의 각도조절장치로 차양막 아래 중심공간에 사용자를 위치하게 하여 낚시나 작업시 사용자의 행동범위를 보다 자유롭게 넓힐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차양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자외선이나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파라솔(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2-0023164호)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파라솔의 각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각도조절편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예시도;
도 3c와 도 3d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차양각조절지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4a의 요부인 A를 발췌한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양막 100 : 각도조절부
110 : 상측지주 120 : 하측지주
130 : 각도조절편 131 : 상봉
132 : 하봉 133 : 결착대
140 : 차양각조절지주 141 : 결착구
142 : 결착수단 143 : 체결공
200 : 지주부 210 : 연결지주
211 : 체결수단 220 : 지지대
221 : 결착수단 222 : 관통공
300 : 지지대 310 : 몸체부
320 : 지지부 321 : 플랜지
322 : 회전용관통구 330 : 침봉
340 : 회전용 봉
본 고안에 의하면, 파라솔의 살에 결합된 상측지주; 상기 상측지주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측지주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접철(摺綴)되는 각도조절편; 및 상기 각도조절편의 타단에 결합되는 하측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편은는, 접철되는 상봉과 하봉; 직결상태의 상기 상봉과 하봉이 관통되어 상기 상측지주와 하측지주가 직립 상태로 되도록 하며, 상기 상봉과 하봉이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상봉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결착삽입홈에 단부가 삽입되는 결착대로 이루어진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소정각도는 대략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주에 삽입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차양각조절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각도조절편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은, 차양막(10)을 지지하며 차양막(10) 내부의 중심공간을 넓히고 차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100)와 상기 각도조절부(100)를 결착 지지하기 위한 지주부(200) 및 상기 지주부(200)가 삽입되어 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양막(10)은 상하의 이중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의 차양막 부분과 상기 하부의 차양막이 접하는 부분은 바람 등이 통할 수 있도록 접합되지 않는 구성을 가져 파라솔의 내부 원추중심으로 바람이 들어오더라도 상하의 차양막들이 접하는 부분 사이로 상기 바람이 빠져나가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 불어도 파라솔이 날려가거나 차양막이 접히는 현상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각도조절부(100)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0)이 지지살대 등과 같은 접철부재(미도시)에 의해 접히고 펴지도록 지지하는 상측지주(110), 하단부 일측면에 체결공(121) 또는 미끄럼방지면(122)이 형성된 하측지주(120), 상기 상,하측지주(110,120)의 내부 각각에 삽입되어 상측지주(110)와 하측지주(120)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편(130) 및 각도조절편(130)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상,하측지주(110,120)의 차양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차양각조절지주(140)를 포함한다.
각도조절편(130)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지주(110)에 삽입되는 상봉(131), 상봉(131)에 힌지 결합되는 하봉(132) 및 상봉(131)과 하봉(132)의 조절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대(133)를 포함한다.
상봉(131)은 상측지주(110)에 당접되는 걸림턱(131a), 걸림턱(131a)의 하부에 경사면(131b)을 가지는 돌출부(131c), 돌출부(131c)의 중앙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31d) 및 걸림턱(131a)에 인접한 돌출부(131c)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착삽입홈(131e)을 포함한다.
하봉(132)은 상봉(131)의 돌출부(131c)가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삽입부(132a)과 돌출부삽입부(132a)의 중앙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봉(131)의 관통공(131d)에 연결핀(132b)을 통하여 천공되기 위한 관통공(132c)을 포함한다.
결착대(133)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봉(131)과 하봉(132)의 각도 조절시 상봉(131)의 결착삽입홈(131e)에 결착대(133) 몸체 일단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면(133a)이 형성된다.
도 3c와 도 3d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차양각조절지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차양각조절지주(140)는,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에 형성된 결착구(141)에 하측지주(120)를 결착하기 위한 결착수단(142)이 구비되고, 하부 일면에 체결공(143)이 구비된다.
상기 결착수단(142)은 하측지주(120)의 미끄럼방지면(122)에 밀착되는 결속편(142a)과, 결착수단 몸체의 지지부(142b)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4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체결되어 결속편(142a)이 지지구(142d)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결속키(142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도조절부(100)는, 상,하측지주(110,120)에 각도조절편(130)의 상봉(131)과 하봉(132)을 각각 삽입 고정시키고 결착대(133)를 상봉(131)의 결착삽입홈(131e)에 결착되도록 상향이동(+X 방향; 도 3a 참조)시켜 각도조절편(130)의 상봉(131)과 하봉(132)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차양막(10)을 수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100)는, 상봉(110)에 결착된 결착대(130)를 하향이동(-X 방향; 도 3a 참조)시켜 연결핀(132b)에 의해 하봉(132)에 유착된 상봉(131)을 직각으로 기울이고 결착대(133)를 상봉(131)의 결착삽입홈(131e)에 결착되도록 수평이동(+Y 방향; 도 3b 참조)시켜 각도조절편(130)의 상봉(131)과 하봉(132)이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후, 하측지주(120)에 원하는 차양각도로 차양각조절지주(140)를 회전(+Z 방향; 도 3c 참조) 삽입하고 결착수단(142)으로 결착하여 차양막(10) 내부의 중심공간을 넓게 하고 보다 다양한 차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4a의 요부인 A를 발췌한 단면도이다.
지주부(200)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100)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하측지주(120) 또는 차양각조절지주(140)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지주(210)와 연결지주(210)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지주대(220)를 포함한다.
연결지주(210)는 상측에 하측지주(120) 또는 차양각조절지주(14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11)이 구비된다.
체결수단(211)은 'V'자 형상의 탄성부재로 걸림부(211a)가 구비된 걸림편(211b)이 바람직하며, 하측지주(120) 또는 차양각조절지주(140)의 체결공(121,143)과 연결지주(210)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212)의 외부로 걸림 고정된다.
지주대(220)는 상측에 상기 연결지주(140)를 결착하기 위한 결착수단(221)이 구비되고, 하측 일면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222)이 구비된다. 여기서, 결착수단(221)은 상기 차양각조절지주(140)의 결착수단(142)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2의 파라솔에 있어서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지지대(3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부(310), 몸체부(310)에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에 플랜지(321)가 형성되고 플랜지(321) 하측면에 회전용관통구(322)가 형성된 지지부(320), 몸체부(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의 나선이 형성된 침봉(330) 및 지지부(320)의 회전용관통구(332)에 관통 삽입되어 지지대(30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지지대(300)에 삽입된 상기 지주대(220)의 관통공(222)과 회전용관통구(322)에 관통 삽입되어 지주대(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용 봉(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320)의 플랜지(321) 상단에 '一'자 형상의 요부(凹部)를 가지는 삽입홈(321a)이 더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대(300)의 설치시, 회전용 봉(340)을 삽입홈(321a)에 끼운 후 압입과 동시에 회전시켜 침봉(330)이 지면을 파고들어가도록 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부(320)의 일측면에 'l'자 형상의 요부(凹部)를 가지는 삽입홈(321b)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용 봉(340)을 삽입홈(321b)에 끼워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의 설치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대(300)의 설치작업은, 지지부(320)의 플랜지(321)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321a)에 회전용 봉(340)이 삽입 된 후 압입과 동시에 회전되어 침봉(330)이 지면을 파고 들어가 지지대(300)가 지면에 적당한 깊이로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부(300)의 회전용관통구(322)에 회전용 봉(340)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작업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지지대(300)와 지주부(200)의 결착작업은, 지지대(300)의 중공부에 지주대(220)가 삽입된 후 지지부(320)의 회전용관통구(322)와 지주대(220)의 관통구(222)에 회전용 봉(340)이 관통 삽입되어 바람에 의해 지지대(300)로부터 지주대(2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지주대(220)의 중공부에 연결지주(210)가 삽입된 후 지주대(220)의 결착수단(221)의 결속키가 회전되어 연결지주(210)의 일면에 결속편이 밀착되어 결착된다.
이후, 차양막(10)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 및 차양각도 조절을 위한 작업은, 차양막(10)이 지지살대(미도시)에 의해 펼쳐진 후 각도조절편(130)의 상봉(131)에 결착된 결착대(133)가 하향이동(-X 방향; 도 3a 참조)되어 연결핀(132b)을 통해 하봉(132)에 유착된 상봉(131)이 기울어지고 상봉(131)의 결착삽입홈(131e)에 결착대(133)가 수평이동(+Y 방향; 도 3b 참조)되어 상봉(131)과 하봉(132)이 직각으로 결착진다. 이후, 차양각조절지주(140)의 중공부에 하봉(132)이 삽입된 후 원하는 차양각도를 가지도록 차양각조절지주(140)가 회전(+Z 방향; 도 4a 참조)되어 결착수단(142)에 의해 결착된다.
이후, 각도조절부(100)와 지주부(200)의 체결작업은, 지주부(200)의 연결지주(210)의 중공부에 각도조절부(100)의 차양각조절지주(140)가 삽입된 후 연결지주(210)의 체결수단(211)인 걸림부(211a)가 차양각조절지주(140)의 체결공(143)에 걸리게 되어 체결된다.
한편,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의 해체작업은 상기 설치작업의 역순과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은,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각도조절편(130)과 차양각조절지주(140)를 구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 내부의 중심공간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어 지주부(200)로 인한 사용자의 행동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차양각도를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외선이나 바람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측지주(120)의 하부를 결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양각조절지주(140)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파라솔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각조절지주(140) 대신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도조절부(100)의 각도조절편(130)을 하측지주(120)의 하부에 삽입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각도조절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편에 의해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주가 차양막 중심부의 일측에 위치함으로써,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차양각조절지주가 상기 각도조절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차양각도 조절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파라솔에 있어서,
    파라솔의 살에 결합된 상측지주;
    상기 상측지주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측지주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접철(摺綴)되는 각도조절편; 및
    상기 각도조절편의 타단에 결합되는 하측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편은,
    접철되는 상봉과 하봉;
    직결상태의 상기 상봉과 하봉이 관통되어 상기 상측지주와 하측지주가 직립 상태로 되도록 하며,
    상기 상봉과 하봉이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상봉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결착삽입홈에 단부가 삽입되는 결착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각도는 대략 90 °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주에 삽입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차양각조절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KR20-2004-0011581U 2004-04-26 2004-04-26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KR200365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81U KR200365539Y1 (ko) 2004-04-26 2004-04-26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81U KR200365539Y1 (ko) 2004-04-26 2004-04-26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25A Division KR20050103433A (ko) 2004-04-26 2004-04-26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539Y1 true KR200365539Y1 (ko) 2004-10-21

Family

ID=4943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81U KR200365539Y1 (ko) 2004-04-26 2004-04-26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5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1Y1 (ko) 2012-02-17 2012-08-03 김성화 레져용 편심 파라솔
KR101553176B1 (ko) * 2014-08-04 2015-09-14 조상웅 파라솔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1Y1 (ko) 2012-02-17 2012-08-03 김성화 레져용 편심 파라솔
KR101553176B1 (ko) * 2014-08-04 2015-09-14 조상웅 파라솔
WO2016021797A1 (ko) * 2014-08-04 2016-02-11 조상웅 파라솔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699A (en) Sunshade
US6789774B2 (en) Retention device for rods and the lik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CA2324851C (en) Free-arm shade
US20140102337A1 (en) Portable Beach Table Assembly
US20040206382A1 (en) Hub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EP4022155A1 (en) Self-adjusting sun shade assembly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482795Y1 (ko) 파라솔 각도 조절 장치
KR100733397B1 (ko) 파라솔 지주 스탠드
KR200365539Y1 (ko)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20050103433A (ko)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CN106437286B (zh) 帐篷
KR200452590Y1 (ko) 만능 파라솔 거치대
KR101913683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0389739Y1 (ko) 파라솔용 지주의 각도조정장치
KR101594454B1 (ko) 경사각과 높이조절이 되는 비치파라솔
KR20090051407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US5947139A (en) Shade stand with swirling type canopy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KR102300680B1 (ko) 중앙기둥에 다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라솔
KR102137873B1 (ko) 지지대 고정용 기능성 안전의자
KR200221902Y1 (ko) 파라솔지지장치
KR20170017061A (ko) 파라솔지주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