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829A -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829A
KR20030090829A KR1020020028415A KR20020028415A KR20030090829A KR 20030090829 A KR20030090829 A KR 20030090829A KR 1020020028415 A KR1020020028415 A KR 1020020028415A KR 20020028415 A KR20020028415 A KR 20020028415A KR 20030090829 A KR20030090829 A KR 2003009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grated information
clients
client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웅
임종문
Original Assignee
(주)와이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이테크 filed Critical (주)와이이테크
Priority to KR102002002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829A/ko
Priority to JP2003145354A priority patent/JP2004046819A/ja
Publication of KR2003009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하나의 특정 상품별로 관계된 기업간의 공유 정보를 상품 기획에서부터 발주, 생산, 상품 품질 검사, 포장 선적 및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정 조정과 조정된 일정에 따른 공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품을 기준으로 관련되어 있는 기업간의 공유 환경을 근간으로 다수 클라이언트들의 업무 수행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계약 관련 정보 및 체결된 계약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로 변환하는 통합 정보 생성부,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별 업무 수행에 따른 일정 조정과 조정된 일정에 따른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 및 관련 업무 지원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 및 변환된 통합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공유하고 클라이언트들의 공유 정보 이용 범위를 제한하는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특정 상품별로 관계된 기업간의 업무, 즉,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판매에 이르는 모든 업무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클라이언트들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특정 상품별로 관계된 기업간의 공유 정보 즉 상품 기획 및 발주에서부터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관련 정보 처리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 기획에서부터 주문, 생산, 상품 품질 검사, 포장 배분, 선적 및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을 수행하는 담당 관계자 및 관련 업체(상품기획업체, 주문자, 종합상사, 생산업체, 품질 확인업체 및 판매점/물류센터 등)들은 타 업체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사와 관계되는(계약 관계가 있는) 특정 상품의 작업 진척 정보 및 그와 관련된 상세 정보(상품의 발주 수주내역 및 이에 따른 자재준비 사항,생산 진행 일정, 검품 진행 상황, 선적/배분 수량 날짜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확인하는데 있어 공간적, 시간적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그 정보의 정확성에 있어서도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물품 주문자(일본)가 주문한 A라는 이름의 상품이 일본이 아닌 해외에 있는 관련 업체에서 제조되어 일본을 포함한 해외시장으로 널리 판매될 예정인 경우, 물품 주문자는 A상품의 자재 입고, 생산, 검품 진행 일정을 알기 위해 해외의 B라는 생산 업체로 A상품의 자재 입고, 생산, 검품 진행 일정에 대한 자료를 요청한다. 이때, 이를 요청받은 B 생산 업체는 이미 C라는 품질 검사 용역 업체로 A 상품의 검품을 의뢰한 상태이므로, C 품질 검사 용역 업체로 A라는 상품의 검품 진행 일정을 다시 요청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A 상품의 자재 입고, 생산, 검품 진행 일정 자료를 획득한 물품 주문자는 또 한번의 어려움을 겪어야만 한다. 즉, 해외 관련 업체로부터 수신된 검품 진행 완료 날짜가 일본에서의 진행 일정과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 그에 따른 일정을 재조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재조정 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관련 업체들에게 일일이 연락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 해외 관련 업체로부터 수신되는 자재입고, 생산, 검품 진행 일정 등에 관련된 자료들은 해당 국가 언어 또는 영문으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거나 또는 바이어가 원하는 언어로 변경하는 별도의 업무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한 해당 상품의 작업지시 진척 정보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함에 있어, 상대국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정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전달상의 착오 및 한계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호 교류되는 정보의 정확성 등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아직도 수작업 발주 및 FAX,전화 등을 이용한 정보 제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경쟁력 약화 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구축된 시스템을 보유한 업체들은 회사 기밀 보안상의 문제로 인해, 타 업체로의 정보 제공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운영 및 관리 부분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상품 기획에서부터 상품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일정 조정 및 그에 따른 관련 정보를 경제적으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하나의 특정 상품별로 관계된 기업(이하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에 관련된 정보 및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함으로써, 상기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는 전체적인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품 거래와 관련한 통합 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맞는 언어(모국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용이하게 상품 관련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300∼300n, 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언어 표시 제어부(122)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121)를 통한 클라이언트별 통합 정보 이용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에 따른 오더(P/O) 공유 방법을 개략적으로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
120 :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
121 :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
122 : 언어 표시 제어부
123 :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
200 : 통신망
310 : 바이어
320 : 주문자
330 : 메이커
340 : 생산업체
350 : 품질 확인업체
360 : 판매점
370 : 해외 클라이언트 시스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품을 기준으로 관련되어 있는 기업간의 공유 환경을 근간으로 다수 클라이언트들의 업무 수행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로 변환하는 통합 정보 생성부; 상기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관련한 클라이언트별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관련 업무 지원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 및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공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들의 공유 정보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는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수 클라이언트들의 상품 기획 내지 최종 납품과 관련된 업무 수행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는 제1 단계; 상기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과 관련된 클라이언트별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상품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원된 업무에 따른 변경 정보 및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을 위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언어로 변환한 것을 통합 정보라 명명하고, 이러한 통합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기획에서부터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정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조정 및 관리하며, 그와 관련된 정보들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모든 일련의 서비스를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라 명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 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와 통신망(20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기까지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는 바이어(buyer, 310), 주문자(customer, 320), 메이커(maker, 330), 생산업체(공장, 340), 품질 확인 업체(검사기관, 350), 판매점/물류센터(360) 및 해외 클라이언트 시스템(370)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각종 인터넷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들간의 업무 처리 과정은 첨부된 도 4를 이용하여 추후 언급하기로 한다.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에 관련된 정보 및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는 클라이언트별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한다.
즉,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특정 상품 기준으로 관계된 기업(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 중 필요한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관련 업무 처리시의 효율성 증대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부터 요청되는 상품 관련 정보(검품 담당 기관, 검품 진행일정, 계약 금액, 납기 수량, 주문 수량, 상품명, 판매점/물류센터 입고 날짜 및 완료 일정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 이용자 요구 언어(모국어 등)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에게 제공되는, 즉, 해당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시스템을 통해 접할 수 있는 통합 정보는 각 클라이언트의 업무 처리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통합 정보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다른 언어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상품 납품까지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시간적, 언어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클라이언트(생산업체, 주문자 및 품질 확인업체 등)로 하여금 상품 생산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관리부(111) 및 웹페이지관리부(112)를 포함하며,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20)는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121), 언어 표시 제어부(122) 및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는 클라이언트 DB(131), 통합 정보 DB(132), 언어 DB(133) 및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DB(134)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는 이용자 단말기(300∼300n)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망(200)에 연결된 다수 이용자들의 회원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회원 인증에 따른 회원 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다수의 이용자 단말기(100∼100n)로 실시간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 웹페이지 및 그에 따른 서브 웹페이지들을 제공 및 관리한다. 또한,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해당 IP ADDRESS을 이용하여 이용자 ID 도용 여부를 점검하며, 그에 따른 관련 정보를 해당 이용자 E-mail주소로 전달한다.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다수의 이용자들의 회원 인증 및 그에 따른 회원 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추가 또는 삭제되는 회원 관련 정보 역시 저장, 관리한다.
이때, 저장 및 관리되는 회원 관련 정보는 회원에 따라 각각 나뉘어 저장 관리되며, 개인인 경우에는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주소, 주민등록번호 및 전자 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며, 회사 등과 같은 관련 업체인 경우에는 회사 코드, 사용 언어, 팩스 번호 및 대표자명 등을 포함한다.
웹페이지 관리부(112)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통신망(200)에 연결된 다수 이용자로의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 웹페이지 및 그에 따른 서브 웹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그에 따른 관리를 수행한다.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20)는 다수 클라이언트(300∼300n)들간에 체결되는 거래에 관련된 정보 및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는 클라이언트별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한다.
즉,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2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순서적으로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 중 필요한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 제공을 위한 통합 정보 생성 방법 및 클라이언트별 속성 지정에 대해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관한 정보가 웹페이지 상의 정보 입력 등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각각의 계약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제품(A)에 대해 유일(unique)한 특정 코드를 부여하며 이러한 특정 코드는 관련 업체와 공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특정 제품(A-01)에 부여한 특정 코드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다른 업체가 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계약으로 파생되는 하위계약(A-05)을 다른 업체와 체결하는 경우, 이를 상위계약(수요, A-01)과 하위계약(공급, A-05)의 관계로 재 정의하여 별도로 저장(예:A-05 은 A-01에서 파생된 하위 계약으로 인식되도록 저장)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계약별 관련 정보를 통합한다.
또한, 특정 제품에 대한 클라이언트별 속성(바이어, 메이커, 공장, 검사기간 등)은 계약이 체결되는 순서 및 그 계약 내용에 따라 순차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티셔츠 제작을 위해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여러 계약들 중 A 클라이언트가 B 클라이언트와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청바지를 제조하라는 오더를 내리는 순간, A 클라이언트의 속성은 메이커(MAKER 1)가 되는 것이고 B 클라이언트의 속성은 공장(FACTORY 1)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 결정되는 각 클라이언트의 속성은 이후에 생성되는 통합 정보 이용시 그 이용 범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121)는 회원 인증된 클라이언트(바이어, 주문자, 메이커, 생산업체 및 품질 검사 기관, 판매점/물류센터 등)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는 모든 거래 관련 통합 정보를 특정 상품 기준으로 관계된 기업간에 공유하여 해당 클라이언트들이 상기 공유된 통합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관리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별 업무 처리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속성별로 공유된 통합 정보의 이용 범위를 제한한다.
즉, 신규 자료 생성자가 특정 상품별로 관계 회사 및 이용 범위를 결정하므로서 유연한 자료 이용 및 보안권한 범위가 유지 되도록 한다.
언어 표시 제어부(122)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웹 브라우저(익스플로워 등)에 표시되어 있는 사용 언어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환경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제공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사용 환경에 맞는 언어(모국어 등)로 변환한다.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정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고, 해당 클라이언트들의 각종 요구 사항들을 접수하여 처리하며, 그에 따른 관련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즉, 클라이언트별 상품기획,상품 발주,및 자재 관리에서 제품 입출고, 품질 확인, 선적 출하, 송장 관리 및 재무 관리에 이르는 모든 부분들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는 다수의 클라이어언트(300∼300n)에게 제공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변경/추가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DB(131)는 회원 인증된 이용자별 신상 관련 정보(회원별 ID, 비밀번호, 전자메일 주소 및 회사 코드, 연락처 등) 및 변경/추가되는 회원 관련 정보 등이 저장된다.
통합 정보 DB(132)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정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에 관한 통합 정보(상품 기획, 발주, 처리 일정, 사양 및 완료 일정 등)가 저장된다.
언어 DB(133)는 클라이언트 시스템별 사용 언어 및 그에 따른 지원 코드(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 등 관련 지원 코드)가 저장된다.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DB(134)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판매점/물류센터 입고에 이르는 모든 일정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포함하는 관련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통합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들(300∼300n)간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개략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300∼300n)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보면, 먼저 고객(customer, 320)이 발주 관련 정보를 바이어(buyer, 310)와 메이커(maker, 330)로 송부(①)하면, 바이어(310)는 해당 고객(320)으로부터 송부 받은 발주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작업 지시서 및 관련 부자재, LC 또는 P/O 관련 오더 시트를 메이커(330)로 송부한다(②).
이후, 메이커(330)는 바이어(310) 및 고객(320)으로부터 송부 받은 관련 자료(작업 지시서 및 발주 관련 정보 등)를 분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품질 검증 기관 중 특정 검증 기관(350)과 생산업체(공장, 340)와의 계약(CONTRACT)을 수행(③)한 후, 계약 체결된 검증 기관(350)과 생산업체(340)로 상품 관련 정보 및 재료를 송부한다(④). 이때, 검증 기관(350)으로는 검품 오더를 송부하며, 생산업체(340)로는 원부자재 및 생산가공 지시서를 송부한다.
이후, 생산업체(340)는 메이커(330)로부터 송부 받는 원부자재를 이용하여 생산된 상품을 입고(⑤)시키는데, 입고시 반품되는 상품은 별도로 반품 처리(⑥)하는 반면, 양품은 포장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되도록 한다(⑦).
이와 같이, 상품 기획에서부터 상품 출고에 이르는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300∼300n)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관련 일정 및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과 관련된 정보들을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며, 이러한 정보들을 수신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된 관련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품 관련 일정 및 그에 따른 제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수신된 정보를 통합 정보로 변환 및 생성한 후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가 해당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웹 브라우저(EXPLORER 등)를 통해 인터넷 통신망(200)에 접속(S401)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클라이언트 DB(131) 검색을 통해 상기 이용자가 회원인지를 검색한다(S402).
검색 결과, 인터넷 통신망(200)에 접속한 이용자가 회원이 아니면, 웹페이지관리부(112)는 회원 가입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가 회원 등록(S403)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이용자가 회원이면 웹페이지 관리부(1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 웹페이지 및 서브 웹페이지들을 제공한다(S404). 이때,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이용자 ID 불량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해당 이용자에게 전자메일로 제공하기도 한다.
이후,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S405)되는 상품 관련 정보, 즉,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에 이르는 관련 정보(예를 들어, 발주 내역, 검품 일정, 상품 완성 일정, 생산 및 자재 관리 내역 등)들을 통합하며,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의 언어 표시 제어부(132)는 통합된 상품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내부 환경에 맞는 언어로 변환하여 통합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통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406).
여기서, 언어 표시 제어부(132)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간략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언어 표시 제어부(122)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보면, 언어 표시 제어부(122)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 내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를 결정한 후, 결정된 언어에 따른 연결 정보 및 제목 표준 코드 등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새로 생성된 통합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언어 검색 공통 모듈{M_getdb(5)}을 이용하며, 이는 해당 데이터베이스(1~4)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용 언어의 지원 코드를 이용하여 통합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통합 정보 공유 제한부(12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통합 정보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407)하여, 확인 결과, 통합 정보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부분의 통합 정보를 제공한다(S408). 이때, 통합 정보 공유 제한부(121)는 해당 클라이언트로의 통합 정보 제공에 있어, 그 구성 및 사용을 제한한다.
즉, 회원 인증시 클라이언트 DB(131)에 저장되는 회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통합 정보 사용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타 회원으로 하여금 개인 및 관련 업체의 기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121)를 통한 클라이언트별 통합 정보 이용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보면, 정보 공유/제한부(121)는 클라이언트별 통합 정보 이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3단계(통합정보 사용자/관련업체/정보 공유 제한부)의 구성 단계를 이룬다.
또한, 클라이언트들은 해당 상품과 관련된 통합 정보와 관련 있는 오더(P/0)를 공유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한 자원 낭비 방지 및 비용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121)의 통합 정보 공유 방법에 따른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 이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통합 정보에 따른 오더(P/O) 공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합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언급하기에 앞서, 통합 정보의 생성 과정 및 그 특성에 대해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 상품의 기획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클라이언트(U1 내지 U7)간에 순서적으로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가 웹페이지 상의 정보 입력 등을 통해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면, 통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계약 관련 정보(제품명, 클라이언트의 객체별 속성, 계약 날짜, 계약을 체결한 상대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 처리 일정, 완료 일정 등)를 분석한 후, 그 분석된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별 계약 관련 정보에 특정 코드를 부여한다.
이러한 코드 부여시, 동일 제품에 대해 바로 이전에 체결된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위 계약코드와 하위 계약코드 관계로 재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계약들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각 제품에 대한 통합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style 내지 D style과 같은 각 오더(P/O)별 통합 정보가 있으며,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관여되어 있는 오더에 따른 통합 정보만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용자 U1은 A Style과 D Style의 오더에 바이어(Buyer) 1의 속성으로 각각 소속되어 있으며, 이용자 U2 또한 A Style과 B Style 및 D Style의 오더에 메이커(Maker) 1의 속성으로 각각 소속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 U1은 A Style과 D Style의 오더에 따른 통합 정보를 다른 클라이언트(U2/U3/U6, U2/U3)와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통합 정보를 자신의 속성(Buyer 1)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U2 역시 A Style과 B Style 및 D Style의 오더에 따른 통합 정보를 다른 클라이언트(U1/U3/U6, U4/U3, U1/U3)와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통합 정보를 자신의 속성(Maker 1)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A Style의 오더에 따른 통합 정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바지라는 특정 물품에 대해 이용자 U1이 이용자 U2와의 제1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청바지를 제조하라는 오더를 내리는 순간, 이용자 U1의 속성은 바이어 1이 되는 것이며 이용자 U2의 속성은 메이커 1이 되는 것이다.
이후, 이용자 U2가 청바지 제조를 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여 해외의 이용자 U3와 제2 계약을 다시 체결함과 동시에 청바지를 제조하라는 오더를 내리는 순간, 이용자 U3의 속성은 메이커 2가 되는 것이다. 이후, 이용자 U3과 이용자 U6와 제3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제조된 청바지에 대한 품질 검사를 의뢰하는 순간, 이용자 U6의 속성은 검사원/검사기관이 되는 것이다.
이후, 이용자 U1, U2, U6는 자신의 속성에 따라, 청바지라는 특정 제품에 대해 순서적으로 체결된 제1 계약 내지 제3 계약들에 관한 정보 중 필요한 계약과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시스템은 해당 클라이언트들로 하여금 자신이 체결한 계약 이후의 진행 관련 정보를 해외 및 국내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33)는 통합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상품에 관한 생산공정 일정 및 그에 따른 제반 사항에 관한 수정 등을 포함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확인(S409)하여, 확인 결과,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가 요청되었으면, 이를 접수하여 클라이언트별 자재 관리, 제품 입출고, 품질 검사, 출하배분, 선적 출하, 송장 관리 및 재무 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관련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S410).
여기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의 관련 기능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의 세부적인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보면,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123)는 물품 기획 관리(801, 상품 디자인 관리 사양서, 오더 전환 등), 오더(P/O) 관리(802, 발주 및 수주 관리 등), 자재 관리(803, 자재지정, 구매/입고/발송 관리, 소요량 및 원가 구성 산출 등), 생산 관리(804, 생산 준비 관리, 재단/봉제/완성 관리 등), 검품 관리(805, 검품 기준 지정 및 검품 등), 포장 및 배분 관리(806), 자사 정보 검색 관리(807), 타사 정보 검색 관리(808) 및 업체 내의 기본 정보 변경(809) 등과 같은 모든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전체적인 지원 및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411)한 후, 확인 결과 추가 서비스 요청이 없으면,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을 종료(S412)하는 반면, 확인 결과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앞서 언급한 동작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을 위해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내부 사용 환경에 적합한 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를 접한 클라이언트가 해당 상품에 관련된 각자의 임무를 잘 수행하도록 각각의 기능들을 지원 및 제어한다.
즉,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은 통합 정보의 공유를 통한 자료의 정확성 및 신속성 등과 같은 큰 만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검색으로 인한 효과적인 의사 결정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특정 상품을 기준으로 관련된 기업간의 공유 환경을 근간으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함으로써,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판매에 이르는 모든 업무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해당 클라이언트로의 통합 정보 제공시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 환경에 맞는 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한 클라이언트들의 비용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상품을 기준으로 관련되어 있는 기업간의 공유 환경을 근간으로 다수 클라이언트들의 업무 수행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계약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계약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로 변환하는 통합 정보 생성부;
    상기 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별 업무 수행에 따른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관련 업무 지원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 및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공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들의 공유 정보 이용 범위를 제한하는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 생성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계약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 제품에 대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 계약별정보를 상위 계약과 하위 계약의 관계로 정의하여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 생성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선택되는 언어에 따른 각 나라별 지원 코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지원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통합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언어로 변환하는 언어 검색 공통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 공유/제한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들의 업무 처리 특성에 따른 객체별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공유된 통합 정보의 사용 범위를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들의 회원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회원 인증에 따른 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업무 지원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 및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 및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이용자 ID 불량사용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점검된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전자 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변경/추가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정보는 상품 기획에서부터 최종 납품을 위해 클라이언트간의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인 발주/수주, 처리 일정 현황, 제품 사양 및 완료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다수 클라이언트들의 상품 기획 내지 최종 납품과 관련된 업무 수행에 따른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거래 관련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거래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를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통합하는 제1 단계;
    상기 통합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언어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과 관련된 클라이언트별 일정 조정과 상기 조정된 일정에 따른 상품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원된 업무에 따른 변경 정보 및 상기 변환된 통합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체결된 계약에 따른 클라이언트별 업무 진행 처리 상황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 제품에 대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 계약별 정보를 상위 계약과 하위 계약의 관계로 정의하여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는 사용 언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 언어에 관련된 지원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지원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된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간에 체결되는 제1 계약 내지 제N 계약들에 대해 상기 제1 계약 이후에 단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2 계약 내지 제N 계약과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 계약을 체결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공유된 통합 정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들의 업무 처리 특성에 기초한 객체별 속성에 따라 상기 공유된 통합 정보의 이용 범위를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이용자 ID 도용 여부를 점검하고 상기 점검된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전자 메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28415A 2002-05-22 2002-05-22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30090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15A KR20030090829A (ko) 2002-05-22 2002-05-22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3145354A JP2004046819A (ja) 2002-05-22 2003-05-22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統合情報処理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15A KR20030090829A (ko) 2002-05-22 2002-05-22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29A true KR20030090829A (ko) 2003-12-01

Family

ID=3171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415A KR20030090829A (ko) 2002-05-22 2002-05-22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046819A (ko)
KR (1) KR200300908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478B (zh) * 2019-07-24 2023-04-07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基于mes的人员绩效分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4790A (en) * 1996-07-19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eb site having a home page that automatically adapts to user language and customs
JP2000137504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分散生産管理システム
KR20010092926A (ko) * 2000-03-27 2001-10-27 정태호 전자상거래용 종합 물류 서비스방법
KR20020001963A (ko) * 2000-06-29 2002-01-09 김원섭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웹사이트의 구성 및 운영방법
KR20020007715A (ko) * 2000-07-18 2002-01-29 박선환 부품관리기능을 포함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4790A (en) * 1996-07-19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eb site having a home page that automatically adapts to user language and customs
JP2000137504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分散生産管理システム
KR20010092926A (ko) * 2000-03-27 2001-10-27 정태호 전자상거래용 종합 물류 서비스방법
KR20020001963A (ko) * 2000-06-29 2002-01-09 김원섭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웹사이트의 구성 및 운영방법
KR20020007715A (ko) * 2000-07-18 2002-01-29 박선환 부품관리기능을 포함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6819A (ja)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upgrade assistance using critical historical product information
US8065202B1 (en) Form management in an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US8069096B1 (en) Multi-constituent attribution of a vendor's product catalog
US7350698B2 (en) Line item approval processing in an electronic purchasing system and method
US7055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software upgrades
US6856968B2 (en) Interactive search process for product inquiries
US8756117B1 (en) Sku based contract management in an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US20030189600A1 (en) Defining an approval process for requests for approval
US20040019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relating to supply chain transactions in multiple environments
US20030204427A1 (en)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requests for approval
JP2007521576A (ja) 製品およびサービスの複雑なコンピュータ支援価格設定における収益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製品流通戦略および製品ミックスを最適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469217B2 (en) Product toolkit system and method
US20130054294A1 (en) Sales productivity system
Chen et al. A digital equipment identifier system
US20040049444A1 (en) Trade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US81360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executable processes from inter-organizational workflows
KR20030090829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정보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2432066B1 (ko) 표준화된 bom에 관한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고객 호환성을 갖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JPH10187859A (ja) 業務処理方法及び業務処理システム及び業務処理装置及び業務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Österle et al. Business networking: A process-oriented framework
US20170186075A1 (en) Method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a project-specific vendor query for industrial operations
US75428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oduct output
KR100678438B1 (ko) 웹기반 금형 유휴 설비 실시간 활용 시스템을 통한금형가공 수발주 연계 방법
KR20060019932A (ko) 공급망 납기확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60389A (ko) 공장 소요물품 분류 카테고리 체계를 기반으로 구축되는매칭 테이블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이를 이용한사업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