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793A -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793A
KR20030089793A KR1020020027663A KR20020027663A KR20030089793A KR 20030089793 A KR20030089793 A KR 20030089793A KR 1020020027663 A KR1020020027663 A KR 1020020027663A KR 20020027663 A KR20020027663 A KR 20020027663A KR 20030089793 A KR20030089793 A KR 2003008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fiber
wastewater
chamber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윤두수
유성식
김기수
엄명헌
권승안
Original Assignee
김재용
윤두수
유성식
김기수
엄명헌
권승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윤두수, 유성식, 김기수, 엄명헌, 권승안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02002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793A/ko
Publication of KR2003008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 교환 섬유와, 전해장치를 이용하여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도금 폐수가 유입되는 도금폐수 집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설치된 공급펌프를 통해 도금폐수를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의 섬유 지지부로 공급되는 도금 폐수는 공급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통하여 상기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된 후, 이온 교환섬유를 통해 유입된 도금 폐수중의 유가 금속을 포집하고, 도금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챔버에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의 세정액이 섬유 지지부 중앙의 세정액 공급관으로 공급되어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척하며, 역세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을 전해액 탱크로 유입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용액내의 유가 금속을 회수토록 하며, 상기 챔버를 거쳐 유가금속이 제거된 폐수는 공급관을 통해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로 유입되어 미량의 유가금속을 완전히 제거하여, 활성탄필터 및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세정수 집수조로 회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Precious metals from Plating Wastewater}
본 발명은 도금 폐수중의 유가금속이 포집되는 강산성 양이온 섬유등의 이온 교환 섬유와, 상기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한 세정액이 유입되는 전해장치를 이용하여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한 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도금폐수 집수조로 유입되는 도금폐수가 공급관을 통해 내부에 이온 교환섬유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음이온 교환섬유 챔버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유가 금속이온이 포집되고, 상기제1 및 제2 음이온 교환섬유 챔버내의 이온 교환섬유는 세정액을 통해 역세척하여 전해조로 공급한 다음, 상기 전해조에 세정수와 함께 유입된 유가 금속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회수토록 함으로써, 도금 폐수중에 들어있는 유가 금속을 손쉽고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금 폐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비용저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한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및 반도체 부품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기판상에 도금을 수행 공정에서, 상기 도금작업의 수행 후 도금 표면을 비이온성 물로 수세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상기 도금부위의 수세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금 폐수에는 상기 도금 금속이 존재하고 있는 반면에, 이를 적절한 회수과정을 거치지 못한 채 대부분의 경우 폐수 처리후 방류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즉, 종래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역삼투막을 이용한 방법과, 증발 농축방법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화학처리에 비하여 초기 투자비가 많고 운전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일반 다른 폐수처리와 병행하여 중금속 폐수를 처리하고 있으며, 폐수의 성상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을 뿐 아니라 운전 자동화가 가능하고,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후 처리 공정 및 2차 농축, 건조시설이 요구되며, 세정액 중의 유효한 성분까지도 제거되고 마이크로필터 등의 소모품 교체가 잦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분의 증발 농축에 의한 중금속 함유 폐수의 처리방법의 경우에는, 폐수의 증발을 위한 별도의 가열기를 필요로하게 되어, 시설비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며, 특히 에너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 효율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리드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리드 프레임의 세정 공정에서 발생되는 도금 폐수 중에는 대략 50ppm 이상의 은을 함유하고 있으나, 이를 별도의회수 과정없이 처리하는 관계로, 고순도의 유가 금속의 회수율이 매우 낮게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금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도금폐수에 함유된 금속들로 인한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도금폐수에 함유된 유가금속을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금폐수를 세정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따라 자원의 절약 및 폐수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유가금속 회수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금폐수 집수조 20...도금 폐수
30...공급관 31,31...제1 및 제2 공급관
40...공급펌프 50,60...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
70...솔레노이드 챔버 80...이온 교환섬유
90...용액 공급관
100...섬유 재생용액 집수조 110...가압펌프
120...전해탱크 130...전해액
140...전원 150,150'...전극 단자판
160...히이터 170...양이온 교환섬유 챔버
180...활성탄 필터 180'...마이크로 필터
190...세정수 집수조 200...섬유 지지부
210...세정액 공급관
L1,L2...수위 조절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도금 폐수가 유입되어 공급관을 통해 이송토록 하부 일측에 공급펌프가 설치되며, 일측 벽면에는 수위 조절센서가 설치되는 도금폐수 집수조;
상기 도금페수 집수조와 공급관으로 연설되어 내부에 강산성 양이온 섬유로 구성된 이온 교환섬유가 충진되는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섬유 지지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온 교환섬유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분사토록 분사노즐이 마련된 세정액 공급관이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기 도금폐수 집수조와 연결된 공급관에는 선택적으로 도금폐수를 상기 챔버에 공급토록 제1 및 제2 공급관에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도금폐수의 유가금속 음이온을 이온 교환섬유로 흡착토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와 연설되어 저부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펌프로서, 상기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 내의 이온 교환섬유를 선택적으로 역세척토록 내부에 섬유 세정용액이 충진되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
상기 챔버내의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척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이 공급토록 용액 공급관이 연설되고, 내부에 전해액 및 양측으로 전원과 연설된 전극 단자판이 설치되며, 상측에 히이터가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세정용액내의 유가금속을 회수토록 설치되는 전해탱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와 공급관으로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가 연설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 내부에는 미량의 유가금속 양이온이 흡착토록 이온 교환섬유가 충진되는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의 일측에는 활성탄 필터 및 마이크로 필터를 개재하여 공급관과 연설되어 세정된 세정수가 집수토록 설치되는 세정수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도금 폐수가 유입되는 도금폐수 집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공급펌프를 개재하여 상기 도금폐수를 필터가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제1 및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도금폐수 공급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로 공급되는 도금 폐수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에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 내부의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에 내장되는 강산성 양이온 섬유로 구성된 이온 교환섬유를 도금폐수가 거치면서 유가금속 음이온이 상기 섬유에 포집되고, 상기 유가금속 음이온이 제거된 폐수는 하측의 공급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가금속 이온 포집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내에서 도금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챔버에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의 세정용액이 가압펌프를 개재하여 용액 공급관을 통해 챔버내의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섬유 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세정액 공급관을 통해 분사되어, 유가 금속이 포집된 이온 교환섬유를 일정시간 역세하게 되는 이온 교환섬유 역세단계;
상기 챔버내의 섬유 지지부에서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척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은 챔버 상측의 용액 공급관을 통해 전해액이 충진되는 전해액 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전해액 탱크내에 충진되는 전해액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판의 통전에 의해 용액내의 유가 금속을 회수토록 하며, 상기 전해탱크에는 히이터가 설치되어 전해액을 30~70℃로 가열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를 거쳐 유가금속이 제거된 폐수는 공급관을 통해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로 유입되어 폐수 용액에 잔존하는 미량의 유가금속을 섬유 지지부에 내장되는 이온 교환섬유로 제거한 후,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챔버 일측에 설치되는 활성탄 및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세정수로 환원되고, 세정수 집수조로 회수되는 세정수 회수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유가금속 회수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금폐수 집수조(10)의 내부에 도금 폐수(20)가 유입되어 공급관(30)을 통해 이송되도록 상기 도금폐수 집수조(10)의 하부 일측에 공급펌프(40)가 설치되며, 일측 벽면에는 수위 조절센서(L1)(L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금페수 집수조(10)와 공급관(30)으로 연설되어 내부에 내부에 강산성 양이온 섬유로 구성된 이온 교환섬유(80)가 충진토록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200)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는, 그 상측으로 연설되는 제1 및 제2 공급관(31)(32)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의 섬유 지지부(20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도금폐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섬유 지지부(200)가 내설되는 제1 및 제2 공급관(31)(32)에 솔레노이드 밸브(7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는 용액 공급관(90)을 통해 그 일측으로 설치되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100)와 연설되어 가압펌프(110)로서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역세토록 설치되고,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의 내부에 설치된 섬유 지지부(200)는 그 중앙에 세정액 공급관(210)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기 세정액 공급관(210)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액이 이온 교환섬유(80)를 역세토록 설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의 상측에는 이온 교환섬유(80)를 역세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을 전해탱크(120)로 공급토록 용액 공급관(90)이 연설되고, 상기 전해액(130)이 충진되는 전해탱크(120)의 양측에는 전원(140)과 연설된 전극 단자판(150)(150')이 마련되어 유가금속을 회수토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탱크(120) 상측에는 히이터(1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는 공급관(30)을 개재하여 역시 내부에 이온 교환섬유(80)가 충진토록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200)가 설치되는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170)가 연설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170)의 일측에는 활성탄 필터(180) 및 마이크로 필터(180')를 개재하여 세정수가 집수되는 세정수 집수조(190)가 공급관(30)을 통해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및 반도체 부품 혹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표면에 도금된 부위를 수세하는 공정에서 방생되는 은 또는 금 등과 같은 유가 금속이 함유된 도금폐수(20)가 도금폐수 집수조(1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상기 도금폐수집수조(10) 하부 일측으로 설치된 공급펌프(40)의 가동에 의해 상기 도금폐수(20)는 공급관(30)을 통해 이송되면서, 중간의 필터에서 미세입자등이 제거된후,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50)(60)로 공급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로 공급되는 도금 폐수(20)는, 상기 공급관(30)과 연설되는 제1 및 제2 공급관(31)(32)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0)의 개폐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내에 선택적으로 도금폐수(20)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온 교환섬유(80)가 충진토록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200)가 설치되어, 상기 섬유 지지부(200) 내부로 도금폐수가 유입된 후,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섬유(80)를 통해 유입된 도금 폐수중의 유가금속이 포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중 도금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챔버에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100)의 세정액이 가압펌프(110)의 가동에 의해 용액 공급관(90)을 통해 챔버의 섬유 지지부(200) 중앙에 입설되는 세정액 공급관(210) 하부로 부터 유입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유가 금속이 흡착된 이온 교환섬유(80)를 일정시간 역세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 교환섬유(80)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이온 교환섬유가 선택될 수 있다.
표 1(섬유의 기본 특성)
이온 교환섬유1 이온 교환섬유2 이온 교환섬유3
특징 강산성 양이온 섬유 Iminodiacetate chelating 이온 교환섬유
Matrix Polypropylene Styren-Divinylbenzene copolymer Polyacrylic Polyacrylic
Functional Group -SO₃ -N(CH₂COOH)₂ -N+R₃
Filament Diameter 30~55㎛ 20~30㎛ 25~40㎛
상기와같이 음이온 교환섬유(80)가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50)(60) 의 섬유 지지부(200)내부에 충진되어, 도금 세척용 폐수속의 전하를 띠고 있는 유가 금속들을 포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섬유 지지부(200) 내부에 이온 교환 섬유(80)의 음이온 치환능력에 맞게 포화될 경우, 상기 도금폐수(20)는 센서(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다른쪽 챔버로 유입되고, 유가금속 이온이 포집된 챔버 내의 음이온 교환섬유(80)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100)의 세정용액에 의해 상기 섬유 지지부(200) 중앙으로 입설되는 세정액 공급관(210)을 통해 유입되어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이온 교환섬유(80)를 역세척한 후, 상기 챔버 상측의 용액 공급관(90)을 통해 전해액이 충진되는 전해액 탱크(120)로 유입된다.
상기 전해액 탱크(120)는, 양측에 설치되는 + - 전극 단자판(150)(150')의 통전에 의해 유입되는 유가금속 이온용액내의 유가 금속을 전기분해에 의해 회수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전해액 탱크(120)에는 히이터(160)가 설치되어 전해액을 30~70℃로 가열하게 되며, 상기 히이터(160)를 통한 가열온도가 30℃ 이하 및 70℃이상에서는 원활한 전기분해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50)(60)를 거쳐 유가금속이 제거된 폐수는 공급관(30)을 통해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170)로 유입된 후, 상기 폐수속에 잔존하는 미량의 유가금속을 섬유 지지부(200)의 이온 교환섬유(80)로 제거한 후,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170) 일측에 설치되는 활성탄 필터(180) 및 마이크로 필터(180')에서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어 세정수로 환원된 다음, 세정수 집수조(190)로 회수되어 도금 공정의 세정수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도금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도금폐수에 함유된 금속들로 인한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도금폐수에 함유된 유가금속을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금폐수를 세정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따라 자원의 절약 및 폐수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내부에 도금 폐수가 유입되어 공급관을 통해 이송토록 하부 일측에 공급펌프가 설치되며, 일측 벽면에는 수위 조절센서가 설치되는 도금폐수 집수조;
    상기 도금페수 집수조와 공급관으로 연설되어 내부에 강산성 양이온 섬유로 구성된 이온 교환섬유가 충진되는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섬유 지지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온 교환섬유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분사토록 분사노즐이 마련된 세정액 공급관이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기 도금폐수 집수조와 연결된 공급관에는 선택적으로 도금폐수를 상기 챔버에 공급토록 제1 및 제2 공급관에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도금폐수의 유가금속 음이온을 이온 교환섬유로 흡착토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와 연설되어 저부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펌프로서, 상기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 내의 이온 교환섬유를 선택적으로 역세척토록 내부에 섬유 세정용액이 충진되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
    상기 챔버내의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척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이 공급토록 용액 공급관이 연설되고, 내부에 전해액 및 양측으로 전원과 연설된 전극 단자판이 설치되며, 상측에 히이터가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세정용액내의 유가금속을 회수토록 설치되는 전해탱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와 공급관으로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가 연설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 내부에는 미량의 유가금속 양이온이 흡착토록 이온 교환섬유가 충진되는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의 일측에는 활성탄 필터 및 마이크로 필터를 개재하여 공급관과 연설되어 세정된 세정수가 집수토록 설치되는 세정수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장치.
  2. 내부에 도금 폐수가 유입되는 도금폐수 집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공급펌프를 개재하여 상기 도금폐수를 필터가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도금폐수 공급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로 공급되는 도금 폐수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에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온 교환섬유 챔버 내부의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에 내장되는 강산성 양이온 섬유로 구성된 이온 교환섬유를 도금폐수가 거치면서 유가금속 음이온이 상기 섬유에 포집되고, 상기 유가금속 음이온이 제거된 폐수는 하측의 공급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가금속 이온 포집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내에서 도금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챔버에는 섬유 세정용액 집수조의 세정용액이 가압펌프를 개재하여 용액 공급관을 통해 챔버내의 원통상의 섬유 지지부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섬유 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세정액 공급관을 통해 분사되어, 유가 금속이 포집된 이온 교환섬유를 일정시간 역세하게 되는 이온 교환섬유 역세단계;
    상기 챔버내의 섬유 지지부에서 이온 교환섬유를 역세척한 유가금속 음이온 용액은 챔버 상측의 용액 공급관을 통해 전해액이 충진되는 전해액 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전해액 탱크내에 충진되는 전해액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판의 통전에 의해 용액내의 유가 금속을 회수토록 하며, 상기 전해탱크에는 히이터가 설치되어 전해액을 30~70℃로 가열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온교환섬유 챔버를 거쳐 유가금속이 제거된 폐수는 공급관을 통해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로 유입되어 폐수 용액에 잔존하는 미량의 유가금속을 섬유 지지부에 내장되는 이온 교환섬유로 제거한 후, 상기 양이온 교환섬유 챔버 일측에 설치되는 활성탄 및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세정수로 환원되고, 세정수 집수조로 회수되는 세정수 회수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 섬유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방법.
KR1020020027663A 2002-05-20 2002-05-20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KR20030089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663A KR20030089793A (ko) 2002-05-20 2002-05-20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663A KR20030089793A (ko) 2002-05-20 2002-05-20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259U Division KR200289109Y1 (ko) 2002-05-20 2002-05-20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793A true KR20030089793A (ko) 2003-11-28

Family

ID=3238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663A KR20030089793A (ko) 2002-05-20 2002-05-20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7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168A (en) * 1975-07-28 1977-02-04 Mitsubishi Rayon Co Ltd Plating process's waste solution (water) treating method
JPS59193230A (ja) * 1983-04-18 1984-11-01 Dowa Mining Co Ltd GaおよびIn微量含有物質からのGaおよびInの回収方法
KR20020086883A (ko) * 2000-01-03 2002-11-20 하이드로마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온 교환에 의해 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89189A (ko) * 2002-05-17 2003-11-21 김재용 이온 교환수지 및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168A (en) * 1975-07-28 1977-02-04 Mitsubishi Rayon Co Ltd Plating process's waste solution (water) treating method
JPS59193230A (ja) * 1983-04-18 1984-11-01 Dowa Mining Co Ltd GaおよびIn微量含有物質からのGaおよびInの回収方法
KR20020086883A (ko) * 2000-01-03 2002-11-20 하이드로마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온 교환에 의해 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89189A (ko) * 2002-05-17 2003-11-21 김재용 이온 교환수지 및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35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079071B1 (ko) 배수 처리 방법 및 배수 처리 장치
CN103073123A (zh) 电镀废水循环回用及废水资源化技术工艺
CN102336481A (zh) 电镀漂洗废水中铜和镍的回收及废水零排放工艺
CN105110512A (zh) 一种电镀含镍废水处理回用工艺
CN112387770A (zh) 一种六价铬污染土壤的交流电化学修复装置及方法
KR100457633B1 (ko) 이온 교환수지 및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유가금속 회수방법 및 장치
CN105236616A (zh) 一种电镀含铜污水处理回用工艺
KR200289109Y1 (ko)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장치
KR20030089793A (ko) 이온 교환섬유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KR20200136784A (ko) 이온 교환 섬유와, 전해장치를 이용하여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89792A (ko)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도금폐수중의 유가금속 회수방법및 장치
KR200436956Y1 (ko) 공기공급형 금회수장치
CN112624483A (zh) 一种电路板生产喷淋塔废水的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433754B1 (ko) 정수처리용 이온교환수지 세정 방법
CN115124171A (zh) 含金废液的处理方法和处理系统
RU79549U1 (ru) Фильт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34;аэроклин&#34;
KR20220058226A (ko) 식기 세척기
CN113003808A (zh) 清洗电池的废液循环回收再生系统和方法
CN115159722A (zh) 一种电镀漂洗废水高效回收系统及其方法
JP2002294497A (ja) めっき洗浄水の回収濃縮機構を備えた連続めっ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