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487A -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487A
KR20030089487A KR10-2003-0031016A KR20030031016A KR20030089487A KR 20030089487 A KR20030089487 A KR 20030089487A KR 20030031016 A KR20030031016 A KR 20030031016A KR 20030089487 A KR20030089487 A KR 2003008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ceiving port
case
communication devic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636B1 (ko
Inventor
스기우라도시히로
핫또리요시지
하야시미찌나리
사까모또도오루
오오까와마사히꼬
Original Assignee
마스프로 뎅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2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89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61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4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295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502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프로 뎅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프로 뎅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건조물에 지지장치(50)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장착하고 경사도를 조정하는 경우에, 정밀한 조정 작업이 쉽고 조정을 끝낸 단계에서 그 조정된 상태를 엄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테나장치로, 그 이후 수신 이용상태에서 안테나를 수리하기 위해 분리하고 그 다음 다시 장착하는 경우,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안테나의 기초부(7b)를 기계적으로 장착하는 것만으로 경사 이동을 다시 조정할 필요를 없앤다.
(해결수단) 안테나(7) 및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를 구비하고, 지지장치(50)는, 건축물에 대한 부착구(51)를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경사도 눈금이 형성된 경사이동 조정을 자유롭게 하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대고정 수용구측에는 안테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안테나장치{AN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위성파를 사용하여 지상의 서비스 영역에 정보를 송신하는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물이나 산 등의 그늘이 지는 영역에서도 수신 단말이 위성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갭필러장치를 구성하는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을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위성방송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파는, 예컨대 S 밴드(2.6GHz)와 같은 신호이기 때문에 직진성이 강하여 멀리 날아가지만 장해물이 있으면 바로 반사되는 성질이 있다. 수신 단말이 이동체의 수신 단말인 경우, 그 수신 단말이 위성으로부터의 직접파가 도달되지 않는 빌딩 그늘 등에 들어가면 방송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방송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이러한 위성으로부터의 직접파가 도달되지 않는 빌딩 그늘 등을 향하여 방송 정보를 보내는 지상용 중계장치인 갭필러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지상의 여러 장소에 존재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정보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최근 구축되고 있는 방송시스템의 정보 전달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갭필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원 발명의 것과 일부 상이함). 이 도 18을 사용하여 정보 전달의 구성 요소를 다음에 설명한다. 부호 1∼4는 주지된 구성을 나타내고, 방송시스템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부호 1은 위성으로부터의 정보(Ku 밴드: 12GHz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 2는 중간 주파수대 1GHz대의 신호를 출력하는 컨버터, 3은 정보신호전달용 케이블, 4는 S 밴드: 2.6GHz대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기, 4a는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를향하여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나타낸다. 부호 6c는 위성파에서의 S 밴드에 의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장소에 대하여 위성파와 같은 정보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안테나장치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구조로는, 도 18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부호 7a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 7b는 안테나부(7a)의 하측에 연결시킨 기초부를 나타낸다. 이 기초부(7b)는 안테나부를 지지기둥(9)에 대하여 지지금구(50d)를 통해 장착하기 위한 부분으로, 강풍에 노출되어 있는 안테나(7)가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4b는 정보 신호를 송출하는 데에 필요한 규정된 전력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송신용 앰프이고, 그 고출력용 증폭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는 전송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테나(7) 가까이에 구비시키는 것으로, 지지기둥(9)의 지지금구(50d)의 하측위치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런 종래의 안테나장치에서는, 지지기둥(9)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립 형상으로 하여 장착하기 위해, 기초부(7b)의 구성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지지금구(50d)에 대해서도 다음에 설명하는 각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첫번째로는 상기 자립 형상으로 구성된 안테나(7)의 기초부(7b)에 대해서는, 그곳을 쓸데없이 견고한 구조로 하면 안테나 전체의 가격이 비싸지고, 반대로 간단하게 경량화시키면 안테나(7)는 빌딩 옥상 등과 같은 높은 곳에 배치되기 때문에 태풍 등의 강풍에 견딜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고한 지지기둥(9)을 드높게 형성하고, 그것에 대하여 안테나부(7a)를 나란히 설치하며 안테나부(7a)의 상하를 지지기둥(9)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재(9f,9g)에 의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안테나부(7a)의 경사도 조정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7a)의 정상부측에 조절기구(9h)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경사도를 조정해야 하는 구성이 된다.
그러나, 안테나부(7a)는 빌딩 옥상 등 높은 곳에서 도로를 향하여 내미는 경사상태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안테나부(7a)의 정상부측의 조절기구(9h)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작업은 위험을 수반하므로 실용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9에서 부호 3은 케이블, 4b는 상기 송신용 앰프를 나타낸다.
두번째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9)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립 형상으로 하여 장착하는 경우, 지지기둥(9)에 대하여 미리 지지금구(50d)를 장착하고, 그리고 이 지지금구(50d)에 기초부(7b)를 장착한다. 이 장착작업은 빌딩 옥상 등 높은 곳에서 행해지며 또한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수립시킨 상태에서 작업원이 지지하는 것은 큰 부담이 있다. 특히, 이런 종류의 안테나는 중량이 있는데 예컨대 6㎏ 정도이면,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수립시킨 상태에서 미리 고정되어 있는 지지금구(50d)에 대하여 기초부(7b)를 접착시키고, 또한 그 접착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양 팔로 지지하면서 또한 고정 장착을 위한 조임을 조작하는 작업은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번째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용상태에서 안테나부(7a)를 수리하기 위해서 분리한 경우에는, 재장착시에 다시 번거롭게 경사도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네번째로는 지지기둥(9)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자립 형상으로 하여 장착한 경우, 지상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정보를 확실히 보내어 갭필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상 도로의 넓이, 거리에 따라 안테나(7)를 경사시켜 상단부(7c)를 빌딩의 벽면(9j)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켜 안테나를 최적 각도로 경사시켜야 한다.
이 경우, 안테나를 최적 각도로 미묘하게 경사시키기 위한 조정 작업은 매우 어렵다. 또한, 경사도 조절을 끝낸 시점에서, 그 조절상태를 끝낸 그 상태에서 안테나의 기초부(7b)와 지지금구(50d)를 확실히 고정시키는 작업 역시 어려움을 수반한다.
또, 고출력 전력을 증폭시키는 회로를 수용하는 전자회로케이스(4b)는, 고온이 되기 때문에 냉각 효과가 상승되는 구성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상에 탑재할 수는 없고, 도 18과 같이 지지기둥(9)에 장착하여 공중으로 뜨게 해야 하므로 이 장착방법에도 별도로 연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건 출원의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건축물에 대하여 앙각(an angle of elevation) 조정이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안테나(7)에 먼저 건축물에 대하여 고정 수용구(52)를 장착하고, 이 고정 수용구(52)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한 경사이동 수용구(53)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이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장착하여 경사도를 조정한 후 수신에 이용하는 것인데, 그 이용상태에서 안테나를 수리하기 위해 분리하고 그 이후 다시 장착하는 경우,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기계적으로 장착하는 것만으로 경사이동 수용구(53)를 다시 조정할 필요가 없는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에 통신기기 케이스를 연결시켜 그 기초부(7b)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안테나(7)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이 될 뿐아니라 전체적인 중량도 무거워져 설치할 때의 취급 어려움도 증가시킨다.
그래서, 안테나(7)의 기초부(7b)가 되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측벽에 임시장착용 부재를 미리 구비시켜 두고, 경사이동 수용구와 연결시킬 때에는 안테나의 기초부(7b)의 통신기기 케이스를 경사이동 수용구에 밀어 붙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경사이동 수용구에 대한 안테나(7) 기초부(7b)의 통신기기 케이스의 임시장착을 끝낼 수 있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고정 수용구(52)를 장착하고, 이 고정 수용구(52)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한 경사이동 수용구(53)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이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장착하여 경사도를 조정하는 것인데, 그 경사도 조정작업은 매우섬세한 주의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한번 조정한 후에는 그 조정상태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해야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정밀한 조정 작업이 쉽고, 또한 조정을 끝낸 단계에서 그 조정된 상태를 엄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안테나의 정상부에 대하여 하부가 접지되어 있는 피뢰침을 구비시킴으로써, 적은 재료로 피뢰 효과를 크게 한 안전성이 높은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높은 곳에 설치한 상태에서 강풍에 노출된 경우에도,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가 수직 형상의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언제까지나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와 송신용 앰프의 고출력용 증폭회로를 수용할 수 있는 통신기기 케이스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건조물에 대해서는 통신기기의 케이스를 장착하는 수고만으로 안테나(7)의 장착 작업을 끝낼 수 있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를 약간 앞측으로 기울인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수립시킨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가 태풍이 불거나 할 때에 강풍을 받으면 안테나의 기초부(7b)에 대하여 큰 벤딩력이 가해진다. 이를 위해 안테나 기초부(7b)의 장착부에서는, 그 벤딩력이 가장 크게 미치는 부분을 강고한 재료로 형성된 통신기기 케이스로 하여, 안테나의 기초부(7b)에 미치는 벤딩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증폭회로 등의 전자회로를 수용할 수 있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주위에서 케이스 배면측에 큰 개구부를 형성하여, 공장에서의 증폭회로의 수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그 개구부측을 건조물측의 장착면으로 이용함으로써, 통신기기 케이스를 현장에 설치한 후에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부착된 덮개가 개방되어 증폭회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송신용 통신기기 케이스에는 고출력 전력을 증폭시키는 회로를 수용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는 고온이 된다. 그래서, 통신기기 케이스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여 냉각효과가 매우 향상되도록 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건 출원의 목적은 높은 곳에서 발 내딛기가 나쁜 위치에 놓인 통신기기 케이스의 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자회로의 성능을 조사하거나 조절하는 작업자가 위험을 느끼지 못하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낮은 자세로 건조물에 가까운 위치에서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건 출원의 목적은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의 하부(7d)와 원주 형상 또는 각주 형상의 통신기기 케이스의 헤드부(11)가 연결됨으로써, 그 전체 형상이 매우 긴 기둥 형상이 되는 것이어도, 현장 투입 등 취급시에는 이들을 이분하여 이들을 비교적 짧게 형성하여 쉽게 취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안테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도면 및 그것에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설명에 의해 쉽게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장착하고, 안테나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내부회로를 점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지지기둥, 경사 이동이 자유로운 지지장치 및 통신기기 케이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고정 수용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경사이동 수용구에 대하여 고정 수용구가 장착되고, 부착구는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경사이동 수용구와 고정 수용구와 부착구는 연결되고, 안테나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를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장착하고, 지지장치의 경사이동 수용구에 안테나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를 임시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장착하고, 지지장치의 경사이동 수용구에 통신기기 케이스를 임시로 장착하기 직전의 요부단면도.
도 9는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장착하고, 지지장치의 경사이동 수용구에 통신기기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 10은 지지기둥에 대하여 지지장치를 장착하고, 지지장치의 경사이동 수용구의 경사도 조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과는 경사이동 수용구의 경사도가 다른 경우의 설명용 측면도.
도 12는 안테나부와 안테나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13은 안테나 기초부의 차광판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안테나 기초부의 일부를 파단하여 내부재가 보이도록 한 1부 파단 측면도.
도 15는 통신기기 케이스 배면의 덮개를 개방하여 회로수납실내가 보이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통신기기 케이스의 저면도.
도 17은 안테나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방사요소와 복수개의 반사요소의 존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12의 XVII-XVII선의 파단 평면도.
도 18은 종래의 안테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 및 구조도.
도 19는 종래의 안테나장치의 안테나부의 지지상태와 앙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신안테나2: 컨버터
3: 케이블4: 신호처리기
4a: 분배기4b: 증폭기
6: 안테나장치7: 안테나
7a: 안테나부7b: 기초부, 통신기기 케이스
7c: 상부7d: 하부
9: 지지기둥10: 기초부 본체
11: 고정 장착부13: 고정 장착구
16: 장착부17:걺금구
18: 접착금구(金具)19: 고정용 나사구멍
21: 방열부23: 케이블수납부
25: 전자기기 수납실26: 개구창
27: 케이스부30: 증폭기 입력커넥터
31: 증폭기 출력커넥터40: 덮개장착부
41: 개폐덮개46: 오뚝이 형상 구멍
50: 지지장치52: 고정 수용구
53: 경사이동 수용구53b: 수용부재
53c: 측부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의 안테나장치는 상기 문제점에 대응하여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도 17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테나장치(6)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와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7)는 상측 안테나부(7a)와 하측 기초부(7b)로 구성된다.
부호 9는 건조물, 예컨대 빌딩 옥상의 바닥면, 측면, 파라페트, 난간의 측면 또는 구조물에 부설된 상태로 수립시킨 지지기둥 등의 부동물의 일례로서 지지기둥을 나타낸다. 이 건조물로서의 지지기둥(9)에 대하여 지지장치(50)를 통해 안테나(7)의 기초부(7b)가 장착되어 있다.
안테나부(7a)는 통상 알려져 있는 S 밴드: 2.6GHz대의 신호를 위성으로부터의 직접파가 도달되지 않는 빌딩간의 사이를 향하여 송신하기 위한 가늘고 긴 스틱형상(예컨대, 높이: 1044㎜, 직경: 78㎜)의 송신용 부분이다.
안테나부(7a) 내부의 방사요소(8a) 및 반사요소(8b)의 구성은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공지된 여러가지 구성, 예컨대 콜리니어-안테나, 기타 안테나 등을 방사요소(8a)로서 선택적으로 이용하면 된다. 본안의 경우, S 밴드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에 적합한 구성을 갖는 안테나를 사용하면 된다.
도 17에서 부호 8a는 방사요소, 8c는 그것을 둘러싸는 보호파이프, 8b는 방사요소(8a)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반사요소로, 각각은 안테나부(7a)의 수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둘레벽을 구성하는 공지된 경질재 형성에 의한 견고한 외부원통부(7f)의 상하에 연결된 부재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부호 8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7a)의 정상부에 구비시킨 피뢰침으로, 안테나부(7a)의 정상부에 도전판을 평탄한 상태로 탑재 고정 장착시키고 그 위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피뢰침(8d)의 하단부는, 상기 정상부에 도전판에 연결된 반사요소(8b,8b,8b)에서의 각 도체를 이용하여 또는 독자적인 도체를 외부원통부(7f) 내에 통과시켜 접지를 위해서 통신기기 케이스(7b)에 접속되고 또한 통신기기 케이스(7b)를 통과하여 대지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의 기초부(7b)는, 상기 안테나부(7a)의 근원 부분을 담당하는 기초부재로, 안테나부(7a)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테나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안테나의 기초부(7b)의 구성은 안테나(7)의 안테나부(7a) 하측을 통신기기 케이스(7b) 상부에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케이스(7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장착구(11)에 의해 일체 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의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는 원주 형상 또는 각주 형상의 가늘고 긴(예컨대, 높이: 376㎜, 직경: 132㎜)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기기 케이스(7b)는 다이캐스트 등의 열전도가 양호하고, 비교적 경량인 경질재료를 사용하여 고정 장착구(11)와 일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장착구(11)는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이 막힌 중공 원통 형상체로, 여기에는 통상 알려져 있는 안테나의 기초부(7b)와 마찬가지로 경질재로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부(7a)의 외부원통부의 하부(7d)를 자유롭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삽입하고, 또한 끼워맞춤 상태로 하여 주위로부터 누름나사(13)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어 넣어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부와 안테나부(7a)의 하부(7d)를 기계적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 안테나부(7a)의 전자부재 예컨대 방사요소(8a)와 통신기기 케이스(7b) 내의 전자기기 수납공간(25)에 구비시킨 전자기기의 전기적인 결합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수납부(23)에 배치되는 동일축 케이블(동일축 도체: 24)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24)의 상단은 안테나부(7a)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부(7e)에 대하여, 하단은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하측 개구부(26)에 구비시킨 커넥터(접속단자: 32)에 대하여 각각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신기기 케이스(7b)의 본체(10) 내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 그곳의 내부공간(25)에는 도 18의 공지된 분배기(4a)로부터 증폭기 입력커넥터를 통과하여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있다. 내부공간(25)에는, 송신용 안테나부(7a)로부터 원하는 정보신호로서 송출하는 데에 필요한 규정된 전력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송신용 앰프의 역할을 하는 고출력용 증폭회로와 동등한 회로 및 그 밖에 통상 필요로 하는 송신제어 등의 필요한 모든 전자회로가 수용된다(도시 생략). 또한,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상부 및 주위는, 통신기기 케이스(7b)와 일체의 부재인 케이스부재(27a,27b)로 둘러싸 빗물이 들어가지 않는 케이스(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25)의 하측은 증폭회로 등의 전자회로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26)로 되어 있다. 이 개구부(26)에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듯이 제어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제어부재 부착판(26a)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덮여 있다.
이 부착판(26a)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재(조작부)에서, 부호 33은 주로 증폭기의 출력 수준을 설정하는 스위치류로, 출력 수준을 측정하거나 출력을 ON/OFF하거나 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갱신하거나 할 때에 사용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다. 부호 34는 컴퓨터 접속용 커넥터, 35는 파일럿군 및 36은 메모리 내용을 소거하거나 CPU의 리셋 스위치가 배치된 곳을 나타낸다. 또, 부호 31은 상기 내부공간(25)의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커넥터, 32는 안테나부(7a)로 향하여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 입력커넥터를 나타내고, 양자 사이는 양 단에 각각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접속부재를 구비한 접속용 케이블(37)로 접속되어 있다. 부호 38은 개구부의 가장자리부를 나타내고, 주지된 바와 같이 깊은 홈을 형성하여 거기에 방수패킹을 매립하여 덮개를 덮으면 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부호 40은 통신기기 케이스(7b)로부터 돌출 형성시킨 덮개연결부로, 여기에는 통신기기 케이스(7b)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개폐덮개(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첩부재(42)가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부호 43은 조임나사, 39는 나사구멍이고, 개구가장자리부(38)에 덮개(41)를 덮고 조임나사를 조이면, 거기에서 빗물 침입은 완전히 방지된다.
통신기기 케이스(7b)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증폭기용 입력커넥터(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을 통해 공지된 분배기(4a)에 접속되어 내부공간(25)의 증폭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27)의 둘레벽(27b) 배면측에는, 도 2,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건조물 장착용 장착부(1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장착부(16)에는, 지지장치(50)와의 관계에서 구성이 정해진 임의의 걸어맞춤부재로서의 걺금구(17), 갈고리금구(18) 등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측벽 배면측에 구비시킨 장착부(16)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상기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케이스부의 개구창(26)이 낮은 위치가 되는 상태에서 하측으로 개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가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높은 위치에 자립하는 상태에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기기 케이스의 측벽(27b)의 장착부(16)에는, 테이퍼부가 후술하는 오뚝이 형상 구멍의 대경부(46a)보다 작고 소경부의 구멍(46b)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걺부(17a)를 선단에 구비한 임시고정용 걺금구(17)를 복수개 나란히 형성시키고 있다. 이 걺금구(17)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측벽과 수용부재(53b) 사이에 방열용공간(21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27b)으로부터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갈고리금구(18)는 후술하는 탑재구(47)에 대응시키는 것으로, 갈고리금구(18)의 오목부(18a)를 탑재구(47)의 상측 걸림부(47a)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와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재(53b) 사이에는 양자를 임시 고정시킨 후에, 정식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수단으로는, 예컨대 도 2,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부 본체(10)의 양 측면(10a)에 경사이동 수용구(53)의 투과구멍(53g)과의 관계위치에서 장소가 정해지는 임의의 고정용 나사구멍(19)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도 7,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볼트(53h)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 장착시키면 된다.
부호 44는 상기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주위를 둘러싸는 케이스부(27)의 둘레벽(27b) 배면측의 장착부(16)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회로삽입용 개구부를 나타낸다. 상기 개구부(44)는 전자기기 수납용 공간에 대하여 증폭회로를 수용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은 큰 개구부(44)로 한 것으로, 그 개구부(44)의 둘레가장자리(44a)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45)를 수밀하고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예컨대 큰 헤드부를 구비한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 장착시킨다. 또한, 개구부(44)를 형성한 경우에는 덮개체(45) 배면측의 외면(16)에 건조물 장착용 장착부재(17,18)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부(27)의 둘레벽 배면측의 외면(16)을 건조물(9)에 대하여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시킨다. 예컨대, 도 2, 도 5에 도시된 지지장치(50)를 사용하여 안테나장치를 현장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개구부(44)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한 덮개체(45)는 간단하게 개방되기는 어려워진다. 따라서, 덮개(45)가 개방되어 전자기기 수납공간(25) 내의 증폭회로가 방해될 염려는 적어진다.
또, 기초부 본체(10)의 배면 및 측면과 이들에 대향하는 지지장치(50)의 내면 사이에 냉각용 공기의 유통로(21a)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초부 본체(10)의 둘레면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돌기물, 예컨대 걺금구(17), 갈고리금구(18)의 걸어맞춤부를 길게 돌출 형성해 두면 된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하고 단면 형상을 중공 각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상부(27a) 및 주위(27b)를 둘러싸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부(27)에서는, 케이스부의 둘레벽(27b)으로부터 측방의 방사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상태에서,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한 판 형상의 방열판(21)이 적당한 공기 상승용 공간(21a)을 두고 복수개 병렬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에서 발생되는 전자회로로부터의 열은 케이스부(27)의 둘레벽을 통과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는 판 형상의 방열판(21)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공기 상승용 통로(21a)를 이용하여 방열하도록 되어 있다.
안테나의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주위에는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양측을 케이스(7b)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 장착시킨 철판제 차광판(차광커버: 72)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차광판(72)은 태양광을 차단하여 통신기기 케이스(7b)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7b)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72a)을 형성하여 거기에 상하방향으로 냉각용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기기 케이스(7b)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금구(71)를 형성시켜 두고, 이것과 지지기둥(9)의 임의의 장소(70)에 형성된 고정금구 사이에 탈락방지용 사슬을 연결시켜 두면, 중량(예컨대, 6㎏)이 있는 안테나(7)가 옥상에서 도로쪽으로 탈락되는 예측할 수 없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상기 건축물로서의 지지기둥(9)과 상기 지지장치(50)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지지장치(50)의 구성으로는 지지기둥(9)에 대하여 통신기기 케이스(7b)를 고정 장착시킬 수 있으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공지된 경사이동 기능을 구비한 부착금구를 사용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지지장치(50)는, 건축물(9)에 대한 공지이고 통상 사용되는 부착구(51)를 일방측에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고정 수용구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장치(50)의 수용부재(53b)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점을 갖는 구성을 추가로 다음에 설명한다.
고정 수용구(52)는 지지기둥(9)에 접착시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초재(52a)와 그 양측에 위치시킨 수용재(52b)를 금속제 예컨대 철판재를 벤딩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수용재(52b)의 연장방향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부재(53c) 방향으로 정하고, 측부재(53c)와 중첩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구(51)는 건조물(9)의 구성에 의해 주지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여러가지 다르지만, 지지기둥(9)의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금속제 댐판(51a)과 복수개의 볼트(51b)로 구성된다.
경사이동 수용구(53)는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H 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 위치하는 수용부재(53b), 그 양측으로부터 각각 고정 수용구(52)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이동부재(53d) 및 수용부재(53b)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안테나의 기초부(7b)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내측에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수용부(53a))을 구성하는 측부재(53c)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는 금속제 예컨대 철판을 사용하여 벤딩가공수단 또는 용접수단 등 통상 알려져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다.
경사이동 수용구(53) 중앙에 위치하는 수용부재(53b)에는, 안테나의 기초부측에 구비된 걺금구(17)를 수용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대경(46a)이고 하부가 소경(46b)이며 또한 양자의 구멍이 연통되어 일반적으로 「오뚝이 형상 구멍」이라는 임시고정용 구멍(46)이 복수개, 상기 걺부(17a)의 배치에 대응 합치하도록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이동 수용구(53) 중앙에 위치한 수용부재(53b) 하측에는, 도 5,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금구(18)의 오목형 걸어맞춤부(18a)를 대응 합착시키기 위해서 선단에 상측 걸림부(47a)를 구비한 탑재구(47)가 돌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측벽 배면측에 대향시키는 수용부재(53b) 및 수용부재(53b) 양측에 위치하며 통신기기 케이스(7b) 측벽의 양측을 사이에 둔 상태로 위치시키는 두개의 측부재(53c)로 구성되고, 2개의 측부재(53c) 사이에 통신기기 케이스(7b)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통신기기 케이스(7b)는 2개의 측부재(53c)에 안내되어 상기 임시고정용 2개의 걺금구(17)가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에 형성된 2개의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각각 대응하는 중심선 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오뚝이 형상 구멍(46)」과 걺부(17a)의 위치관계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어도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중심선 상에 걺부(17a)의 중심위치를 대응 합치할 수 있도록 2개의 측부재(53c)의 위치관계는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6, 10, 11에 잘 도시되어 있는 앙각 조정시의 경사 이동 조정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63,61)과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62,60)의 배치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 수용구(52) 양측에는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용재(5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수용구(52)의 수용재(52b)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중첩되도록 형성된 경사이동부재(53d)가 구비되어 있다. 또, 서로 중첩되는 수용재(52b)의 하부와 경사이동부재(53d)의 하부는 수용재에 대하여 경사이동부재의 상부가 경사이동방향(81)으로 앞측으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도록 추지(樞止)볼트(77)로 고정 장착시켜 여기를 추지점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수용재(52b)와 경사이동부재(53d) 중 내측이 되는 부재에는 복수개의 각각 독립되어 있는내측 조정구멍(63,61)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외측이 되는 부재에는 복수개의 각각 독립되어 있는 외측 조정구멍(62,60)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한다. 이와 같이 독립되어 있는 조정구멍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면 각각의 조정구멍에서의 경사이동방향(81)으로는 충분한 두께가 남아, 충분히 기계적으로 견고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서는 내측 조정구멍(63)의 그룹인 G1∼G6의 6개와 제 2 내측 조정구멍(61)의 그룹인 H1∼H5의 5개가 각각 추지부(77)를 지지점으로 하고 또한 추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64)만큼 떨어진 상측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상하방향(화살표시(63a,61a))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사이동부재(53d)에는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을 2개의 그룹(62,60)으로 나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서는 외측 조정구멍(62)의 그룹인 K1∼K6의 6개와 제 2 외측 조정구멍(60)의 그룹인 M1∼M5의 5개가 각각 추지부(77)를 지지점으로 하고 또한 추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65)만큼 상측에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상하방향(화살표시(62a,60a))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 조정구멍(62)의 그룹인 K1∼K6의 6개와 제 2 외측 조정구멍(60)의 그룹인 M1∼M5의 5개에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7)의 앙각을 표시하는 「0∼10도」 도수의 숫자 59가 11개 부기되어 있다. 이 도수의 표지 숫자 59는 도수를 알 수 있는 것 이외의 임의의 기호, 부호 등이어도 된다. 앙각 조정 표지는 각인으로 표시되거나 라벨로 표시된다.
상기 내측 조정구멍 그룹(63)과 이와 쌍을 이루는 외측 조정구멍 그룹(62)의 구멍 상호의 위치관계 및 상기 내측 조정구멍 그룹(61)과 이와 쌍을 이루는 외측 조정구멍 그룹(60)의 구멍 상호의 위치관계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 그룹(63,61)의 상하방향(화살표시(63a,61a))에 대하여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 그룹(62)의 상하방향(화살표시(62a,60a))이 상대적으로 약간 경사져 교차하는 위치관계로 설정하고, 상기 안테나(7)의 앙각 조정을 위해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를 경사이동방향(81)으로 순차적으로 경사 이동시킬 때에, 내측 조정구멍 그룹(63)의 구멍(G1∼G6)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62: K1∼K6)의 구멍 조합이 차례차례 바뀌어 1개당 중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안테나(7)의 앙각 조정을 위해 경사이동 수용구(53)를 순차적으로 경사 이동시킬 때에는, 내측 조정구멍 그룹(61)의 구멍(H1∼H5)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60: M1∼M5)의 구멍의 조합이 차례차례 바뀌어 1개당 중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재(52b)와 경사이동부재(53d)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 그룹(61,63)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60,62)은 실시할 때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1열로 배치해 둘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방향에서 이분(또는 삼분)하여 각각 2열(또는 3열)로 하고, 또한 추지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방측에 편재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조정구멍을 이분하여 각각 2열로 하여 추지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방측에 편재시키면, 안테나(7)를 앞측으로 기울여 쓰러뜨림으로써, 경사이동부재(53d)에 대하여 경사이동방향(81)으로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복수개의 조정구멍이 추지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지력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기술한 예에서는 앙각 조정 범위가 0∼-10°이고 분할 수를 1°단계로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착(樞着)점에 가까운 것부터 상측으로 기준 0도∼4도, 5도∼10도로 점점 안테나의 지향성이 수평방향에서 하측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앙각 조정 범위를 0∼-10°, 조정 단계를 1°로 했는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이동부재(53d)의 외측 조정구멍 그룹(60) 근방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67)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핀(67)은 경사이동부재(53d)에 고정 장착된 고정핀(66)에 대하여 사슬 등의 굴곡이 자유로운 연결수단(68)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경사이동부재(53d)에 적당한 구멍을 형성하여 거기에 꽂음으로써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보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내측 조정구멍 그룹의 각 구멍의 내부직경은 상기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각 구멍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게 해 두고, 한편 고정핀(67)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에 꽂기 위한 축부의 직경은 2단으로 되어 있고, 선단측의 직경은 상기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각 구멍에 대하여 꽂을 수 있게 모든 구멍직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에 단단하게 끼워맞추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축부의 근원부측의 직경은 상기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각 구멍에 단단하게 끼워맞추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이동부재(53d)를 경사 이동시켜 안테나(7)의 앙각을 조정할 때에, 외측 조정구멍 그룹(62) 중 1개의 구멍과 내측 조정구멍 그룹(63) 중 1개의 구멍의 축선이 합치된 부분에 고정핀(67)의 축을 삽입 통과시키면, 3자는 덜컹거리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체화시켜 안테나(7)의 앙각을 정확하고 간단히 임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고정핀(67)의 선단부에 수나사를 구비시키고 내측 조정구멍 그룹(63,61)의 각 구멍에 암나사를 구비시켜 나선 결합이 가능하게 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이 고정핀(67)에 의해 안테나(7)를 정확한 앙각으로 유지하면서 그대로 상하에 위치하는 2개의 볼트(77,78)를 조여 경사이동부재(53d)를 수용부재(52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서는 수용재(52b)가 내측이고 경사이동부재(53d)가 외측의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용재(52b)를 외측으로 하고 경사이동부재(53d)를 내측으로 하는 경우에는, 본원 발명은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 그룹(63,61)과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 그룹(62,60)의 위치관계는 상하에서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수용재(52b)에는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 그룹(62,60)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경사이동부재(53d)에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 그룹(63,61)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 조립 경과를 추가하여 순차적으로 구성을 설명한다. 건조물, 예컨대 상기 빌딩 옥상의 바닥면, 벽면, 파라페트, 난간의 측면 또는 구조물에 부설된 지지기둥의 부동물에 대해서는 미리 지지장치를 부설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공장 출하시에는 상기 건조물이 지지기둥인 경우에는, 그것에 대하여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부착금구(51)가 부설되어 있는 고정 수용구(52), 예컨대 도 2,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수용구(52)를 준비한다. 또한, 많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경사이동금구(53)도 준비한다. 이와 같이 지지장치(50)에 관한 부재를 준비하는 한편 안테나(7)도 준비한다.
안테나(7)에 대해서는, 공장에서의 조립작업 과정에서 또한 운송시에는 상기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와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는 미리 고정 장착부(11) 부분에서 분리하여 취급한다. 이렇게 하면 전체가 짧아져 취급이 편리해진다. 운반 비용도 저렴해진다. 분리되어 있는 양자(7a,7b)는 공장 출하에 앞서 또는 설치할 현장에서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상기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와 통신기기 케이스(7b)의 합착 일체화의 수단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고정 장착부(11)의 중공 원통 형상체내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7)의 외부원통(7f)의 하부(7d)를 삽입하고, 또한 끼워맞춤상태로 하여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누름나사(13)를 비틀어 넣어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부와 안테나(7)의 상부(7d)를 기계적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안테나부(7a)의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일축 케이블(24)의 하단은, 도 14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하측 측방에 있는 개구창(26)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거기에서 접속단자(32), 접속용 케이블(37) 등 임의의 접속구를 사용하여 커넥터(31)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완료한다.
현장에서는 부착금구(51)를 이용하여 고정 수용구(52)를 건조물인 지지기둥(9)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착한다. 즉, 도 2와 같이 지지기둥(9)의 양측으로부터 기초재(52a)와 댐판(51a)을 접착하고 볼트(51b)를 사용하여 조인다.
상기 작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철재, 합성수지 등과 같은 경질재로 된 행거(57)를 장비한다. 이 장비는 기초재(52a)와 댐판(51a)을 지지기둥(9)보다 큰 간격을 둔 상태로 대향시키고, 양자를 2개의 볼트(51b)로 느슨하게 연결하고 또한 이들 볼트(51b)는 행거(57)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구멍(57b)에 삽입 통과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기초재(52a)와 댐판(51a)과 2개의 볼트(51b)로 둘러싸인 공간에 지지기둥이 상대적으로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그러면,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행거(57) 상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재(57a)는 지지기둥(9) 상부에 맞닿아, 기초재(52a)와 댐판(51a)을 임시 고정상태로 유지한다. 그 이후에는, 기초재(52a)와 댐판(51a) 사이를 느슨하게 조여좌우로 회전 운동시켜 방위각을 조절한다. 마지막에는 정식으로 조이면 된다.
또, 도면에서 볼트 삽입통과용 투과구멍(54)과 조임용 볼트(51b), 볼트(77), 볼트(51b), 나사구멍(19) 등을 연결하는 일점쇄선(56)은 명세서 기재에서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시키는 부재 상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 수용구(52)에 대하여 경사이동 수용구(53)를 연결시킨다. 수용재(52b)와 경사이동부재(53d)를 도 8과 같이 중첩시킨다. 이어서, 추지볼트(77)를 투과구멍(80)에 끼우고 암나사(75)에 결합시켜 추착부(77)를 구성한다.
계속해서, 고정 장착볼트(78)를 경사이동부재(53d)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79)에 끼우고 암나사(76)에 결합시켜 경사이동방향(81)으로 긴 조정부를 긴 구멍(79)의 장소에 구성한다. 암나사(76)에 볼트(78)를 조임으로써 지지장치(50)는 지지기둥(9)에 장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장치(50)에 대하여 안테나(7)를 장착한다.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도 5,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53a)에 대향시킨다. 그 상태에서 기초부(7b)를 수용부재(53b)에 접근시킨다. 기초부(7b)의 양측 측면(10a,10a)은 경사이동금구측의 측부재(53c,53c)의 선단의 확대개방 상태의 가이드부재(53f)에 안내되어 수용부(53a)로 진행되어 내부에 들어간다. 내부에서는 기초부(7b)의 양측 측면(10a,10a)은 경사이동금구측의 측부재(53c,53c)에 끼여 진행방향이 규제된다. 기초부(7b)를 그대로 진행시키면 걺부(17a)는 수용부재(53b)에 닿는다. 그래서, 걺부(17a)를 상하로 움직이면, 작업원은 측부재(53c)가 있기 때문에 내부의 오뚝이 형상 구멍(46)이나 걺부(17a)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는 없지만, 걺부(17a)는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대경부(46a)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므로, 걺부(17a)는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대경부(46a)에 꽂히게 되고, 계속해서 네크부(17b)는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소경부(46b)에 끼워맞춰진다.
이 과정에서 병행하여 탑재구(47) 선단의 상측 걸림부(47a)에 갈고리금구(18)의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8a)를 대응 합착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안테나(7)의 기초부(7b)는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임시 고정된다.
그 이후에는 기초부(7b)의 양측 측면(10a,10a)에 형성된 눈금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나사구멍(19)에 대하여 고정용 볼트(53h)를 투과구멍(53g)을 끼운 상태로 조이면 기초부(7b)는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연결상태에서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양측 측면(10a,10a)과 경사이동금구측의 측부재(53c,53c)의 내측에 각각 냉각용 공기가 윗방향으로 유통되는 통로(21a)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서 지지장치(50)의 경사 이동 기능을 이용하여 안테나(7)를 송신방향으로 상측을 약간 기울게 하는 예(예컨대, 0도에서 지향성이 수평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안테나와 경사이동 수용구가 도 1, 도 6의 실선 상태)∼10도 정도(안테나가 도 1의 일점쇄선의 상태) 범위 내에서 하측으로 경사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 6의 경사이동 수용구(53)는 지향성이 수평방향(0도) 상태에 있는데, 그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에 있는 고정 장착볼트(78)를 느슨하게 하여 안테나부(7a)를 원하는 위치까지 앞측으로 기울게 한다. 이 경우 안테나부(7a)의 앞측 경사각도에 지역과의 관계에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규정, 예컨대 경사각 8도가 요구되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 그룹(60,62) 중 1개, 즉 「8도」의 지표가 이루어져 있는 구멍(K3)이 내측 조정구멍 그룹(61,63) 중 1개, 즉 구멍(G3)과 중첩된 상태에서 거기에 도 10에 도시된 고정핀(67)을 끼운다. 그러면, 고정핀(67)을 통해 두개의 구멍(K3,G3)은 결합되고, 그 결과 경사이동 수용구(53)는 고정 수용구(52)에 대하여 안테나부(7a)를 「8도」의 경사 이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경사이동 수용구(53)와 고정 수용구(52)는 그 상태로 이미 고정핀(6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8도」의 경사 이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되게 된다. 그 이후에는 고정 장착볼트(78)를 조이는 등 임의의 고정 장착수단을 실시해 두면 안전하다. 도 11은 안테나부(7a)를 앞측 경사각도를 「10도」로 설정한 경우를 예시한다. 즉, 「10도」의 지표가 이루어져 있는 구멍(K1)이 내측 조정구멍 그룹 중 1개, 즉 구멍(G1)과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7a)의 앙각 조정을 위해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를 경사이동 방향으로 0도의 지표가 있는 구멍(M5)의 위치∼10도의 지표가 있는 구멍(K1)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경사 이동시킬 때에는, 내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H5∼G1)과 상기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의 조합이 차례차례 바뀌어 1개씩중첩되고, 안테나부(7a)의 앙각 상태를 표시한다.
그 이후에는 도 1,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1)를 개방하여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업원(69)이 몸을 낮게 하여 여러가지 전기적인 조정 작업을 한다. 이 작업의 경우 개구부(26)가 가장 낮은 하측에 있으므로, 높은 곳에서 강풍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작업원(69)은 건조물에 몸을 가까이 하여 가장 안전한 상태에서 조절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착부(16)를 건조물(9)에 지지장치(50)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기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케이스부(27)의 개구부(26)가 하측으로 향하고, 또한 장치 전체에서 보아 낮은 위치가 되는 상태에서 개구할 수 있고, 이에 반하여 상기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부로부터 더 상측으로 향하여 높은 위치로 자립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물(9)에 의해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근원부를 건조물에 대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앙각 조정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수신지역으로부터 요구되는 가장 바람직한 경사도로 설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본원 발명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이용에 의해 안테나(7)의 근원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 내의 전자회로에 고장이 발생하여 안테나(7)와 함께 통신기기 케이스를 분리한 경우에도, 다시 장착하는 경우에는, 경사이동 수용구는 당초 설정된 소정의 경사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태로 안테나(7)의 근원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를 경사이동 수용구에 장착하면, 안테나(7)의 경사도는 번거로운 조정을 실시하지 않고 당초대로 재현할 수 있는 정밀도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근원부를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장착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를 수립시킨 상태에서 팔에 안고 안테나(7)의 근원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를 경사이동 수용구의 수용부재(53b)에 접착시키는 조작만으로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상기 중량이 있는 안테나(7)가 장착된 통신기기 케이스(7b)를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임시로 장착할 수 있는 안전작업상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근원부를 경사이동 수용구(53)에 장착한 후, 고정 수용구(52)의 하부위치에 대하여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우, 경사이동 수용구(53)를 순차적으로 경사 이동시키면 고정 수용구(52)의 수용재(52b)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63)에 대하여 경사이동 수용구(53)의 경사이동부(53d)에 배치된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62) 중 어느 하나가 차례차례 상대를 바꿔 1개당 중첩되고 경사이동 수용구(53)의 경사이동 상태의 미세한 움직임을 차례차례 인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62)의 각각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경사이동을 시사하는 각도 표시, 예컨대 숫자가 부기되어 있으면,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미세한 경사이동 상태를 숫자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의 조정구멍의 대응 중첩상태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경사이동 상태를 인식하고, 또한 그 경사이동 각도가 적정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대응 중첩상태에 있는 상하의 조정구멍에 고정핀을 끼움으로써, 정확하고 간단하게 양자의 경사도 관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원 발명은,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와 통신기기 케이스(7b)를 구비한 것이어도, 안테나(7)의 하측 기초부(7b)에서는 고정 장착부(11)를 통해 양자를 일체로 연결시키고,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 및 송신용 고출력용 증폭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부(27)를 일체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물에대해서는 송신용 증폭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27)를 장착하는 수고만으로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7)의 장착작업까지 끝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초부(7b)의 기초부 본체(10) 내에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27)의 둘레벽 배면측에 형성된 건조물 장착용 장착부(16)까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고, 그럼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던 장착부를 지지장치(50)를 사용하여 건조물(9)에 연결시킴으로써,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로부터의 강력한 벤딩력에 대하여 견뎌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가 수직 형상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원 발명에서는, 스틱 형상의 송신용 안테나부(7a)와 통신기기 케이스(7b)를 안테나(7)의 하측 기초부(7b)가 통신기기 케이스(7b)의 헤드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통신기기 케이스(7b)의 둘레면을 지지장치(50)에 연결시키도록 한 구성이기 때문에,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기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케이스부의 개구부를 하측으로 향하고 또한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런 점은 높은 곳에서 발 내딛기가 나쁜 위치에 놓인 송신용 증폭회로의 케이스부(27) 내에 수납된 전자회로의 성능을 조사하거나 조절하는 작업자가 위험을 느끼지 못하고 건조물 가까이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통신기기 케이스(7b) 내에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스부의 둘레벽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케이스부(27)의 둘레벽에 각각 방사방향으로 돌출시키는 방열판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냉각효과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스부의 둘레벽으로부터 각각 방사방향으로 방열판을 돌출시키고, 또한 이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함으로써, 기초부 본체의 보강효과가 향상되고, 안테나부가 강풍에 노출되어도 이를 유지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안테나의 기초부(7b)와 통신기기 케이스 상부의 연결부의 결합을 착탈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고, 안테나부와 통신기기 케이스 내의 전자기기 수납공간에 구비시킨 전자기기의 전기적인 결합도 각각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형상이 매우 긴 기둥 형상이 되는 것이어도 현장에서 취급할 때에는 이들을 이분하여 이들을 비교적 짧게 형성하여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안테나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 및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50)는, 건축물에 대한 부착구(51)를 일방측에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대고정 수용구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장치(50)의 수용부재(53b)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재(53b)에는 안테나의 기초부측에 구비된 걺금구(17)를 수용하기 위한 오뚝이 형상 구멍(46)을 구비시키고,
    한편 상기 안테나(7)의 안테나부(7a) 하측에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상부를 일체 형상으로 연결시키고,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구성하는 상기 통신기기 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오뚝이 형상 구멍의 대경부보다 작고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걺부(17a)를 앞부에 구비한 임시고정용 걺금구(17) 및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와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는,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측벽 배면측에 대향시키는 수용부재(53b) 및 수용부재(53b) 양측에 위치하며 통신기기 케이스(7b) 측벽의 양측을 사이에 둔 상태가 되는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두개의 측부재(53c)로 구성되고, 2개의 측부재(53c) 사이에 통신기기 케이스(7b)를 삽입함으로써, 통신기기 케이스(7b)는 2개의 측부재(53c)에 안내되어 상기 임시고정용 걺금구(17)가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에 형성된 2개의 오뚝이 형상 구멍(46)의 중심선 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3. 안테나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 및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50)는, 건축물에 대한 부착구(51)를 일방측에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고정 수용구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장치(50)의 수용부재(53b)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안테나장치에서,
    상기 고정 수용구(52)에는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용재(52b)를 구비시키고,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에는 상기 고정 수용구(52)의 수용재(52b)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경사이동부재(53d)를 구비시키고,
    서로 중첩되는 수용재의 하부와 경사이동부재의 하부는 수용재에 대하여 경사이동부재의 상부가 앞측으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도록 추착(樞着)하고,
    수용재(52b)와 경사이동부재(53d) 중 내측이 되는 부재에는 복수개의 각각 독립되어 있는 내측 조정구멍(63: G1∼G6)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외측이 되는 부재에는 복수개의 각각 독립되어 있는 외측 조정구멍(62: K1∼K6)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내측 조정구멍 그룹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 상호의 위치관계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63)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복수개의 외측 조정구멍 (62)의 상하방향이 상대적으로 약간 경사져 교차하는 위치관계로 설정하고,
    상기 안테나(7)의 앙각 조정을 위해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를 경사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경사 이동시킬 때에, 내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의 구멍의 조합이 차례차례 바뀌어 1개당 중첩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재(52b)와 경사이동부재(53d)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내측 조정구멍 그룹과 외측 조정구멍 그룹은 각각 상하방향에서 이분하여 각각 2열로 하고, 또한 추지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방측에 편재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5. 안테나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 및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50)는, 건축물에 대한 부착구(51)를 일방측에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대고정 수용구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장치(50)의 수용부재(53b)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안테나장치에서,
    상기 안테나 하부의 기초부(7b)는 안테나(7)의 안테나부(7a) 하측에 통신기기 케이스의 상부를 일체 형상으로 연결시켜 구성하고,
    상기 기초부(7b)를 구성하는 상기 통신기기 케이스(7b)의 본체 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을 구비시키고,
    그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은 상부 및 주위를 케이스부재로 둘러싸며 하측에 개구부를 구비시키고,
    또한 상기 안테나 기초부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측벽 배면측에 구비시킨 장착부는, 통신기기 케이스의 상기 전자기기 수납공간(25)의 케이스부의 개구창이 낮은 위치가 되는 상태에서 하측으로 개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부가 통신기기 케이스(7b)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높은 위치에 자립하는 상태에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는 케이스부는 케이스부의 둘레벽 배면측에 전자기기 수납용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를 덮고 또한 케이스부의 상기 둘레벽 배면측의 외면에 건조물 장착용 장착부재를 배치하고, 케이스부의 둘레벽 배변측의 외면을 건조물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둘레벽 배면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한 덮개체가 개방되기 어렵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상부 및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부에서는, 케이스부의 둘레벽에서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게 한 판 형상의 방열판을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렬상태에서 구비시키고, 케이스부의 둘레벽에 설치된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통로를 통과하여 전자기기 수납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8. 제 5 항 ~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7a) 및 기초부(7b)를 구성하는 통신기기 케이스 상부의 연결부의 기계적인 결합은 착탈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고, 안테나부와 통신기기 케이스 내의 전자기기 수납공간에 구비시킨 전자기기의 전기적인 결합은, 안테나부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동일축 도체의 하단을 전자기기 수납공간의 하측 개구부에 구비시킨 접속단자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9. 안테나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로, 정상부에는 하부가 접지되어 있는 피뢰침을 구비한 안테나 및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50)는, 건축물에 대한 부착구(51)를 일방측에 구비한 고정 수용구(52) 및 고정 수용구(52)의 타방측에 대하여 앙각 조정을 위해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사이동 수용구(53)로 구성하고,
    추가로 상기 경사이동 수용구(53)의 반고정 수용구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재(53b)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장치(50)의 수용부재(53b)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의 안테나(7)의 기초부(7b)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안테나장치.
KR1020030031016A 2002-05-16 2003-05-15 안테나장치 KR101048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2007A JP3888930B2 (ja) 2002-05-16 2002-05-16 無線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の支持装置
JPJP-P-2002-00142007 2002-05-16
JP2002361262A JP4094943B2 (ja) 2002-12-12 2002-12-12 増幅器付送信アンテナ装置
JPJP-P-2002-00361262 2002-12-12
JP2003129504A JP4105025B2 (ja) 2002-05-16 2003-05-07 アンテナ装置
JPJP-P-2003-00129504 2003-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487A true KR20030089487A (ko) 2003-11-21
KR101048636B1 KR101048636B1 (ko) 2011-07-12

Family

ID=4923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016A KR101048636B1 (ko) 2002-05-16 2003-05-15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6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38B1 (ko) * 2013-05-01 2013-08-21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열 방지판을 갖는 안테나 케이스
KR101540325B1 (ko) * 2008-05-15 2015-07-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통신기기의 함체장치의 열방출 구조
KR102423170B1 (ko) * 2021-05-21 2022-07-21 (주)하이게인안테나 인빌딩용 원통형 양방향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52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49U (ko) * 1997-02-05 1998-10-15 김광호 위성방송용 안테나의 각도 조정장치
KR19990014579U (ko) * 1997-10-07 1999-05-06 김형 전방위 방향조정이 용이한 파라볼라 안테나 고정구
KR200343068Y1 (ko) 2003-08-28 2004-03-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클램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25B1 (ko) * 2008-05-15 2015-07-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통신기기의 함체장치의 열방출 구조
KR101299138B1 (ko) * 2013-05-01 2013-08-21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열 방지판을 갖는 안테나 케이스
KR102423170B1 (ko) * 2021-05-21 2022-07-21 (주)하이게인안테나 인빌딩용 원통형 양방향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636B1 (ko)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828B2 (en) RF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it and antenna construction for use in the device and method
US8531347B2 (en) Nonconductive antenna mount
US8085211B2 (en) Single drive variable azimuth and beam tilt antenna for wireless network
EP1702387B1 (en) Antenna beam control apparatus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antennas
US20120132781A1 (en) Antenna mast system and mounting apparatus
US6037912A (en) Low profile bi-directional antenna
US20100231450A1 (en) Aisg inline tilt sensor system and method
EP3070783A1 (en) Antenna with rotatable radiating element
US5926145A (en)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US7175140B2 (en)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a tile roof
JPS58220504A (ja) マイクロ波用アンテナ
US5647567A (en) Antenna mounting bracket
KR102157068B1 (ko)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KR101048636B1 (ko) 안테나장치
EP1720214A1 (en) Luneberg lens antenna device
KR20200006926A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JP4105025B2 (ja) アンテナ装置
KR20200111090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JP4094943B2 (ja) 増幅器付送信アンテナ装置
US5565880A (en) Antenna for portab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S20010002824A1 (en) Combination antenna mount
KR102545204B1 (ko) 내방사선 차폐와 각도 조절 기능성이 부여된 원전용 멀티밴드 지향성 안테나
JP3978063B2 (ja) 無線通信装置
WO2005107013A1 (en) Slot antenna for television reception
EP1905123B1 (fr) Antenne relais supportée par son rad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