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482A - 좌변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482A
KR20030087482A KR1020020025864A KR20020025864A KR20030087482A KR 20030087482 A KR20030087482 A KR 20030087482A KR 1020020025864 A KR1020020025864 A KR 1020020025864A KR 20020025864 A KR20020025864 A KR 20020025864A KR 20030087482 A KR20030087482 A KR 20030087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eam
toilet
seat plat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584B1 (ko
Inventor
양병준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카라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카라반 filed Critical (주)코리아카라반
Priority to KR10-2002-002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5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증기에 의하여 자동세척이 가능한 좌변기가 개시된다. 그러한 좌변기는 세척수를 저장/공급하는 수조와, 만곡부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만곡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가열부재가 권선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에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만곡부를 개폐하고, 상기 좌판에 증기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수단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척작업의 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입력수단과,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에 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좌판의 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에 의하여 상기 좌판을 건조시킴으로써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척장치{WASHING DEVICE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좌판에 증기를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고, 세척된 좌판을 열에 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좌변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가정이나 공공장소의 화장실에는 대부분 걸터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좌변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적으로 좌판과 접촉됨으로써, 좌판의 청결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공공장소의 화장실 경우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병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에 감염될 염려가 있는 바, 많은 사람들이 불쾌한 마음으로 용변을 보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변기의 좌판에 1회용 위생지를 깔아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생지를 이용한 방식은 많은 량의 위생지가 수납된 위생지 수납함을 화장실의 벽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수납함으로부터 위생지를 인출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음으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위생지를 좌판에 까는 경우,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 일반적으로는 위생지를 좌판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이 경우 위생지를 삽입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그리고, 사용중에 위생지가 미끄러져 찢겨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됨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증기분사기를 장착하여 증기에 의하여 좌판을 세척하고, 열에 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센서 및 커버개폐수단을 장착하여 세척과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좌변기의 측면도.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좌변기의 덮개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4 는 도1 에 도시된 증기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세척수를 저장/공급하는 수조와, 만곡부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만곡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가열부재가 권선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에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만곡부를 개폐하고, 상기 좌판에 증기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수단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척작업의 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입력수단과;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에 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좌판의 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에 의하여 상기 좌판을 건조시킴으로써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좌변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만곡부(3)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좌판(5)과, 상기 좌판(5)에 힌지결합되어 만곡부(3)를 개폐하는 커버(7)와, 상기 본체(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수조(9)와, 상기 커버(7)에 증기를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수단(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좌변기는 사용 후 증기에 의하여 좌판(5)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와, 사용자가 사용을 완료하였다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3)에 출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15)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7)는 만곡부(3)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만곡부(3)와 유사한 형상, 즉 원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커버(7)의 내부에는 원형의 증기호스(18)가 구비되며, 이러한 증기호스(18)는 증기발생수단(11)과 배관(17)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발생수단(11)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배관(17)을 통하여 증기호스(18)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증기호스(18)의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관(19)이 형성되며, 이 분사관(19)들은 커버(7)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구(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호스(18)에 공급된 증기들은 다수개의 분사관(19) 및 분사구(21)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며, 이러한 증기는 좌판(5)의 표면에 분사됨으로써 세척작업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커버(7)는 그 상부에 지지턱(23)이 돌출 형성되고, 그 하부(25)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7)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5) 방향으로 덮혀졌을 때, 상기 지지턱(23)이 좌판(5)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좌판(5)과 커버(7)의 사이에 증기분사를 위한 일정공간(27)을 확보하게 된다.
다시, 도1 내지 도3 을 참조하면, 상기 좌판(5)은 그 내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열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수단은 다양한 발열부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열선(29)을 포함한다. 즉, 상기 열선(29)이 좌판(5)의 내부에 수회 권선되고 상기 제어부(13)에 연결됨으로써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켜 좌판(5)에 분사된 증기를 증발시켜 건조하게 된다.
이러한 열선(29)은 좌판(5)의 내부에 균일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좌판(5)의 전 표면에 열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29)은 제어부(13)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여 필요시 발열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수단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및 열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증기발생기(11)는 그 내부에 유입관(31)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케이스(33)와, 상기 케이스(33)의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35)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막대(37)와, 상기 케이스(33)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39)와, 상기 유출구(39)에 장착되어 유출구(39)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발생기(11)는 제어부(13)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부(13)를 조작함으로써 진동자(35) 및 가열막대(37)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초음파 모드 혹은 가열모드 상태에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35)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35)가 진동하여 소정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진동자(35)에 의하여 발생된 초음파가 세척수에 전달되어 세척수를 미립화시킴으로써 수면으로부터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증기는 유출구(39) 및 개폐밸브(41)를 통하여 배관(17)으로 유입되어 커버(7)의 증기호스(18)를 통하여 분사된다.
가열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열막대(37)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이 세척수에 전달된다. 따라서, 세척수의 수면으로부터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증기는 상기 초음파 모드의 경우와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커버(7)로 공급되어 분사된다.
그리고, 겸용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가열막대(37)와 초음파 진동자(35)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가열방식과 진동방식에 의한 증기발생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증기발생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방식의 증기발생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입력수단(15)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수단(15)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증기발생기(11)를 작동시킴으로써 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입력수단(15)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한 후, 증기의 분사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이러한 입력수단(15)은 여러 실시예가 가능하다.
입력수단의 일 실시예로써, 레버(43)에 의한 작동방법이 가능하다. 즉, 수조의 일측에 장착된 레버(43) 인접위치에 감지센서(16)를 장착하고, 레버(43) 작동시감지센서(16)가 작동하여 전기신호를 제어부(13)에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감지센서(16)로부터 신호를 접수하게 되면,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게 되고, 일정 시간 후, 상기 증기발생기(11)의 밸브(41)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발생기(11)로부터 발생한 증기는 배관(17)을 통하여 커버(7)의 증기호스(18)로 공급됨으로써 분사구(21)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후술하는 커버 개폐수단(47)을 작동시킴으로써 커버(7)가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세척위치(Ⅰ;도5)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커버(7)로부터 분사된 증기가 좌판(5)의 상면에 분사됨으로써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소정 시간 후 상기 개폐밸브(41)를 폐쇄시킴으로써 증기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증기공급 중단 후, 좌판(5)의 열선(29)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좌판(5)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열선(29)으로부터 열이 더 이상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척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입력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감지센서(45)에 의한 방법도 가능하다. 즉, 체중감지센서(45)를 좌판(5)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함으로써 증기의 분사시점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5)의 하부에 제어부(13)와 연결된 체중감지센서(45)가 장착된다. 사용자가 좌판(5)에 앉는 경우, 신호를 제어부(13)에 송출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사용자가 일어서면, 체중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13)에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제어부(13)는 이 신호에 의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 후술하는 커버 개폐수단 (47)을 작동시켜 커버(7)를 세척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기의 밸브(41)를 개방함으로써 증기를 좌판(5)에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커버 개폐수단(47)은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7)를 직립상태(Ⅱ)로부터 전방으로 회전시켜 세척위치(Ⅰ)로 이동시킴으로서 세척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을 완료하게 되면, 인위적으로 상기 커버(7)를 닫아야 증기가 분사되어 세척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커버(7) 닫는 것을 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상기 커버 개폐수단(47)이 상기 커버(7)를 자동으로 닫게된다.
이러한 커버 개폐수단(47)은 상기 입력수단과 제어부(13)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을 완료하였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커버(7)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세척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 개폐수단(47)은 바람직하게는 모터 조립체(48)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조립체(48)의 회전축(49)은 힌지축(51)에 직결되고, 또한 제어부(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13)의 신호에 따라 모터 회전축(49)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힌지축(51)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커버(7)를 닫게된다.
그리고, 세척작업 후에는, 다시 모터 조립체(48)를 구동시킴으로서 회전축(49)을 역회전시켜 커버(7)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한 커버 개폐수단(47)은 모터 조립체(48) 이외에도 피스톤 조립체도 가능하다. 즉, 피스톤 조립체를 커버와 좌판의 사이에 장착하고, 피스톤을 승하강 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입력수단(15)과 제어부(13)에 의하여 증기가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수동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 후, 인력에 의하여 커버(7)를 닫고, 레버(43)를 누름으로써 감지센서(16)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혹은, 제어부(13)의 스위치(55)를 직접 누름으로써 증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세척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 한 후, 레버(43)를 누르게 되면, 레버(43)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16)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6)가 작동하게 되면, 전기신호를 제어부(13)에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3)는 모터 조립체(48)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 조립체(48)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힌지축(51)이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커버(7)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세척위치에 이동한다.
상기 커버(7)가 세척위치에 이동하면, 커버(7)의 지지턱(23)이 좌판(5)의 상면에 지지됨으로, 상기 좌판(5)과 커버(7)의 사이에 소정 공간(27)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7)가 세척위치(Ⅱ)에 이동하게 되면, 모터 조립체(48)가 구동을 중지하고, 제어부(13)는 이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증기발생기에 출력하여 개폐밸브(41)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는 초음파 진동자(35) 혹은 가열막대(37)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충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41)가 개방되면, 상기 증기는 배관(17)을 통하여 커버(7)의 증기호스(18)로 공급되어 분사관(19) 및 분사구(21)를 통하여 분사된다.
분사된 증기는 커버(7)의 상면에 균일하게 분사됨으로써 세척하게 된다. 일정 시간 증기를 분사한 후, 상기 제어부(13)는 모터 조립체(4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51)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커버(7)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좌판(5)의 열선(29)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열선(29)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따라서, 상기 열선(29)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좌판(5)에 전달됨으로써 증기에 의하여 세척된 좌판(5)의 상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좌변기의 세척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증기에 의하여 좌변기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공공장소에서 대중들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증기에 의한 세척과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8)

  1. 세척수를 저장/공급하는 수조와, 만곡부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만곡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가열부재가 권선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에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만곡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수단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척작업의 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입력수단과;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기발생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에 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좌판의 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에 의하여 상기 좌판을 건조시킴으로써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부에 상기 증기발생수단과 연결되는 증기호스와, 상기 증기호스의 표면에 장착되어 증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관과, 상기 커버의 저면에 상기 분사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좌변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상부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는소정 곡률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좌판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지지턱이 상기 커버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좌판과 커버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증기가 분사가능한 좌변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수단은 그 내부에 유입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막대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장착되어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좌변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를 전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좌판을 개폐가능한 커버 개폐수단이 더 장착되는 좌변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좌변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레버 인접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시 제어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좌변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좌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체중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체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좌변기.
KR10-2002-0025864A 2002-05-10 2002-05-10 좌변기 세척장치 KR10043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64A KR100435584B1 (ko) 2002-05-10 2002-05-10 좌변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64A KR100435584B1 (ko) 2002-05-10 2002-05-10 좌변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82A true KR20030087482A (ko) 2003-11-14
KR100435584B1 KR100435584B1 (ko) 2004-06-09

Family

ID=3238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864A KR100435584B1 (ko) 2002-05-10 2002-05-10 좌변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5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5805C1 (ru) * 2011-07-07 2012-11-10 Саркисян Ольга Владимировна Туалет
WO2015115788A1 (ko) * 2014-01-29 2015-08-06 서유진 위생 좌변기
CN105239649A (zh) * 2015-10-08 2016-01-13 四川农业大学 自动熏蒸消毒马桶盖
KR101655870B1 (ko) * 2015-06-01 2016-09-08 유원이엔씨(주) 변기세척장치
CN107334416A (zh) * 2017-08-24 2017-11-10 王佰忠 蒸汽卫生坐便器盖
CN108086433A (zh) * 2018-02-05 2018-05-29 李星 自清洗不堵无味便器
WO2019036829A1 (zh) * 2017-08-21 2019-02-28 王佰忠 蒸汽卫生坐便器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3B1 (ko) 2006-08-24 2007-05-18 주식회사 디씨엔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KR100951962B1 (ko) 2008-04-01 2010-04-09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좌변기의 시트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102Y1 (ko) * 1988-03-31 1993-05-27 주식회사 금성사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순환 장치
KR200176334Y1 (ko) * 1999-11-05 2000-03-15 윤봉식 좌변기용 환기장치
KR100464798B1 (ko) * 2000-12-01 2005-01-05 김형택 위생 변기
KR100454811B1 (ko) * 2001-11-27 2004-11-05 (주) 지엔티 좌변기용 좌대의 살균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5805C1 (ru) * 2011-07-07 2012-11-10 Саркисян Ольга Владимировна Туалет
WO2015115788A1 (ko) * 2014-01-29 2015-08-06 서유진 위생 좌변기
KR101655870B1 (ko) * 2015-06-01 2016-09-08 유원이엔씨(주) 변기세척장치
CN105239649A (zh) * 2015-10-08 2016-01-13 四川农业大学 自动熏蒸消毒马桶盖
WO2019036829A1 (zh) * 2017-08-21 2019-02-28 王佰忠 蒸汽卫生坐便器盖
CN107334416A (zh) * 2017-08-24 2017-11-10 王佰忠 蒸汽卫生坐便器盖
CN108086433A (zh) * 2018-02-05 2018-05-29 李星 自清洗不堵无味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584B1 (ko)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8745A (en) Sanitary spray-dry closet seat
KR102025342B1 (ko)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EP2295624A1 (en)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TWI316579B (ko)
KR100435584B1 (ko) 좌변기 세척장치
KR101303449B1 (ko)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CN101082231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KR20120014663A (ko) 비데장치 및 좌대 세정기를 구비한 양변기
KR100533560B1 (ko)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GB2314015A (en) Combined footbath, washbasin and dryer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JP4084021B2 (ja) 洋式便器に於ける便座洗浄装置
JP2001311200A (ja) 衛生洗浄装置
JP2005083085A (ja) 水洗便器洗浄装置
KR20100040788A (ko) 변기시트 자동세척기능을 구비한 비데 장치 및 변기시트 자동세척방법
JPS6113056B2 (ko)
JP2911313B2 (ja) トイレ用人体洗浄装置の操作スイッチ装置
JPH06197849A (ja) 大便器装置
JP2553667B2 (ja) 衛生洗浄装置
WO2000055438A1 (en) Hand-held bidet and method of use
JPH09173131A (ja) 洗髪装置
KR20130096570A (ko) 양변기
KR101765668B1 (ko) 탱크가 내장된 비데 및 탱크압력제어방법
JP2000120143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9179948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