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334Y1 - 좌변기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334Y1
KR200176334Y1 KR2019990024179U KR19990024179U KR200176334Y1 KR 200176334 Y1 KR200176334 Y1 KR 200176334Y1 KR 2019990024179 U KR2019990024179 U KR 2019990024179U KR 19990024179 U KR19990024179 U KR 19990024179U KR 200176334 Y1 KR200176334 Y1 KR 200176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ipe
seat
branch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봉식
Original Assignee
윤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봉식 filed Critical 윤봉식
Priority to KR2019990024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되는 배설물의 악취가 화장실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내부공기가 항상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변기본체(1)의 상면에 좌판(3) 및 덮개(4)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3)의 저면 외측부를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변기본체(1) 내측을 향해 복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하고 있는 흡기관(10)과; 상기 흡기관(10)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1)에 결합되는 결속부재(30)에 의해 상기 변기본체(1)의 측벽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분기관(20)과; 상기 변기본체(1)와 인접되도록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분기관(20)의 하향 연장된 단부가 연결되는 배기수단(40)과; 일측 단부를 상기 배기수단(40)에 연결한 채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50)과; 상기 좌변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판(3)에 착석하여 용변중임을 감지하게 되는 감지수단(60)과; 상기 감지수단(60)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용 환기장치 {Ventilator for a chamber pot}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한 채 좌변기의 좌판 하면에 부착되는 흡기관 및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을 각각 구비하는 통풍기를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그 즉시 화장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장실의 실내공기가 항상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화장실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동시에 용변중에 신문구독을 포함하여 독서를 즐길 수 있는 등 화장실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서, 기존의 재래식 변기에 비해 훨씬 청결한 것인 바 화장실 위생문화의 첫 걸음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종래의 좌변기는 이같은 다양한 편의성 및 청결함을 제공하지만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어쩔 수 없는 것이어서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아니라, 이러한 악취가 화장실 전체의 내부공기로 확산되게 되므로 화장실을 출입하는 모든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였다.
이같은 이유로 좌변기 주위 및 화장실 내부에 방향제나 공기청정제 등을 비치하기도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 내의 악취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제나 공기청정제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통해 화장실의 악취를 상쇄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악취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 바, 화장실의 악취제거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향제의 향기와 화장실의 악취가 혼합되어 더욱 이상한 냄새를 풍기게 되므로서, 사용자의 불쾌함이 더 한층 증폭되는 역효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실에서는 일측 벽면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는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의 전체 실내공기를 점차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함이지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상기 용변시의 악취가 화장실 내부공기로 확산된 다음에야 환기작용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해결방안을 검토하던 중, 악취원 발생시 이를 즉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으며, 이를 구체화하므로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고안은 좌변기의 좌판 하면에는 다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하고 있는 흡기관을 부착시키고, 상기 흡기관 및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을 구비하는 통풍기를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하므로서,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되는 배설물의 악취가 화장실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내부공기가 항상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기본체 2: 돌출턱부 3: 좌판 4: 덮개 5: 쫄대 6: 환풍기 10: 흡기관 11: T자형 결합구 12: 접착판 13: 악취포집관 20: 분기관 21: T자형 연결구 30: 결속부재 31: 체결관 32: 결합편 32a: 걸림돌기 33: 클립부재 34: 수직 지지부 35: 수평 지지부 36: 탄성편 36a: 손잡이 37: 스프링 38: 결합홈부 38a: 요홈 39: 밀착패드 40: 배기수단 41: 케이스 42: 모터 42a: 받침판 43: 냉각 팬 44: 받침다리 45: 완충 스프링부 46: 지지밴드 47: 컴프레서 50: 배기관 60: 감지수단 70: 제어부 80: 수동 스위치 90: 물체 감지센서 91: 착석 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변기본체의 상면에 좌판 및 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저면 외측부를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변기본체 내측을 향해 복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하고 있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에 결합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변기본체의 측벽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분기관과; 상기 변기본체와 인접되도록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분기관의 하향 연장된 단부가 연결되는 배기수단과; 일측 단부를 상기 배기수단에 연결한 채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과; 상기 좌변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착석하여 용변중임을 감지하게 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의 좌판(3) 저면에 부착되는 흡기관(10)과, 상기 흡기관(10)에 연결되는 분기관(20)과, 상기 분기관(20)의 일단이 연결되는 배기수단(40)과, 상기 배기수단(40)에 연결되어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50)과, 사용자가 용변중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6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기관(10)은 상기 좌판(3) 저면의 외곽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이같은 흡기관(10)에는 다수개의 T자형 결합구(11)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10)이 상기 T자형 결합구(11)의 양측부 및 중앙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T자형 결합구(11)의 상면에는 접착판(12)이 형성되어, 상기 접착판(12)을 좌변기의 좌판(3)에 결합하므로서 상기 흡기관(10)이 좌판(3)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T자형 결합구(11)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변기본체(1)의 내측을 향한 부위에는, 상기 변기본체(1)로부터 발산되는 악취를 포집하기 위한 악취포집관(13)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같은 악취포집관(13)은 그 일측의 폭이 변기본체(3)의 내측 방향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구조로서 일종의 깔대기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그 반대측에는 상기 T자형 결합구(11)를 통해 인출된 흡기관(1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같은 흡기관(10)에 상기 분기관(20)이 연결되어 변기본체(1)의 측벽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것으로, 이같은 분기관(20)은 상기 흡기관(10)의 어느 부위에 연결하여도 무방하겠으나, 미관이나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변기본체(1)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흡기관(10)의 상기 좌판(3) 후방측에 놓이는 부분에는 상기 악취포집관(13)이 결합되는 T자형 결합구(11)와 구분되는 또 하나의 T자형 연결구(21)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T자형 연결구(21)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흡기관(10)이 끼워지는 것이며, 이같은 T자형 연결구(21)의 중앙부는 상기 T자형 결합구(11)와는 반대로 상기 변기본체(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되며, 이같은 돌출부위에 상기 분기관(2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기관(20)에는 상기 분기관(20)이 변기본체(1)의 외측벽면을 따라 사방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재(3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속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본체(1)에서 그 상면과 측면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겠으며, 이같은 결속부재(30)는 상기 분기관(2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체결관(31)과, 상기 체결관(31)에 결합된 채 상기 변기본체(3)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클립부재(3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2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즉 변기본체(1) 상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상기 분기관(20)의 구조에 맞춰지도록 그 중앙을 기준으로 수직 절곡되는 구조이며, 이같은 체결관(31)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편(32)이 돌설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편(32)은 마주보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부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그 단부 내측면에는 걸림돌기(32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관(31)에 상기 클립부재(33)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같은 클립부재(33)는 수직 지지부(34)의 상·하 단부로부터 수평 지지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지는 'ㄷ'자형의 독립된 부재이며, 하측의 수평 지지부는 상기 수직 지지부(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편(3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 지지부(34)의 하부는 일정 폭만큼 절개되어 있으며, 이같은 절개부에 상기 탄성편(36)이 힌지 결합되되, 그 일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36a)를 형성하며, 변기본체(1)의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7)에 의해 항상 변기본체(1)의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같은 클립부재(33)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관(31)의 결합편(32)과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홈부(3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38)에는 상기 결합편(32)의 걸림돌기(32a)가 끼워지도록 요홈(38a)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측의 수평 지지부(35) 및 탄성편(36) 선단의 내면에는 밀착패드(39)가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체결관(31)에 클립부재(33)를 체결한 다음 상기 클립부재(33)를 변기본체(1)의 상부에 결합하므로서, 상기 분기관(20)이 변기본체(1)의 측벽에 밀착 지지되어 사방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33)는 변기본체(1) 상부의 돌출턱부(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편(36)의 손잡이(36a)를 눌러 탄성편(36)을 하향시킨 다음, 상기 클립부재(33)를 변기본체(1)의 돌출턱부(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6a)를 누르는 힘을 해제시키면, 상기 탄성편(36)이 상측으로 탄발되면서 상기 돌출턱부(2)의 저면에 밀착 되므로서, 상기 클립부재(33)는 변기본체(1)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35) 및 탄성편(36)에 부착된 밀착패드(39)가 상기 돌출턱부(2)의 미끄러운 표면에 접촉되므로, 상기 클립부재(33)는 변기본체(1)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됨이 방지된 채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속부재(30)에 의해 변기본체(1)에 밀착 지지된 분기관(20)의 하측 단부는 상기 배기수단(4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같은 배기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내부에 모터(42) 및 컴프레서(47)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42)의 구동축에 냉각 팬(43)이 결합되는 구성인 것으로, 상기 분기관(20)의 하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41)를 관통하여 상기 컴프레서(47)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41)는 그 외측 저면에 구비된 받침다리(44)에 의해 화장실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같이 이격시키는 이유는 화장실은 물기가 많은 공간이므로 케이스(41)가 물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44)는 원기둥 형상의 다리부가 상호 나사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화장실 바닥면의 기울기에 따라 그 각각의 높이를 달리 조절하여 상기 케이스(41)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겠다.
이같은 케이스(41)의 내측으로 모터(42)와 컴프레서(47)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모터(42)와 컴프레서(47)의 하부에 받침판(42a)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42a) 사이에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 구조를 갖는 완충 스프링부(45)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모터 및 컴프레서의 표면에 지지밴드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지지밴드 사이에도 상기 완충 스프링부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모터(42) 및 컴프레서 구동시의 진동을 상기 완충 스프링부(45)가 흡수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4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서(47)에 상기 분기관(20) 및 배기관(5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같이 구성되는 배기수단(40)은 변기본체(1)를 기준으로 어느 쪽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기본체(1)의 우측에 설치하는 것이 좋겠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화장실에서 화장지 걸이가 변기본체(1)의 우측에 설치됨에 따라 우측 벽면이 변기본체(1)와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배기수단(40)이 변기본체(1)와 화장실 벽면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가리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40)의 케이스(41)를 관통하여 그 일측이 상기 컴프레서(47)에 연결되는 상기 배기관(50)은, 그 타측이 화장실의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것이다. 이같은 배기관은 화장실의 벽면 가운데 어느 면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되어도 무방하겠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벽면의 모서리부를 따라 배관된 상태에서 기존에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던 환풍기(6)와 연계시켜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같이 기존의 환풍기(6)와 연계시키면 상기 배기수단(40)을 통해 배기관(50)으로 유도된 악취가 상기 환풍기(6)의 환기작용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관(5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면 미관상으로도 좋치않을 뿐만아니라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그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를 이루되, 화장실 내부를 향한 면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쫄대(5)를 화장실 벽면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배기관(50)이 상기 쫄대(5)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배관하는 것이다.
그리고, 좌변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변 중임을 감지하고, 상기 배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입력하게 되는 상기 감지수단(60)은 여러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겠다. 이같은 감지수단(60)의 일예로서 착석 감지센서(91)나 물체 감지센서(90)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착석 감지센서(91)를 좌변기의 좌판(3)에 설치하므로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좌변기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착석 감지센서(91)는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착석 감지센서(91)로는 사용자의 체중이나 체온을 통해 착석여부를 감지하도록 중량 감지센서 또는 열 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60)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변기본체(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물체 감지센서(90)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물체 감지센서(90)는 변기본체(1) 내의 설정된 위치로 소정의 물체가 통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용변시 변기본체(1) 내부로 떨어지는 배설물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착석 감지센서(91) 및 물체 감지센서(90) 중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여 제어부(70)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도 무방하겠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센서(90,91)를 모두 설치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착석 감지센서(91)에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면 상기 물체 감지센서(90)가 작동하고, 상기 물체 감지센서(90)에 사용자의 배설물이 감지되면 제어부(70)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져 화장실 벽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형태이면 될 것이다.
이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좌변기에 착석하므로서 착석 감지센서(중량 감지센서를 예로 설명함:91)에 그 체중이 감지되게 되면, 상기 착석 감지센서(91)는 물체 감지센서(90)를 스위칭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체 감지센서(90)는 설정된 위치에 소정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게 되면, 그 순간 떨어지는 배설물을 상기 물체 감지센서(90)에서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70)로 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배기수단(4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같은 배기수단(40)의 동작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의 제어동작에 따라 배기수단(40)의 모터(42)가 구동하면서 컴프레서(47)가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컴프레서(47) 작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변기본체(1) 내부의 악취는 악취포집관(13)을 통해 포집되어 흡기관(10) 및 분기관(20)을 통해 상기 컴프레서(47) 내부로 흡입된 다음, 배기관(50)을 통해 화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냉각 팬(43)이 작동되어 모터(42) 및 컴프레서(47)의 구동에 따른 열기를 케이스(41)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좌변기에서 일어서게 되면, 상기 착석 감지센서(91)는 사용자의 체중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물체 감지센서(90)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체 감지센서(90)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제어부(70) 및 배기수단(40)의 동작 또한 순차적으로 정지되는 것이고, 상기 착석 감지센서(91)에서 소정의 중량을 감지하고 있는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술한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과정은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한 작동과정과는 다른 흐름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수단(40)에 별도의 수동 스위치(80)를 설치하여 수동으로 상기 배기수단(40)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며, 이같은 수동 스위치(80)는 제어부(70)와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제작하면 될 것이다. 즉, 사용자의 용변시 이외에도 변기 내에서 악취가 나는 경우(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 이같은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 상기 수동 스위치(80)를 조작하여 배기수단(40)을 작동시킴으로서, 변기 내의 악취를 화장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환기장치가 지하철역 등 상업적 목적을 갖는 공공장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커피나 담배 등의 자동판매기와 같이 사용자가 환기장치의 작동을 희망하여 동전을 투입하는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시킴으로서, 영리를 추구하는 장치로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좌변기용 환기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그 즉시 화장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서, 화장실의 내부공기가 항상 청결하고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화장실을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변기본체의 상면에 좌판 및 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저면 외측부를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변기본체 내측을 향해 복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하고 있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에 결합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변기본체의 측벽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분기관과;
    상기 변기본체와 인접되도록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분기관의 하향 연장된 단부가 연결되는 배기수단과;
    일측 단부를 상기 배기수단에 연결한 채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과;
    상기 좌변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착석하여 용변중임을 감지하게 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흡기홀에는 변기본체 내에서 발산되는 악취를 포집하기 위한 깔대기형의 악취포집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분기관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그 표면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결합편을 돌설하되,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체결관과;
    상·하 단부가 수직 절곡되며, 하측의 절곡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탄성편으로 구성되고, 그 표면 및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관의 결합편과 대응되도록 요홈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클립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좌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온 또는 체중을 감지하는 착석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변기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19990024179U 1999-11-05 1999-11-05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176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79U KR200176334Y1 (ko) 1999-11-05 1999-11-05 좌변기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79U KR200176334Y1 (ko) 1999-11-05 1999-11-05 좌변기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334Y1 true KR200176334Y1 (ko) 2000-03-15

Family

ID=1959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179U KR200176334Y1 (ko) 1999-11-05 1999-11-05 좌변기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3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8115A1 (en) * 2002-10-28 2004-05-06 Bok-Sik Lee Sanitary ware having a deodorization function
KR100435584B1 (ko) * 2002-05-10 2004-06-09 (주)코리아카라반 좌변기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84B1 (ko) * 2002-05-10 2004-06-09 (주)코리아카라반 좌변기 세척장치
WO2004038115A1 (en) * 2002-10-28 2004-05-06 Bok-Sik Lee Sanitary ware having a deodoriz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900B2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with proximity sensor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US8332969B2 (en) Automatic control and battery power supply
JP4847443B2 (ja) 大便器用排気装置及び洗浄装置
US6804837B1 (en) Odor transporter system for a toilet bowl
US20130205484A1 (en) Toilet-seat equipped with noxious odor exhaust device
KR20060079761A (ko) 탈취 실내변기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0176334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CA2513996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US6370702B1 (en) Toilet enclosure with ventilation system
US201102030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and the like
KR200448605Y1 (ko) 좌변기 냄새 제거장치
JP200532071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KR200354378Y1 (ko) 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H0626605Y2 (ja) 自動排気装置付水洗便器
KR200176342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US20210395990A1 (en) Vented Toilet System
AU698377B2 (en) Cleanair - toilet seat
WO2001007723A1 (en) Ventilated sanitary device and a method for ventilating the same
KR200211889Y1 (ko) 냄새자동 제거 양변기 고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