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413A -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413A
KR20030087413A KR1020020025482A KR20020025482A KR20030087413A KR 20030087413 A KR20030087413 A KR 20030087413A KR 1020020025482 A KR1020020025482 A KR 1020020025482A KR 20020025482 A KR20020025482 A KR 20020025482A KR 20030087413 A KR20030087413 A KR 20030087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y
signaling
logical port
vpi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580B1 (ko
Inventor
김태연
홍성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2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5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Signalling, e.g. protocols, reference model

Abstract

본 발명의 ATM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은, ATM 교환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물리적인 링크를 가지는 UNI 상의 하나의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다른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과 교환시스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여 UNI 인터페이스 상에서 SVC 시그널링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 단말을 하나의 시그널링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에서 시그널링 기능을 대행하는 ATM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서로 다른 물리 링크로 연결된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에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생성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 식별자를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A Proxy Signaling Service Method in ATM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전송모드(이하, ATM이라 함) 교환시스템의 서로 다른 물리적인 링크를 가지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하, UNI라 함) 상에서 하나의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다른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과 교환시스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ATM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시스템은 가입자 단말 혹은 다른 교환시스템과의 연결을 통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이 원하는 다른 가입자 단말까지의 연결을 통하여 상호간의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개방형 ATM 교환시스템은 GSMP 프로토콜을 통하여 스위치의 STM-4, STM-1, DS-3, DS-1 등의 계위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며, 각각 UNI 혹은 NNI(Network-Network Interface;이하, NNI라 함)의 ATM 레이어의 셀을 지원한다.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단순한 통신 단말인 경우, 영구 가상 연결(Permanent Virtual Connection;이하, PVC라 함) 서비스가 가능하며, UNI 프로토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PVC 서비스는 물론 교환 가상 연결(Switched Virtual Connection;이하, SVC라 함)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때, 가입자 단말이 교환시스템에 직접 연결될 때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물리 링크에 하나씩 연결이 물리적으로 가능하며, 가입자 번호가 해당 인터페이스에 지정이 되어 가입자의 구분이 가능하다.
ATM 교환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가상적인 연결을 통하여 제공할수 있다는 가장 큰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이유는 가상연결(Virtual Connection;이하, VC라 함)에 있는데 이는 ATM에서 가상연결은 VPI와 VCI를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ATM 서비스는 요구되는 대역폭에 관계 없이 하나의 물리링크 상에 여러 개의 연결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ATM 교환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각각의 가입자 단말은 ATM 정합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특히, SVC 기능을 위해서는 ITU-T나 ATM FORUM 등의 표준화 기구에서 정의하는 UNI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프로토콜 기능은 권고안에 따라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고 유한상태기계를 운용하며, 프로토콜에서 정한 메시지와 정보 요소들로 구성이 된다. 이러한 프로토콜 메시지가 서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채널이 가입자 단말과 교환시스템 사이에 약속이 되어야 한다. 별도의 채널은 보통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 해당 물리 링크의 VPI는 0 이고 VCI는 5 인 채널을 설정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채널을 제어 채널 중에서도 시그널링 채널이라 하며 이러한 메시지등의 전달에 앞서 채널의 동기화 및 AAL(ATM Adaption Layer;ATM 적응층) 정합을 위한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SAAL이라 한다. 상기 SAAL이 활성화 된 후에는 앞에서 말한 채널을 통하여 정보가 서로 교환된다. 즉, 이를 통해서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 원하는 상대방 가입자 단말의 주소 및 QoS 정보등이 정보요소의 형태로 메시지에 캡슐화되어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UNI 인터페이스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링크 내에서 시그널링 기능이 의미를 가지며, VPI와 VCI값으로 가상연결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하나의 물리링크 상에서 여러 가입자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VPI별로 가입자를 나누어 VPCI 를 시그널링 키로 사용하여 가입자를 구분하여 시그널링 서비스를 수행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ATM 교환시스템과 독립적인 링크로 연결된 경우, UNI 상에서 SVC 서비스는 하나의 물리 링크상에서 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SVC 기능이 필요한 물리 링크마다 별도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야만 연결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UNI 상에서 SVC 시그널링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 단말은 교환시스템과의 연결 제어를 위해 별도의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해야만 했었다. 또한, 종래의 UNI 인터페이스에서 SVC 기능은 시그널링 채널이 설정된 물리 링크 혹은 물리 링크 내의 VPI 내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SVC 기능이 필요한 물리링크마다 별도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연결 제어기능을 수행해야만 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개방형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물리적인 링크를 가지는 UNI인터페이스 상에서 하나의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다른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과 교환시스템 사이의 연결제어를 통해 ATM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개방형 ATM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논리포트의 릴레이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록시 시그널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논리포트 생성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 생성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ATM 호 제어부(ACC) 40 : ATM 인터페이스 모듈
31 :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제어 기능블럭(UNPCF)
32 :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호 제어 기능블럭(UNCCF)
50 : 워크스테이션 모듈(WSM) 60 : 스위치 패브릭 모듈(SFM)
331 :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PSA) 333 : 교환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서로 다른 물리 링크로 연결된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에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생성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 식별자를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에,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제1 기능;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에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생성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 식별자를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3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물리적인 UNI 링크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그룹으로 지정한 후 하나의 SVC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내의 모든 링크들을 효율적으로 사용자 혹은 교환시스템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물리 링크상의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프록시 포트를 정의하고 이들을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 처리하며, 하나 이상의 프록시 포트를 가상연결 하기 위한 프록시 대행자를 지정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한다. 또한, 실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서비스를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된 프록시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연결 식별자로 프록시 포트를 구분하고 포트에 정의된 VPI값에 따른 가상 연결 제어 기능을 처리한다.
ATM 교환시스템에서 UNI 인터페이스상의 SVC 서비스는 물리링크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서비스를 망에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프로토콜로 그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프로토콜은 상술한 표준화 기구를 통해서 협의 되는데 기본적으로 ITU-T의 DSS2 시그널링 표준과 ATM-Forum 의 UNI3.0, UNI3.1, UNI4.0의 시그널링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정해진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서 전달되는데 이를 위해서 미리 단말과 망 사이에 시그널링 채널의 설정과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의 물리링크에 하나의 시그널링 채널이 설정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때는 VPI는 0, 그리고 VCI는 5번을 사용하여 메시지가 교환된다. 하지만 시그널링 채널의 설정 없이 가상연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그널링 대행자를 지정하고 또 시그널링 대행자와 사용자 단말, 교환시스템 사이의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ATM 교환시스템의 구성도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MM(Access Multiplex Module;10), MGM(Media Gateway Module;20)및 AIM(ATM Interface Module;40)은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즉 UNI 혹은 NNI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이다. SFM(Switch Fabric Module;60)은 스위치 모듈을 나타내며, WSM(WorkStation Module;50)은 운용자 정합이나 운용보전 기능을 위한 워크스테이션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입자 처리는 ACC(ATM Call Controller;3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ACC(30)는 교환시스템의 호 제어를 위한 기본 프로세서로서 여러 개의 응용 블록들이 각 기능을 수행한다. 이 중에서 LPCF(Logical Port Control Function;33)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입자 관리를 위한 논리포트의 설정, 운용자 정합,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논리포트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시그널링 채널의 설정요구나 VPI 포트의 생성,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UNPCF(User Network Interface Protocol Control Function;31) 및 UNCCF(User Network Interface Call Control Function;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입자나 일반 가입자 등의 UNI SVC기능을 위한 블록으로서, 상기 UNPCF(31)는 프로토콜과 SAAL 인터페이스를 관련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UNCCF(32)는 가입자가 요구하는 연결을 위해서 교환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논리포트의 릴레이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로서, 도 1에 도시한 ATM 교환시스템에서 논리포트의 구성과 릴레이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논리포트 번호의 구성으로서 R_LPORT_INF 릴레이션의 키가 되기도 한다. 논리 포트번호는 물리적 형상정보(221)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는 스위치 장치에 따라 내용이 변경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연결제어 기능에서는 물리적 형상이 어떠한 의미인지 알 필요가 없다. 범용 스위치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서 분할된 ATM 정보에는 하나의 스위치에서 어느 특정한 제어계가 해당 GSMP포트를 관리할 것인지를 알려준다. 논리포트 또한 이러한 제어계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마스터(222)라고 표현한다. 하나의 마스터에서는 여러 개의 논리 포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상경로(Virtual Path) 단위까지 가능하다.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논리포트의 구성에는 자기 포트의 고유한 번호를 가지는데 이를 논리포트 구분자(223)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논리포트 번호를 키(224)로 한 논리포트 릴레이션인 R_LPORT_INF의 구성을 도 2(b)에 나타낸다. 우선, 논리포트의 VPI 범위(225), VCI 범위(226), 순방향 대역폭(227) 및 역방향 대역폭(228)은 상기 논리포트가 가지는 기본적인 ATM 링크의 자원을 나타낸다. 링크 타입(229)은 UNI와 NNI중 하나를 가리킨다. 이것은 ATM방식의 ATM 레이어에서 셀의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UNI와 NNI 는 셀의 포맷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UNI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링크 타입이 UNI인 경우에 해당한다. 논리포트 타입(230)은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논리포트가 물리적인 링크 하나와 일대일로 매핑되는 경우의 물리링크 타입과, 물리 링크상의 VPI별로 독립적인 대역폭을 보장하는 Logical VPC 타입/VPI만을 독립적으로 가지는 VPI Associate 타입으로 구분되며,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를 프록시 대행자를 통해서 서비스 하기 위한 그룹 타입으로 나뉜다. 이를 위하여, 운용자 명령으로 프록시 포트의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한데, 이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논리포트 상태(231)는 포트의 상태를 나타내며 Normal, Down, Block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Normal은 해당 포트가 서비스 가능함을 나타내며, Down은 해당 포트가 준비가 되지 않거나 그 외의 비정상적인 상태이어서 서비스 불가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Block은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포트가 정상, 비정상 유무를 떠나서 서비스를 제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논리포트 그룹(232)은 상기에서 설명한 논리포트 타입(230)이 그룹 타입인 경우이며, 그룹 타입인 경우에 그룹의 번호를 나타낸다. 프록시 포트로 지정이 되면 프록시 그룹 정보를 가지게 되며 이를 논리포트 정보에 저장한다. 그룹 포트가 아닌 경우에는 1로 나타낸다.
VPI 포트(233)는 VPI 포트가 해당하는 원래의 논리 포트를 나타낸다. 즉 어떠한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에서 여러개의 VPI 포트를 생성했을 때, 각 VPI 포트에 원래의 논리포트를 나타냄으로써 다중 가입자 서비스에서 하나의 링크내의 VPI 포트들간의 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프로토콜(234)은 SVC 서비스를 위하여 해당 논리포트에 사용되는 특정한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UNI인 경우에는 DSS2, UNI3.1, UNI4.0 등의 프로토콜이 배정이 가능하다. 프로토콜 배정을 통하여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지정이 되는데,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프록시 시그널링 서버 등록의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가상 UNI(235)는 가상 UNI 서비스를 위해서 배정된 가상 UNI 번호로서, 하나의 물리링크 포트에 여러 개의 VPI 포트가 같은 VPCI를 갖는 경우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VPCI 번호(23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록시 논리포트를 지정하여 지정된 포트를 앞에서의 그룹번호와 함께 구분하기 위해 배정되는 번호로서 시그널링을 통해서 구분이 가능하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LMI 사용(237)은 포트에서 ILMI 기능을 수용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AW값(238)과 Agg_Token(239)은 PNN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링크의 속성을 나타낸다. 서비스 가용률(240)은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논리 포트의 대역의 활용 범위에 대한 비율로서 100 인 경우는 100% 모두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3에서, PSA(Proxy Signalling Agent;331)는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나타내며 교환시스템과 시그널링 채널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 A, B, C(332)는 각각 ATM 시그널링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ATM 단말이며 교환시스템과 연결되어 특정 VPI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 상기 A, B, C단말(332)은 시그널링 기능이 없으므로 교환 시스템과 시그널링 채널의 연결이 필요 없으며, 망의 설계시에 미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VP 경로만을 연결한다. 도 3의 일실시예는 각각의 단말이 VPI 0을 가지는 VP 경로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각 단말(332)이 STM-1으로 교환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면, 각 VP 경로는 155Mbps의 대역을 가지게 되고, 또 다른 VP 경로를 가져야 한다면 155Mbps를 나누어(Dimensioning), 각기 다른 VP 경로를 가지면 된다. 이 때, 물론 VPCI의 유일한 값을 가져야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의 실제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PSA(331)는 자신이 A,B,C 단말(332)을 대신하여 시그널링 기능이 수행할 것을 미리 알고있다. 만약 A 단말이 발신하여 SVC 연결 서비스를 하고 싶으면 교환시스템(333)으로 연결된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SETUP메시지를 전송할 때 연결 식별자를 Explicit VPCI로 하여 VPCI는 1의 값을 넣어 망으로 전송한다. 망에서는 프록시 서비스임을 판단하여 해당 VPCI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찾는다. A단말과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찾으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VPI를 찾아 원하는 VCI가 있으면 이를 배정하고 아니면 해당 VPI 내의 VCI 중의 하나를 배정하여, 상기 PSA(331)로 CALL PROC나 ALERT 혹은 CONNECT 메시지를 통해서 배정된 결과를 통보한다.
착신 서비스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A,B,C 단말(332)은 동일한 가입자 번호를 공유하게 되므로 해당하는 가입자 번호로 서비스가 요구 되면 상기 교환시스템(333)에서는 상기 PSA(331)로 SETUP메시지를 보내고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 줄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교환시스템(333)에서는 연결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PSA(331)에서 배정해 주는 연결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만약 요구하는 서비스의 대역폭이 특정한 링크에만 해당이 될 경우에는 해당하는 인터페이스의 VPCI를 넣어 호 설정을 요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 기능을 위한 프록시 논리포트 생성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록시 논리포트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운용자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에 프록시 논리포트를 하나 이상 생성할 수 있는데, 상기한 WSM(50)에서 운용자의 프록시 포트 생성 요구를 받아 들인다(S401). 이 때 입력되는 정보는 기존의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 VPI,VPCI, 순방향 대역폭, 역방향 대역폭, 그리고 프록시 그룹 번호이다. ACC(30)의 LPCF(33)에서는 상기 프록시 논리포트의 생성 요구에 따라 입력된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 정보를 R_LPORT_INF에서 확인한다(S402). 해당 논리포트가 존재하고 상기 논리포트가 물리링크 타입임이 확인되면 입력된 VPI의 범위를 확인한다(S403). 다음으로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를 위해서 교환시스템에서 정의한 프록시 그룹번호를 지정한다(S404).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는 운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으며, 논리포트 관리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어 대역폭을 확인한다(S403). 만약, 대역폭이 주어지는 경우 특정 VPI와 관련된 가입자의 서비스 대역을 망에서 보장하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을 경우로서 이때는 해당 물리링크의 현재 남아있는 대역폭에서 입력된 순방향, 역방향 대역만큼의 감산으로 인한 변경하고, 대역폭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VPI 만을 약속하는 경우로서 가입자 단말에서 대역을 제한할 필요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가입자 단말에서 이미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상의 확인이 끝나면 프록시 논리포트의 생성이 되어 R_LPORT_INF에 추가된다(S406). 이 때, 논리포트의 번호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바이트로 구성되며, VPI는 입력된 단일 VPI를 사용하고 대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명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명시된 값이 입력되고, 명시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의 값이 그대로 입력된다. 또한, 논리포트의 타입은 그룹 타입이며, VPCI는 입력된 번호를 사용하여 릴레이션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내용 및 새로운 프록시 논리포트를 운용자에게 출력해 준다(S407).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 생성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대행자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는 도 4의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 중의 하나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가 될 수도 있다. 먼저, 운용자가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 생성을 요구한다(S501). 이 때, 입력되는 정보는 논리포트의 번호와 프록시 그룹번호이다. 이어, ACC(30)의 LPCF(33)는 입력된 논리포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프로토콜이 현재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2). 만약에 논리포트가 없거나 프로토콜이 이미 등록이 되어 있다면(S503), 수행을 중단하고 운용자에게 이를 출력한다(S507). 그렇지 않다면(S504), 프록시 그룹번호를 확인한다(S504).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는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들의 그룹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며, 그룹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성은 실패한다.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가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들의 그룹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UNI SVC기능을 수행하는 UNPCF(31)와 UNCCF(32) 블록 중에서 UNCCF(32) 블록으로 UNI 포트 등록 요구를 하면(S505), 상기 UNCCF(32)는 상기 UNPCF(31)로 이를 요구하게 되고 해당 논리포트에 시그널링 채널을 등록하고 상기 시그널링 채널의 등록의 결과를 상기 LPCF(33)로 통보한다(S506). 이어, 상기 결과를 운용자에게 출력한다(S507). 이상과 같이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생성이 끝나면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준비가 모두 끝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 흐름도이다. UNI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는 가입자 단말에서 SETUP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시작된다. 물론, 상기 메시지는 상기에서 설명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설정이 준비된 상태에서 시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ACC(30)의 UNPCF(31) 블록은 SETUP 메시지를 UNCCF(32)로 전송한다(S601). 상기 SETUP 메시지를 받은 상기 UNCCF(32)는 현재 서비스가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 대행인지를 확인한다(S602). 즉, 상기에서 설명한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로 등록된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서 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라면, 이 때 받은 상기 SETUP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의 이상 유무나 기타 메시지를 구성하는 정보요소들의 내용을 확인한다(S603).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없으면 연결 식별자 정보를 SETUP 메시지로부터 분석하여 해당하는 연결 식별자를 할당한다(S604). 이 때, 상기 연결 식별자는 SETUP 메시지에 선택적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SETUP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에 상기 연결 식별자 정보 요소의 의미에 따라서 다르게 처리한다(S605). 여기서, 상기 연결 식별자가 상기 SETUP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VCC(Virtual Channel Connection)에 대해서는 VP-associate 요구가 있을 수 있고 Explicit VPCI 요구가 있을 수 있고 또한 No indication(아무 지시가 없는)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상기 VP-associate 요구는 해당하는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에 설정된 VPI 내의 VCI로 배정하여 연결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 때에는 별도의 정보가 따로 필요없다. 망에서는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 VPI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해당 VPI 내에서 VCI를 할당한다(S606). Explicit VPCI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 내의 VPCI를 할당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미리 할당한 VPCI값에 따라 프록시 논리 포트를 찾고(S607), 해당하는 VPI값 내의 VCI를 할당한다(S608). 즉, 우선 SETUP 메시지 내의 Explicit하게 전송되어 온 VPCI 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에 등록된 그룹번호와 추출된 VPCI, 두 개를 키로 하여 릴레이션에서 해당하는 프록시 논리포트를 검색한다(S607). 정상적인 경우라면 그룹번호와 VPCI가 일치하는 프록시 논리포트를 찾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찾은 프록시 논리포트의 VPI를 가지고 SETUP 메시지에 VCI 값이 명시되어 있다면 이를 할당하고, 아니면 임의의 VCI를 할당한다(S608). 이 때 찾은 프록시 논리포트는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와 같은 물리 링크일 수도 있으며 아닐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가 프록시 논리포트 중의 하나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No indication의 경우는 상기 SETUP 메시지에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는 망에서 임의로 할당해도 무관하다는 의미로서 별도의 제약이 없다. 이 때에는 우선적으로 그룹번호가 일치하는 프록시 포트들 중에서 대역폭을 확인하고(S609), 상기 대역폭을 만족하는 프록시 포트에서 VPCI값과 VPI를 추출하여 VPI 내의 VCI를 할당한다(S610).이어, CALL PROC 메시지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 VPCI와 상기 할당된 VCI를 넣어 상기한 PSA(331)에게 전송한다(S611).
이후, 호는 계속 진행되어 호의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선택된 연결 식별자를 통해서 ATM 서비스가 시작된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ATM 시그널링 기능을 가지는 단말을 굳이 사용하지 않고도 SVC기능을 갖는 것과 유사한 기능이 가능하다.
둘째, 하나의 가입자 주소를 가지고 교환시스템에서 사용하므로 상대쪽 가입자에게는 전체 프록시 그룹의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셋째, 사설망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사설망과의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SVC 링크로 사용하여 여러 링크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서로 다른 물리 링크로 연결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에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생성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 식별자를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에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서비스를 위한 물리링크 타입의 논리포트, VPI, VPCI, 프록시 그룹번호, 순방향 대역폭 및 역방향 대역폭 정보를입력받은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논리포트의 유무를 체크하여 해당 논리포트가 존재하면 상기 입력된 VPI의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 및 상기 대역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정보로 새로운 VPI 논리포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확인은,
    대역폭이 주어지는 경우 해당 물리링크의 현재 남아있는 대역폭에서 상기 입력된 순방향 및 역방향 대역폭만큼 감산에 따른 변경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VPI 논리포트의 번호, 프록시 그룹번호 및 프로토콜 타입으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 생성을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논리포트의 번호에 해당하는 논리포트의 존재유무를 체크하여 존재하면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가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해당 논리포트에 시그널링 채널 설정을 요구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결과를 통보받아 상기 운용자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그룹번호는,
    상기 생성한 프록시 논리포트의 그룹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로부터 프록시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호의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적합성이나 메시지의 구성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에 연결 식별자의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 식별자의 정보가 VP-associate인 경우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이 설정된 VPI 내의 VCI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 식별자의정보가 explicit-VPCI인 경우 상기 그룹번호 및 VPCI 값에 따라 해당하는 프록시 논리포트를 확인하고 포트의 할당된 VPI에서 VCI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연결식별자를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룹번호가 일치하는 프록시 포트들 중에서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대역폭을 만족하는 프록시 포트에서 VPCI 값과 VPI를 추출하여 상기 VPI 내의 VCI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식별자에 해당 VPCI 및 상기 할당된 VCI를 포함시켜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로 전송하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8. 컴퓨터에,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논리포트를 생성하는 제1 기능;
    상기 생성된 프록시 논리포트에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를 생성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설정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록시 시그널링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시그널링 대행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 식별자를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3 기능;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25482A 2002-05-09 2002-05-09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KR10044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82A KR100440580B1 (ko) 2002-05-09 2002-05-09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82A KR100440580B1 (ko) 2002-05-09 2002-05-09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13A true KR20030087413A (ko) 2003-11-14
KR100440580B1 KR100440580B1 (ko) 2004-07-19

Family

ID=3238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82A KR100440580B1 (ko) 2002-05-09 2002-05-09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5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858A (en) * 1997-02-18 2000-08-29 Virata Limited Proxy-controlled ATM subnetwork
KR100243671B1 (ko) * 1997-12-17 2000-02-01 이계철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템의 전용선 가상 연결 서비스 방법
US6289001B1 (en) * 1998-10-15 2001-09-11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TM proxy signaling
JP2001298463A (ja) * 2000-04-17 2001-10-26 Oki Electric Ind Co Ltd シグナリ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580B1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8586A (en) ATM virtual private networks
US5777994A (en) ATM switch and intermediate system
US6314098B1 (en) ATM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ssion supervising and connection supervising functions
EP0904648B1 (en) Flexible bandwidth negotiation for the block transfer of data
KR100283189B1 (ko) 개량 에이티엠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에이티엠 네트워크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De Prycker ATM switching on demand
KR100440580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JP2001508618A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199929B2 (ja) 電気通信ノードの内部トラフィック
US6859457B1 (en) Substitution call control system in ATM communication network
Cisco Configuring BXM Virtual Switch Interfaces
EP1145588B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atm connections between exchanges
US73494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set-up 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everal switching units and several processing units
KR19990087607A (ko) Atm 네트워크를 통한 atm 셀의 전송 방법
KR100438902B1 (ko) 교환시스템에서 다중가입자 호에 대한 svc 서비스 방법및 그 장치
JP2000049799A (ja) Atm交換機及びatmコネクションの品質制御方法
JPH1168782A (ja) シグナリング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10025879A (ko) 비동기방식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100233826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시스템에서 호의 연결 수락 제어 방법
US7480732B1 (en) Multicasting method and system using an ATM switch
KR100373334B1 (ko)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넌에이티엠 서비스 연결 제어 방법
EP1847075B1 (en) Atm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20020070574A (ko) 교환기의 신호채널 설정 및 관리방법
KR20010053862A (ko) 비동기전송모드(atm)망에서 인터넷 아이.피(ip)패킷전송 방법
KR20030040805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