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057A - 셀룰러 기지국용 전송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셀룰러 기지국용 전송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057A
KR20030087057A KR10-2003-7013004A KR20037013004A KR20030087057A KR 20030087057 A KR20030087057 A KR 20030087057A KR 20037013004 A KR20037013004 A KR 20037013004A KR 20030087057 A KR20030087057 A KR 2003008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s
transmitters
network
signals
frequency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만 리차드 님모-스미스
Original Assignee
키네티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네티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네티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8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우(tow)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과 (122CD)를 통합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전송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제 1 전송 멀티플렉서(122ABE)는 세 개의 전송기들(124A, 124B, 124E)로부터 한 그룹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band-pass filtera)(126A, 126B, 126E)에 그들을 필터링하고, 제 2 전송 멀티플렉서(122CD)는 두 개의 다른 멀티플렉서들(124C, 124D)로부터 한 그룹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126C, 126D)에 그들을 필터링한다. 각 신호 그룹 내의 전송 주파수들은 인접하지 않고(non-adjacent), 필터들(126)에 의해 제공된 전송기들 간의 아이솔레이션을 개선한다. 각 대역 통과 필터들(126)로부터 필터링된 출력 신호들은 신호들이 이러한 출력들 간의 아이솔레이션의 정도를 제공하고 그 신호들이 최소의 왜곡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기(132)에 결합된 출력 필터들(128X, 128Y)에 결합된다. 그 결합기(132)로부터의 신호들은 전송/수신 안테나에 듀플렉서(duplexer)를 통해 공급된다.

Description

셀룰러 기지국용 전송 네트워크{Transmit network for a cellular base-station}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들의 오퍼레이터(operator)들은 연관된 마스트(mast) 및 안테나들을 갖는 그들 자신의 기지국들을 이용한다. 기지국 사이트들의 공유(sharing)는 거의 없으며, 발생하는 임의의 공유가 단지 마스트의 공유로 제한된다.
제 3 세대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의 현재 계획중인 도입은 기지국 사이트들의 수가 증가될 것을 요구하고, 필요한 위치들을 획득할 시 어려움들을 초래할 것이다: 이는 사이트 공유가 연관된 설비 비용 공유의 기부들과 함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게 점점 매력적인 옵션이 되게 할 것이다.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들은 원하는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을 정의하며, 이는 각각의 안테나와 기지국과 각각 연관된 오버래핑 셀들의 수로 분할된다. 각각의 셀은 그 셀 내의 모든 모바일 무선들과 무선통신을 유지하는 고정된 기지국을 포함한다. 그 기지국들 자체들은 고정된 통신들의 몇몇 다른 형태, 보통 망사형 구조(mashed structure)의 몇몇 종류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이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전체의 모바일 무선들이 다른 모바일 무선 및 또한 그 셀룰러 네트워크 외부의 공중 전화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셀 및 기지국과 연관된 각각의 안테나는 그 셀 내의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이는 많은 개별적인 안테나 소자들을 통합하는 복합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각각은 그 셀의 제한된 부분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공유 기지국 위치들 및 시설들이 바람직할지라도, 불운하게도 그와 연관된 어려움들이 있다. 영국에서, 각각의 전송/수신 주파수 대역들은 모바일 무선들과 기지국들 간의 전송을 위한 5개의 오퍼레이터들에 할당된다. 그 결과의 5개의 전송 대역들은 인접해 있어서 5개 각각의 대역들:즉, 다른 오퍼레이터들에 할당된 인접한 대역들 간에 어떠한 갭들도 없다.
하나의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기지국 구조는 분리형 수신 및 전송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대안으로 듀플렉서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된다면, 단일의 안테나가 전송 및 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분리형 기지국 사이트를 갖는 경우, 이러한 두 대안들이 적절하지만, 이는 오퍼레이터들이 사이트를 공유할 때 어려움들을 생성한다. 기지국 사이트를 공유하는 일반적인 접근법은 개별 안테나들을 갖는 오퍼레이터들을 포함한다. 5개의 오퍼레이터들이 사이트를 공유하지만 개별 안테나들을 사용한다면, 이는 다른 높이들로 5개의 안테나들을 지지하는 기지국 마스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차례로 단일의 안테나에대한 높이와 비교되기 때문에 증가된 마스트 높이를 요구하고, 강한 바람에서도 동작하는 보다 강한 마스트 구조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마스트 비용은 증가한다. 게다가, 보다 큰 마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트들은 획득하기가 어렵다: 계획 허가(planning permission) 또는 구역제 문제들(zoning problems)이 있으며, 큰 마스트는 환경적으로 눈에 거슬리며, 보기 흉하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들의 많은 오퍼레이터들이 연관된 마스트들과 안테나들을 갖는 그들 자체의 기지국들을 이용한다. 사이트들의 공유가 거의 없고, 발생할 임의의 공유가 단지 마스트의 공유에만 제한되고, 역시 안테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3 세대(3G)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의 도입은 기지국 사이트들의 수가 증가될 것을 요구할 것이다: 필요한 부동산을 획득하는데 어려움들이 있을 것이며, 기술적인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면 사이트 공유가 점점더 매력적인 옵션이 될 것이다.
사이트 공유의 포괄적인 개념은 TWS Inc.의 Suanne Smith에 의해 "Site Sharing For Cost Minimisation"의,www.twsinternational.com/papers/ Nov98SiteSharing.pdf에 공개되어 있다 (1998년 11월). 일반 안테나 구조에서 다중 안테나들의 사용은 K&L Mictowave Inc.의 B L. Wixon에 의해 "Tunable CDMA Combiners Add Cellular/PCS Capacity"의www.klmicrowave.com.news/mrf sept97.html에 공개되어 있다 (1997년 9월). "Suggested VHF/UHF Trunking Configurations"의 www.sinctech.com(2001년 10월 22일)에서, SinclairTechnologies Ltd는 전송기 결합기의 아이솔레이터(isolator)들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영국 특허 출원 번호 2,006,579 A(Watanabe et al.), PCT 출원 번호 WO 97/44914(Gammon) 및 PCT 출원 번호 WO 92/12579(Prokkola) 모두는 안테나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송을 위해 다른 전송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셀룰러 기지국(cellular base-station)용 전송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들로 친숙하게 언급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들에 이용가능한 종류의 전송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3 세대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종래 기술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120˚의 섹터링된 안테나를 갖는 도 1의 네트워크에 대한 종래 기술의 기지국의 커버리지의 개략도.
도 3은 듀플렉스 기지국 주파수 할당의 종래 기술의 제 3 세대 주파수 분할 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분리형 전송 및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 종래 기술의 기지국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전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기지국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의 기지국 마스트 공유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송/수신 안테나의 공유를 위한 종래 기술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수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중 캐리어 전력 증폭기(multi-carrier power amplifier)를 갖는 도 7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멀티플렉서 필터들을 이용하여 도 7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멀티플렉서 필터들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전송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멀티플렉서 필터들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의 네트워크의 변형 시 직교로 편공된 안테나 소자들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공간의 수신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 12의 네트워크의 수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전송기들 간의 신호 아이솔레이션의 제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 및 도 19는 개별 인접 전송 주파수들에 대한 보호 대역(guard band)들로서 비사용 캐리어 주파수들의 제공을 도시하는 도면.
기지국의 다중 사용을 허용하기 위한 대안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용의 전송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그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송기들을 통합하고, 그 전송기들이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네트워크는:
a) 복수의 출력 신호들의 그룹들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주파수에서 이격된 그러한 복수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출력 신호들의 그룹을 제공하고,
b)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interference)이 억제되도록 대역 통과 필터들에서의 여과 후 그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수용가능한 형태로 복수의 전송기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 네트워크는 그룹의 출력 신호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이어서 신호 그룹들을 결합함으로써 그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출력 신호 그룹들은 각각 2개의 출력 신호들과 3개의 출력 신호들의 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는 전송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신호 그룹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된 서로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radiating element)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역 통과 필터들과 그 신호 그룹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 전송기들과 그들의 연관된 대역 통과 필터들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서 신호들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복수의 전송기들로부터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 내의 출력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방법은 또한:
a) 그 출력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주파수에서 이격된 복수의 출력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단계와,
b)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에서 각각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c)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 내의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이 억제되는 방식으로 그 필터링된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방법은 한 그룹의 출력 신호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이어서 신호 그룹들을 결합함으로써 그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출력 신호 그룹들은 각각 두 개의 출력 신호들과 세 개의 출력 신호들의 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합된 출력 신호들은 각각의 출력 신호 그룹들을 전송을 위해 수신하도록 배치된 상호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들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 대역 통과 필터들과 그 출력 신호 그룹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 간에 아이솔레이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그 전송기들과 그들의 연관된 대역 통과 필터들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출력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이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수 있도록, 그 실시예들이 이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의 방식으로 기재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된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가 각각의 셀(12)의 각각의 원형 영역(체인 형태로 도시됨) 내의 모바일 무선(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하는 개별 기지국들(BS)의 어레이로 정의된다. 그 셀들(12)는 오버래핑한다. 그 기지국들(BS)은 셀들(12)의 영역 전체의 모바일 무선들이 서로와 통신하기 위해 결합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 영역 외부의 공중 전화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이후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기지국은 모바일 무선들과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 구조(20)을 가진다: 설명하자면, 그 안테나 구조(20)는 완전 360˚ 수평 커버리지를 획득하기 위해 120˚의 세 개의 섹터들을 위해 오버래핑 커버리지(22A, 22B, 22C)를 제공한다. 이는 세 개의 분리형 안테나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각각은 120˚의 빔폭(beamwidth)을 가지며, 그 셀의 제한된 부분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도 3은 제 3 세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3G FDD)를 도시하며, 그 주파수 대역들은 영국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영국(UK) 무선 통신 에이전트에 의해 할당된다. 5개의 영국 오퍼레이터들 각각은 라이센스 A, B, C, D 또는 E로 라벨링된 할당된 스펙트럼의 서브대역 또는 특정 부분 및 그 모바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그러한 또 다른 부분을 사용하도록 라이센싱되어 있다. 모든 5개의 결합에 대해, 그 전체 스펙트럼 할당은 기지국들로부터의 FDD 전송을 위해 2110.3㎒ 내지 2169.7㎒의 대역으로 구성되며, 모바일 무선들로부터의 전송을 위해 1920.3㎒ 내지 1979.7㎒의 대역으로 구성된다. 이들 대역들의 에지들에 비할당된 주파수 간격들 또는 보호 대역들(도시되지 않음)이 있을지라도, 개별 오퍼레이터의 서브대역들 A, B, C, D, 및 E 사이에는 어떠한 갭들도 없다. 이후 보다 상세하게 기재될 것처럼, 이는 모든 오퍼레이터들에 대해 통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면, 문제를 제기한다.
일반적으로 40으로 표시된 통상의 종래 기술의 기지국 구조가 도 4에 도시된다. 이는 각각 연관된 전송기 및 수신기 회로들(46, 48)로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두 개의 분리형 안테나들(42, 44)를 갖는다. 대안의 종래 기술 구조(50)가 도 5에 도시되며, 단일의 오퍼레이터의 전송기 및 수신기 회로들(52, 54)가 듀플렉서(58)를 통해 기지국 안테나(56)에 접속되며, 이는그 안테나를 통해 동시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한다. 기지국이 많은 분리된(discrete) 섹터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은 각각의 구조들(40, 50)을 갖는다.
그 구조들(40, 50)은 각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각각의 기지국 사이트를 갖는 경우 만족할만 하지만, 이는 점점더 제공하기가 어렵게 되고 있다. 도 6은 기지국들을 공유하기 위한 통상의 종래 기술의 구조(60)를 도시한다: 이는 각각에 대해 각각의 전송/수신 안테나를 갖는 사이트를 공유하는 5개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적절하다. 그 결과는 기지국 마스크(62)에 부착된 전체 5개의 안테나들 A, B, C, D, E이며, 각 안테나는 다른 높이이다. 그 안테나들(A 내지 E)은 각각의 전송기 회로(64A 내지 64E)를 갖는다. 단일의 안테나에 대해 사용된 것과 비교하면, 마스트 높이는 5개의 안테나들을 수용하기 위해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그 증가된 높이는 마스트 구조가 강한 바람에서 동작을 유지하도록 강해져야 하며, 이는 비용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모든 사이트들이 보다 큰 마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지역 당국으로부터 계획 허가를 획득할 때도 어려움들을 종종 겪게 된다. 안테나들을 포함한 큰 마스트들은 보기 흉하고 눈에 거슬리며, 환경적으로 몇몇 사이트들에서 받아들여질 수 없다.
도 7은 요구되는 전송/수신 안테나들의 수를 5개에서 1개로 감소시키기에 적절한 개념적 종래 기술 구조(70)를 도시한 것이다. 5개의 오퍼레이터들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에 접속된 각각의 전송기들(TxA 내지 TxE)과, 수신 스플리터 네트워크(74)에 접속된 수신기들(RxA 내지 RxE)을 갖는다. 그 네트워크들(72, 74)은 듀플렉서(76)를 통해 공유 안테나(74)에 접속된다. 그 전송기들(TxA 내지 TxE)은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에 결합되고 듀플렉서(76)에서 안테나(78)로 통과하는 RF 신호들을 생성한다. 원격 모바일 무선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안테나(78)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안테나로부터 듀플렉서(76)를 통해 수신 스플리터 네트워크(74)로 공급되고, 이는 그 신호들을 5개의 수신기들(RxA 내지 RxE)이 동등하게 공유한다.
이제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간단한 형태로 수신 스플리터 네트워크(74)는 저-잡음 증폭기(80) 및 수동 신호 스플리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조(70)는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의 실제 구현을 요구한다: 이는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며, 이는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대안의 시도들을 설명할 것이다. 그 도면들은 실행가능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사실상 5개의 결점들을 갖는 네트워크들을 보여준다.
도 9는 그 5개의 전송기들(A 내지 E)을 결합하기 위해 수동 네트워크(92)를 포함하는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의 가능한 형태를 도시한다: 불운하게도 그 수동 네트워크(92)는 전송 범위를 수용불가능하게 감소시키는 현저한 신호 손실을 도입한다. 그 손실을 개선하기 위해,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는 원격 모바일 무선들과 수용가능한 통신을 하기에 적절한 레벨로 신호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RF 선형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94)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의 결점은 모두 5개의 전송 주파수 대역들에 필수적인 출력 RF 전력에 적절한 선형성, 순간 대역폭(instantaneous bandwidth),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94)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증폭기들은 기술적으로 실현가능하다할지라도, 값이 비쌀 것이다. 또한, 그 전송기는 단일 전송기보다 상당히 더 많은 RF 전력을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동등한 보다 낮은 전력보다 낮은 신뢰성을 증명할 것이며, 그래서 그 구조(70)에서 잠재적인 단일 장애점(single-point of failure)를 나타낼 것이다. 증폭기(94)의 장애에 기인한 통신 시설들의 지속적인부재들을 피하기 위해, "핫 스탠바이(hot standby)" 증폭기를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이는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도 10은 전송 결합기 네트워크(72)에 대한 대안의 가능한 신호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네트워크(72)는 전송 멀티플렉서로 작동하고 공동으로 102로 표시된 5개의 대역 통과 필터들(102A 내지 102E)의 어셈플리를 갖는다. 그 필터들(102A 내지 102E)은 각각의 전송기들(104A 내지 104E)로부터의 신호들을 필터링하고, 그 후, 그 신호들은 공통 출력 라인(106)에 멀티플렉싱되고, 도 7에 도시된 듀플렉서(76) 및 안테나(78)에 라우팅된다. 각 필터(102A 내지 102E)의 통과 대역은 각각의 오퍼레이터에 라이센싱된 주파수 대역을 가능한한 가깝게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72)의 잠재적인 이익은 통상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수동 네트워크(92)보다 더 낮은 신호 손실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필터들(102A 내지 102E)은 결코 완벽할 수 없다, 즉, 그들은 정확하게 위치되고, 매우 뚜렷한 컷-온(cut-on) 및 컷-오프(cut-off)를 갖는 통과 대역을 가질 수 없다. 도 11은 도 3의 2110.3㎒ 내지 2169.7㎒의 라이센싱된 전송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들(102A 내지 102E)의 통과 대역들(112A 내지 112E)을 도시한다. 그 필터들(102A 내지 102E)은 공칭적으로 동일한 피크 전송 전력을 제공하지만, 명료성에 대해서는, 통과 대역들(112C, 112D)이 통과 대역들(112A, 112B, 112E)에 비해 저하되어 왔다. 112A 및 112C와 같은 인접한 쌍의 대역폭들이 컷-온 및 컷-다운의 유한 기술기 때문에 심각하게 오버래핑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해로운 효과들, 전송기들(104A 내지 104E) 간의 오버랩 영역과 감소된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제기한다.
증가된 신호 손실 및 감소된 전송기 아이솔레이션의 이유는 필터들(102A 내지 102E)가 접속되는 공통 출력 라인(106)과 연관된다. 신호들(102A 내지 102E)을 출력 라인(106)에 효율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필터 통과 대역(112A 내지 112E) 양단의 그 전기 임피던스는 몇몇 공칭 값, 예를 들어, 50옴(ohms)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통과 대역들(112A 내지 112E)이 오버래핑되면, 이러한 공칭 임피던스는 유지될 수 없다: 이는 (a) 출력 라인(106)에 결합하는 신호의 손실 및 전송된 파형의 왜곡, (b) 인접한 필터들, 즉 다른 전송기들(104A 내지 104E)에 결합하는 각각의 신호의 비율을 초래한다. 신호를 전송기 출력에 결합시키는 것은 비선형인 전송기 출력단에서 발생되는 상호 변조 프로덕츠(intermodulation products)를 초래한다. 이러한 프로덕츠는 충분히 크다면, 이러한 종류의 통신들을 감시하는 관리 기관들에 의해 허용된 레벨을 초과할 수 있는 비제어된 스퓨리어스 방사(spurious emission)가 된다. 그러므로, 도 10에 설명된 결합 개념은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stop-band)들 간의 장방형 주파수 응답을 갖는 이상화된 멀티플렉서 필터들(102A 내지 102E)에 의존한다: 이것이 실제로 실현할 수 없기 때문에, 대역들간의 간섭, 사용가능한 대역폭의 감소 및 전력 손실을 제기하는 오버래핑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이 단일의 전송/수신 안테나를 공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인접한 주파수 전송 대역에서 동작하는 몇몇 전송기들의 출력을 결합하기 위한 수용가능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기재된 어려움들의결과로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 사이에서는 현재로서는 비용, 복잡성, 저하된 성능 및 비신용성을 고려하여 이를 달성한 어떠한 만족스러운 방법도 없다고 믿고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송기 네트워크(120)을 도시한다. 그 네트워크(120)는 제 1 및 제 2 전송 멀티플렉서들(112ABE, 122CD)을 포함한다: 제 1 전송 멀티플렉서(122ABE)는 3개의 전송기들(124A, 124B, 124E)로부터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126A, 126B, 126E)에서 그들을 필터링하고; 제 2 전송 멀티플렉서(122CD)는 두 개의 다른 전송기들(124C, 124D)로부터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들을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126C, 126D)에서 필터링한다.
대역 통과 필터들(126, 126B, 126E)로부터의 필터링된 출력 신호들은 제 1 필터 출력(128X)에서 결합되고, 대역 통과 필터들(126C, 126D)로부터의 필터링된 출력 신호들은 제 2 필터 출력(128Y)에서 결합된다. 필터 출력들(128X, 128Y)로부터의 신호들은 2-입력 3dB 수동 결합기(132)에서 두 개의 입력 포트들(132X, 132Y) 및 출력 포트(132Z)와 결합된다: 이어서 그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플렉서를 통해 전송/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5개의 필터들(126A 내지 126E)의 각각의 통과 대역들(104A 내지 104E)은 도시된 바와 같다. 통과 대역들(104A 내지 104E)은 비록 그들의 대역폭들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며 통과 대역들(140C, 140D)이 명료성을 위해 다른 것들에 대해 저하되는 것으로 도시될지라도, 동일한 공칭 퇴대값을 가진다. 주파수 스케일(142)로 도시되기 때문에, 즉 5개의 라이센싱된 주파수대역들(142A 내지 142E)은 주파수 대역들(142A, 142B)에 바로 인접한 주파수 대역(142C), 및 주파수 대역들(142B, 142E)에 바로 인접한 주파수 대역(142D)을 포함한다. 이것은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 통과 대역들의 두 그룹들(142A/142B/142E, 142C/142D)을 초래하고,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과 각각 연관된다.
각각의 전송 멀티플렉서(122ABE 또는 122CD)의 필터 통과 대역들이 중요한 통과 대역 오버랩을 방해하는 저지 대역들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128X에서의 필터(126A)로부터의 출력은 단지 필터들(126B, 126E)을 통해 매우 감쇠된 형태로 전송기들(124B, 124E)에 도달할 것이며, 대부분의 목적들에 대해 무시할만할 것이다. 유사한 의견들이 개별 전송 멀티플렉서(122ABE 또는 122CD) 내의 다른 전송기들의 쌍들 간의 결합에 적용되고, 그러므로 필터들(126A 내지 126E)에 적용된다. 필터들(126A 내지 126E)에 의해 제공된 감쇄는 적절하게 출력들(128X 또는 128Y)에서 다른 신호들로부터 전송기들을 아이솔레이팅하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출력들에서, 그 신호들은 "완전하게 결합된다(perfectly combined)". 그 "완전하게 결합된다"라는 표현은 각각의 필터들(126A) 등의 통과 대역들이 오버랩핑하지 않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필터들(102A 내지 102E)에 대해 동등한 것과는 달리, 그 필터 통과대역들에 걸친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의 전기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전송기들(124A 내지 124E)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이 멀티플렉서(122ABE 또는 122CD)를 지나 최소의 왜곡("완전(perfect)")을 갖는 출력(128X 또는 128Y)으로 통과하여 바람직한 결합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한다.그 필터 통과 대역들이 오버래핑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대역 임피던스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멀티플렉서 출력에 나타나는 신호들은 왜곡된다("불완전(imperfect)").
전송기들(124A 내지 124E) 간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호작용들을 억제하면서 두 개의 신호 그룹들을 출력들(128X, 128Y)에 결합시키기 위해, 그 결합기(132)가 이용된다: 이 결합기는 두-입력 3dB 수동 광대역 성분이고, 이는 이러한 포트들에서 신호들의 주파수 분리와는 무관하게 그의 두 입력 포트들(132X, 132Y) 간에 적어도 20dB)의 양호한 신호 아이솔레이션을 제공한다. 이는 주파수에서 인접한 신호들이 인식가능한 그들 간의 원치않는 주파수 결합을 허용하지 않고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128X 및 128Y에서의 신호 그룹들은 서로 상호작용의 수용할 수 없는 정도 없이도, 선형 형태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결합된 연속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으로서 결합기(132)의 출력에 나타난다.
비록, 입력 및 출력 포트들(132X 내지 132Z) 간에 고유의 신호 손실이 존재할지라도, 이는 도 9에 도시된 수동 5-입력 결합기(92)에 의해 부가된 손실보다 현저히 적다. 도 12를 참조하여 기재된 2-단 결합 접근법은 앞서 기재된 구조들보다 효율적인 수동 전송기 결합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선형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94)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인접 및 비인접 전송 대역들 둘 모두에서의 오퍼레이터들이 기지국 안테나를 공유하도록 허용한다. 전송기 결합 네트워크(120)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감소된 손실들을 갖기 때문에, 값 비싼 멀티-주파수 전력 증폭기들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기재된 오버래핑 필터 통과 대역들을 회피한다.
네트워크(120)와 유사한 배치에 사용될 수 있는 전송 신호들의 최소 수는 각각의 개별 필터들을 통해 3dB 수동 결합기(132)에 접속되는 두 신호들이다.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에 단지 두 전송기들만이 존재한다면, 결합기(132)에 공급하기 전에 122CD와 같은 멀티플렉서에서 전송 신호들을 함께 멀티플렉싱할 필요가 없다. 주파수가 인접하지 않는 두 신호들이 존재한다면, 그들은 하나의 멀티플렉서(122)를 사용하여 결합되고 132와 같은 결합기를 통과하지 않고도 듀플렉서에 직접 공급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신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3개의 전송 신호들 중 적어도 두개가 인접하는 대역들에 존재하면, 두 개는 멀티플렉서(122)에서 결합될 것이고, 3번째 전송 신호는 결합기(132)에 직접 공급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3개의 비인접 주파수 대역들(A, B, E)이 결합되면, 단지 하나의 멀티플렉서(122ABE)가 요구될 것이고, 그것의 출력(128X)은 결합기(132)를 통과하지 않고도 듀플렉서에 직접 공급될 것이다. 4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비인접 신호들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들을 요구하고, 각각의 그룹은 다른 그룹과 결합하기 전에 함께 멀티플렉싱될 것이다. 둘 보다 많은 그룹들은 물론 그룹당 신호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각 그룹 내의 신호들 사이에 주파수 분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원한다면, 4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5개보다 적은 수의 전송기들이 결합하는 경우, 멀티플렉서들(122)에 임의의 비사용된 입력들이 보통 부하(load)에서 종결될 것이다. 대안으로, 비사용된 주파수 필터들(126)은 생략될 수 있다: 이것은비용,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여 기재된 구조들의 변형인 전송 시스템(150)이 도시된다. 이전에 기재된 것들과 동등한 소자들이 유사하게 참조된다. 그 시스템(150)은 제 1 및 제 2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이 공통의 3dB 결합기에 접속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네트워크(120)로부터 다르다: 제 1 전송 멀티플렉서(122ABE)가 두 개의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유닛(152)의 하나의 방사 소자(152ABE)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대신에; 제 2 전송 멀티플렉서(122CD)는 듀플렉서(154)를 통해 그러한 제 2 방사 소자(152CD)에 접속되고, 이는 또한 수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안테나(152CD)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공급한다. 그 안테나 유닛(152)은 Thales Anrennas 또는 Alan Dick and Company Ltd.로부터 사용가능한 종류이다.
시스템(150)이 비인접 주파수 대역들을 결합하기 위해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의 능력을 개발하기 전과 같이, 수동 결합기에서 멀티플렉서 출력들을 결합하기 보다는, 그 시스템(150)은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들과 단일의 안테나 유닛(152) 내의 그들을 결합한다. 이 장치의 주요 이점은 전송시 무선 주파수(RF) 손실들이 네트워크(120)에 의해 초래된 것들보다 훨씬 적다는 것이다: 손실들은 이제 어떠한 결합기(132)도 없기 때문에 감소되며, 이는 약 3dV의 신호 손실을 부가한다. 그 결합 기능은 이제 2-입력 안테나(152)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다른 안테나 소자들(152ABE, 152CD)에 입력된 두 개의 신호들 간의 20dB 또는 그 이상의 아이솔레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송 및 수신 둘 모두의) 공간적 차이 및 편광 차이에 대해 적응될 수 있다. 도 15는 공간적 수신 차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160)을 도시한다. 앞서 기재된 것들과 동일한 소자들이 유사하게 참조된다. 그 네트워크(160)은 듀플렉서들(164X, 164Y)을 통해 제 1 및 제 2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 각각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안테나들(162X, 162Y)을 포함한다: 그 안테나들(162X, 162Y)은 또한 각각의 수신 네트워크들(166X, 166Y)에 접속되고, 각각은 5개의 라이센싱된 주파수들 각각에 출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그 수신 네트워크들(166X, 166Y)은 공동으로 각각의 주파수에 한 쌍의 출력들을 제공하고, 각 쌍은 각각의 수신기 회로(168A 내지 168E)에서 합쳐진다. 그 네트워크(160)는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로부터 신호들을 결합하기 위한 3dB 결합기의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두 개의 안테나들(162X, 162Y)의 유용성을 이용하고, 이것은 그 안테나에 공급되는 전송 신호들의 경로에서 EF 손실들의 감소를 달성한다.
몇 가지 환경들 하에서, 이것은 개별 전송기들 간의 신호 아이솔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송 네트워크에 부가적인 아이솔레이터들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부가적인 아이솔레이션을 위한 준비의 부가를 갖는 도 12와 동등하다. 앞서 기재된 것들과 동일한 도 16 및 도 17의 소자들이 유사하게 참조된다. 도 16에서, 아이솔레이터들(170A 내지 170E)(공동으로 170)이 각각의 전송기/수신기 조합들(124A/126A 내지 124E/126E) 간에 삽입된다. 도 17에서, 아이솔레이터들(172ABE, 172CD)(공동으로 172)은 수동결합기(132)와 각각의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내지 122CD) 간에 삽입된다. 그 아이솔레이터들(170, 172)은 하나의 전송기로부터 또 다른 전송기(예를 들어, 전송기(122A) 내지 전송기(122B))로 신호 전력의 너무 높은 역주입(reverse injection) 레벨을 피하고, 이는 수신기 시스템들에 수용할 수 없는 간섭을 야기할 수 있는 상호변조 프로덕츠를 초래할 수 있다.
아이솔레이터들(170, 172)의 부재시, 전송기들(124A 등)로부터의 신호들은 다른 전송기들(124B 등)의 출력 단들로 몇몇 범위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역-결합된 신호들의 절대 레벨은 결합기(132) 및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에 의해 제공되는 아이솔레이션의 정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RF 신호들이 그 결합기(132)의 각각의 입력 포트로부터 다른것들로 "누출(leak)"될 것이고, 이어서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을 통해 다른 전송기들로 귀환할 것이다. 그 결합기(132) 및 전송 멀티플렉서들(122ABE, 122CD)이 많은 목적들에 적절한 아이솔레이션의 정도를 제공할지라도, 이는 모든 환경들에서 수용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며, 이 경우의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124A 등) 간의 전체 아이솔레이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추가될 수 있다.
제 3 세대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은 1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제외한 5개의 라이센스들 또는 오퍼레이터들을 구상한다: 즉, 라이센스들(A, B)은 각각 3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질 것이며, 라이센스들(C, D, E)은 각각 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질 것이다. 앞서 기재된 본 발명의 예들은 3G 전송 대역 내의 모두 1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이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몇몇환경들에서, 기지국들은 1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모두를 지지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5개의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공유된 사이트들에 대해서조차, 할당된 캐리어 주파수들 모두를 사용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게다가, 몇몇 기지국들은 5개보다 적은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이어서 비사용된 캐리어 주파수 슬롯들은 도 11을 참조하여 기재된 필터 응답들을 오버래핑하는 것과 연관된 결점을 피하기 위해, 필터 보호 대역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 보호 대역들이 사용되면, 도 10에 도시된 네트워크(7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통상 부실한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필터 보호 대역들을 구현하는 두 가지 예들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다. 이들 두 도면들에서, 라이센스들(A, B, C, D, E)이 각각의 캐리어 주파수 넘버들(1/2/3, 4/5, 6/7/8, 9/10, 11/12)을 갖는다. 도 18에서, 넘버들(3, 6, 9, 11)을 갖는 캐리어 주파수들은 라이센스들(A/C, C/B, B/D, D/E)의 각각의 인접한 쌍들 간에 각각의 보호 대역들을 제공하여 비사용된 채로 남겨진다. 넘버들(3, 5, 8, 11)을 갖는 캐리어 주파수들이 비사용된 채로 남겨진 도 19에 적용된 유사한 상황, 및 다른 장치들이 명백하게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의 이점은 많은 인접한 오퍼레이터들로부터의 전송기 출력들이 최소의 신호 손실을 가지고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의의 하나의 필터(예를 들어, 126A)를 통과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수는 주파수 구성이 사용되는 것에 의존한다. 주파수 계획들의 두 가지 예들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지만, 다른 것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송기/필터 쌍이 구성에따라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캐리어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넘버(4)(라이센스 C의 제 1 캐리어 주파수)가 보호 대역으로 지정되는 한, 3개의 캐리어 주파수 넘버들(1/2/3)을 갖는 라이센스 A를 갖는 오퍼레이터가 하나의 필터를 통과하는 세 개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본 발명의 예들은 현존하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을 실제로 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은 멀티플렉싱 필터, 수동 2-입력 결합기, 아이솔레이터들, 듀플렉서 필터, 저-잡음 증폭기, 수동 5-방향 스플리터, 및 직교로 편광된 안테나 시스템이다.
멀티플렉싱 필터가 Filtronic, Remec, 및 Aerial Facilities를 포함한 많은 공급자들로부터 이용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기재된 예에서, 10㎒의 갭이 142A 및 142B와 같은 비인접 주파수 통과 대역들 간에 요구되며, 이는 달성가능하다. 필터 통과 대역들 간의 갭은 보호 대역들이 도 18 및 도 19에서와 같이 사용가능하다면 5㎒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필터들은 또한 앞서 언급한 공급자들로부터 실현가능하다.

Claims (18)

  1. 복수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cellular mobile radio)용의 전송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송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기들은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들과 연관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a) 복수의 출력 신호들의 그룹들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주파수에서 이격된 그러한 복수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출력 신호들의 그룹들을 제공하고,
    b)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이 억제되도록 대역 통과 필터들에서 여과 후에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한 그룹의 출력 신호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이어서 신호 그룹들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그룹들은 각각 두 개의 출력 신호들과 세 개의 출력 신호들의 두 그룹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출력 신호 그룹들을 전송을 위해 수신하도록 배치된 상호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radiating element)들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과 상기 출력 신호 그룹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isolator)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출력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들과 그들의 연관된 대역 통과 필터들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출력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7. 복수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용 전송 네트크로서, 상기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송기들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에있어서,
    상기 전송기들은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들과 연관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에서의 여과 후에 상기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고,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내의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 간의 보호 대역(guard band)들로서 동작하는 비사용 주파수들을 제공함으로써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전송 주파수들의 개별 여과를 인접하는 주파수들에 제공하고,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정도를 그 사이로 제공함으로써 출력 신호 간의 간섭(interference)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네트워크.
  10. 복수의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서 신호들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전송기들로부터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 내의 출력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a) 상기 출력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주파수에서 이격된 복수의 출력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단계와,
    b)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로 각각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c)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이 억제되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링된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한 그룹의 출력 신호들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이어서 신호 그룹들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송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그룹들은 각각 두 개의 출력 신호들과 세 개의 출력 신호들의 두 그룹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출력 신호 그룹들을 전송을 위해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상호 직교로 편광된 방사 소자들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결합된 출력 신호들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과 상기 출력 신호 그룹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 간의 아이솔레이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출력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들과 그들의 연관된 대역 통과 필터들 간의 각각의 아이솔레이터들을 제공하고, 상기 아이솔레이터들은 전송기들 사이로 통과하는 출력 신호들을 억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6. 복수의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동작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서 신호들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각각의 전송기들에서 출력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기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출력 신호는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되고 이어서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서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다른 칠터링된 출력 신호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 간의 보호 대역들로서 동작하는 비사용 주파수들을 제공함으로써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출력 신호들의 개별 여과를 인접하는 주파수들에 제공하고, 아이솔레이션의 정도를 그 사이에 제공함으로써 출력 신호들 간의 간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KR10-2003-7013004A 2001-04-04 2002-03-22 셀룰러 기지국용 전송 네트워크 KR200300870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08456.5 2001-04-04
GB0108456A GB2374251A (en) 2001-04-04 2001-04-04 Base station transmitter
PCT/GB2002/001401 WO2002082581A2 (en) 2001-04-04 2002-03-22 Transmit network for a cellular base-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057A true KR20030087057A (ko) 2003-11-12

Family

ID=991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004A KR20030087057A (ko) 2001-04-04 2002-03-22 셀룰러 기지국용 전송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181175B2 (ko)
EP (1) EP1374616A2 (ko)
JP (1) JP3961957B2 (ko)
KR (1) KR20030087057A (ko)
CN (1) CN1330210C (ko)
AU (1) AU2002251189B2 (ko)
BR (1) BR0208599A (ko)
CA (1) CA2442813A1 (ko)
GB (2) GB2374251A (ko)
HK (1) HK1070225A1 (ko)
MX (1) MXPA03008897A (ko)
MY (1) MY128238A (ko)
RU (1) RU2280335C2 (ko)
TW (1) TW554631B (ko)
WO (1) WO200208258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98B1 (ko) * 2006-05-12 2007-03-12 한넷텔레콤(주) 유선망에 대한 멀티 채널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4341D0 (en) 2002-10-19 2002-11-27 Qinetiq Ltd Mobile radio base station
US7702049B2 (en) * 2003-09-30 2010-04-20 Intel Corporation Signal convers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GB0325987D0 (en) 2003-11-07 2003-12-10 Qinetiq Lt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controllable electrical tilt
US7283597B2 (en) * 2004-03-29 2007-10-16 Intel Corporation Receiver for real-time adjacent channel characterization
GB0415811D0 (en) 2004-07-15 2004-08-18 Quintel Technology Ltd Antenna system for shared operation
DE102004054370B3 (de) * 2004-11-10 2006-04-20 Siemens Ag Anordnung zum Anschalten von zumindest einer Sendeeinheit an eine Sende-Empfangsantenne
US7277725B1 (en) * 2004-11-30 2007-10-02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requency agile-collocated multi-signal RF distribution system
US7313367B2 (en) * 2005-03-14 2007-12-2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witched multiplexer method to combine multiple broadband RF sources
FI20055161A0 (fi) * 2005-04-08 2005-04-08 Nokia Corp Diversiteettivastaanotto samaan asennuspaikkaan sijoitetuille tukiasemille
GB0512805D0 (en) 2005-06-23 2005-08-03 Quintel Technology Ltd Antenna system for sharing of operation
WO2007073913A1 (en) * 2005-12-23 2007-07-05 Koninklijke Kpn N.V. Generic repeater
EP1809053A1 (de) * 2006-01-12 2007-07-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Kombination von Ausgangssignalen zweier Basisstationen
GB0602530D0 (en) 2006-02-09 2006-03-22 Quintel Technology Lt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multiple beams
GB2436418A (en) * 2006-03-24 2007-09-26 Siemens Ag Reducing transmit power levels at frequencies at each end of band to control adjacent cell interference
US7277062B1 (en) 2006-06-16 2007-10-02 At&T Mobility Ii Llc Multi-resonant microstrip dipole antenna
US7630696B2 (en) * 2006-06-16 2009-12-08 At&T Mobility Ii Llc Multi-band RF combiner
US7764245B2 (en) * 2006-06-16 2010-07-27 Cingular Wireless Ii, Llc Multi-band antenna
US20070298838A1 (en) * 2006-06-22 2007-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reception in a system with multiple transmitters and receivers operating on a single antenna
US7894779B2 (en) * 2006-06-22 2011-0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radio signals over a single antenna
GB0616449D0 (en) 2006-08-18 2006-09-27 Quintel Technology Ltd Diversity antenna system with electrical tilt
US7945229B2 (en) * 2007-04-02 2011-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oftware-definable radio transceiver with MEMS filters
WO2008126516A1 (ja) 2007-04-10 2008-10-23 Naoki Suehiro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CN101034922B (zh) * 2007-04-19 201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合路的方法、装置及异系统同频段共天馈的系统
US8676124B2 (en) * 2007-09-28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based on effective target load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4201B2 (en) * 2008-01-2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957705B1 (en) 2008-03-18 2011-06-07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caused by a carrier
KR101689596B1 (ko) * 2008-12-23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송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WO2010075190A2 (en) * 2008-12-24 2010-07-01 Rayspan Corporation Rf front-end module and antenna systems
US8185120B2 (en) 2010-03-26 2012-05-22 Microsoft Corporation Cellular service with improved service availability
US8432836B2 (en) * 2010-11-09 2013-04-30 Apple Inc. Wireless circuitry with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apabilities and reduc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FR2973182A1 (fr) * 2011-03-24 2012-09-28 Selecom Sud Electronique Comm Procede de multiplexage de canaux adjacents d'un reseau de diffusion de television numerique terrestre et dispositif emetteur-recepteur mettant en oeuvre un tel procede
JP5636321B2 (ja) * 2011-03-29 2014-12-03 株式会社日立国際八木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テナ共用システム
US8750792B2 (en) * 2012-07-26 2014-06-10 Remec Broadband Wireless, Llc Transmitter for point-to-point radio system
US9831899B1 (en) * 2015-01-13 2017-11-28 Physical Optics Corporation Integrative software radio
US10374697B2 (en) 2015-05-05 2019-08-06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US10707905B2 (en) * 2015-06-23 2020-07-07 Skyworks Solutions, Inc. Wideband multiplexer for radio-frequency applications
CN106656243A (zh) * 2015-10-27 2017-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频段收发信机及多频段射频信号发送和接收方法
JP6720408B2 (ja) * 2016-10-07 2020-07-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で動作する通信デバイス向けのビームカバレッジの提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10630262B2 (en) * 2017-07-21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Filter circuit
WO2020038569A1 (en) 2018-08-22 2020-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train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CN116545469A (zh) * 2020-12-21 2023-08-04 荣耀终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方法、设备以及芯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43B2 (ja) * 1977-10-14 1983-0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陸上移動無線基地局送信アンテナ共用方式
MTP837B (en) * 1977-11-07 1979-10-22 Hoffman La Roche And Co Aktien Derivatives 2 finino-imidazolidire
US4641365A (en) * 1984-08-23 1987-02-03 Rca Corporation Overpower protection for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EP0380914B1 (en) * 1989-01-09 1994-05-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ntenna system
US5229729A (en) * 1989-12-14 1993-07-2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 frequency signal combining/sorting apparatus
EP0479168B1 (en) * 1990-10-01 1997-02-2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supervis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nding wave ratio measuring unit
FI88660C (fi) * 1991-01-09 1993-06-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adiosaendarmottagarsystem
US5212815A (en) * 1991-09-03 1993-05-18 Motorola, Inc. Radio equipment directional coupler
AU660063B2 (en) * 1992-02-18 1995-06-08 Alcatel N.V. A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transmitters in a multi-channel cellular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GB2279813B (en) * 1993-07-02 1997-05-14 Northern Telecom Ltd Polarisation diversity antenna
SE502811C2 (sv) * 1994-05-11 1996-01-22 Allgon Ab Repeater
FI98871C (fi) * 1994-09-15 1997-08-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tukiaseman summausverkon virittämiseksi sekä kaistanpäästösuodatin
US5781865A (en) * 1996-05-20 1998-07-14 Scientific Research Corporation PCS cell site system for allowing a plurality of PCS providers to share cell site antennas
US6085094A (en) * 1997-08-29 2000-07-0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spectral re-use
US20010012788A1 (en) * 1998-06-12 2001-08-09 R. Keith Gammon Pcs cell site system for allowing a plurality of pcs providers to share cell site antennas
FI108196B (fi) * 1999-09-30 2001-11-30 Nokia Networks Oy Järjestely ja menetelmä radiojärjestelmän lähetinvastaanotintoiminnan toteuttamisek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98B1 (ko) * 2006-05-12 2007-03-12 한넷텔레콤(주) 유선망에 대한 멀티 채널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81175B2 (en) 2007-02-20
GB2391768C (en) 2005-09-26
RU2280335C2 (ru) 2006-07-20
GB0108456D0 (en) 2001-05-23
AU2002251189B2 (en) 2005-03-10
CN1543750A (zh) 2004-11-03
EP1374616A2 (en) 2004-01-02
GB2391768A (en) 2004-02-11
MY128238A (en) 2007-01-31
HK1070225A1 (en) 2005-06-10
WO2002082581A2 (en) 2002-10-17
TW554631B (en) 2003-09-21
JP2004530351A (ja) 2004-09-30
GB2374251A (en) 2002-10-09
US20040137947A1 (en) 2004-07-15
BR0208599A (pt) 2004-03-23
CA2442813A1 (en) 2002-10-17
WO2002082581A3 (en) 2003-02-20
MXPA03008897A (es) 2003-12-08
CN1330210C (zh) 2007-08-01
GB0322518D0 (en) 2003-10-29
GB2391768B (en) 2004-07-21
JP3961957B2 (ja) 2007-08-22
RU2003132172A (ru) 200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175B2 (en) Transmit network for a cellular base-station
AU2002251189A1 (en) Transmit network for a cellular base-station
US20080026796A1 (en) Antenna System for Shared Operation
US8433242B2 (en) Active antenna arra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multiple amplifiers using separate polarisations for transmission and a combination of polarisations for reception of separate protocol signals
US20110092171A1 (en) Signal combiner
KR102234539B1 (ko) 고성능 이동통신용 송수신 기지국 중계기 안테나 장치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0894372B1 (en) Channel-selective repeater for mobile telephony
US8099133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recting a received signal in an antenna system
EP14769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carrier signals between first and second antenna networks
WO2024016125A1 (zh) 一种射频隔离模块及通信系统
EP2560289A2 (en) Combining apparatus
KR20000066634A (ko) 이동통신 공용 기지국 시스템
KR102058060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GB2481291A (en) A combiner filter to allow multiple BTSs operating in a common frequency band to share a common antenna
JPH09200126A (ja) 光変換中継増幅装置の複数帯域分配合成方式
KR20150140255A (ko) 혼변조 왜곡을 방지하는 무선통합장치
KR20140108879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