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802A -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802A
KR20030086802A KR1020020024986A KR20020024986A KR20030086802A KR 20030086802 A KR20030086802 A KR 20030086802A KR 1020020024986 A KR1020020024986 A KR 1020020024986A KR 20020024986 A KR20020024986 A KR 20020024986A KR 20030086802 A KR20030086802 A KR 20030086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light
content
information
victim
dele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948B1 (ko
Inventor
전성배
윤경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9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은,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 및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지는, 물리적으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생성하며, 원본 콘텐트의 삭제를 통하여 새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 맞추어 하이라이트 정보의 구간 정보를 수정한다.
또한,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하이라이트 스트림 구성에 선정된 최하위 레벨(중요도가 가장 낮은 레벨)의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는 삭제하고, 나머지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만을 보존하며, 보존되는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구간 정보는 새로이 생성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서의 구간 정보로 변경하고, 하이라이트 레벨 정보를 수정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 for multimedia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된 용량의 저장 매체에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표적인 저장 매체인 디스크의 가격이 낮아지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화와 재생이 동시에 가능해짐에 따라, 비디오 테잎없이 방송 콘텐트의 녹화가 가능한 동영상 스트림 재생/저장 장치 예컨대, PVR(Personal Video Recorder)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저장매체의 용량은 무한정 늘릴 수 없는 것이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Digital TV'의 표준 방식인 MPEG 방식으로 압축되어 전송되고 소비된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매우 방대하다.
일례를 들면, HD급 스트림의 비트율이 10Mbps라 할 때, 한시간 분량의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하여 대략 4.5GB의 저장 매체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50GB의 하드 디스크가 장착된 동영상 스트림 재생/저장 장치의 경우 대략 11시간 정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녹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영상 스트림 재생/저장 장치는 제한된 용량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녹화 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한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 재생/저장 장치에서 새로운 녹화를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일반적으로 선입선출 (FIFO) 방식에 의해 가장 오래 전에 녹화된 콘텐트를 삭제하고 여유 디스크 공간을 확보한 후, 해당 공간에 새로운 콘텐트를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제한된 공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재 사용하기를 원하지만, 종래의 동영상 스트림 재생/저장 장치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는데 있어 많은 한계가 있다.
한편, 비디오 하이라이트는 제한된 시간 내에 콘텐트의 내용을 요약하여 주는 스트림으로서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며, 연속 드라마와 같은 시리즈물인 경우에는 이전 콘텐트를 전부 시청하지 않더라도 다음 콘텐트를 시청하기 위한 기존 스토리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스트림이다.
앞서 설명된 동영상 스트림 저장/재생 장치의 하나인 PVR 시스템에서는, 하이라이트 정보는 프로그램 공급자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같은 형태로 제공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PVR 시스템 내부의 자동 하이라이트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대부분 하이라이트 정보는 원본 콘텐트에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기술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다단계 하이라이트 제공을 위하여 세그먼트에 하이라이트 레벨 정보가 추가적으로 기술될 수도 있다.
도 1은 프로그램 공급자가 제공하거나 자동 하이라이트 생성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하이라이트 인덱스와 원본 스트림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하이라이트 세그먼트(H1, H2, H3, H4...)는 원본 콘텐트의 내용을 요약하기 위해 내용 전개상 중요한 세그먼트들을 의미하며, 하이라이트 세그먼트 정보는 해당 하이라이트의 원본 콘텐트에서의 시간 정보(시작 시점[S1, S2, S3, S4...] 및 종료 시점[E1, E2, E3, E4...])을 이용하여 기술되며,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을 위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레벨 정보(0, 2, 0, 3...)가 함께 기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방법은 저장 비용과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길이의 하이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며, 도 2는 이러한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방법의 일례를 도식화 한 것이다.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는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에 각각의 하이라이트 레벨 (L0, L1, L2, L3...)을 부여함으로써, 여러 가지 길이의 하이라이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레벨 0'가 가장 중요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임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은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 방법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H0'에 의하여 재생되는 스트림은 '요약 레벨 0'에 의한 하이라이트 스트림이 재생되는 것이며, 'H1'에 의하여 재생되는 스트림은 '요약 레벨 0'와 '요약 레벨 1'에 의한 하이라이트 스트림이 각각 재생되는 것이다. 즉, 'k' 번째 하이라이트 레벨에 해당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은 'k-1' 번째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하므로, 'k-1' 번째 하이라이트보다 그 재생 길이가 길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디오 하이라이트는 일반적으로 미디어 제작자에 의해 공급된다. 근래에는 미디어 제작자가 하이라이트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동 하이라이트 제공 방법은 일반적으로 샷 분할 기법, 샷 클러스터링 기법, 이벤트 검출 기법, 장르 기반 지식 정보 등을 종합하여 이야기 전개상의 주요한 세그먼트들을 선택하고 이들에 대한 정보를기술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정보를 생성한다. 현재의 시스템들은 제작자가 제공하는 하이라이트와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하는 기능으로서는 뉴스 콘텐트와 영화/드라마 콘텐트와 같은 몇몇 장르에서는 유용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PVR은 기본적으로 하드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하드 디스크는 녹화하는 콘텐트를 저장하거나 타임 쉬프트를 위하여 임시로 얼마간의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PVR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콘텐트 브라우징 도중 인스턴트 리플레이(instant replay)나, 순방향 스킵(skip)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고배속 빨리보기 및 저배속 재생 등의 비선형적 비디오 브라우징 기능을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PVR 시스템에서 녹화중인 콘텐트에 대한 인덱싱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인덱스 정보를 이용한 세그먼트 스키핑(skipping), 비디오 스키밍 (skimming), 키프레임을 이용한 스토리 보드 인터페이스 등의 여러 가지 비선형적 비디오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저장된 콘텐트와 하이라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콘텐트를 브라우징하려고 하는 시청자에게, 관련된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한정된 용량의 저장 매체에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와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 기술 방법에 의한 동적 하이라이트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여, 하이라이트 편집을 통한 여유 공간 확보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여, 하이라이트 편집을 통해 저장 매체에 여유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은,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 및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하이라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콘텐트는 하이라이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 보다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 시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기 시청된 콘텐트는 시청되지 않은 콘텐트에 비하여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콘텐트 길이와, 상기 원본 콘텐트로부터 편집되어 남게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가길수록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큰 콘텐트일수록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사용자의 콘텐트에 대한 선호도/비선호도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높은 선호도를 할당받은 콘텐트는 'Victim' 선정의 낮은 가중치를 설정하고, 선호도가 낮거나 비선호도가 높은 콘텐트에 대해서는 'Victim' 선정의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지는, 물리적으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생성하며, 원본 콘텐트의 삭제를 통하여 새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 맞추어 하이라이트 정보의 구간 정보를 수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하이라이트 스트림 구성에 선정된 최하위 레벨(중요도가 가장 낮은 레벨)의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는 삭제하고, 나머지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만을 보존하며, 보존되는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구간 정보는 새로이 생성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서의 구간 정보로 변경하고, 하이라이트 레벨 정보를 수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무, 사용자의 시청 여부,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 녹화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차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선정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 매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본 콘텐트를 삭제하더라도 원본 콘텐트에 대한 요약본인 하이라이트를 저장 매체에 저장 시킴으로써, 차후에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원본 콘텐트에 대한 '다시 보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한된 저장 매체에 많은 내용의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저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여, 하이라이트 편집을 통한 여유 공간 확보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트가 녹화될 때,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는 하이라이트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가 함께 저장된다. 도 4의 상단부는 정상적인 경우의 멀티미디어 콘텐트와 그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된 모습을 도식화한 것이다. 원본 콘텐트는 편집 없이 저장되고, 그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할 때마다 하이라이트 정보가 검색되어 하이라이트 정보에 기술된 세그먼트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하단부는 시스템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콘텐트 하이라이트 부분을 남기고 해당되는 원본 콘텐트를 삭제한 후에, 저장 매체에 존재하는 해당 콘텐트 정보의 모습을 도식화한 것이다. 즉, 하이라이트 스트림은 원본 콘텐트에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삭제하는 방식으로 편집되어 물리적으로 연속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으로 변경되어 저장되며, 이에 따라 하이라이트 정보는 유지되면서 저장 매체에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음의 하이라이트 서비스를 위하여 물리적 하이라이트 편집에 따라 하이라이트 정보가 갱신될 필요가 있다. 만약, 하이라이트 정보가 다단계로 기술된 경우에는 레벨이 N인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까지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보존하였다고 가정할 때, 하이라이트 레벨이 N인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를 하이라이트 정보로부터 삭제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하이라이트의 레벨을 음수가 아닌 정수로 정의하고, 하이라이트의 레벨이 0인 경우가 가장 중요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를 표시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하이라이트가 다단계 하이라이트로 정의되지 않고 한 레벨만 정의된 하이라이트의 경우에는 모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새로 생성된 하이라이트 콘텐트에서의 하이라이트 세그먼트 위치는 원본 콘텐트의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위치와는 다르므로, 여기에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 정보의 구간 정보(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는 새로 생성된 물리적 하이라이트 스트림에서의 구간 정보로 변경된다.
기본적으로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가 기술된 경우에는 생성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는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길이의 하이라이트의 저장 분량과 같다. 그러나, 이 경우 확보되는 저장 매체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중요도가 낮은(하이라이트 레벨의 숫자가 큰)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을 새로 편집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에서 제외 시키는 방법, 즉 중요도가 높은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좀 더 많은 저장 매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의 예에서는 스트림이 편집되어 물리적인 하이라이트 스트림으로 변경되어 저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시스템 설계에 따라서는 각각의 하이라이트 스트림은 이동되어 저장되지 않고, 원본 스트림의 해당 위치에 그대로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스트림이 아닌 영역에 대해서만 삭제를 수행함으로써, 저장 매체에 여유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시점이 되어, 저장 매체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저장된 콘텐트가 물리적인 하이라이트로 편집되어 생성되고, 원본 콘텐트를 저장 매체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저장 매체의 공간을 확보한다. 예를 들어, 원본 콘텐트의 분량이 60분이고 하이라이트의 분량이 5분이라면, 5분 분량의 하이라이트가 생성되고 60분 분량의 콘텐트가 삭제됨으로써, 저장 매체에는 총 55분 분량의 여유공간이 확보된다. 이런 방법으로 하이라이트를 남겨두고 원본 콘텐트를 삭제하게 되면, 삭제된 원본 콘텐트 전체를 다시보기 할 수는 없지만, 적은 양의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관련 콘텐트의 하이라이트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저장 매체의 공간 확보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동영상 스트림 재생/기록 장치 예컨대, PVR에서는 저장 매체로서 제한된 용량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녹화 요구는 계속된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 방식에서는 가장 이전에 녹화된 콘텐트를 삭제하고 여유 공간을 확보한 후, 녹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본 콘텐트는 물론 하이라이트도 함께 삭제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을 보존하고 이 외의 원본 콘텐트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저장 매체의 공간은 여유있게 확보하면서도, 삭제될 콘텐트의 핵심 장면들은 보존할 수 있게 되어, 향후의 하이라이트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저장 매체인 디스크 관점에서의 여유 공간 확보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가용한 여유 저장 매체의 공간이 부족하거나 시스템의 설정에 의해 저장 매체에 대한 공간 확보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정 또는 자동 빅팀(Victim) 선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첫 번째 단계로 삭제될 콘텐트('Victim')를 선정한다.
여기서, 자동 'Victim' 선정 알고리즘은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무, 사용자의시청 여부,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 녹화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차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종합하여 'Victim'을 선정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정된 'Victim'에 대하여 원본 콘텐트에서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함으로써 물리적으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원본 콘텐트를 삭제한다. 이때, 편집되는 하이라이트 스트림에 맞게 하이라이트 정보의 구간 정보와 필요에 따라 하이라이트 레벨 정보를 수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만약 원하는 만큼 저장 매체의 공간이 확보되면 위의 작업을 중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단계로 분기하여 저장 매체의 공간 확보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도 5는 여유공간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거나, 자동 'Victim' 선정 알고리즘에 의해 녹화된 9 개의 콘텐트(A, B, C, D, E, F, G, H, I) 중 하나를 'Victim'으로 선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G가 'Victim'으로 선정되고, 그에 따라 G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G를 편집하여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인 G'을 생성한 후 G를 삭제함으로써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다음에는 삭제될 콘텐트인 'Victim' 선정 방법에 대하여 부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저장 매체 공간 확보 방법의 제 1단계인 'Victim' 선정은 원본 콘텐트를 삭제하고 해당 콘텐트의 하이라이트 스트림만을 보존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앞으로 가장 덜 이용될 콘텐트로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직접 'Victim'을 선정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Victim'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추천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삭제될 콘텐트인 'Victim'을 선택하도록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자동으로 'Victim'을 선정하기 위한 매개 변수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무, 사용자의 시청 여부,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 녹화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차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우선적으로는 'Victim'으로 선정되기 위하여서는 콘텐트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때,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모든 콘텐트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정보가 없으면 모든 콘텐트가 'Victim'의 후보가 된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녹화 후 시청정보가 존재하면 시청한 콘텐트는 다시 시청할 확률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고, 녹화 후 시청하지 않은 콘텐트는 다시 시청할 확률이 높으므로 녹화 후 시청한 콘텐트에 대하여서는 'Victim' 선정에 높은 가중치를 할당하고, 그렇지 않은 콘텐트에 대하여서는 낮은 가중치를 할당하게 된다.
그리고,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도 'Victim' 선정에 이용될 수 있다.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가 길면 길수록 보다 많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가 클수록 'Victim' 선정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한다.
또한, 녹화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크면 다시 시청할 확률이 일반적으로 낮아지므로 녹화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큰 콘텐트에 대하여서는 'Victim' 선정의 가중치를 높게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존의 FIFO와 유사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비선호도 정보가 존재하면 높은 선호도를 가지는 콘텐트는 다시 보기를 할 확률이 높으므로 'Victim' 선정에 낮은 가중치를 할당하고, 선호도가 낮거나 비선호도가 높은 콘텐트는 다시 보기를 시도할 확률이 적어지므로 이런 콘텐트들에 대하여서는 'Victim' 선정에 높은 가중치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동 'Victim' 방법이 적용되면, 시스템은 저장된 각 콘텐트에 대하여 'Victim'이 될 확률을 결정하며, 이때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할 수 있다.
Victim_Prop(i) = F(H(i), V(i), D(i), O(i), P(i))
즉, i 번째 콘텐트에 대한 'Victim' 확률(Victim_Prop(i))은,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무(H(i)), 사용자의 시청 여부(V(i)),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D(i)), 녹화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차이(O(i)),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P(i))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계산된다. 이렇게 계산된 각각의 콘텐트에 대한 'Victim' 확률이 가장 높은 콘텐트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만을 남기고 원본 콘텐트를 삭제함으로써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면, 하이라이트 정보의 유무, 사용자의 시청 여부, 원본 콘텐트의 길이와 편집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 녹화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차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선정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 매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면, 원본 콘텐트를 삭제하더라도 원본 콘텐트에 대한 요약본인 하이라이트를 저장 매체에 저장 시킴으로써, 차후에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원본 콘텐트에 대한 '다시 보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한된 저장 매체에 많은 내용의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저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 및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하이라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콘텐트는 하이라이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 보다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 시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기 시청된 콘텐트는 시청되지 않은 콘텐트에 비하여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콘텐트 길이와, 상기 원본 콘텐트로부터 편집되어 남게될 하이라이트 스트림의 길이 차이가 길수록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큰 콘텐트일수록 'Victim' 선정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수행에 의하여 삭제시킬 콘텐트('Victim')를 선정하는 단계에 있어,
    사용자의 콘텐트에 대한 선호도/비선호도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높은 선호도를 할당받은 콘텐트는 'Victim' 선정의 낮은 가중치를 설정하고, 선호도가 낮거나 비선호도가 높은 콘텐트에 대해서는 'Victim' 선정의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지는, 물리적으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을 생성하며, 원본 콘텐트의 삭제를 통하여 새로 편집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 맞추어 하이라이트 정보의 구간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세그먼트들만을 남기고, 하이라이트 세그먼트가 아닌 나머지 세그먼트들을 삭제하여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에 있어,
    상기 삭제시킬 대상으로 선정된 콘텐트('Victim')에 대하여 다단계 하이라이트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하이라이트 스트림 구성에 선정된 최하위 레벨(중요도가 가장 낮은 레벨)의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는 삭제하고, 나머지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정보만을 보존하며, 보존되는 하이라이트 세그먼트의 구간 정보는 새로이 생성된 하이라이트 스트림에서의 구간 정보로 변경하고, 하이라이트 레벨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KR10-2002-0024986A 2002-05-07 2002-05-07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KR10047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986A KR100473948B1 (ko) 2002-05-07 2002-05-07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986A KR100473948B1 (ko) 2002-05-07 2002-05-07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02A true KR20030086802A (ko) 2003-11-12
KR100473948B1 KR100473948B1 (ko) 2005-03-08

Family

ID=3238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986A KR100473948B1 (ko) 2002-05-07 2002-05-07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47B1 (ko) * 2007-02-01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녹화장치의 타이틀 관리방법
KR100982516B1 (ko) * 2004-01-28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 매체의 관리방법 및 그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
WO2019160289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674B2 (ja) * 2000-03-15 2008-07-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番組信号記録装置及び番組信号記録方法
KR100762580B1 (ko) * 2001-10-22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의 저장공간 관리방법
KR100854593B1 (ko) * 2001-11-16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의 데이터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16B1 (ko) * 2004-01-28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 매체의 관리방법 및 그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
US7882074B2 (en) 2004-01-28 2011-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contents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data storage medium included therein
KR100861947B1 (ko) * 2007-02-01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녹화장치의 타이틀 관리방법
WO2019160289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948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ile delete
KR101550490B1 (ko)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US7475417B2 (en) Program selection mechanism governed by rate of program consumption
CA2339784C (en) Video data recorder with personal channels
US78045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of prioritizing content for playback
JP2002525923A (ja) デジタル格納部を備えた電子番組ガイド
US200502077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recorded program using virtual file system and file structure
US20040190856A1 (en) Imag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16213A (ko) 기록장치
US20050232610A1 (en) User automated content deletion
KR100910449B1 (ko) 기록 방법
KR100473948B1 (ko) 멀티미디어 저장 매체 관리 방법
US8588586B2 (en) Recording method
EP1930904B1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101176069B1 (ko) 저장된 방송 목록에 대한 빠른 정보검색(quick browsing) 기능을 갖춘 PVR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25088B1 (ko) 기록 방법
JP4195059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
US20080145017A1 (en) Audio visual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8391682B2 (en) Recording method
KR100479608B1 (ko) 지능형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KR100846792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4303368A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348091A (ja) 著作権保護情報の管理方法
US7505672B2 (en) Dynamic searching method and dynamic searching device of storage medium
US20060193607A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fast archiving from hdd to optical disk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