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800A -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800A
KR20030084800A KR1020030057053A KR20030057053A KR20030084800A KR 20030084800 A KR20030084800 A KR 20030084800A KR 1020030057053 A KR1020030057053 A KR 1020030057053A KR 20030057053 A KR20030057053 A KR 20030057053A KR 20030084800 A KR20030084800 A KR 2003008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ourism
classification number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성
Original Assignee
전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성 filed Critical 전용성
Priority to KR102003005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4800A/ko
Publication of KR2003008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80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특허는 상용화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전화기, IMT-2000)등을 소지한 자가 관광 및 전시물 관람중 필요한 대상물의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특허는 제공자가 서버에 대상물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해놓고 요청자의 사용등록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요청자가 사용등록을 하였으면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수신정보형태,관광및 관람지역코드정보를 핸드폰 위치확인으로 자동검색 하여 해당 코드번호를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단계와 요청자는 인터넷접속, 모바일 접속, 대상물 근처에 있는 제공자가 설정해놓은 간단한 코드번호를 입력, 전송하는 단계로 정보요청을 완료한다. 사용등록을 하지않은 요청자는 언어,수신정보형태,지역 및 대상물의 코드번호 모두를 입력, 전송하는 것으로 정보요청의 단계를 완료한다. 제공자는 이에 상응하는 관광관련 정보를 음성, 음성메세지, 멀티미디어 메세징서비스, 단문전송서비스, 동영상등 요청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SIGHTSEEING AND EXIHIBI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본 특허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관광및 전시물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관광및 전시물관람(이하 관광정보로 통합한다) 중 특정대상물의 정보를 필요로 할때 가입자의 단말기는 언어,수신정보형태,지역번호를 자동 인식하고, 가입자는 특정대상물의 지정된 코드번호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관광및 전시물정보 서버에서 이에 대응하는 관광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이동통신사 기지국의 GPS만으로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실내에 비치 되어 있는 좌표상 거의 동일한 전시물의 위치정보는 판별해 내기가 어렵고, 그로 인해 정보의 혼선이 우려되거나, 아예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정 관광대상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또다른 종래기술은 각 관광대상물에 무선 송신기를 비치하고 자체 제작한 특수한 단말기를 통해서 대상물의 신호를 송신받아 식별하기 때문에 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부담이 크고, 자체 단말기를 임대하고 반납하는 절차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이 예상된다.
따라서, 정확한 대상물의 정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관광객 혹은 전시된 대상물을 감상하는 관람객들은 당연히 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것이다.
본 특허는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A. 각 관광대상물의 언어,수신정보형태,관광지역(또는 관람,전시지역),관광 대상물 분류번호를 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각 관광 대상물 근처 안내판, 팜플렛, 인터넷, 모바일 홈페이지등에 공시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단계와;
B. 이동통신사의 위치추적을 통해 사용등록을 한 자가 관광지역에 들어오면 서비스를 사용할 것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결과 서비스 사용을 승낙한다면 가입자가 사용등록때 지정한 언어, 수신정보의 형태와 관광지역에 해당하는 분류번호를 가입자의 단말기에 자동인식 시키는 단계와;
D. 관광대상물근처 안내판이나 팜플렛, 인터넷 통신망,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공시된 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가입자가 입력하는 단계와;
E.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에 상기 분류번호에 해당하는 관광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F. 상기한 B~E 단계와는 별도로 이동통신의 가입자 이지만 사용등록을 하지 않은 가입자는 상기의 자동인식번호와 공시된 분류번호를 모두 입력하는 단계와:
G. F단계의 분류번호에 해당하는 관광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특허에 따른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관광및 관람 정보를 수신하는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특허의 자동인식부와 입력부의 코드번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특허의 자동코드번호 인식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특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특허의 실시예와 연결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100)의 사업자는 온라인으로는 도면상의 (110)의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정보 서비스서버에 (112)의 이동통신사로부터 제공받는 사용등록 가입자의 관광지역 분류번호를 검색하는 지역분류번호 검색부와 (113)의사용등록자의 사용승낙을 확인하는 양방향 SMS서버(혹은 MMS서버)와 (114)의 각 관광대상물의 정보를 각 언어별,대상물 분류번호별로 디지털화하여 압축저장한 관광정보 저장부와 (115)의 사용등록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등록자 저장부를 구축하고 (111)의 제어부에서 각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들을 검색하여 전송한다.
오프라인으로는 도면상의 (140)의 각 관광대상물의 안내판이나 팜플렛을 통해 각 관광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공시한다.
이때, 분류된 하나의 지역내에 전시된 관광물의 수가 999개를 넘지않으면 3자리의 번호로 구성하고, 999개를 넘으면 4자리의 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110)의 사업자 서버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도시된(200)의 이동통신사업자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승낙확인이나 위치정보, 검색된 관광정보 등을 주고 받는다.
상기(200)의 이동통신사업자는 도시된 (210)의 이동통신사 BTS(GPS를 내장한 기지국)으로 부터 도시된(300)의 사용승낙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TOD(TIME OF DELAY)기술을 사용해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사업자가 분류해 놓은 관광지역안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110)의 사업자 서버로 사용등록자의 위치정보를 개방형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의 정보가 (110)의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면 상기의 (113)에 해당하는 SMS(MMS)서버에서 단문메세지서비스 혹은 멀티미디어메세징서비스를 통해 상기(300)의 사용자 단말기에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승낙을 하면 (110)의 사업자서버는 상기된 (300)의 단말기에 사용자가 등록시에 설정한 언어, 수신정보형태, 관광지역의 자동분류번호를 인식시킨다. 이때부터 (200)의 이동통신사업자는 주기적으로 (300)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지역을 이탈한다면 변경된 위치정보를 전송하거나 지역이탈을 (110)의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여 알려준다.
(300)의 사용자는 상기한(140)의 안내판이나 팜플렛, 도시된 (120)의 인터넷 통신망이나 (130)의 모바일 통신망에 공시된 3~4자리수 정도의 간단한 관광대상물분류번호를 입력함으로 (200)의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의 정보요청을 (200)의 이동통신사업자가 수신받으면 (110)의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의(114)에서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유선인터넷 망을 통해 (200)의 이동통신사업자에게 디지털 압축된 정보를 전송하고, 이는 곧바로 (500)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어 출력된 정보를 (600)의 사용등록 가입자가 취하게 된다.
도시된 A는 사업자가 사용등록자에게 (120)의 인터넷과 (130)의 무선통신망,(140)의 대상물근처의 안내판이나 팜플렛을 통해 관광 혹은 전시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공시하는 인프라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B는 (120)과 (130)의 망을 통해 사용등록자의 정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시스템을 통해 도시된 1 ~ 12의 흐름으로 사용자는 필요한 대상물의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특허의 자동인식부와 입력부의 코드 번호를 구성한 도면이다.
도시된 C10은 언어식별번호로 한국어,영어,일어,중국어 등 사용등록한 자가 인터넷통신망, 모바일통신망등을 통하여 미리 지정할 수 있고,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통신망, 모바일 통신망, 공중통신망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C20은 수신정보형태번호로 음성,동영상,MMS,SMS등 수신된 관광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를 식별하는 번호로 상기된 C10과 같은 과정으로 미리 지정하고 변경할수 있다.
C30은 관광지역식별번호로 사업자서버와 이동통신사업자가 임의로 분류해놓은 번호를 말하며 사업자서버와 이동통신사가 관리하므로 지정,변경이 불가능하다.
C10~C30까지가 사용등록자가 사용을 허락했을때 자동으로 인식되는 번호이며 자릿수및 번호는 이동통신사업자와 협의 하여 지정한다.
C40은 입력부로 관광대상물분류번호이다. 이는 상기된 바와 같이 온라인으로는 인터넷,모바일등을 통하여 공시되어 있고, 오프라인으로는 관광대상물의 안내판이나 팜플렛등에 공시되기 때문에 언제,어디서나 사용자가 접할수 있으며 정확한 대상물의 정보를 전송받기위한 필수 요건이다.
도 2를 참조한 일 실시예를 들면 "영어 음성으로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정보"를 듣고자 한다면;
사용등록된 자는 *219999가 자동으로 인식되고 사용자는 999와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사용등록되지 않은 자는 *219999999와 통화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의 코드번호 구성으로 사용등록을 한 자는 물론 사용등록을 하지 않은 자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정보사용자에 대한 편의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이하, 도 3은 본 특허의 자동코드번호 인식과 정보출력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 가입자중 사용등록을 한 자가 분류된 관광지역안으로 들어오면 (S10)의 시작 단계가 구동된다.
(S10)의 단계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상기한 가입자의 관광지역 진입을 TCP/IP를 이용한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업자의 서버로 알려주고 사업자는 양 방향 SMS,혹은 MMS 서버(113)를 이용하여 (S20)의 사용유무 확인 메세지를 보내 지금 사용할 것인지를 묻는다.
사용등록을 한 사용자가 지금 서비스 사용을 허락치 않으면 (S100)의 종료선택 단계로 인식하여 바로 서비스 종료를 선택하도록 하고,
만약 지금 서비스 사용을 허락한다면, 다음단계인 (S30)에서 (110)의 사업자 서버중 사용등록자 저장부(115)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받는 위치정보로 지역분류번호 검색부(112)를 연동하여 검색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검색된 번호를 (300)의 사용을 허락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자동인식 시키는 (S40)의 단계를 거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인식부의 번호가 이동통신사 혹은 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지역번호 자동다이얼 보다 상위단계에 인식되게 된다.
이후, (S50)의 단계로 사용자가 정확한 대상물의 정보를 얻고자 도1에 도시된 (140)의 대상물 분류번호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S60)에서와 같이 사업자서버의 (114)서버에서 해당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한다. 이는 다시 (S70)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게 된다.
(S80)은 이동통신사의 BTS(210)에서 주기적인 사용자 단말기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가 해당 관광지역을 이탈할 경우 변경된 관광지역번호를 사업자의 서버로 알려주어야 하며,이는 새로운 자동인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필요한 메세지 수신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S90)역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이며, 일정시간내에 대상물의 코드 입력이 안되면 상기 관광혹은 관람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종료선택을 유도한다.
(S100)은 상기의 자동종료외에 사용자가 사용종료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 사용자가 필요할때 언제든지 서비스 종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110)은 종료 단계로 모든 서비스의 종료를 의미한다.
상술된 본 특허의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첫째, 이미 상용화된 망에 상용화된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새로운 망과 단말기에 대한 비용부담이 전혀 없어 막대한 개발비와 인프라 구축비용이 들지않는다.
둘째, 대상물의 분류번호를 오프라인으로 확인하여 손쉽게 대상물의 정보를 얻을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대상물을 선택하여 입력하므로 정보의 혼선이 없다.
세째, 이동통신의 세계화로 각 나라와의 국제로밍이 날로 늘어남에따라 국내의 관광객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해외로 나가서 정보를 전송받음에 있어 전혀 불편함이 없고, 해외의 관광객이 로밍된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국내의 관광정보를 전송받는것 또한 용이하므로 한층 더 발전된 서비스로 국내,외 관광객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네째, 상기와 같은 해외의 관광정보도 별다른 인프라 없이 온,오프라인의 대상물 식별번호 만으로 정보를 구축할수 있으므로 세계적 구축망이 용이하고 상당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 관람정보 제공에 있어서
    온라인상으로;
    사용등록시 사용등록자의 정보 와 필요한 정보의 언어, 수신정보형태를 저장하는 사용등록자 저장부와,
    이동통신사업자가 사용등록자의 위치추적을 통해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관광 혹은 관람지역분류번호저장부와,
    각 관광혹은 관람대상물의 정보를 언어, 수신정보형태별로 압축저장해놓은 관광정보저장부와,
    사용자의 사용허가유무를 묻는 SMS혹은 MMS서버와,
    이를 연동하여 검색,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인터넷망과 모바일통신망에 정확한 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공시하고,
    오프라인상으로;
    각 관광혹은 관람 대상물 근처의 안내판이나, 팜플렛등에 정확한 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공시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대상관광지역을 분류하여 이동통신사업자의 위치추적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관광혹은 관람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인식시키는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관광및 전시물관람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3. 제 1의 항에 있어서 언어,수신정보형태,관광및 관람 지역분류번호,각 대상물 분류번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관광및 전시물관람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오프라인으로 대상물의 분류번호를 공시하고 사용자가 상술한 번호를 직접입력하여 정보를 제공받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관광및 전시물관람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030057053A 2003-08-11 2003-08-11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KR20030084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053A KR20030084800A (ko) 2003-08-11 2003-08-11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053A KR20030084800A (ko) 2003-08-11 2003-08-11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00A true KR20030084800A (ko) 2003-11-01

Family

ID=3238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053A KR20030084800A (ko) 2003-08-11 2003-08-11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48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06B1 (ko) * 2006-06-3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관광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28220A (ko) 2017-09-08 2019-03-18 이언우 관람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06B1 (ko) * 2006-06-3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관광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28220A (ko) 2017-09-08 2019-03-18 이언우 관람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6250B1 (en) Location system for mobile telephones and method of presentation of position
US20060089158A1 (en) Method of determining a PHS mobile phone user's exact position
CA2538041A1 (en) Introduc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bile communicators
WO1998023108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elephone numbers
US20070265021A1 (en) Roaming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oaming control method
KR20000006760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CN108040323B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KR100665818B1 (ko) 위치정보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이용한 인스턴트 메세징 시스템
KR20030084800A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및 전시물관람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KR10071921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목표물 위치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JP391797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サービスを支援する方法
KR100836254B1 (ko) 위치 기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기반의 정보통지 서비스
KR20020091381A (ko)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 방법
KR20130075169A (ko) 무선통신 자동접속 방법
KR200300652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JP2002159063A (ja) 携帯端末の位置情報提供許諾方法
KR100420599B1 (ko) 셀 방송 기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KR20050079527A (ko)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086502A (ko) 무선 커뮤니티 회원 위치정보 제공서버
KR100368480B1 (ko) Imt - 200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프로파일 서비스제공방법 및 장치
KR100690783B1 (ko) Cb 메시지의 다국어 지원 방법
KR200200816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9822B1 (ko)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KR20060027065A (ko) 음성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서버 및 음성인식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방법
KR100706910B1 (ko) 목적지 자동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