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545A - 양봉용 소초광 - Google Patents

양봉용 소초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545A
KR20030084545A KR1020020046200A KR20020046200A KR20030084545A KR 20030084545 A KR20030084545 A KR 20030084545A KR 1020020046200 A KR1020020046200 A KR 1020020046200A KR 20020046200 A KR20020046200 A KR 20020046200A KR 20030084545 A KR20030084545 A KR 2003008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frame
small
light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분연
Original Assignee
이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분연 filed Critical 이분연
Priority to KR102002004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4545A/ko
Publication of KR2003008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에 필요한 양봉기구로서 벌통내부에 다수직립 설치되어 꿀벌이 채집해온 꿀을 효과적으로 저장하며 여왕벌이 산란하기에 적합한 소초광(巢礎匡)을 합성수지 재로서 구성하되, 그 양면에 미리 다수의 벌집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초광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꿀벌들의 생육과 꿀 저장 및 채밀(採蜜)을 용이하게 하여 양봉농가의 소득을 높임으로써 양질의 봉산물을 대량으로 생산 수확 할 수 있으며 강군을 유지하며 경비를 절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벌통(5)내부에 다수직립 설치되는 양봉용 소초광(A)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격벽(1)을 폭두께의 중앙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그 네변의 가로틀(2)과 세로틀(3)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가로틀(2)의 상부양측으로는 걸림부(2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세로틀(3)에는 제1, 제2, 및 제3 단자부(31)(32)(33)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격벽(1)의 양면에는 다수벌집(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광.

Description

양봉용 소초광{omitted}
본 발명은 양봉용 소초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에 필요한 양봉기구로서 벌통내부에 다수 직립 설치되어 꿀벌이 채집해온 꿀을 효과적으로 저장하며 여왕벌의 산란촉진을 위한 소초광을 합성수지 재로서 구성하되 그 양면에 미리 다수의 벌집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을 용이하게 하여 소초광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질의 봉산물을 대량으로 생산 수확할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꿀벌을 이용한 채밀시 그 계절의 조건에 맞추어 밀원이 확보된 봉장에 다수의 벌통을 배치하여 꿀벌들로 하여금 채집해온 꿀을 벌통내부에 보관하도록 하고있는 것인 바에 비해, 이 경우 선정된 봉장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벌통 내에는 꿀벌이 채집해온 꿀의 보관 및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분봉을 위해 다수의 소초광이 직립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벌통내부에 다수직립설치되는 종래의 소초광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소초광(a)의 구성이 내부에 가는 선재로 되는 심제(01)를 격자 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그 양면에 파라핀 및 밀납을 판체(02)를 형성한 후 로울러를 통과시켜 판체(02)를 다지면서 그 양면에 일정깊이의 가벌집(02a)을 다수 형성한 소초광 본체(a')를 목재로 되는 별도의 소초광틀체(03)에 형성된 끼움흠(03a)에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각 소초광틀(03)을 못 등으로 고정하여 하나의 소초광(a)으로 구성되는 것이었다.
못으로 고정했을 경우 벌통안에 습기로 인하여 못에서 녹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채밀시에 꿀에 유해물질인 녹물이 썩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어 벌통내에 직립 설치되는 종래의 소초광(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재(01)양면에 일정두께만큼 파라핀재 및 밀납을 판체(02)를 씌워서 구성된 것을 별도의 틀체(03)에 끼워 설치하는 것이므로 소초광틀의 제작이 매우 복잡하고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어 소초광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키게되는 동시에 소초광이 지닌 재질특성상 소초광(a)의 관리유지가 매우 힘들게 되어 그 사용수명도 단축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소초광은 원판이 파라핀 및 밀납으로 되어있어 날씨가 무더운 여름에는 변형되므로 관리하기에 매우힘든 상태이며 변 형된 소방에는 숫벌알을 산란하게 되므로 일벌의 방이 줄어들므로 소초광을 양봉농가에 사용할 수 없는 제품으로 처리해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양봉용 소초광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소초광을 틀체와 판체의 구분없이 합성수지로서 일체로 성형하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양면에는 다수의 벌집을 역시 일체로 형성하여 소초광의 성형제작을 단순화하여 제작공정을 크게 줄임으로서 소초광의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에 있어서도 양면에 다수 형성되는 벌집역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데 본 소초광의 사용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더운 날씨에도 소초광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본 제품이 합성수지이므로 변형되지 않는 소방에는 일벌들의 알을 살란 하므로 강군을 유지할 수 있다. 양봉농가에 있어 양봉사육의 경비를 최대한 절감 할 수 있고, 또한 못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녹물 등의 유해물질이 생기지 않으므로 양질의 벌꿀을 생산할 수 있다.
.
도1은 본 발명의 소초광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소초광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소초광의 사용상태도
도4는 종래 소초광을 나타내는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격벽 2 : 가로틀 3 : 세로틀
4 : 벌집 21 : 걸림부 31 : 제1차단부
32 : 제2차단부 33 : 제3차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봉용 소초광은 일정두께의 격벽을 폭두께의 중앙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그 네변에 가로틀과 세로틀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가로틀의 상부양측으로는 걸림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세로틀에는 제1, 제2 및 제3 단자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격벽의 양면에는 다수의 벌집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기술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의한 양봉용 소초광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봉용 소초광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격벽(1)과 이 격벽의 네번을 애워싸고 있는 가로틀(2) 및 세로틀(3)로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격벽(1)은 가로틀(2) 및 세로틀(3)에 애워싸여진 상태에서 그 양면에 각각 다수의 6각형태의 벌집(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가로틀(2)과 세로틀(3)에는 다수 구획된 공간부(22)(34)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세로대(3)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수의 단자부(31)(32)(33)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격벽(1)양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벌집(4)의 경우 그 높이가 상기 세로틀 (3)의 제2차단부(32)의 두께폭과 일치될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듯이 그 높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3은 본 발명에 이한 양봉용 소초광(A)의 설치사용상태로서, 양봉을 위한 봉장에 벌통(5)을 다수 설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양봉용 소초광(A)이 벌통(5)내에 다수직립 설치되는 것인바, 이때 벌통(5) 내에 설치되는 소초광(A)들은 가로틀(2)의 상부양측에 돌출 형성된 거림부(21)가 벌통(5)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면서 직립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벌통(5)내에 설치되는 소초광(A)는 양측 세로틀(3)에 형성된 제1차단부(31)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벌통(5)내에 직립 설치되는 것이므로 돌출높이가 제2차단부(32)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벌집(4)은 이웃하는 또다른 소초광(A)에 형성된 벌집(4)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됨에 따라 벌통(5)내에 본 발명의 소초광(A)이 다수 설치된 상태에서 벌통(5)상부의 개구부를 별도의 뚜껑(51)으로 밀폐시킨다하더라도 벌통(5)전방하단에 형성된 꿀벌출입구(52)를 통해 벌통(5)내부로 들어온 꿀벌들을 소초광(A)하부측을 통해 임의 소초광(A)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초광(A)과 소초광(A)사이를 아무런 지장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소초광(A)양면에 형성된 다수의 벌집(4)에 채취해온 꿀을 저장하는 동시에 꿀벌들로 하여금 소초광(A)에서 생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벌통(5)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양면에 형성된 벌집(4)에 모아진 벌꿀을 채밀하는 작업은 일단 벌통(5)내부에 설치된 소초광(A)을 꺼내 별도의 원심분리기(도식생략)에 소초광(A)를 이루는 새로틀(3)하부양단의 제3차단부(33)를 장착 설치하여 원심분리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소초광(A)에 모아진 꿀을 간단하게 채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구성에 있어 소초광(A)을 이루는 격벽(1)양면에 일체로 다수형성되는 벌집(4)의 형태를 본 발명에서는 6각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벌집(4)의 형태를 4각 또는 8각 등의 다각형 형태로 할 수도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이해 여러가지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양봉용 소초광에 의하면,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격벽과 이 격벽의 네변을 가로틀 및 세로틀로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 격벽 양면에는 다수의 벌집을 일체로 형성하여 벌통 내부에 직립 설치되는 소초광을 구성함으로서, 소초광에 의한 꿀벌의 채밀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초광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되므로 양봉사육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보다 효율적으로 양봉을 사육할 수 있게 되어 양절의 봉산물을 저렴하게 생산 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강군을 유지함으로 삼중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벌통(5)내부에 다수 직립 설치되는 양봉용 소초광(A)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격벽(1)을 폭 두께의 중앙에 위치되어있는 상태에서 그 네 변에 가로틀(2)과 세로틀(3)를 각각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가로틀(2)의 상부 측으로는 걸림부(2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세로틀(3)에는 제1, 제2 및 제3 단자부(31)(32)(33)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격벽(1)의 양면에는 다수의 벌집(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광.
KR1020020046200A 2002-08-01 2002-08-01 양봉용 소초광 KR20030084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00A KR20030084545A (ko) 2002-08-01 2002-08-01 양봉용 소초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00A KR20030084545A (ko) 2002-08-01 2002-08-01 양봉용 소초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97U Division KR200281218Y1 (ko) 2002-04-23 2002-04-23 양봉용 소초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545A true KR20030084545A (ko) 2003-11-01

Family

ID=3238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200A KR20030084545A (ko) 2002-08-01 2002-08-01 양봉용 소초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4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66A2 (ko) * 2009-12-22 2011-06-30 (주)비센 양봉용 플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66A2 (ko) * 2009-12-22 2011-06-30 (주)비센 양봉용 플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8566A3 (ko) * 2009-12-22 2011-10-27 (주)비센 양봉용 플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495B1 (ko)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178345B1 (ko)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KR100658428B1 (ko)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US4337541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CN107410098B (zh) 可循环取蜜的蜜蜂活动巢框
US3927431A (en) Ventilating spacer for beehive
US4546509A (en) Multiple queen beehive
KR102376549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CN212087625U (zh) 新型分体式蜜蜂巢框
KR20030084545A (ko) 양봉용 소초광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US4455699A (en) Pollen trap for double queen colony with queen excluder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KR200281218Y1 (ko) 양봉용 소초광
KR102376550B1 (ko)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KR102376551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US20220369601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ry bees
CA2399521A1 (en) Insect rearing tray
US4435866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dual entranceways
KR102661712B1 (ko) 진드기의 구제가 용이한 소초광
Taylor Jr et al. Swarm boxes and Africanized honeybees: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CN218851622U (zh) 一种多模式饲养中蜂均能高产的组合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