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428B1 -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 Google Patents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428B1
KR100658428B1 KR1020060006040A KR20060006040A KR100658428B1 KR 100658428 B1 KR100658428 B1 KR 100658428B1 KR 1020060006040 A KR1020060006040 A KR 1020060006040A KR 20060006040 A KR20060006040 A KR 20060006040A KR 100658428 B1 KR100658428 B1 KR 10065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bee
beehive
hexago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원
Original Assignee
노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원 filed Critical 노태원
Priority to KR102006000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는 속이충벌집광과, 상기 속이충벌집광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소초들이 관통 형성되는 이충벌집유도판과, 상기 이충벌집유도판에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소초들과 연통한 상태로 유충을 하나씩 저장하는 다수개의 육각기둥들과, 상기 속이충벌집광의 일면에 덮혀지며 상기 이충벌집유도판에 적재된 육각기둥들의 어느 한면을 밀폐시키는 바깥이충벌집광으로 구성되는 이충벌집광과, 상기 이충벌집광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이충벌집광을 벌통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을 제시한다.
양봉, 이충기, 채유육아광, 이충탈착식채유광, 로얄제리

Description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an insect moving apparatus for bee-kee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얄제리 채집을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전체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채유육아광의 구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충벌집광의 내부구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충탈착식채유광의 구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왕완과 고정대 및 이동대의 구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왕완과 고정대 및 이동대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채유육아광 12: 거치대
18: 이충벌집광
20: 속이충벌집광 22: 이충벌집유도판
30: 가벌집 32: 육각기둥
34: 리브 36: 육각기둥고정판
38: 바깥이충벌집광 50: 이충탈착식채유광
52: 거치대 54: 선반
56: 플레이트 56a: 육각구멍
58: 왕완 60: 고정대
62: 이동대 64: 고정클립
본 발명은 양봉용 이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충을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채집시켜 로얄제리의 채취량을 높혀줄 수 있도록 한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로얄제리는 태어난지 12일 이전된 어릴 일벌들의 인두선에서 생산되는 유백색을 띄는 점성의 크림상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여왕 벌의 먹이가 되는 신비의 물질을 말한다.
한편, 여왕벌은 일벌과 똑같은 알에서 부화하지만 상기 로얄제리를 먹이로 공급받는 것에 의해 일벌이 아닌 여왕벌로 자라나게 된다.
다시말해서 유충이 알에서 부화하면 총 6일간 먹이를 공급받게 되는 데, 이중 초기 3일간은 모두 로얄제리를 섭취하게 되나, 후반 3일간 먹이를 꽃까루와 꿀 혹은 로얄제리로 달리 공급하게 되는 데, 후반 3일간 꽃가루와 꿀만 먹은 유충은 일벌이 되고, 후반 3일간 로얄제레를 계속적으로 먹은 유충은 여왕벌로 자라나게 된다.
즉, 유충은 로얄제리라는 물질의 섭취유무에 따라 몸집이 작고 45일뿐이 살지 못하는 일벌이 되기도 하고 일벌에 비해 30배이상 오래살며 몸집도 2배 이상 크며 일생동안 200만개의 산란능력을 갖는 여왕벌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뛰어난 능력을 가진 로얄제리는 벌들의 습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채취하게 된다.
통상 벌들은 봉군에 여왕벌이 망실되면 일벌들이 부화한 3일 이내의 일벌 유충을 일부 선택하여 그때부터 고치가 될때까지 다량으로 로얄제리를 공급하여 여왕벌로 자라게끔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이충"이라 불리우는 작업을 통해 로얄제리를 인위적으로 채취하게 된다.
상기 이충이란 소비의 일벌 방에서 여왕벌이 산란한 알에서 부화된 유충을 왕완등에 옮겨넣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충침이라 칭해지는 도구를 이용해 작 업자가 직접 일벌방에서 부화한 유충을 직접 집어 왕완(혹은 왕집, 왕대라고도 함)내에 하나씩 옮겨가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유충이 왕완으로 옮겨지면 일벌들은 유충의 먹이가 되는 로얄제리를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로얄제리를 채유스푼으로 왕완에서 떠내어 주는 방식으로 채취작업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유충의 크기는 대략 1mm내외로 매우 작고 연약하기 때문에 이충침으로 집는과정에서 많은 섬세함을 요구함에 따라 숙련공이더라도 매우 집중력있는 작업을 요구하게 됨으로서 이충작업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충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현재 대다수 양봉인들은 로얄제리 채취를 사실상 포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충의 이충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얄제리의 채취효율을 높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는 속이충벌집광과, 상기 속이충벌집광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소초들이 관통 형성되는 이충벌집유도판과, 상기 이충벌집유도판에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소초들과 연통한 상태로 유충을 하나씩 저장하는 다수개의 육각기둥들과, 상기 속이충벌집광의 일면에 덮혀지며 상기 이충벌집유도판에 적재된 육각기둥들의 어느 한면을 밀폐시키는 바깥이충벌집광으로 구성되는 이충벌집광과, 상기 이충벌집광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이충벌집광을 벌통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을 제시한다.
상기 육각기둥의 내부 공간은 길이방향으로 리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충벌집유도판의 상면에는 적재된 육각기둥들을 고정시키는 육각기둥고정판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벌통내에 설치되는 이충기의 구성품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충기는 크게 채유육아광(10)과, 이충탈착식채유광(50)으로 구성한다.
상기 채유육아광(10)은 유충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충의 이충작업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며, 상기 이충탈 착식채유광(50)은 상기 채유육아광(10)에 보관된 유충을 이충받아 일벌들이 유충으로 로얄제리를 공급할 때, 공급된 로얄제리를 채취하게 되는 장치를 말한다.
첨부된 도 2는 채유육아광(1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유육아광(10)은 거치대(12)와 이충벌집광(1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거치대(12)는 사각틀형태로 이충벌집광(18)을 벌통(소상)(1)에 거치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거치대(12)의 양끝단에는 걸림턱(12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a)은 벌통(1)의 걸림단부(1a)에 걸려지며 거치대(12)를 벌통(1)내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안치시킨다.
상기 이충벌집광(18)은 산란한 유충을 하나씩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충시킬 수 있도록 한 수단이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이충벌집광(18)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충벌집광(18)은 일측으로 속이충벌집광(20)을 가진다. 상기 속이충벌집광(20)은 사각틀형태로 제작되며 상면에는 후술하는 육각기둥고정판(36)의 돌출턱(36b)이 끼워지기 위한 걸림홈(20a)이 형성된다.
상기 속이충벌집광(20)의 내부에는 이충벌집유도판(22)이 설치된다.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은 평판의 전면부를 중심으로 상면은 개방하고, 좌, 우측 및 하면은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을 연장 형성하여 제작한다.
상기 개방된 상면에는 후술하는 육각기둥고정판(36)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의 내면에는 요철 형태로 다 수개의 홈(24a, 26a, 28a)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4a, 26a, 28a)들로는 후술하는 육각기둥(32)이 채워진다. 즉, 상기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24a, 26a, 28a)들을 통해 육각기둥(32)들은 이충벌집유도판(22)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서로 흐트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전면에는 육각구멍이나 원의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가벌집(30)들이 연속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벌집(30)의 형태는 육각선에 돌설한 유도벽을 삼각뿔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면의 얇은 모서리선이 육각선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단순한 육각형태의 종래 소초에 비해 꿀벌의 습성과 본능에 순응하는 집을 지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바, 이러한 가벌집의 기초바닥 벌집도형을 가진 이충벌집유도판(22)은 본 출원인이 1999. 03. 27.자로 출원하여 2001. 08. 24.자로 등록받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307870 호에 기재되어 있고, 그 도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이충벌집유도판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거나 혹은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육각기둥(32)들이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육각기둥(32)들은 유충을 각각 개별적으로 보관시키는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에 적층되는 육각기둥(32)들은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전면에 형성된 가벌집(30)들과 각각 연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여왕벌이 상기 가벌집(30)을 통과하여 육각기둥(32) 전면(32a)에 산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육각기둥(32)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는 데, 하나의 육각기둥(3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내부가 비어있으며 전면(32a)은 폐쇄되고 후면(32b)은 개방된 구조로 제작한다. 즉, 상기 육각기둥(32)의 폐쇄된 전면(32a)에 여왕벌이 알을 산란하면 산란된 알은 유충으로 부화되고, 부화된 유충은 육각기둥(32)의 전면(32a)에 붙어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육각기둥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34)는 유충의 이충작업을 위해 육각기둥(32)을 분리할 때, 핀셋등의 도구(미 도시 함)로 상기 리브(34)를 집을 수 있도록 하여 육각기둥(32)을 보다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상면에는 육각기둥고정판(36)이 끼워진다. 상기 육각기둥고정판(36)은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에 적층된 육각기둥(32)들중 제일 상층에 적층되는 육각기둥(32)들을 가압하여 육각기둥(32)들을 흐트러짐없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육각기둥고정판(36)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두개의 돌출턱(36b)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36b)은 전술한 속이충벌집광(2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20a)에 걸려지며 육각기둥고정판(36)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속이충벌집광(20)의 일면에는 바깥이충벌집광(38)이 덮혀진다. 상기 바깥이충벌집광(38)은 속이충벌집광(20)의 내부에 설치된 이충벌집유도판(22), 바람직하게는 이충벌집유도판(22)에 적층된 육각기둥(32)들의 개방된 후면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채유육아광(10)의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이충벌집광(18)인 이충벌집유도판(22)내로 육각기둥(32)들을 차례로 적층한다. 이때 육각기둥(32)들은 적층되는 과정에서 외곽 및 바닥면에 적층되는 육각기둥(32)들은 이충벌집유도판(22)의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에 형성된 홈(24a, 26a, 28a)에 걸려져 육각기둥(32)의 무너짐을 방지되고, 또한 적층된 후, 이충벌집유도판(22)의 가벌집(30)들과 연통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상면에 육각기둥고정판(36)을 끼워 적층된 육각기둥(32)들중 최상층에 적층된 육각기둥(32)들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충벌집유도판(22)을 속이충벌집광(20)내에 삽입시킨 다음, 바깥이충벌집광(38)으로 덮는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이충벌집광(18)을 거치대(12)에 끼워 채유육아광(10)을 제작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제작된 채유육아광은 일반적인 소광(2)(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양봉용 기구)과 함께 벌집(소상)(1)내에 거치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벌집(1)내에 왕유 채취에 맞추어진 봉군에 넣어 채유육아광(10)을 거치시키게 되면 여왕벌은 채유육아광(10)에 구비된 이충벌집유도판(22)의 가벌집(30)을 통과한 후, 육각기둥(32)의 폐쇄된 전면(32a)에 알을 하나씩 산란하게 된다. 또한 일벌들은 채유육아광(10)내로 자유로이 드나들며 육각기둥(32)에 부화한 유충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또한 가벌집(30)을 기초로 벌집(A)을 지어나가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 경과하고 나면 작업자는 채유육아광(10)에서 이충벌집광(18)을 분리한 후, 이충벌집광(18)에 덮혀있는 바깥이충벌집광(38)을 분리시킨 다음, 유충이 붙어있는 육각기둥(32)을 하나씩 빼내어 유충을 이충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핀셋등의 도구로 육각기둥(32)내에 형성된 리브(34)를 집은상태에서 빼내도록 함으로서 육각기둥을 보다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빼내어진 육각기둥(32)은 후술하는 이충탈착식채유광(50)에 구비되어있는 플레이트(56)의 육각구멍(56a)을 통해 왕완(58)내에 삽입되어 진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채유육아광(10)을 통해 작업자는 유충의 이충작업을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육각기둥(32)을 빼내고 나면 그 공간으로 다른 육각기둥(32)을 끼워넣음으로서 하나의 채유육아광(10)만으로 연속적인 이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전술한 이충기의 다른 구성품인 이충탈착식채유광(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충탈착식채유광(50)은 전술한 채유육아광(10)에서 이충된 육각기둥(32)들을 보관하며 일벌들의 습성을 이용하여 로얄제리를 채취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충탈착식채유광(50)은 거치대(52)와. 다수개의 왕완(58)들을 구비한 플레이트(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거치대(52)는 삭각틀형태로 왕완(58)들을 구비한 플레이트(56)를 벌통 (1)(소상)에 거치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거치대(52)의 양끝단에는 걸림턱(52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2a)은 벌통(1)의 걸림단부(1a)에 걸려지며 거치대(52)를 벌통(1)내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안치시킨다. 또한 상기 거치대(52)의 내측면에는 선반(5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54)은 플레이트(58)의 양끝단을 받쳐주며 플레이트(58)를 거치대(52)내에 지지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상기 왕완(58)들을 구비한 플레이트(56)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6)는 평판형태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상기 플레이트(56)에는 다수개의 육각구멍(56a)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육각구멍(56a)에는 전술한 채유육아광(10)에서 분리된 육각기둥(32)들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56) 아래에는 상기 육각구멍(56a)들과 각각 연통하는 다수개의 왕완(58)들이 형성된다. 상기 왕완(58)들은 내부에 상기 육각구멍(56a)에 끼워진 육각기둥(32)들을 포위할 수 있는 공간부(58a)를 가진다. 상기 공간부(58a)에는 일벌들이 육각기둥(56a)에 담겨져 있는 유충으로 먹이 즉, 로얄제리를 공급하게 되며, 따라서 왕완(58)의 공간부(58a)에는 로얄제리가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56) 위에는 고정대(60) 및 이동대(6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60)는 플레이트(56)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56)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60)의 한쪽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용홈(60a)들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60a)들은 전술한 플레이트(56)의 육각구멍(56a)들과 연통하 며 육각기둥(32)의 반쪽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육각기둥(32)을 육각구멍(56a)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대(62)는 상기 고정대(6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대(6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된다. 상기 이동대(62)의 측면(상기 고정대와 접촉하는 면)에는 고정대(60)의 수용홈(60a)에 대응하는 가압홈(62a)들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홈(62a)들은 도 8a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기둥(32)의 반쪽이 고정대(60)의 수용홈(6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대(62)를 고정대(60)에 밀착시킬 때, 육각기둥(32)의 나머지 반쪽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대(62)의 하강동작에 따라 육각기둥(32)을 아랫방향으로 가압하여 육각구멍(56a)위에 위치하고 있는 유각기둥(32)을 상기 육각구멍(56a)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대(62)의 가압홈(62a)들은 상기 고정대(60)의 수용홈(60a)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동대(62)의 하강동작시 수용홈(60a)에 끼워진 유각기둥(32)을 아랫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고정대(60)와 이동대(62)의 양 끝단에는 고정클립(64)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클립(64)은 상기 고정대(60)에 밀착된 이동대(62)를 평판(56)상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이충탈착식채유광(50)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채유육아광(10)에서 유충이 담겨져 있는 육각기둥(32)들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육각기둥(32)들을 플레이트(56)의 육 각구멍(56a)위에 하나씩 위치시킨다. 이때 육각기둥(32)의 반쪽은 플레이트(56)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대(60)의 수용홈(60a)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이동대(62)를 고정대(60)의 일측면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대(62)의 가압홈(62a)들이 육각기둥(32)을 가압하게 되며, 따라서 육각구멍위에 위치하고 있는 육각기둥(32)들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구멍(56a)내로 삽입되어 진다.
이후, 고정대(60) 및 이동대(62)의 양끝단부에 고정클립(64)을 끼워넣은 다음, 플레이트(56)의 양끝단을 거치대(52)의 내측면에 설치된 선반(54)에 얹은 후, 상기 거치대(52)를 벌통(1)내에 거치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벌통(1)내에 이충탈착식채유광(500을 설치하면 일벌들은 왕완(58)을 통과하여 육각기둥(32)의 전면에 붙어있는 유충으로 먹이 즉, 로얄제리를 공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로얄제리는 왕완(58)내의 공간(58a)에 점차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 경과하여 왕완(58)내에 로얄제리가 가득 채워지면 상기 왕완(58)을 지지하는 플레이트(56)를 거치대(52)에서 빼낸 다음, 채유스푼으로 왕안(58)에 채워진 로얄제리를 떠내는 방식으로 로얄제리를 채취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본 발명은 유충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육각기둥들을 통해 유충의 이충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충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로얄제리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이충탈착식채유광의 구조를 상기 육각기둥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로얄제리의 채취효율을 높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10)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는 속이충벌집광(20)과;
    상기 속이충벌집광(20)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가벌집(30)들이 관통 형성되는 이충벌집유도판(22)과;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에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가벌집(30)들과 연통한 상태로 유충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보관하는 다수개의 육각기둥(32)들과;
    상기 속이충벌집광(20)의 일면에 덮혀지며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에 적재된 육각기둥(32)들의 일면을 밀폐시키는 바깥이충벌집광(38)으로 구성되는 이충벌집광(18)과;
    상기 이충벌집광(18)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이충벌집광(18)을 벌통(1)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1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기둥(32)의 내부 공간(32a)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상면에는 최상층에 적재되는 육각기둥(32)들을 가압 고정시키는 육각기둥고정판(36)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충벌집유도판(22)의 좌, 우측면과 하면에는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벽(24, 26) 및 하단벽(28)의 내면에는 요철형태로 다수개의 홈(24a, 26a, 28a)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1020060006040A 2006-01-20 2006-01-20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10065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40A KR100658428B1 (ko) 2006-01-20 2006-01-20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40A KR100658428B1 (ko) 2006-01-20 2006-01-20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428B1 true KR100658428B1 (ko) 2006-12-15

Family

ID=3773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040A KR100658428B1 (ko) 2006-01-20 2006-01-20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4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26B1 (ko) 2007-08-20 2009-04-24 유철형 여왕벌 유충의 운송 박스
KR200449253Y1 (ko) 2007-11-19 2010-06-25 노태원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200458813Y1 (ko) 2010-01-19 2012-03-12 노태원 양봉용 이충소비
KR101227309B1 (ko) 2012-09-27 2013-01-28 장종원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CN109548752A (zh) * 2018-11-16 2019-04-02 赵妍 一种基于林业的夜间虫蝎捕捉时的多功能存放装置
KR20190085254A (ko) * 2018-01-10 2019-07-18 김명자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KR102004649B1 (ko) * 2018-02-28 2019-07-26 김명자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KR20210097431A (ko) 2020-01-30 2021-08-09 이재만 양봉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26B1 (ko) 2007-08-20 2009-04-24 유철형 여왕벌 유충의 운송 박스
KR200449253Y1 (ko) 2007-11-19 2010-06-25 노태원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200458813Y1 (ko) 2010-01-19 2012-03-12 노태원 양봉용 이충소비
KR101227309B1 (ko) 2012-09-27 2013-01-28 장종원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WO2014051218A1 (ko) * 2012-09-27 2014-04-03 Chang Jong-Won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KR20190085254A (ko) * 2018-01-10 2019-07-18 김명자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KR102004640B1 (ko) 2018-01-10 2019-07-26 김명자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KR102004649B1 (ko) * 2018-02-28 2019-07-26 김명자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CN109548752A (zh) * 2018-11-16 2019-04-02 赵妍 一种基于林业的夜间虫蝎捕捉时的多功能存放装置
CN109548752B (zh) * 2018-11-16 2021-09-07 深圳市鑫稻田农业技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林业的夜间虫蝎捕捉时的多功能存放装置
KR20210097431A (ko) 2020-01-30 2021-08-09 이재만 양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428B1 (ko)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100535938B1 (ko) 양봉용 자동 이충기
JP2008113605A (ja) 日本在来マルハナバチ類の繁殖供給飼育方法
KR20180037362A (ko) 왕완, 왕완을 이용한 산란틀 및 이를 이용한 로얄제리 생산용 산란프레임 또는 여왕벌 양성용 산란프레임
CN104719263B (zh) 胡蜂大棚高产养殖法
EP2888934B1 (en)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20200008182A (ko) 뒤영벌류 여왕벌 대량생산용 봉군 선별법과 여왕 증식용 벌통제형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1546258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산란실
US6500046B2 (en) Royal jelly collection frame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KR200449253Y1 (ko)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채유육아광
KR200412845Y1 (ko) 로얄제리 채취를 위한 양봉용 이충기의 이충탈착식채유광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KR200348723Y1 (ko) 땅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벌통
CN106472431B (zh) 一种日本刀角瓢虫蛹的收集方法与日本刀角瓢虫人工大规模繁殖方法
JP5367525B2 (ja) 授粉用ハチへの花粉給餌方法
KR200439878Y1 (ko) 양봉용 이충소비
AU2009238296A1 (en) Pest trap for beehive
CN113080144A (zh) 引诱草地贪夜蛾成虫集中产卵收卵的方法及装置
CN114831079B (zh) 一种寄生蜂饲养与释放装置及方法
CN218126435U (zh) 一种实验室熊蜂饲养观察箱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KR102661712B1 (ko) 진드기의 구제가 용이한 소초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