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373A -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373A
KR20030084373A KR1020020023049A KR20020023049A KR20030084373A KR 20030084373 A KR20030084373 A KR 20030084373A KR 1020020023049 A KR1020020023049 A KR 1020020023049A KR 20020023049 A KR20020023049 A KR 20020023049A KR 20030084373 A KR20030084373 A KR 20030084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emory device
usb memory
stored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셀
Priority to KR102002002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4373A/ko
Publication of KR2003008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어느 컴퓨터에서나 보다 더 용이하게 전자우편을 송수신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메모리 장치에 소정의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실행이 요구되면,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단계와;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우편 수신이 요구되면,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수신된 전자우편을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된 전자우편에 대한 송신이 요구되면,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작성된 전자우편을 송신하며, 전자우편의 송신이 완료되면 작성된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가 아니더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전자우편을 보다 더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때 송수신되는 전자우편을 사용중인 컴퓨터가 아닌 USB 메모리 장치에 자동 저장함으로써, 송수신한 전자우편에 대한 이동성 및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MAIL USING USB MEMORY DEVICE}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자우편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종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집(Zip)드라이브, CD 드라이브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대체할만한 새로운 형태의 저장 수단으로서, 장치의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성과 호환성이 보장되는 USB 기반의 데이터 저장 수단(이하, USB 메모리 장치)이 각광받고 있다.
USB 메모리 장치는 통상적으로 플래시메모리를 데이터 저장영역으로 구비하며 컴퓨터에 구성되는 USB 접속단자에 연결되는데,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다른 저장수단에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드라이브 없이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 그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 보급되는 컴퓨터 운영체제(OS)에서는 이러한 USB 메모리 장치를 별도의 구동 소프트웨어(구동 드라이버)의 설치 없이 곧바로 인식할 수 있는 드라이버리스 (Driv erless) 기능이 지원되기 때문에 보다 더 편리한 사용환경 및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부가 서비스 또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인터넷 부가 서비스중의 하나가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우편(E-mail)이다.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는 메일서버(Mail Server)를 구비하여 가입자에게 전자우편 계정을 부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우편 계정(전자우편 주소)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우편을 송수신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전자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서버로부터 전자우편 계정을 부여받아 전자우편 프로그램(예를 들어,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에 계정 정보(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송수신 서버명 등)를 입력한 다음, 이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전자우편을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이러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는 '주소록'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타인의 전자우편 및 연락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더 편리하게 전자우편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주소록에 포함된 타인의 전자우편 주소가 사용중인 컴퓨터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만일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해당 컴퓨터에 설치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 다시 자신의 계정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하고서라도 자신의 계정 정보를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전자우편을 발송하거나 수신하게 되면 이때 발송된 전자우편 또는 수신한 전자우편은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다른 이동식 저장매체에 복사/저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어느 컴퓨터에서나 보다 더 용이하게 전자우편을 송수신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소정의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실행이 요구되면,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우편 수신이 요구되면, 상기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수신된 전자우편을 다운로딩하고, 상기 다운로딩된 전자우편을 상기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된 전자우편에 대한 송신이 요구되면, 상기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작성된 전자우편을 송신하며, 상기 전자우편의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작성된 전자우편을 상기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USB 메모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 메모리 장치가 실제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과정에서 제공되는 패스워드 입력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USB 메모리 장치에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우편 수신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우편 송신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USB 커넥터 20 : MCU
25 : ROM30 : 메모리부
100 : USB 메모리 장치200 : 컴퓨터 본체
210 : USB 접속포트220 : 기타 외부 접속포트
230 :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40 : CPU
250 : RAM260 : 하드디스크
270 : 그래픽 처리부300 : 모니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USB 메모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USB 커넥터(10), MCU(Main Control Unit)(20) 및 메모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도면에서 USB 커넥터(10)는 컴퓨터에 구비되는 USB 포트와 접속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이며, 컴퓨터 본체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장 케이블 등을 통해 컴퓨터 본체와 접속된다.
MCU(20)는 USB 메모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 및 후술하는 메모리부(30)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삭제에 따른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과정에서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은MCU(20) 내의 ROM(25)에 프로그램 형태로 기저장된다.
메모리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MCU(20)의 제어 하에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통상적으로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 메모리부(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설치되는데, 이 전자우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한 설치 프로그램 또는 CD-ROM 또는 플로피디스크 등을 통해 별도로 제공된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전자우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리부(30)의 특정 영역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USB 메모리 장치가 실제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도면에서는 통상적인 컴퓨터에 구성되는 다양한 구성수단 중에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연관된 구성수단만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USB 메모리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USB 기반의 메모리 장치이며, USB 접속 포트(210), 기타 외부 접속포트(22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 CPU(240), RAM(250), 하드디스크(260), 그래픽 처리부 (270)는 컴퓨터 본체(200)에 구비되는 구성수단이다. 그리고, 모니터(300)는 컴퓨터 본체(200)와 연결된다.
동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수단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컴퓨터 본체(200)에 구비되는 USB 접속포트(210)는 USB 메모리 장치(100)와 접속되어 USB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로 역할을 한다.
기타 외부 접속포트(220)는 통상적으로 컴퓨터에 구비되어 다양한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포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도시하였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상술한 각 접속포트(210, 220) 및 내부의 각종 입출력 장치 또는 저장장치 등과 연결되어 후술하는 CPU(240)의 제어에 의해 입출력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메인보드 상에 IC 형태로 장착된다.
CPU(240)는 컴퓨터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메인 프로세서로서, 컴퓨터(200)와 연결된 각종 주변기기의 동작 제어 및 데이터의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 등 컴퓨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연산을 처리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USB 메모리 장치(100)의 전자우편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USB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후술하는 RAM(250)에 로딩(loading)하여 그에 따른 제어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RAM(250)은 CPU(250)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딩하기 위한 임시 저장수단이며, 하드디스크(260)는 컴퓨터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그래픽 처리부(270)는 CPU(240)의 제어 하에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각종 그래픽 데이터를 소정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모니터(3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는 컴퓨터 본체(200)에 구비된USB 접속포트(210)를 통해 연결되어 이동식 저장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자우편 발송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USB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부 (30)에 설치되어야만 하는데, 이 전자우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별도의 CD-ROM 또는 플로피디스크를 통해 제공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컴퓨터 (200)의 CPU(240)는 설치 프로그램의 내부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USB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하게 되고, USB 메모리 장치(100)의 MCU(20)는 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30) 특정 영역에 기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의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대한 실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USB 메모리 장치(100)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USB 메모리 장치(100)를 컴퓨터(200)에 연결하면(단계 S301), 컴퓨터 (200)에서는 플러그 인(Plug-In) 기능에 의해 USB 메모리 장치(100)를 하나의 새로운 디스크드라이브(예를 들면, 이동식 디스크)로 자동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200)를 이용해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실행을 요구하면(단계 S303), CPU(240)는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RAM(250)에 로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데, 이는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과거 수신된 전자우편을 타인이 열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데이터 보안 기능이다. 그리고, 이 패스워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우편 프로그램 설치과정에서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는 전자우편 프로그램과 함께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술한 단계(S303)를 통해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CPU(240)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화면을 그래픽 처리부(270)를 통해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단계 S305).
그리고,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키보드를 조작하여 소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단계 S307), CPU(240)는 RAM(250)에 로딩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와 USB 메모리 장치(100)에 기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09).
만일, 상술한 단계(S309)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CPU(240)는 RAM(250)에 로딩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그래픽 처리부(270)를 통해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유도한다(단계 S311).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USB 메모리 장치(100) 내부에 기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CPU(24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우편 송수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단계 S313).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의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서 제공되는 전반적인 기능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설정하는 기능(단계 S315)과,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기능(단계 S317) 및, 전자우편을 송신하는 기능(단계 S319)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단계(S313)를 통해 실행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은 다른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할 기능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USB 메모리 장치(100)에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단계(S315)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의 전자우편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계정정보 추가를 선택하게 되면, 다시 계정정보 가져오기(단계 S501) 또는 직접 입력(S511)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의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200)에 기저장된 전자우편 계정 정보를 복사하여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하기 위한 '계정정보 가져오기' 기능과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우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
만일, 사용자가 계정정보 가져오기(S501) 기능을 선택하면(단계 S501), CPU (240)는 컴퓨터(200) 내의 하드디스크(260)에 전자우편 프로그램(예를 들어,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에 설정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판독하여(단계 S503) 이를 USB 접속포트(210)를 통해 USB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한다(단계 S505). 그리고, USB 메모리 장치(100) 내의 MCU(20)는 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30)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507).
결국, 이러한 '계정정보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 (200)에 기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USB 메모리 장치(100)로 복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한 '직접 입력'을 선택한 경우에는(단계 S511), 모니터(300)를 통해 계정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참조하여 자신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직접 입력하게 되고(단계 S513), CPU(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계정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 및 USB 접속포트(210)를 통해 USB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한다(단계 S515).
그리고, USB 메모리 장치(100)의 MCU(20)는 USB 커넥터(10)를 통해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30)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507).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각각의 과정을 통해 USB 메모리 장치 (100)에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저장한 다음, 이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하여전자우편을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도 5a에 도시된 각각의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우편 계정정보가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다음, 도 3에 도시된 단계(S317)를 통해 '전자우편 가져오기' 기능을 선택하면, CPU(240)는 이에 응답하여 USB 메모리 장치 (100)에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판독하고(단계 S521), 도시 생략된 인터넷 접속장치(랜카드 또는 모뎀 등)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한 다음, 판독된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게 된다(단계 S523).
그리고,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포함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메일서버에 로그인 한 다음, 사용자에게 수신된 메일을 다운로딩하게 된다(단계 S525). 이때, CPU(240)는 다운로딩되는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한다(단계 S527). 따라서, USB 메모리 장치(100)의 MCU(20)는 다운로딩된 전자우편을 수신된 메일로 분류하여 메모리부(30)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529).
결국,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에서는 USB 메모리 장치(100)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메일 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된 메일을 다운로딩하여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송신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5c는 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도 5b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가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단계(S319)를 통해 '전자우편 보내기' 기능을 선택하면, CPU(240)는 이에 응답하여 RAM(250)에 로딩된 전자우편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전자우편 작성 화면을 그래픽 처리부(270)를 통해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단계 S531).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우편 작성 화면을 참조하여 새로운 전자우편을 작성하게 되고, 그 작성이 완료되면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전자우편의 전송을 요구하게 된다(단계 S533).
이때, CPU(240)는 작성된 전자우편을 송신하기 위해 USB 메모리 장치(100)에 기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판독한 다음(단계 S535), 판독된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게 된다(단계 S537). 그리고,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우편을 메일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전자우편 보내기'를 완료하게 된다 (단계 S539).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우편의 발송이 완료되면, CPU(240)는 상술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하게 되고(단계 S541), USB 메모리 장치(100) 내의 MCU(20)에서는 이를 보낸 편지로 분류하여 메모리부(30)의 소정영역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543).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발송한 전자우편을 언제라도 재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각각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USB 메모리 장치(100)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한 다음, 발송된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100)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 법에서는 전술한 도 5b의 각 과정을 통해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전자우편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제공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삭제하고자하는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100)에서 삭제하는 동시에 해당 전자우편이 수신된 메일서버에서도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우편 삭제를 요구하면, CPU(240)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선택된 전자우편에 대해 메일서버에서도 삭제할 것인 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한 다음, 만일 사용자가 메일서버에서의 삭제를 선택하면, 컴퓨터(200)는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전자우편을 삭제한 다음, 해당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메일서버에 보관된 전자우편도 삭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기설정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복사한 다음, 자신의 컴퓨터가 아니더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전자우편을 보다 더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때 송수신되는 전자우편을 사용중인 컴퓨터가 아닌 USB 메모리 장치에 자동 저장함으로써, 송수신한 전자우편에 대한 이동성 및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소정의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전자우편 계정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실행이 요구되면,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우편 수신이 요구되면, 상기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수신된 전자우편을 다운로딩하고, 상기 다운로딩된 전자우편을 상기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된 전자우편에 대한 송신이 요구되면, 상기 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작성된 전자우편을 송신하며, 상기 전자우편의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작성된 전자우편을 상기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된패스워드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실행이 요구되면,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 31 과정;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제 32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저장되는 전자우편 계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자우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저장되는 전자우편 계정정보는, 상기 컴퓨터에 기저장된 전자우편 계정정보로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전자우편이 선택되어 삭제가 요구되면, 상기선택된 전자우편을 USB 메모리 장치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삭제된 전자우편이 수신된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메일서버에 보관된 상기 전자우편도 삭제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KR1020020023049A 2002-04-26 2002-04-26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KR20030084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049A KR20030084373A (ko) 2002-04-26 2002-04-26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049A KR20030084373A (ko) 2002-04-26 2002-04-26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373A true KR20030084373A (ko) 2003-11-01

Family

ID=3238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049A KR20030084373A (ko) 2002-04-26 2002-04-26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43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88A (ko) * 2002-11-29 2003-01-23 (주) 라모스테크놀러지 전자메일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재생장치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0810536B1 (ko) * 2006-08-08 2008-03-10 엔에이치엔(주) 휴대저장장치를 이용한 인증 방법
WO2010016654A1 (ko) * 2008-08-07 2010-02-11 Nam Un-Sung 이동식 저장매체, 컨트롤 서버, 인증 시스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316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노트북 pc에서 전자우편 수신장치
KR20010047655A (ko) * 1999-11-22 2001-06-15 정장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KR20010054357A (ko) * 1999-12-06 2001-07-02 한승조 Pc 기반의 암호칩을 사용한 유.에스.비 보안모듈 제어방법
KR20020061697A (ko) * 2001-01-17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15068A (ko) * 2001-08-14 2003-02-20 아리온 주식회사 웹 상에서의 유에스비(usb) 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316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노트북 pc에서 전자우편 수신장치
KR20010047655A (ko) * 1999-11-22 2001-06-15 정장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KR20010054357A (ko) * 1999-12-06 2001-07-02 한승조 Pc 기반의 암호칩을 사용한 유.에스.비 보안모듈 제어방법
KR20020061697A (ko) * 2001-01-17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15068A (ko) * 2001-08-14 2003-02-20 아리온 주식회사 웹 상에서의 유에스비(usb) 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02.1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88A (ko) * 2002-11-29 2003-01-23 (주) 라모스테크놀러지 전자메일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재생장치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0810536B1 (ko) * 2006-08-08 2008-03-10 엔에이치엔(주) 휴대저장장치를 이용한 인증 방법
WO2010016654A1 (ko) * 2008-08-07 2010-02-11 Nam Un-Sung 이동식 저장매체, 컨트롤 서버, 인증 시스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5457B2 (ja) 印刷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46275B2 (ja) リモート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6689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provisioning of device drivers for portable storage devices
US63603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a portable computer
US20070046990A1 (en) Network server for providing scanning functionality to a computer
US20010018738A1 (en) Computer, controlling method therefor, recording medium, and transmitting medium
US20040001088A1 (en) Portable electronic key providing transportable personal computing environment
US8301777B1 (en) Network object delivery system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
EP1566726A1 (en) Detachable device, control circuit, control circuit firmware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ircuit design pattern in control circuit, and log-in method
US20110047468A1 (en) Data transmission program,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operation manual
US20050228948A1 (en) Software management method for a storage system, and storage system
JP2003141011A (ja) リモートセットアッ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848780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use of content
US7720460B2 (en) Automatic character code recognition/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using mobile telephone
US20050228979A1 (en) Stored-program device
KR20030084373A (ko)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방법
EP42737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1254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054626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653593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vice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vice and software storage medium
JP2001117768A (ja) 医療事務処理方法、医療事務処理用端末装置及び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2204327A (ja) 複合機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複合機
US20020198947A1 (en) Electronic document sender system and method with external address access
JP4361781B2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414225B (zh) 一种防hid键盘攻击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