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853A - 파일 환편기 - Google Patents

파일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853A
KR20030082853A KR1020020021355A KR20020021355A KR20030082853A KR 20030082853 A KR20030082853 A KR 20030082853A KR 1020020021355 A KR1020020021355 A KR 1020020021355A KR 20020021355 A KR20020021355 A KR 20020021355A KR 20030082853 A KR20030082853 A KR 2003008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needle
box
cam box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건장
박수길
Original Assignee
장건장
박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건장, 박수길 filed Critical 장건장
Priority to KR102002002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853A/ko
Publication of KR2003008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2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defects, e.g. holes, in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환편기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파일 환편기에 있어서, 하 실린더의 외주연에 차례로 배열되는 제1 하판 캠박스에는 루우프 편성용 캠과 편침 받침캠을, 제2 캠박스에는 지조직 형성용 편성캠을 설치하되 이는 반산캠과 큰산캠으로 배열하고, 제3 캠박스에는 다시 루우프 편성용 캠과 편침 받침용 캠을 설치하되 제1 캠박스의 배열과 다른 위치에 루우프 편성용 캠을 설치하며, 역시 제4 캠박스에도 지조직 형성용 편성캠을 설치하지만 제2 캠박스에 설치한 반산캠과 큰산캠의 위치와 같거나 다르게 설치하며, 제5 캠박스에는 통상적인 누름판용 캠을 설치하여 루우프를 절단하도록 하는 5개의 캠박스를 1개조로 하여 하나의 편기에 8개조를 설치하는 것으로 파일의 길이가 길고, 조직 밀도가 균일하며, 편포의 두께와 중량의 조정이 가능하며, 조직의 변화 및 목적에 따라 캠의 교체 및 착탈이 용이함으로 쉽게 고부가가치의 파일편포를 얻을 수 있는 파일 환편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일 환편기{pile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일 형성용 캠을 6단으로 구성시키고 칼바늘을 3단으로 하며, 편침의 벗트를 6단으로 구성하여(모체조직용 벗트를 포함하면 7단) 볼륨감이 있으며 털이 빠지지 않는 편포를 얻기 위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환편기의 실린더 외벽에 차례로 배열되는 하부 캠판의 승강캠 위치를 변화시켜주는 캠이동을 통해 기계적인 교환이나 캠의 수정 없이도 다양한 조직의 편포를 얻을 수 있는 환편기가 있었으나, 이러한 환편기는 캠판들의 배열을 바꿀 때마다 조직의 밀도 변화를 일으키므로 안정되고 균일한 조직의 편포를 얻기가 곤란하였으며, 이를 개량한 것으로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편침중 동일 높이의 조정벗트만을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편침승강안내캠과, 이 편침승강안내캠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유도캠 및 상기 편침승강안내캠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된 편침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유도캠의 하부에 제공되는 편침하강안내캠을 보유하며, 상기 편침승강안내캠의일측에는 각 편침의 공통벗트를 순차적이고도 일제히 승강시켜 평조직을 형성케 하는 밀도조정캠을 각기 구비한 체 환편기의 상측 주연부를 따라 차례로 배열되는 동일형상을 갖는 제1, 제2, 제3의 상부캠판들을 갖추고, 이들 상부캠판들 사이에 규칙적으로 제공되는 편침수평안내캠판을 설치하여서 되는 환편기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환편기도 모든 캠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조직의 변화를 위한 캠의 이동에 어려움이 따르며, 지조직과 루우프조직이 동시에 편성되므로 루우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볼륨감이 떨어져서 고부가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환편기는, 조직을 변경할 때마다 캠판의 전체 캠 배열을 바꾸어 주거나 새로운 캠판으로 교환하여야하는 등으로 그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해당 캠들을 가공하는 데에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빈도가 적은 캠판이라 할지라도 모두 새롭게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후 가공시에 파일이 빠짐으로써 편직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결점이 있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개량한 동일 높이의 조정벗트만을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편침승강 안내캠을 갖춘 환편기 역시 캠박스가 수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조직을 위하여 캠을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지조직과 루우프 조직이 동시에 편성되므로 루우프의 길이가 짧아지게되는 문제점과 조직의 밀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제고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루우프 조직용 캠을 6단으로 하고, 다시 그 하단에 지조직용 캠과 편침 받침용 캠을 설치하며, 털이 빠지지 않고 편직물의 중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밀도 조정용 캠을 반산 캠과 큰산 캠을 설치하고 칼바늘을 3단으로 하고, 편침을 6단으로 구성함으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환편기의 정면을 보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 환편기의 일 요부 단면도
도3은 도2의 구성에 싱커 캠박스 및 싱커 실린더가 추가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환편기의 상·하판 캠박스 배치도
도5는 본 발명 환편기의 하판 캠박스 및 캠 구성 예시도
도6a∼도6c는 본 발명 환편기의 하판 캠박스의 배열 및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7a은 상·하판 캠박스의 대응 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7b는 도7a에 싱커판을 장착한 상태도
도8은 칼바늘 및 편침의 구성 예시도
도9는 큰산캠과 반산캠의 의미 설명을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11, 11a, 11b, 11c, 11d : 상판 캠박스
12 : 상실린더21 : 싱커 캠박스22 : 싱커 실린더
23 : 싱커판24, 24a, 24b : 칼 바늘
25, 25a, 25b, 25c, 25d, 25e, 25f : 편침
30, 30a, 30b, 30c, 30d : 하판 캠박스32 : 하 실린더
33 : 루우프 형성용캠34 : 편성용 반산캠
35 : 편성용 큰산캠36 : 지조직용 캠
37 : 편침 받침캠39 : 캠 밀착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상판캠박스와 상판실린더를, 하부에 하판캠박스와 하판실린더로 구성된 환편기에 있어서, 상판캠박스와 하판캠박스의 배열 순서를 도7에 보인바와 같이 1, 2, 3, 4, 5열의 다섯 열이 1조가 되도록 구성하여 총 8개조로 대응 설치하고, 하판 캠박스의 2, 4열에는 지조직용캠을 배열하여 밀도를 조절하고, 편침의 버트는 모체(모체)조직용 버트를 제외하고 6단(모체조직용 버트 포함 7단)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상판캠박스에는 3단으로 구성된 칼바늘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환편기의 정면 개략도로서 상판(10)과 상판캠박스(11) 및 상 실린더(12), 하판캠박스(30). 싱커판(23) 및 하 실린더(3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2는 본 발명 환편기의 일 요부 단면도로서 상판캠박스(11), 상 실린더(12) 및 칼바늘(24)과, 이에 대응하는 하판캠박스(30), 하 실린더(32) 및 편침(25)의 구성을 볼 수 있다. 도3은 도2의 구성에 싱커캠박스(21) 및 싱커실린더(22)가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 환편기의 상·하판 캠박스의 배치도이며, 도5는 본 발명 환편기의 하판캠박스 및 캠 구성 예시도로서 루우프 형성용 캠(33) 및 하판캠박스(30)와 캠 밀착판(39)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6A 내지도6C는 본 발명 환편기의 하판 캠박스(30)의 배열순서 및 작동순서를 보인 예시도로서 하판캠박스(30)에 루우프 형성용 편성캠(33)과 밀도 조정이 용이하도록 편성용 반산캠(34) 및 큰산캠(일명 온산캠 : 35)을 설치하고, 파일사(루우프) 공급용 캠 (33'), 지사 공급용 캠(36'), 지조직용 캠(36), 그리고 편침 받침 캠(37) 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7은 상·하판 캠박스의 대응관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8은 칼바늘 및 편침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9는 큰산캠과 반산캠의 의미를 설명하기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편기의 하실린더(32) 외주연에 차례로 배열되는 하판캠박스(30)의 제1열에 루우프 형성용 캠(33)과 파일사 공급용 캠(33a) 및 편침 받침 캠(37)을 설치하여 제1단, 2단 및 3단 편침을 사용하도록 하여 상판캠박스에서 작동되는 제1단 칼바늘(24a)과 작용되도록 하고, 제2열에 지조직 형성용 편성캠(36)과 지사 공급용 캠(36a) 및 밀도 조정을 위하여 지조직 편성용 반산캠(34)과 큰산캠(35)을 설치하여 편물의 밀도와 파일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하며, 제3열과 제4열은 제1열과 제2열의 배치와 같은 순서로 설치하지만 편침은 제4단, 5단 및 6단 편침이 작동되도록 각종 캠을 배열하여 상판캠박스에서 작동되는 제2단 칼바늘과 작용하도록 하며, 제5열은 루우프 커팅을 위한 정지 및 누름 작용을 하도록 하는 제1열 내지 제5열까지 5ro열을 1개조로 구성하여 전체를 8개조로 구성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열에서 편침을 제1단 및 제2단 폄침(25a, 25b)만 사용하여 제1단 칼바늘(24a)과 작용되도록 하고 제3열에서는 제5단 제6단 편침(25e, 25f)만을 사용하여 3단 칼바늘(24c)과 작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6B에서와 같이 제2, 제4 열의 지조직용 캠을 모두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파일 밀도는 조밀해지지만 파일이 빠질 염려가 있다.
상판(10)과 상 실린더(12) 사이에는 상판캠박스(11∼11d)를 설치하되 하 실린더(32)의 외주연에 설치된 하판캠박스(30∼30d)의 배열과 대응하도록 5열을 1개조로 하여 총 8개조로 구성하며, 그 작동관계는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다. 즉, 상기한 상판캠박스(11)의 제1열에는 파일 형성용 1단 캠(14) 및 파일 형성용 3단 캠(16)을 설치하여 하판 캠박스(30)의 제1열과 대응시키고, 제2열은 지조직 편성캠(18)을 설치하여 상기한 하판캠박스(30a)의 제2열과 대응시키고, 제3열에는 파일 형성용 2단 캠(15)을 설치하여 하판캠박스(30b)의 제3열과 대응시키며, 제4열은 제2열과 같은 구성으로 설치하고, 제5열은 루우프 커팅을 위한 누름판 구동용 캠을 설치하여 상기한 하판캠박스(30d)의 제5열과 대응하도록 설치하며, 편조용 편침(25)은 모체(母體)조직용 기본 버트를 포함하여 7단(모체조직용 버트를 제외하면 6단)으로 구성하며, 루우프 커팅용 칼바늘(24)은 버트를 3단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판캠박스(30∼30d)에는 캠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결합 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된 캠 밀착판(39)이 설치되어 있어 캠의 교체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편기의 직경이 660.4mm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8개조로 형성하였지만, 환편기의 직경의 대소에 따라 조의 증감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같은 직경인 경우에도 각종 캠과 캠박스의 크기를 조정하여 6개조 또는 10개조로 할 수도 있으며, 조의 숫자를 줄이면 파일의 길이는 길어지지만 파일이 조밀하지 못하며, 조의 숫자를 늘리면 파일은 보다 조밀하게 할 수 있지만 장파일의 제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 상기한 직경의 환편기에서는 8개조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이때의 파일 길이는 5mm 내지 18mm까지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 캠박스의 제1열과 제3열에서는 파일용 루우프를 형성하고 제2열과 제4에서는 지조직을 편성하는데, 편조용 편침(25)의 모체조직용 벗트는 파일사와 지사를 이용하여 기본 조직을 형성하고, 도6A와 같이 하판캠박스(30) 제1열의 루우프 형성용 캠(33)을 6단으로 구성시켜서 4, 5, 6번째 캠(33)을 이용하여 3단, 2단, 1단 편침(25c, 25b, 25a)을 작동시켜 루우프를 형성하며. 이때 상판캠박스(11)에서는 1단 칼바늘(24a)이 작동되며, 제2열은 지조직을 형성하게 하고, 다시 제3열은 1, 2, 3번째 캠을 이용하여 6단, 5단, 4단의 편침(25f, 25e, 25d)을 작동시켜 루우프를 형성하며, 제4열에서는 다시 지조직만을 형성케 하고 제5열에서 제1열에서 형성된 루우프를 절단하여 파일을 형성하게 되며, 도6B와 같이 제2열과 제4열의 모든 캠을 제외시키므로 별도의 지조직을 편성하지 않으므로 파일밀도를 보다 조밀하게 편성할 수도 있으며, 도6C와 같이 제2열과 제4열의 반산캠(34)의 숫자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편물의 두께와 중량을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반산캠(34)의 숫자를 늘리면 반산캠(34)의 작용으로 지조직용 사(지사)를 받아 편물 코를 이탈하지 않고 지사를 받기만 하므로 바닥이 두터워질 뿐만 아니라 파일사가 한번 더 엮이게 되므로 탈모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5열에서는 통상적인 장치로 누름판을 눌러주면서 제1열의 1단 칼바늘(24a)에 의해루우프가 절단되며, 다음 코스에서는 상기한 작동을 계속하면서 제4열에서 큰산캠(혹은 온산캠:35)의 작용으로 루우프 사가 2단 칼바늘(24b)에 걸리게 하여 절단하고, 다시 다음 코스에서는 3단 칼바늘(24c)을 작동하고, 다음에는 다시 1단 칼바늘(24a)을 작동시키므로 털이 빠지지 않으면서 중량감 있는 파일편포를 편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싱커캠박스(21)와 싱커실린더(22)가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원단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사절 등의 사고시에 사고 처리가 원활하며, 원단말이가 원활한 장점이 있어 메리야스의 편직에는 필수적이지만, 기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어 중량이 무거워지는 결점과 먼지가 많이 발생하여 위생적이지 못하고 원단 불량의 원인이 된다는 결점도 있기 때문에 도2에서와 같이 싱커캠박스(21)와 싱커실린더(22)를 제거하면 기계는 간편하여지고 중량이 가벼워지는 장점도 있으나, 사절 등의 작은 사고라도 발생하였을 때에는 기계를 멈추고 처리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5mm 이하로 짧은 파일편포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제조가 극히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파일 편물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든지 제1열 캠박스(30)에 5단, 6단 편침(25e, 25f)이 올라왔을 때 제2열 캠박스에서 편성캠이 연결되고 제1열 캠박스(30)에서 작동한 파일 형성용 캠이 걸고 있는 파일사를 벗어나기 때문에 편침(25)은 서로 다른 단의 버트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많은 숫자의 버트가 필요하며 버트는 짝수개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편침(25)을 1,2 - 3,4 - 5,6으로 구성하였을 경우 편침(25) 1, 2단에칼바늘(24) 1단, 편침 3, 4단에 칼바늘 2단, 편침 5, 6단에 칼바늘 3단이 연결되어야 파일이 형성되며 이는 칼바늘(24)이 3단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되며, 칼바늘(24)을 2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편침(25) 1, 2, 3단에 칼바늘(24)은 1단으로, 편침(25) 4, 5, 6단에 칼바늘(24)은 2단으로 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파일 환편기는 제1열 및 제3열에서 루우프 조직이 편성되고, 제2열과 제4열에서 지조직이 편성되게 각종 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루우프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결국 파일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어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직의 밀도가 균일하며, 반산캠(34)과 큰산캠(35)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편물의 두께와 중량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산캠(34)의 역할로 파일사를 한번 더 잡아주므로 파일이 빠지지 않으며, 하판캠박스(30∼30d)내의 캠 밀착판(39)의 캠 설치용 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조직의 변화에 따른 캠의 교체 및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환편기에 의하면, 종래의 파일 환편기에서 사용되는 지조직과 루우프 조직이 동시에 편성되므로 파일이 짧고, 조직 밀도가 불균일하던 단점들을 제거하고, 환편기의 상·하판 캠박스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각종 캠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쉽게 편물의 두께와 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파일의 밀도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의 길이와 편물의 조직도 손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파일이 빠지지 않고 볼륨감이 풍부한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의 파일 편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상판과 상판캠박스 및 상 실린더, 하판캠박스 및 하 실린더로 구성되고 각 캠박스에는 각종 캠이 설치되는 파일 환편기에 있어서, 하 실린더의 외주연에 차례로 배열되는 캠박스에서 제1 하판 캠박스에는 루우프 형성용 캠과 편침 받침 캠을 설치하여 1, 2단 편침을 상승시켜서 제1 상판 캠박스에서 작동되는 1단 칼바늘과 대응시키며, 제2 하판 캠박스에는 지조직용 편성캠을 설치하되 이는 반산캠과 큰산캠으로 배열하며, 제2 상판 캠박스에서는 칼바늘이 대응하지 않으며, 다시 제3 하판 캠박스에 루우프 편성용 캠과 편침 받침캠을 설치하여 5단, 6단 편침을 상승시켜 제3 상판 캠박스에서 작동되는 3단 칼바늘과 대응시키며, 역시 제4 하판 캠박스에는 지조직용 편성캠을 설치하되 상기한 제2 상판 캠박스에 설치한 반산캠과 큰산캠의 배열과 같거나 다르게 설치하며, 제4 상판 캠박스에서는 칼바늘이 대응치 않도록 하고, 제5 상ㆍ하판 캠박스에는 통상적인 누름판용 캠을 설치하여 루우프를 절단하도록 하는 5개의 캠박스를 1개조로 하여 한 대의 환편기에 8개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환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하판 캠박스의 루우프 편성용캠 및 편침 받침캠의 구성을 1, 2, 3단 편침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제3 하판 캠박스에서는 4, 5, 6단의 편침이 상승하도록 루우프 편성용캠 및 편침 받침캠을 설치하고, 제1 상판 캠박스에서는 1단 칼바늘이, 제3 상판 캠박스에서는 2단 칼바늘이 제1 하판 캠박스 및제3 하판 캠박스와 대응하여 작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환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편침은 모체(母體)조직용 벗트를 포함하여 7단(모체조직용 벗트를 제외하면 6단)으로 구성하고, 칼바늘은 벗트를 3단으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환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일 환편기의 외주에 싱커 캠박스 및 싱커 실린더를 추가로 설치하여 파일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환편기.
KR1020020021355A 2002-04-18 2002-04-18 파일 환편기 KR20030082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55A KR20030082853A (ko) 2002-04-18 2002-04-18 파일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55A KR20030082853A (ko) 2002-04-18 2002-04-18 파일 환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53A true KR20030082853A (ko) 2003-10-23

Family

ID=3237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355A KR20030082853A (ko) 2002-04-18 2002-04-18 파일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29B1 (ko) * 2003-12-01 2004-05-08 이희성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342A (ko) * 1991-06-25 1993-01-15 신중식 연이어 설치한 복수의 유체용 밀봉주머니내에의 유체의 연속적 충전방법
KR940008282Y1 (ko) * 1992-10-30 1994-12-08 송유철 고품질 고능률 재직을 위한 환편기의 공용 버트(Butt)가 부착된 침과 캠장치
KR960008822U (ko) * 1994-08-13 1996-03-16 냉장고
KR200276606Y1 (ko) * 2002-02-25 2002-05-25 박길홍 환편기의 파일사 편조장치
KR100377381B1 (ko) * 2001-02-19 2003-03-26 주식회사 삼공투앤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및 그 편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342A (ko) * 1991-06-25 1993-01-15 신중식 연이어 설치한 복수의 유체용 밀봉주머니내에의 유체의 연속적 충전방법
KR940008282Y1 (ko) * 1992-10-30 1994-12-08 송유철 고품질 고능률 재직을 위한 환편기의 공용 버트(Butt)가 부착된 침과 캠장치
KR960008822U (ko) * 1994-08-13 1996-03-16 냉장고
KR100377381B1 (ko) * 2001-02-19 2003-03-26 주식회사 삼공투앤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및 그 편성방법
KR200276606Y1 (ko) * 2002-02-25 2002-05-25 박길홍 환편기의 파일사 편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29B1 (ko) * 2003-12-01 2004-05-08 이희성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668B1 (ko) 플러시 제조를 위한 싱커 세트
EP1721035A1 (en) Method for producing open-knit fabric with machines for knitting hosiery or other articles, and open-knit article obtained with the method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WO2020010877A1 (zh) 一种舌针经编机的选针装置及方法
KR970005845B1 (ko)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US3145548A (en) Pattern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20030082853A (ko) 파일 환편기
US20060010923A1 (en) Method of half-gauge knitting and article thus obtained
US6854294B2 (en)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knitwear, especially from hard, inelastic thread material
US3726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a net fabric
EP2028305B1 (en) Double bevel type double-knit circular knitting machine
EP1692333B1 (en) Method and equipment to change the knitting density in the production of warp fabrics and tubular articles by raschel loom and obtained products
KR100459652B1 (ko) 긴파일을 갖는 저밀도 파일직물 편성방법
KR940008279Y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 및 절단장치
KR100377381B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및 그 편성방법
KR200200976Y1 (ko)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KR200232763Y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CN109629099B (zh) 新型毛绒多功能一体机
CN113668133B (zh) 一种多段高低毛编织用提花圆机三角装置及其工作方法
US3000199A (en) Knitting machine and method
KR102199261B1 (ko) 편성캠 높이조절이 용이한 직물형 환편기
KR100538113B1 (ko) 2차 상승구조를 갖는 초장파일 직물의 제조장치
CN211689433U (zh) 一种新型选针棒
CN219342484U (zh) 用于双面纬编机编织罗马布面料的三角结构
CN219363962U (zh) 新型便于去除毛屑的针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