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79A -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 Google Patents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79A
KR20030082279A KR1020020020933A KR20020020933A KR20030082279A KR 20030082279 A KR20030082279 A KR 20030082279A KR 1020020020933 A KR1020020020933 A KR 1020020020933A KR 20020020933 A KR20020020933 A KR 20020020933A KR 20030082279 A KR20030082279 A KR 20030082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ariable
period
sig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호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79A/en
Publication of KR2003008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7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a variable clock is provided to support various output formats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least variable clock source in a system compensating errors of input and output periods by using variable clocks. CONSTITUTION: A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100) locks synchronization of a synchronous signal of a video signal with video signals inputted through bit streams for generating synchronous control signals of a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A variable clock source unit(200) varies an output frequency according to the generated synchronous control signals to synchronize and display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output video signal, so that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outputs a control synchronous signal supporting operational clocks of the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A PLL(Phase Locked Loop)(300) synthesizes the operational clocks to match synchronization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varied control synchronous signal.

Description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본 발명은 디지털 TV의 포맷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영상 신호의 록킹(lock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at converting apparatus of a digital TV,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locking a multiple output video signal using a variable clock.

단일 입출력 시스템에서 입력 영상 주기가 59.94Hz이고, 출력 영상의 주기도 59.94Hz일 경우 각 신호가 안정되어 있다면 입출력 영상의 주기는 정확히 일치할 것이다.If the input video cycle is 59.94Hz and the output video cycle is 59.94Hz in the single input / output system, the cycles of the input / output video will be exactly matched if each signal is stable.

그러나 실제 경우에는 여러 외부 여건에 의하여 주기가 조금씩 가변되기 때문에 입출력 신호의 주기의 차이가 누적되면서 두 신호의 주기가 일치하지 않고 틀어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in actual cases, since the periods vary slightly due to various external conditions, it is common that the periods of the two signals do not coincide and distort as the period difference of the input / output signals accumulates.

이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원하는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시스템에서 출력과 입력의 주기가 맞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출력되는 영상의 순서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in which output and input cycles do not match in a system that converts an externally input image into a desired format and outputs the image, the input image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memory while being outputted. It takes a way to control the order of the images.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입력 데이터 프레임을 건너뛰거나 반복하면서 출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동적인 영상에서는 화면의 거슬림이 많아지게 된다.However, this type of screen has a lot of annoyance in a dynamic image because output must be performed while skipping or repeating an input data frame.

또한, 성능에 있어서도 메모리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므로 메모리의 크기가커질수록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입력 영상의 크기가 커지면 메모리의 크기도 같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also depends on the size of the memory, so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memory can obtain a good effect, the larger the size of the input image has the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memory must also be larger.

따라서 입출력이 같은 주기인 신호에서 입력신호 주기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입력주기에 따라 출력 영상의 주기를 연동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최소한의 메모리를 사용하고도 좋은 성능의 입출력 주기 보정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input signal cycle is minutely changed in the signal having the same input / output cycle, the input / output cycl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with a minimum amount of memory by interlocking the cycle of the output image according to the input cycle.

도 1 은 일반적인 가변 클럭을 이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using a general variable clock.

도 1과 같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1),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가변 클럭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는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부(12)를 구비하는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10)와, 생성된 주기차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21), 필터링된 아날로그 레벨에 대응하여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키고,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을 출력하는 VCXO(22)를 구비하는 가변 클럭 소스부(20)와, 가변된 레퍼런스 클럭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으로 합성하는 PLL(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 image processing unit 11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an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3 for generating a cycle difference of a variable operation clock, and a variable clock cycle according to a format cycle of an image are controlled. A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10 having a synchronous signal generator 12 for outputting a synchronous signal, a loop filter 21 for outputting an analog level signal by filtering the generated periodic difference, and a filtered analog level Correspondingly,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 having a VCXO 22 for varying the output frequency and outputting a reference clock coincides with the synchronization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reference clock. It consists of a PLL 30 which is synthesized with an operation clock for making it work.

이와 같이,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20)는 전압 제어형 수정 발진기(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 VCXO)(22)를 사용하는데, 이는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 출력신호의 입력과 출력의 차를 반영하는 펄스 신호의 평균값을 VCXO(22)에 입력함으로써, VCXO(22)의 출력 클럭주기를 조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 uses a 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VCXO) 22, which refl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output signal of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13. The output clock period of the VCXO 22 is adjusted by input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pulse signal to the VCXO 22.

이렇게 조절된 클럭은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 PLL)(30)를 통해 동작 클럭으로 합성되어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10)로 입력된다.The clock thus adjusted is synthesized into an operation clock through a phase locked circuit (PLL) 30 and input to the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10.

그리고 이와 같이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로 인하여 시스템 출력주기가 변동되므로 입출력 주기차를 보정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put cycle of the system is changed due to the period of the operation clock which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 output cycle difference is corrected.

그러나 도 2와 같이 출력 영상 포맷이 2개 이상인 시스템에서는 출력 포맷의 수만큼 각각의 독립된 가변 클럭 소스부(20a)(20b)를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가변 클럭 소스부(20a)(20b)에 따른 시스템의 증가와,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system having two or more output image formats as shown in FIG. 2, each independent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a or 20b needs to be supported by the number of output formats, so tha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a or 20b is provided. Increasing and resulting in additional costs.

또한, 각각의 주기차를 따로 구하여 각각 가변 클럭 소스부(20a)(20b)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출력 포맷 수가 증가하는 만큼 시스템의 복잡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s 20a and 20b must be controlled by obtaining the respective period differences,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output formats increases.

그러므로 최소한의 시스템 자원으로 동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we need a way to achieve the same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of system resour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가변 클럭으로 동일 입력 영상에 대한 다양한 출력 포맷을 지원하는 다중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ultiple output system supporting various output formats for the same input image with a minimum variable clock.

도 1 은 일반적인 가변 클럭을 이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using a general variable clock.

도 2 는 일반적인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a general variable clock.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클럭을 공유한 다중 출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le output system sharing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중심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낸 도면4 (a)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center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낸 도면4 (b) shows an output variabl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6A and 6B illustrate a method of controlling a period of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동기 제어 신호 발생부110 : 영상 처리부100: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or 110: image processing unit

120 :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30 :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20: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30: input and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40 :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141 : 제어 모드 결정부140: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41: control mode determination unit

142 : 가변 범위 결정부143 : 가변 동기 결정부142: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143: variable 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unit

150 : 출력 주기차 생성부200 : 가변 클럭 소스부150: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200: variable clock source unit

210 : 루프 필터220 : VCXO210: loop filter 220: VCXO

300 : PLL300: P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의 특징은 영상신호의 동기 신호와 비트 스트림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를 락킹(locking)하여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가 동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생된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켜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작 클럭을 지원하는 제어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클럭 소스부와,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에서 가변된 제어 동기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을 합성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lock the synchronizat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bit stream (lock) of the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A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ynchronous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frequency is vari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synchronous control signal so that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output video signal ar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to support operation clocks of a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A phase locked loop (PLL) for synthesizing a variable clock source for outputting a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operation clock for synchronizing the synchronization of an input video signal and an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varied by the variable clock sour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가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한 후 가변 클럭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입력되는 입력영상의 동기 신호와 출력되는 출력영상의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와, 상기 생성한 주기차를 피드백시켜 제 1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중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출력되는 중심 동기 신호와, 다른 출력 포맷의 가변 동기와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출력 주기차 생성부와,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생성한 주기차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가변 클럭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a variable clock after processing the input image of the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compares the synchronous signal of the input image with the synchronous signal of the output image. An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eriod difference of the operation clock, a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for feeding back the generated period difference and outputting a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 format period of a first image, and the output center synchronization An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eriod difference between a signal 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of another output format, and a period of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a format period of a second image by using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And a variable sync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 variable sync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가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계산된 출력 주기의 차이 및 시스템 정보를 입력받아 가변 주기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모드 결정부와, 상기 호스트(host)에서 입력되는 주기차 기준점 정보 및 출력 주기차를 이용하여 소정 가변 주기의 폭인 가변 범위를 결정하는 가변 범위 결정부와,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에서 선택된 가변 주기 제어모드 및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에서 결정된 가변 범위에 따라 출력 가변 주기를 생성하는 가변 동기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In accordance with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ode determining unit may select a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by recei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period calcul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and system information, and the host. A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variable range that is a width of a predetermined variable period by using the period differenc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that are in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ation unit and the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determiner for generating an output variable period according to a variable r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에서 선택되는 가변 주기 제어 모드로 수평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와 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데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is selected from one of a period control mode of horizontal synchronization and a period control mode of vertical synchroniz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에서 동기 신호 주기의 변환은 공백(blank) 구간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변환하는데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synchronization signal period in the variable range determin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 blank peri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가 상기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기차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와, 상기 루프 필터에서 로우 패스 필터링된 아날로그 레벨에 대응하여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키고,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을 출력하는 VCXO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op filter outputs an analog level signal by performing low pass filtering on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and a low pass filtered analog level by the loop filter. Corresponding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CXO for varying the output frequency and outputting a reference clo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클럭을 공유한 다중 출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le output system sharing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단일 입력 영상에 대한 출력 포맷이 2개일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며, 출력 포맷이 3개 이상인 경우도 하기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결 가능할 것이다.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wo output formats for a single input image are two embodiments for the sake of simplicity, and the case in which three or more output formats are provided may be solved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below.

도 3을 보면, 영상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와 비트 스트림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를 락킹(locking)하여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100)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가 동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켜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작 클럭을 지원하는 제어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클럭 소스부(200)와,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200)에서 가변된 제어 동기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을 합성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300)로 구성된다.3,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for locking a synchronization of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a video signal and a video signal input through a bit stream to generate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of a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A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for supporting an operation clock of a plurality of output image formats by varying an output frequency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so that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output image signal ar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A phase locked loop for synthesizing an operation clock for synchronizing the synchronization of the input video signal with the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that is variable in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0. PLL) 300.

이때, 상기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한 후 가변 클럭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110)와, 입력되는 입력영상의 수직 동기 신호와 출력되는 출력영상의 수직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0)와, 상기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주기차를 피드백시켜 제 1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중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와, 상기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에서 출력되는 중심 동기 신호와, 다른 출력 포맷의 가변 동기와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와,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주기차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가변 클럭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140)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processes the input image and outputs the image according to a variable clock,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input image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output imag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30 for generating a periodic difference of the operation clocks by comparing the signals, and a cente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ormat period of the first image by feeding back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30. A center synchronous signal generator 120 for outputting a synchronous signal, an output cyclic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yclic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synchronous signal output from the center synchronous signal generator 120 and a variable synchronous synchronization in another output format 150 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for outputting a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controlled by a period of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a format period of a second image using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50. It is composed of a generation unit 140.

그리고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200)는 상기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0)에서생성된 주기차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210)와, 상기 루프 필터(210)에서 로우 패스 필터링된 아날로그 레벨에 대응하여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키고,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을 출력하는 VCXO(22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0 performs a low pass filtering on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30 to output an analog level signal, and the loop filter 210. The VCXO 220 outputs a reference clock by varying the output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low pass filtered analog level.

그리고 상기 PLL(300)을 통해 상기 VCXO(220)에서 가변된 레퍼런스 클럭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을 합성하여 출력한다.The PLL 300 synthesizes and outputs an operation clock for synchronizing the input video signal with the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reference clock of the VCXO 220.

이때,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0)와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는 가변 클럭 소스부(200)의 수만큼 존재해야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30 and the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200 must exist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s 200.

그리고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200)의 수는 PLL(300)의 동작 클럭 합성 가능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출력 포맷에 대해서는 VCXO(220)에서 출력되는 단일 가변 클럭(보통 27MHz)에 의해서 모두 지원 가능하다.The number of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s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ion clock of the PLL 300 can be synthesized. For a widely used output format, a single variable clock (usually 27 MHz) output from the VCXO 220 is used. All can be supported.

따라서, 상기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에서 출력되는 가변 클럭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는 출력 동기 신호는 중심 동기 신호로써, 이 중심 동기 신호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포맷이 다른 출력 포맷 주기 제어의 기본이 된다.Therefore, the output synchronizing signal controlled by the period of the variable clock output from the central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ng unit 120 is a centr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basic format of the output format cycle control is different from the image format output by the central synchronizing signal. do.

또한, 상기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와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130)는 일반적으로 도 1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과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enter sync signal generator 120 and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130 generall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in the case of FIG. 1.

그리고 상기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140)는 상기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120)에서 출력되는 중심 동기와 출력되는 다른 출력영상의 수직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에 의해 제어된다.The variable sync signal generator 140 compares the center sync output from the center sync signal generator 120 with the vertical sync signal of another output image and generates an output period of a variable operation clock. It is controlled by the vehicle generating unit 150.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의 동작은 도 4(a)(b)에서 나타내고 있다.The operation of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150 is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일반적으로 중심 동기신호와 가변 동기신호들은 동일한 클럭 소스를 공유하므로 각각의 동작 클럭이 고정된 상황에서는 상호간의 주기는 일치하게 된다.In general, since the center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variable synchronizing signal share the same clock source, the periods of the mutual synchronisms coincide with each operating clock.

그러나 PLL의 장기간 오차 누적, 혹은 출력 포맷의 변환 등으로 동작 클럭이 바뀌는 경우에 발생하는 PLL을 통한 동작 클럭 합성에 걸리는 시간 지연 같은 이유로 도 4(a)(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순간적으로 중심 주기와 가변 주기가 틀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가 수 차례 반복되면 출력 동기 신호들간의 위상이 완전히 맞지 않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4 (a) (b), the instantaneous center is caused by the time delay of synthesizing the operating clock through the PLL, which occurs when the operating clock is changed due to long-term error accumulation of the PLL or conversion of the output format. The period and the variable period are distorted. If this case is repeated several times, the phases between the output synchronization signals will be completely out of phase.

도 4(a)는 출력 중심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는 출력 가변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Fig. 4A shows the output center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nd Fig. 4B shows the output variabl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도면부호 X 및 Y는 출력 주기차를 나타낸 것으로, 출력 주기차를 0이라 하면, X는 출력 주기차의 극성이 (-)인 경우이고, Y는 출력 주기차의 극성이 (+)인 경우이다. 이는 중심 동기 대비 가변 동기의 위치를 나타내고, 주기차는 중심 동기의 기준점(도 4에서는 falling 시점)과의 거리차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s X and Y denote output period differences. When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0, X is a case where the polarity of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negative and Y is a case where the polarity of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positive. . Th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sync with respect to the center sync, and the periodic difference represents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point of the center sync (falling time in FIG. 4).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출력 중심 수직 동기 신호와 출력 가변 수직 동기 신호간에 차이가 발생될 때,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에서는 중심 수직 동기 신호와 각각의 가변 수직 동기신호와의 차이를 계산한다.4 (a) and 4 (b), when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output center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output variabl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output periodic difference generator 150 outputs the center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each variable vertical synchronization. Calculate the difference with the signal.

그리고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에서 계산된 중심 동기 신호와 각각의가변 동기들과의 주기차는 각 가변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140)로 입력된다.The period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150 and the respective variable synchronizations is input to the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40 generating each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이때, 상기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140)의 구조는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40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를 보면,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150)에서 계산된 출력 주기의 차이 및 호스트(host)에서 입력되는 시스템 정보를 입력받아 가변 주기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모드 결정부(141)와, 호스트(host)에서 입력되는 주기차 기준점 정보 및 상기 출력 주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소정 가변 주기의 폭인 가변 범위를 결정하는 가변 범위 결정부(142)와,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141)에서 선택된 가변 주기 제어모드 및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142)에서 결정된 가변 범위에 따라 출력 가변 주기를 생성하는 가변 동기 결정부(143)로 구성된다.5, a control mode determination unit 141 for selecting a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by receiving a difference between output periods calcul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150 and system information input from a host, A variable range determiner 142 that determines a variable range that is a width of a predetermined variable perio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ic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put from a host and the output period, and the variabl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141. The variable synchronization determiner 143 generates an output variable period according to the period control mode and the variable range determined by the variable range determiner 142.

이때,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141)에서 선택되는 가변 주기 제어 모드로는 수평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와 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로 나눌 수 있다.In this case,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141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control period control mode and a vertical synchronization period control mode.

상기 수평, 수직 동기 신호 주기 제어 모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한 주기 변화는 라인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인 수렴 속도는 빠르지만, 미세 제어는 어려운 반면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 변화는 그 반대로 수렴 속도는 느리지만 미세 제어(최하 라인당 1 픽셀)가 가능하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ous signal period control mode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since the periodic change using the vertical synchronous signal is performed on a line basis, the relative convergence speed is high, but fine control is difficult, while the cyclic change o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reversed. The convergence rate is slow but fine control (one pixel per line dow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142)에서 제어 모드에 따라 동기 신호의 주기를 가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평, 수직 동기 신호 모두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에 정의되어 발생되는 공백(blank) 구간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조절하고 있다.The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142 may vary the period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mode, but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may be used to define a blank section defined w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djus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상기 공백 구간은 디지털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용 동기 신호의 경우, 데이터의 비활성(inactive) 구간을 의미하고, 아날로그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용 동기 신호의 경우에는 편향 구간을 의미한다.The blank period means an inactive section of data in the case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digital device display, and a deflection section in the case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analog device display.

이와 같이 공백 구간을 조절하는 이유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디바이스에서는 오로지 유효 데이터 구간만 동기 신호로 입력되므로 공백(blank) 폭과는 무관하고,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HD급 고화질 영상의 경우 한 프레임의 전체 픽셀수와 라인수가 현존하는 일반 방송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수평 동기 공백(blank) 구간의 몇 픽셀 혹은 수직 동기 공백(blank)구간 1~2라인 정도의 변화에는 화면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blank section is adjusted is a digi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since only a valid data section is input as a synchronization signal, regardless of a blank width, and in the case of an analog display device, HD quality In the case of video, the total number of pixels and the number of lines in a frame is much larger than that of existing broadcasts. Therefore, the distortion of the screen is caused by the change of several pixels in the horizontal sync blank section or 1 or 2 lines in the vertical sync blank section. It does not occur.

다만,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방식의 저해상도 영상 포맷의 경우에는 이러한 공백(blank)주기 변화에 매우 민감할 수 있으므로 저해상도 출력 포맷은 시스템의 중심 동기 신호로 설정하여 가변 클럭 소스에 의한 클럭 주기 변화로 직접 제어하는 것이 좋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nalog display type low resolution video format, it may be very sensitive to such blank period variation, so it is recommended to set the low resolution output format as the centr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system and control it directly by the clock cycle variation by the variable clock source. good.

그리고 호스트에서 인가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는 디스플레이 방식 및 영상 포맷의 종류 등의 정보이다.The system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host is information such as a display type and an image format.

이와 같이 수평/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 방식은 클럭 주기 변화 방식보다 세밀한 주기제어는 불가능하지만 화면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거의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어 모드 결정부(141)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시스템 정보와 출력 주기차를 통해 가변 주기 제어모드를 수평 동기의 주기 제어모드 및 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period control method is not possible to perform finer period control than the clock period change method. However, the control mode determiner 141 is externally applied.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and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is selected from the period control mode of horizontal synchronization and the period control mode of vertical synchronization.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141)에서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142)에서 가변 범위를 결정하는데, 상기 가변 범위는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와 출력 주기차를 기본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맞게 결정해야 한다.When the control mode is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141, the variable range determiner 142 determines a variable range, wherein the variable range is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selected control mode and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You must decide accordingly.

이때, 주기차를 0이 아닌 특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원하는 위치(주기차 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주기차가 그 위치에 도달하면 가변 범위를 0으로 설정해 주면 된다.In this case, the periodic difference may be maintained at a specific value other than 0. When the periodic difference reaches its position, the variable range may be set to 0 aft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desired position (periodic difference reference point).

최종적으로 상기 제어 모두 결정부(141)에서 설정된 제어모드 및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142)에서 설정된 가변 범위에 따라 상기 가변 동기 결정부(143)는 출력 가변 주기를 생성한다. 이 방법을 도 6a, 6b에서 나타내고 있다.Finally, the variable synchronization determiner 143 generates an output variable period according to the control mode set by the determiner 141 and the variable range set by the variable range determiner 142. This method is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도 6a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와 같이 출력 주기차가 (-)인 경우는 가변 범위로 결정된 픽셀 만큼 공백(blank)폭을 A만큼 늘이고, 출력 주기차가 (+)인 경우에는 그 반대로 B만큼 줄인다.6A illustrates a method of controlling a period of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s shown in FIG. 6A, when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negative, the blank width is increased by A by the pixel determined as the variable range, and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 ), On the contrary, decreases by B.

도 6b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6b와 같이 상기 수평 동기의 방법과 유사하다. 즉, 출력 주기차가 (-)인 경우는 가변 범위로 결정된 라인만큼 공백 폭을 C만큼 늘리고, 출력 주기차가 (+)인 경우에는 그 반대로 D만큼 줄인다.FIG. 6B illustrat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eriod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similar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method as shown in FIG. 6B. That is, when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 the blank width is increased by C by the line determined by the variable range, and when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is (+), it is decreased by D on the contrary.

이때,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용의 경우 화면상의 영향을 고려하여 가변 범위를 1~2라인 정도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eriod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case of the analog display,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variable range to about 1 to 2 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the scree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은 입출력 주기의 오차를 가변 클럭을 이용하여 보상하는 시스템에서 최소한의 가변 클럭 소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출력 포맷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TV 등 다양한 출력 모드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the vari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support various output formats using a minimum variable clock source in a system that compensates for an error in an input / output period using a variable clock. In particular,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device using various output modes such as digital TV.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7)

영상신호의 동기 신호와 비트 스트림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를 락킹(locking)하여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와,A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locking the synchronous signal of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bit stream to generate a synchronous control signal of a plurality of output video formats;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가 동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생된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켜 다수개의 출력 영상 포맷의 동작 클럭을 지원하는 제어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클럭 소스부와,A variable clock source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for supporting operation clocks of a plurality of output image formats by varying an output frequency according to the generated synchronous control signal so that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output image signal are synchronized and displayed;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에서 가변된 제어 동기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와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을 합성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And a phase locked loop (PLL) for synthesizing an operation clock for synchronizing the synchronization of the input video signal with the out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ynchronization signal variable in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Multiple outpu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신호 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nchronous control signal generator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한 후 가변 클럭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An image processor which processes an input image and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a variable clock; 입력되는 입력영상의 동기 신호와 출력되는 출력영상의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가변되는 동작 클럭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와,An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eriod difference of an operation clock that is varied by comparing a synchronization signal of an input image and an output signal of an output image; 상기 생성한 주기차를 피드백시켜 제 1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중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중심 동기 신호 생성부와,A center sync signal generator for feeding back the generated difference to output a center sync signal according to a format cycle of a first image; 상기 출력되는 중심 동기 신호와, 다른 출력 포맷의 가변 동기와의 주기차를 생성하는 출력 주기차 생성부와,An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eriod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center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of another output format;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생성한 주기차를 이용하여 제 2 영상의 포맷 주기에 따른 가변 클럭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a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controlled by a period of a variable clock according to a format period of a second image using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ion unit.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cloc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동기 신호 생성부는The variabl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of claim 2, wherein 상기 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계산된 출력 주기의 차이 및 시스템 정보를 입력받아 가변 주기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모드 결정부와,A control mode determiner configured to select a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by recei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period calculated by the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and system information; 상기 호스트(host)에서 입력되는 주기차 기준점 정보 및 출력 주기차를 이용하여 소정 가변 주기의 폭인 가변 범위를 결정하는 가변 범위 결정부와,A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variable range that is a width of a predetermined variable period using period differenc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an output period difference input from the host;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에서 선택된 가변 주기 제어모드 및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에서 결정된 가변 범위에 따라 출력 가변 주기를 생성하는 가변 동기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And a variable synchronization determiner for generating an output variable period according to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and the variable range determined by the variable range determin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 모드 결정부에서 선택되는 가변 주기 제어 모드로는 수평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와 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mode determiner is selected from one of a period control mode of horizontal synchronization and a period control mode of vertical synchroniza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가변 범위 결정부에서 동기 신호 주기의 변환은 공백(blank) 구간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The conver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eriod in the variable range determination unit converts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blank interval (multiple output system) using a variable clock. 제 5 항에 있어서, 공백 구간의 변환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version of the blank interval 가변 주기 제어 모드가 수평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이면 픽셀 단위로 변환하고, 수직 동기의 주기 제어 모드이면 라인 단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A multi-output system using a variable clock, wherein the variable period control mode is converted in units of pixels when the period control mode of horizontal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and in units of lines when the period control mode of vertical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클럭 소스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clock source unit 상기 입출력 주기차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기차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와,A loop filter for outputting an analog level signal by low pass filtering the period difference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period difference generator; 상기 루프 필터에서 로우 패스 필터링된 아날로그 레벨에 대응하여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키고,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을 출력하는 VCXO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클럭을 이용한 다중 출력 시스템.And a VCXO for varying an output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low pass filtered analog level in the loop filter and outputting a reference clock.
KR1020020020933A 2002-04-17 2002-04-17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KR200300822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933A KR20030082279A (en) 2002-04-17 2002-04-17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933A KR20030082279A (en) 2002-04-17 2002-04-17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79A true KR20030082279A (en) 2003-10-22

Family

ID=3237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933A KR20030082279A (en) 2002-04-17 2002-04-17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7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270A (en) * 1992-08-11 1994-03-04 Sharp Corp Multiscreen display synchronizing controller
KR19990055332A (en) * 1997-12-27 1999-07-15 전주범 Synchronous Matching Device in Television with PIP Circuit
JP2001352463A (en) * 2000-06-07 2001-12-21 Hitachi Ltd Synchronization separation processing unit and video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270A (en) * 1992-08-11 1994-03-04 Sharp Corp Multiscreen display synchronizing controller
KR19990055332A (en) * 1997-12-27 1999-07-15 전주범 Synchronous Matching Device in Television with PIP Circuit
JP2001352463A (en) * 2000-06-07 2001-12-21 Hitachi Ltd Synchronization separation processing unit and video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2124B2 (en) Image display device, dot clock phase adjustment circuit, and clock phase adjustment method
US7205798B1 (en) Phase error correction circuit for a high speed frequency synthesizer
US9147375B2 (en) Display timing control circuit with adjustable clock divisor and method thereof
US5818416A (en) Image size adjusting apparatus for a digital display monitor
US5898328A (en) PLL circuit having a switched charge pump for charging a loop filter up or down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1356729A (en) Picture display device
US5959691A (en) Digital display apparatus having image size adjustment
US628540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scanning
CN102376289A (en) Display time sequence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6686969B1 (en) Display device
US6411267B1 (en) Monitor adjustment by data manipulation
JPH0220183A (en) Scanning line converting device
KR20010070301A (en) Synchronous frequency converting circuit
KR20030082279A (en) multi-output system using variable clock
EP0966153B1 (en) Video signal synchronizing apparatus
KR100705835B1 (e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lution
KR100317289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sync in digital TV
JP33533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432982B2 (en) OSD insert circuit
JP2713063B2 (en) Digital image generation device
JP3248403B2 (en) Digital convergence device
KR100907100B1 (en) Dot clock signal generator for video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KR100237645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screen site of wide screen television receiver
KR100266164B1 (en) Method for emboding sync of divided picture and apparatus thereof
JPH0720809A (en)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