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931A - 롤러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931A
KR20030081931A KR1020020020393A KR20020020393A KR20030081931A KR 20030081931 A KR20030081931 A KR 20030081931A KR 1020020020393 A KR1020020020393 A KR 1020020020393A KR 20020020393 A KR20020020393 A KR 20020020393A KR 20030081931 A KR20030081931 A KR 2003008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ller
main body
integrall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102002002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1931A/ko
Publication of KR2003008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6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on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스틱으로 균형 및 추진력을 발생시켜 이동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 보드{roller skates board}
본 발명은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롤러와 고정롤러가 양측에 장착된 보드를 구비한 다음 두개의 스틱을 이용해 균형을 잡거나 진행 및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운동과 놀이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놀이 및 운동용으로 여러 종류의 롤러스케이트 보드가 사용되어 왔던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R)가 일렬로 배치된 롤러보드(2)를 일정크기의 판재(3) 하부에 체결한 다음 두개의 스틱(ST)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판재(3)의 상부에 올라선 후에 상기 스틱(ST)을 이용하여 균형을 잡고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어린이나 초보자들도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보다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롤러스케이트 보드(1)가 제공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렬로 된 롤러(R)가 판재(3)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무게 하중이 직접 롤러(R)의 바퀴에 전달되므로 진행시 방향을 전환하기가 매우 어려워 경험이 풍부한 숙련자인 경우에도 방향을 전환하기가 매우 곤란하였고,
또한 판재(3)에 고정된 롤러(R)에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방향을 전환해야하므로 선회반경이 커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함은 물론 일반인이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롤러스케이트 보드(1)를 정지시키고 상기 보드(1)에서 내린 다음 롤러스케이트 보드(1)의 방향을 손을 사용하여 임의대로 전환하고 다시 판재(3)의 상부에 올라선 다음 진행을 해야하는 번거로움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개의 스틱으로 균형 및 추진력을 발생시켜 이동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형의 지지프레임이 일체로 돌출된 본체의 일측에는 일정 회전각을 이루는 회전홈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홈을 형성시키되, 상기 회전홈과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회전롤러와 고정롤러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시켜 무게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하여 주행시에도 본체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한 롤러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러스케이트 보드를 도시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형 지지프레임 13 : 회전홈
14 : 삽입홈 15 : 회전롤러 16 : 고정롤러
21 : 지지구 22 : 제동판 23 : 연결편
24 : 회전봉 25 : 링크 26 : 연결부재
27 : 유동간 28 : 제동패킹 29 : 스프링
30 : 플래시 30' : 결합돌기 31 : 거치구
32 : 가이드홈 40 : 볼록거울 41 : 고정구
ST : 스틱 r : 회전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개의 스틱으로 균형 및 추진력을 발생시켜 이동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금속판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일정 회전각을 이루는 부채꼴의 회전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무게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형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어 회전각에 의해 진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진행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사용하는 제동장치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크기의 금속판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의 지지프레임(12)이 일체로 된 본체(11)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11)의 상부 일측에는 일정한 회전각(r)을 이루도록 회전홈(1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홈(14)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저면에 회전롤러(15)와 고정롤러 (16)를 상기 회전홈(13)과 삽입홈(14)에 삽입되게 하여 축설.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롤러스케이트 보드(1)는 사용자가 본체(11)의 상부에 발을 올려놓고 두개의 스틱(ST)으로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스틱(ST)을 이용하여 주행을 하면 되는 것으로서, 주행 도중에 정지를 하거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제동장치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켜야 하는 바, 상기 제동장치는 본체(11)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구(21)와; 상기 지지구(21)에 회전자재하게 삽입.체결되고, 일측에 제동판(22)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연결편(23)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봉(24)과; 상기 연결편(23)에 고정되어 회전봉(2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25)와; 상기 링크(25)의 직선운동을 전달하는 연결부재(26)와; 상기 연결부재 (26)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절곡된 상태로 고정롤러(16)의 상부를 관통하여 좌/우 유동하는 유동간(27)과; 상기 유동간(27)의 절곡부 일측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그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16)와 직접 맞닿아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패킹 (28)과; 상기 유동간(27)의 절곡부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11)에 고정되어 상기 유동간(27)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스프링(29)이 일체로 된 것이다.
따라서,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봉(24)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 제동판(22)을 사용자가 밟게되면 회전봉 (24)이 회전하면서 타측에 고정된 연결편(23)도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연결편(23)에 연결된 링크(25)가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타측에 고정된 연결부재 (26)를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26)와 일체로 고정된 유동간(27)도 전진하며 상기 유동간(27)의 일측에 고정된 제동패킹(28)이 고정롤러(16)와 밀착되면서 그 마찰력에 의해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제동장치를 사용한 다음 제동판(22)에서 발을 떼면 상기 유동간(27)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29)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유동간(27)이 후퇴하며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연결부재(26)와 링크(25) 및 제동판(22) 등도 원위치로 복귀되어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행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진행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스틱(ST)으로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몸의 무게 중심을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홈(13) 내에서 회전롤러(15)가 회전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타측에 고정된 고정롤러(16)가 중심축이 되어 주행 방향이 전환하는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원하는 진행 방향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설된 회전롤러(15)는 일정한 회전각(r)을 이루는 회전홈(13)에 삽입되어 그 회전각(r)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홈 (13)의 회전각(r)은 약 100°정도의 부채꼴이 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롤러(15)가 회전각(r)내에서 회전하되, 회전홈(13)의 내부 일측과 회전롤러 (15)의 측면이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면서 본체(11)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된 ""형 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에 별도의 플레시(30)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홈(32)이 형성된 거치구(31)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홈 (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래시(30)의 저면에 결합돌기(30')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32)에 결합돌기(30')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상기 플래시(30)를 야간 주행시에만 체결하여 사용하고 주간에는 분리하여 별도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 상부의 양측에 볼록거울(40)이 일체로 된 고정구(41)를 설치.고정하여 주행시 사용자가 노면이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 등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서술된 바와같이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회전롤러와 고정롤러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서 본체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주행시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의 방향전환을 유연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반경이 축소되어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 주행시 상기 거치구에 플레시를 부착하여 시야를 확보하므로서 주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타인이나 차량 등에 주행위치를 인식케하므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사이드밀러를 본체 상부에 설치.고정하므로서 주행 도중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 사용자가 후방에서 진행하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어 상기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주로 사용하는 어린이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킨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두개의 스틱으로 균형 및 추진력을 발생시켜 이동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금속판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일정 회전각을 이루는 부채꼴의 회전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무게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형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어 회전각에 의해 진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진행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사용하는 제동장치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롤러스케이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홈의 회전각을 약 100°의 부채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본체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회전자재하게 삽입.체결되고, 일측에 제동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연결편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봉과;
    상기 연결편에 고정되어 회전봉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직선운동을 전달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절곡된 상태로 고정롤러의 상부를 관통하여 좌/우 유동하는 유동간과;
    상기 유동간의 절곡부 일측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그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와 직접 맞닿아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패킹과;
    상기 유동간의 절곡부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유동간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스프링이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별도의 플레시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거치구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 볼럭거울이 일체로 된 고정구를 더 설치.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보드.
KR1020020020393A 2002-04-15 2002-04-15 롤러스케이트 보드 KR20030081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93A KR20030081931A (ko) 2002-04-15 2002-04-15 롤러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93A KR20030081931A (ko) 2002-04-15 2002-04-15 롤러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31A true KR20030081931A (ko) 2003-10-22

Family

ID=3237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93A KR20030081931A (ko) 2002-04-15 2002-04-15 롤러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1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361B1 (ko) * 2012-05-18 2013-11-08 조아성 롤러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901A (ja) * 1989-08-18 1991-04-0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における微動機構
JPH0652880U (ja) * 1992-10-24 1994-07-19 義方 六車 手動スケボー
KR100201995B1 (ko) * 1996-04-08 1999-06-15 요시다 도시오 가변용량형 펌프
KR20000015569U (ko) * 1999-01-09 2000-08-05 김현 롤러 스케이트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901A (ja) * 1989-08-18 1991-04-0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における微動機構
JPH0652880U (ja) * 1992-10-24 1994-07-19 義方 六車 手動スケボー
KR100201995B1 (ko) * 1996-04-08 1999-06-15 요시다 도시오 가변용량형 펌프
KR20000015569U (ko) * 1999-01-09 2000-08-05 김현 롤러 스케이트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361B1 (ko) * 2012-05-18 2013-11-08 조아성 롤러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530Y1 (ko) 스케이트보드
US20100216369A1 (en) Playing device
EP0500991B1 (en) Rollerboard for road-skiing
KR100829144B1 (ko)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각도조절용 디스크
US5462297A (en) Roller-skate with improved brake device
KR101676317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ATE306302T1 (de) Rollschuhe
KR20030081931A (ko) 롤러스케이트 보드
US5779247A (en) Wheeled all terrain recreational device
JPS62249663A (ja) スケ−ト装置
KR20120000804U (ko) 스케이트 보드
CA2550827C (en) Braking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
FR2832319B1 (fr) Planche de glisse sur neige, et ensemble comprenant la planche de glisse et deux dispositifs de retenue d'une chaussure sur la planche
US20030227153A1 (en) Shoes with roller device
KR20170101640A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JP3050922U (ja) スノーサーフィン用の滑走板上に靴を保持する装置
KR20110080995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JP3045517U (ja) 娯楽用乗物
US11654736B1 (en) Auxiliary riding device, balancing scooter and auxiliary riding method for the balancing scooter
KR19980033465A (ko) 노상 스키용 롤러보드의 회전장치
RU2060748C1 (ru) Роликовые коньки
KR101945016B1 (ko) 감속 수단을 구비한 스케이팅 신발
KR20240020461A (ko)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KR20060021568A (ko) 롤러스케이트
KR200342367Y1 (ko) 스케이트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