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998A -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998A
KR20030080998A KR1020020083862A KR20020083862A KR20030080998A KR 20030080998 A KR20030080998 A KR 20030080998A KR 1020020083862 A KR1020020083862 A KR 1020020083862A KR 20020083862 A KR20020083862 A KR 20020083862A KR 20030080998 A KR20030080998 A KR 2003008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definition
reading
image data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루까와나오히로
미네류지
사꼬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8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4Measuring, i.e. determining a quantity by comparison with a standard

Landscapes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haracter Inpu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장표 처리 시스템 상의 각 스캐너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장표 정의시와 장표 판독시에 스캔 환경이 다른 경우나, 복수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표 정의 혹은 장표 판독을 행하는 경우라도, 단일 장표 정의 DB를 작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경년 열화나 고장 등의 스캐너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 스캔 환경에서 프로파일 작성 시트를 스캔하여, 그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스캔 특성을 추출한다. 각 장표 정의 내에 그 정의를 작성한 스캔 환경의 프로파일 혹은 그것에 대한 링크 정보를 기록하고, 장표 판독 시에 정의 작성과 장표 판독 장치와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문자열 인식·대조 등을 실행한다. 각 스캔 환경의 프로파일을 관측함으로써, 프로파일에 큰 변화가 생겼을 때는 해당 스캐너에 경년 열화나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에 스캔 환경이 다른 경우나, 복수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표 정의 혹은 장표 판독을 행하는 경우라도, 단일 장표 정의 DB를 작성 및 이용할 수 있어, 장표 정의 작성 작업의 저감과 장표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년 열화나 고장 등의 스캐너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메인터넌스 작업 저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DOCUMENT READING SYSTEM, DOCUMENT READING METHOD AND DOCUMENT READING PROGRAM}
본 발명은, 장표에 기재된 금액이나 지불자명 등의 정보를 판독하는 장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장표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장표의 사전 지식인, 장표 정의의 작성·관리·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입 전표나 세금 납부서 등의 장표의 화상을 광학식 스캐너 등으로 판독하고, 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장표 상에 기재된 금액이나 지불자명 등의 정보를 판독하는 시스템을 장표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상기 장표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확하게 장표를 처리하기 위해, 사전 지식으로서 입력 장치에 있어서, 판독 장표의 사이즈, 판독 행 수, 위치, 문자종, 문자 수 등의 장표를 판독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레이아웃 등의 장표의 특징이나, 장표를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취급 방법을 기록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로는, 예를 들면
(1) 장표종 정보,
·장표종 ID,
·장표 발행자명,
·장표 발행자 계좌 번호,
(2) 레이아웃 정보,
·괘선 위치,
·프레임 위치,
·프레임 속성(금액 기재 프레임, 날짜 기재 프레임 등),
·프레임 기재 문자종(숫자, 한자, 가타카나 등)
(3) 어플리케이션 정보,
·장표 취급 순서,
·장표 커트 위치,
·영수인 날인 위치,
등의 정보 중 하나가 포함되고, 본원에서는 적어도 프레임 위치 정보와 프레임 속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장표 정의로서 취급한다.
고정밀도의 장표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장표 정의의 (a) 작성 방법, (b) 관리 방법, (c) 이용 방법이 중요해진다.
상기 (a) 장표 정의 작성 방법에 관한 종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0-172779호 공보에는 장표 정의 작성 대상의 장표종의 입력 화상으로부터, 프레임을 자동 추출하고, 사전에 등록된 프레임의 포맷 지식을 이용하여, 유효한 프레임을 확정하고,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1-184965호 공보에는, 문자 패턴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구성 요소를 화상 내에서 자동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장표종을 구별하기 위한 장표 정의의 추출을 가능하게 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b)의 장표 정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표 정의를 축적한 장표 정의 DB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개평9-73502호 공보에, 복수대의 장표 처리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그 중 한대의 장표 처리 장치에만 장표 정의 DB를 갖게 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다른 장표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2001-307008호 공보에는, 장표 정의를 필요에 따라 장표 처리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장표 정의 DB의 구축 비용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c)의 장표 정의 이용 방법에 관해서는, 장표 정의에 기재된 필드 프레임이나 기재 문자종 등의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문자열 인식 처리를 실행시켜, 판독 대상 필드를 판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괘선 정보를 이용하여 판독 항목의 위치 결정을 행할 때, 각 스캐너의 스캔 특성에 의해 괘선의 출현이 정의시 화상과 다른 경우가 있으며, 정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괘선을 추출할 수 없고, 판독 항목의 위치 결정을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방법에서는, 취입하는 화상 데이터의 휘도값나, 해상도 등 사용하는 입력 장치마다 다른 특성값을 고려하지 않고 기재된 장표 정의의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장표 정의를 작성할 때에 이용하는 스캐너와 장표 처리 장치의 스캐너와의 특성이 다른 경우, 고정밀도의 장표 판독이 곤란해지는 과제가 있다.
또한, 장표 처리 시스템의 현실적 구성으로서,
(i) 1대뿐 아니라 복수대나 복수 종류의 스캐너를 사용하여 장표 화상을 수집하여, 장표 정의를 작성하는 경우,
(ii) 1개의 장표 정의 DB를 복수대나 복수 종류의 장표 처리 장치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스캐너가 혼재하는 경우, 종래의 장표 정의의 작성 및 이용 방법으로는 대처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에 스캔 환경이 다른 경우나, 복수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표 정의 혹은 장표 판독을 행하는 경우,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고정밀도의 장표 판독을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1이 있었다.
또한, 고정밀도의 판독을 항상 유지시키기 위해, 장표 처리 시스템 내의 스캐너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식 스캐너는 사용 시간에 따라 열화한다. 또한 반송계 불량 등에 의해, 스캔 화상에 신축 등의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화질이 악화된 스캐너는 신속하게 교환해야한다. 그러나 경년 열화나 고장 등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2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에 스캔 환경이 다른 경우나, 복수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표 정의 혹은 장표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도, 단일 장표 정의 DB를 작성 및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점2에 대하여, 경년 열화나 고장 등의 스캐너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계자와 그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 예1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 예2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장표 정의 작성 순서와 장표 판독 순서의 종래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표 정의 작성 순서와 장표 판독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프로파일 작성 시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프로파일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스캔 특성 추출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보정량 계산 수단의 처리 흐름도.
도 10은 장표 판독 수단의 처리 흐름도.
도 11은 스캔 상태 검출 수단의 처리 흐름도.
도 12는 그레이 휘도값의 화상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괘선 추출 결과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괘선 보정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괘선간 거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장표 처리 시스템 제공자
102 : 장표 처리 시스템 이용자
103 : 장표 발행자
104 : 장표 처리 희망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장표 정의 내에 그 정의를 작성한 입력 장치의 특성값 혹은 그것에 대한 링크 정보를 기록하고, 장표 판독 시에 정의 작성과 장표 판독 장치와의 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문자열 인식·대조 등을 행함으로써, 판독 정밀도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단일 장표 정의 DB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각 스캔 환경의 프로파일을 관측함으로써, 프로파일에 큰 변화가 생겼을 때는 해당 스캐너에 경년 열화나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등, 스캐너 상태의 자동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관계자나 시스템 구성, 각 기능 등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 본 실시예에 등장하는 관계자는 4자이다.
제1 관계자는 장표 처리 시스템 제공자(101), 제2 관계자는 장표 처리 시스템 이용자(102), 제3 관계자는 장표 발행자(103), 제4 관계자는 장표 처리 희망자(104)이다.
예를 들면 전기 요금의 지불을 예로 들면, 장표 처리 시스템 제공자는 시스템 개발 서비스 회사, 장표 처리 시스템 이용자(102)가 금융 기관, 장표 발행자(103)가 전력 회사, 장표 처리 희망자(104)가 전기 사용자가 된다. 전력 회사가 전기 사용 요금의 청구·지불을 위해 장표를 발행하여, 각 전기 이용자에게 장표를 송부한다. 전기 이용자는 전기 요금 불입을 위해 송부된 장표를 지참하여 금융 기관에 가, 장표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불입 수속을 행한다. 그 후 금융 기관은 불입된 사용 요금을 전력 회사에 송금하고, 전력 회사는 금융 기관에 장표 처리 대금을 지불하는 흐름으로 된다.
이 경우, 금융 기관은 시스템 개발·서비스 회사로부터 장표 처리 시스템을 구입 혹은 리스 등을 하여, 장표 처리 시스템을 이용, 그 구입 대금 혹은 이용값을 지불한다.
이어서, 도 1의 장표 처리 시스템 제공자(101)에 의해 제공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나누어, (I) 집중형(도 2), (2) 분리형(도 3)의 2개의 구성이 있다.
장표 처리 시스템의 제1 구성인 집중형(도 2)은, 스캐너(211∼213)와, 장표 화상 서버(221), 프로파일 서버(231), 장표 정의 서버(241), 장표 판독 서버(251)가 네트워크(201)를 개재하여 접속된 구성이다.
네트워크(201)의 실체는, 광 케이블이나 이더넷이나 전화선 등의 유선 네트워크, IEEE802.11a/b/g나 Bluetooth(The Bluetooth SlG Incorporated의 등록 상표) 등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혼재 등이다. 서버의 구성에 대해서는, 1대의 하드웨어로, 각 서버 중의 복수의 기능을 겸무해도 된다.
장표 처리 시스템은 1대 혹은 복수대의 스캐너를 갖는다. 스캐너의 구성의 예로는, 광학식 화상 캡쳐 장치와, 그것을 제어하고, 또한 채취 화상을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장표 화상 서버 등에 송신할 수 있는 계산기와의 세트나 FAX 장치 등이다. 또한 스캐너는 하드웨어 구성이 어느 하나의 서버와 융합해도 무과하다. 각 스캐너는 동일한 규격일 필요는 없다. 스캐너의 설치 장소를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장표 처리 시스템 제공자(101), 장표 처리 시스템 이용자(102), 장표 처리 희망자(104)에 설치 가능하다.
네트워크(201)를 통하여, 각 스캐너로 스캔된 장표 화상은, 장표 화상 서버(221)에 전송된다. 장표 화상 서버는, 전송된 장표 화상은 채취에 사용한 스캐너의 정보와 함께 장표 화상 DB222에 저장한다. 채취에 사용한 장표 화상 입력 장치의 정보란, 사용하는 스캐너에 의존하거나, 혹은 각 입력 장치의 경년 변화에 의해 값이 다를 가능성이 있는, 캡쳐된 화상 데이터 상의 특성값으로서, 예를 들면 해상도, 휘도값, 농담 정보, 스캔 최소 선폭·선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장표 정의에 포함되는 그 밖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후 본원에서는, 이들 입력 장치의 정보를 프로파일이라고 한다. 또한, 시스템 상의 각 스캐너에 고유의 번호 혹은 문자열(이후, 스캐너 ID)을 미리 할당해 두면, 그 스캐너 ID를 프로파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각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서버(231)가 관리하고 있다. 프로파일의 예를 도 7에 도시한다. 프로파일 서버는, 개개의 스캐너의 프로파일을 개개의 스캐너 ID와대응시켜 프로파일 DB23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장표 정의 서버(241)는, 장표 화상 서버로부터 장표 화상을 수신하고, 장표 정의를 작성하여, 장표 정의 DB242에 저장한다. 각 장표 정의에는, 각각 그 정의의 작성에 사용한 장표 화상의 채취 스캐너의 프로파일을 부가해 둔다.
장표 판독 서버(251)는, 장표 화상 서버 혹은 스캐너로부터 장표 화상을,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스캐너의 프로파일을, 장표 정의 서버로부터 장표 정의를 수신하여, 장표 정의에 기초하여 장표 상의 문자열·숫자 열 등을 판독하고, 그 판독 결과를 장표 판독 결과 DB에 저장한다. 장표 판독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겠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 경우에는, 장표 판독 서버(251) 내에 장표 화상 DB222와 프로파일 DB232와 장표 정의(242)를 저장해 두고, 스캐너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에 상기 처리를 실현하면 된다. 이상이, 장표 처리 시스템의 제1 구성인 집중형 설명이다.
장표 처리 시스템의 제2 구성인 분산형을 도 3에 도시한다. 제1 구성인 집중형과의 차이는, 장표 판독을 1대의 장표 판독 서버로 일괄해서 처리하거나, 각 장표 판독 장치 내에서 처리하는 것의 차이이다. 분리형에서는 장표의 정의를 행하는 장표 정의 센터와, 실제로 장표를 판독하는 1대 혹은 복수대의 장표 판독 장치로 구성된다. 도 3의 경우, 2대의 장표 판독 장치 A, B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장표 정의 센터(300)는, 장표 판독 서버가 필수가 아닌 것과, DB 배신 서버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제1 구성인 집중형(200)과 동등하다.
DB 배신 서버(361)는 장표 정의 DB나 장표 정의의 작성에 사용한 장표 화상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 DB를, 네트워크(302)를 이용하여, 각 장표 판독 장치에 배신하는 것이다. 장표 정의의 배신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307008호 공보에 기재된 장표 정의 배신 방법을 이용한다.
장표 판독 장치는, 1대 혹은 복수대의 스캐너와 장표 판독 서버, 장표 판독 결과 DB를 갖는다. 각 장표 판독 장치는, 네트워크(302)를 개재하여 DB 배신 서버와 접속되어 있다. 장표 판독 장치 내의 스캐너에 대한 프로파일은, 각 장표 판독 장치 내에 기억해도 되며, 혹은 프로파일 서버로 관리된다.
이상이, 장표 처리 시스템의 제2 구성인 분산형의 설명이다.
또한,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집중형과 분산형과의 혼재형이라도 된다. 즉, 분산형에서, 장표 정의 센터 내에 장표 판독 서버를 갖고, 또한 장표 판독 서버를 갖지 않은 장표 판독 장치가 장표 정의 센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장표 판독 장치에서는 장표 화상을 스캔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표 정의 센터에 장표 화상을 송신하며, 장표 정의 센터 내의 장표 판독 서버로 장표 판독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각 스캐너의 프로파일은 스캐너(373)에 기억 수단을 설치하여 유지해 두고, 판독 화상을 센터에 송신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첨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장표 센터 등에 장표의 정보를 집중적으로 축적해 둠으로써 효율적으로 장표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장표 정의 작성과 장표 판독의 순서를, 종래의 예(도 4)와 본 발명(도 5)을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장표 정의 작성 순서와 장표 판독 순서의 종래예(도 4)에서는, 우선 장표 처리 시스템에서 취급하려는 장표(411)를 장표 화상 입력부 A412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여, 장표 화상(413)을 얻는다. 이어서 장표 정의 작성 수단(414)에 의해 레이아웃 정보 등을 정의하고, 장표 정의(415)를 작성한다. 여기까지가 장표 정의 작성 순서(410)이다.
장표 판독 순서(420)는 우선 처리하려는 장표(421)를 장표 화상 입력부 B422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여, 장표 화상(423)을 얻는다. 그리고 장표 화상(423)과 앞의 장표 정의 작성 순서로 작성한 장표 정의(415)를 입력하고, 장표 판독부(424)에서 장표 지면 상에 기재된 판독 대상의 문자열·숫자 열 등을 판독하여, 그 결과를 장표 판독 결과(425)에 기억한다.
이상이 장표 정의 작성 순서와 장표 판독 순서의 종래예이다.
그러나, 종래예인 경우, 장표 화상 입력부 A412와 장표 화상 입력부 B422와의 입력 화상 중의 특성 차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정의 시의 화상에 존재한 괘선이 판독시에는 검출할 수 없거나, 정의되어 있지 않은 괘선까지 판독되는 등의 문제가 생겨, 그 결과 장표 판독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스캔 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장표 판독을 실현하는 것이, 본 발명 방식이다.
장표 정의 작성과 장표 판독의 본 발명 순서(도 5)에서는, 장표 처리 시스템에서 취급하려는 장표(511)를 장표 화상 입력부 A512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고, 장표 화상(513)을 얻는다. 이어서 장표 정의 작성부(514)에서 레이아웃 정보 등을정의하여, 장표 정의(515)를 작성한다. 이 때에 장표 정의(515) 내에 그 정의 작성에 사용한 장표 화상을 채취한 프로파일을 아울러 기록한다. 한편, 장표 화상 입력부 A512의 스캔 특성을 알기 위해, 프로파일 작성 시트(516)(도 6 참조, 이후 단순히 시트라고도 함)를 장표 화상 입력부 A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고, 스캔 특성 추출부(517)에서 스캔 특성을 추출하여, 프로파일 A518을 출력한다. 여기까지가 장표 정의 작성 순서(510)이다. 프로파일 작성은 장표를 스캔할 때마다 매회 실행할 필요는 없으며, 그 장표 화상 입력부를 최초로 사용하는 경우나, 메인터넌스 시에 정기적으로 행하는 경우, 또한 스캔한 화상에 이상이 보인 경우 등에 실행하면 된다. 스캐너 출하 전에 프로파일을 작성하여 기억시켜 두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 및 스캔 특성 추출부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겠다.
장표 판독 순서(520)는 우선 처리하려는 장표(521)를 장표 화상 입력부 B522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고, 장표 화상(523)을 얻는다. 한편, 장표 정의 작성(510)과 마찬가지로, 장표 화상 입력부 B522의 프로파일을 알기 위해, 시트(526)를 장표 화상 입력부 B에서 전자적으로 취득하고, 스캔 특성 추출부(527)에서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프로파일 B528을 출력해 둔다. 장표 판독의 전 혹은 장표 판독 중에, 보정량 계산부(529)에서 2개의 프로파일(518과 528) 사이에서 예를 들면 휘도값이나 해상도 등에 대한 차이를 추출하고, 판독 시의 보정량이나 보정 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장표 화상(523)과 앞의 장표 정의 작성 순서로 작성한 장표 정의(515), 보정량 계산부(529)의 결과를 입력으로 하여, 장표 판독부(524)에서 장표 지면 상에 기재된 판독 대상의 문자열·숫자 열 등을 판독하고, 그 결과를 장표판독 결과(525)에 기억한다.
이상이, 장표 정의 작성과 장표 판독의 본 발명 순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의 프로파일의 차이를 고려함으로써, 장표 화상 입력부가 다른 경우라도, 장표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프로파일 작성 시트와 프로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파일 작성 시트란, 각 장표 화상 입력부에서 본 시트를 스캔하여 화상을 전자화하고, 그 화상에 대하여 스캔 특성 추출 수단을 실행하여 프로파일을 얻기 위한 시트이다. 도 6은 프로파일 작성 시트의 예이다.
본 예에서는, 필드(610)에 다양한 문자 폰트나 스타일, 사이즈로 문자열·숫자 열이 인쇄되어 있다. 시트를 스캔 후, 스캔 특성 추출 수단이 이들 문자를 판독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부터, 인식 최소 문자 사이즈 등 문자열 인식에 관한 스캔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형(621)은 인식 가능한 선 밀도를 알기 위한 도형이다. 스캔 후, 2개의 횡선 사이에 존재하는 선을 인식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인식 최대 선 밀도를 추출한다. 본 예의 경우, 중앙에 가까운 선을 인식할 수 있으면 할 수록 인식 가능한 선 밀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형(622)은 그레이 계조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도형이다. 스캔 후, 본 도면형의 휘도값을 측정함으로써, 스캐너의 그레이 계조 특성을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도형(623∼625)은 컬러인 경우에, 각각 적, 녹, 청 계조의 특성을 조사하기위한 도형이다.
필드(630, 640)의 각 도형은, 선의 인식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필드이다. 본 예의 경우, 필드(630) 내에는 선 폭이 다른 선이 그려져 있다. 스캔 후, 해당 선의 실제의 선 폭을 측정함으로써, 선의 뭉침이나 끊김을 추출한다. 필드(640) 내에는, 농도가 다른 선이 그려져 있다. 스캔 후, 해당 선을 실제로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나, 그 때의 선 폭 등의 특성을 추출한다.
프로파일 작성 시트의, 어디에, 어떤 도형이 기재되고, 어떠한 스캔 특성을, 어떤 수단으로 추출할지 등의 프로파일 작성 시트 정보의 보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1) 사전 지식으로서 스캔 특성 추출 수단 내에 보유,
(2) 프로파일 작성 시트 상의 특정한 개소에 기록
등이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2)의 경우에, 이들 정보를 시트 우측 상부에 이차원 바코드(601)로 부호화하여 기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스캔 특성 추출 시에, 이차원 바코드의 복호화 수단이 필요해지지만, 사전 지식의 관리가 필요없는, 다양한 프로파일 작성 시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 도 6의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파일 작성 시트로부터 작성된 프로파일의 예를 도 7에 도시한다.
우선, 필드(701)에는 어떤 스캐너의 프로파일인지 나타내는 스캔 ID가 기재되어 있다. 필드(703)에는 그레이 계조의 특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도 6의 622로부터 얻어지는 각 그레이의 휘도값(본예의 경우 0∼255의 256 계조)에서의 휘도의 실측값이 기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필드(704∼706)에는, 도 6의 참조 부호 623∼625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적, 녹, 청 계조에 대한 실측값이 기재되어 있다. 필드(707, 708)에는 선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고, 필드(707)에는 인식 가능한 최소의 선 폭이, 필드(708)에는 인식 가능한 최대의 선 밀도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필드(709, 710)에는 문자나 패턴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고, 필드(709)에는 각 선 폭의 실측값이, 필드(710)에는 인식 가능한 최소의 문자 사이즈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도 6의 참조 부호 610, 630, 640 등에 나타내는 패턴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면, 필드(702)는 해상도의 실측값을 기재할 수 있다.
본 예의 항목 외에 예를 들면 각 문자 폰트에 대한 인식 가부 등의 필드가 추가되어도 된다.
스캔 특성 추출 수단(도 5 : 517, 527)의 처리 흐름을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프로파일 작성 시트 화상을 입력한다(단계 801). 이어서 입력 화상 중으로부터 시트의 네 구석을 검출하고, 시트의 화상 내의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802). 그 후, 프로파일 작성 시트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803). 본 실시예는 도 6의 이차원 바코드(601)를 복호화하는 처리가 그것에 해당한다. 이후, 프로파일 작성 시트 정보에 따라, 각 스캔 특성을 순차적으로 추출해 간다(단계 804). 각 스캔 특성 추출에 있어서, 우선 그 특성의 측정 영역을 결정하고(단계 805), 실측값을 측정한다(단계 806 ). 실측값으로부터 스캔 특성을 계산하고(단계 807), 그 결과를 프로파일에 기입한다(단계 808). 이상을 반복하여, 모든 스캔 특성을 추출하면, 프로파일을 출력하여 종료한다(단계 809). 이상의 처리는, 예를 들면 현재 스캐너 출하 시에 각 제품이 사양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하는 수단 등을 이용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이, 스캔 특성 추출의 처리 흐름이다.
이어서, 보정량 계산 수단(도 5 : 529)의 처리 흐름을 도 9에 도시한다. 우선 정의 작성 시의 프로파일을 입력한다(단계 901). 또한 장표 판독 시의 프로파일도 입력한다(단계 902). 또, 단계 901과 902의 실행순은 반대라도 된다. 그 후, 2개의 프로파일의 차이를 계산하여(단계 903), 그 차이로부터 입력된 장표 화상 데이터의 보정량이나 장표 정의에 규정되는 장표 판독을 행할 때의 장표 판독 파라미터를 결정한다(단계 904). 마지막으로 보정량이나 파라미터를 출력하여 종료한다(단계 905). 본 플로우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장표 판독 수단(도 5.524)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도 10).
우선 단계 1001∼1003에서, 판독할 장표의 화상, 그 장표의 정의, 보정량 계산 수단(529)에서 계산된 보정량을 입력한다. 또 각 단계의 실행순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후, 보정량에 따라 장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단계 1004), 장표의 네 구석을 검출하여, 장표의 화상 중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1005). 이어서, 정표 정의에 기재된 각 판독 항목에 대하여(단계 1006), 그 판독 영역을 결정하고(단계 1007), 그 영역 내에서 문자 패턴을 추출하고(단계 1008), 각 문자를 문자 인식함으로써 판독 결과를 얻는다(단계 1009). 마지막으로, 모든 판독 항목을 판독한후, 그 결과를 출력한다(1010).
여기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보정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보정 방법에는 크게 나눠,
(1) 화상 보정 : 판독 대상의 장표 화상을 직접 보정,
(2) 인식 보정 : 괘선 추출 결과나, 문자 절출·문자 식별의 파라미터나 사전 등을 변경,
의 2 종류가 있다. 상기 장표 판독의 처리 흐름에 있어서, 상기 (1)은 단계 1004, 상기 (2)는 단계 1007∼1009에 반영된다.
상기 (1) 화상 보정의 일례로서, 그레이 휘도값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도 12). 본 보정은 장표 정의시와 장표 판독시에서 스캐너가 서로 다른 경우, 그레이 휘도값의 특성이 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장표 판독 시의 장표 화상을 장표 정의 시의 장표 화상에 근접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우선 2개의 스캐너의 프로파일로부터, 그레이에서의 입력값 휘도값과 실측값과의 관계가 있다. 도 12의 경우, 프로파일 A (장표 정의 시의 스캔 특성)은 1201, 프로파일 B(장표 판독 시의 스캔 특성)은 1202이다. 보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장표 판독 시에 주목 화소의 휘도값이 g인 경우, 정의 시의 대응하는 실측값 g'에 해당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한다. 기타, 컬러나 빛깔의 농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보정은 장표 정의 시에 이용한 입력 장치와 판독 대상의 장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장치의 예를 들면 휘도값 등에 대한 특성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한 처리이다. 상기 (2) 인식 보정의 일례로서, 괘선 추출 결과의 보정 방법을설명한다(도 13). 상기 장표 판독 순서의 판독 영역 결정(단계 1007)에서, 보다 정확한 영역 결정을 위해서는 괘선 대조가 필요하다. 그러나,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에서 스캐너가 서로 다른 경우, 인식할 수 있는 선 밀도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표 정의에서의 괘선 등록(1301)과 괘선 추출 결과(1306)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프로파일의 차이로부터 추출 결과를 보정하여 괘선 대조하는 것이, 본 보정의 목적이다.
우선 프로파일 A와 B와의 인식 최대 선 밀도에 주목하여, 우수한 (큼) 쪽의 괘선 정보를 뒤떨어진 쪽의 인식 최대 면밀도에 맞춰 결과를 보정한다. 도 13의 경우, 장표 정의 시의 쪽이 우수하기 때문에, 뒤떨어져 있는 쪽의 인식 최대 선 밀도에서의 괘선 정보에 맞추어 파라미터를 변환하고(1304), 괘선 보정 결과(1305)를 얻는다. 그 보정 결과와 장표 판독 시의 괘선 추출 결과를 괘선 대조(1307)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스캔 특성이 다른 경우라도, 고정밀도의 괘선 대조가 가능해진다.
괘선 보정의 구체적 순서의 예를 도 14에 도시한다. 우선 단계 1401에서 보정하는 괘선의 집합 L과 인식 최대 선 밀도 d를 입력한다. 보정 대상의 괘선 집합 L은 선 밀도가 고정밀도한 쪽의 괘선 정보이며, d는 뒤떨어져 있는 쪽의 선 밀도이다. 예를 들면 도 13인 경우, L은 장표 정의 내의 괘선 정보, d는 프로파일 B의 선 밀도 1.6이 된다. 이어서, L 내의 2괘선(11, 12)에 대하여, 단계 1404의 각 조건이 성립하면, 그 2괘선을 통합하여 1괘선으로 한다(단계 1405). 단계 1404의 조건 중의 괘선간 거리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괘선 I1, I2 상의 각각의 임의의 점 p, q에서 2점간 거리가 최소가 될 때의 거리로 한다.
기타 스캔 최소 선폭이나 최소 선 간격 등에 차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입력 장표 화상 데이터의 프로파일이 더 뒤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장표 정의를 그 최소 선폭 등에 맞추어 판독을 행한다. 기타 장표 판독을 위해 문자의 문자가 절출 또는 패턴 통합을 위한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도 있다. 기타, 문자 인식에 끊김 문자용 사전을 준비해 두고, 문자 식별(1009)시에 이용하는 사전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차이가 큰 경우에는 출력 결과에 그 취지 혹은 신용도를 산출하여 부가해 둠으로써 고정밀도의 판독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스캔 상태 검출 수단의 처리 흐름을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새로 작성된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서버(221) 혹은 프로파일 DB를 갖는 처리 장치에 입력한다(단계 1101). 이어서 그 프로파일과 동일한 스캐너의 과거의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DB 등으로부터 검색하고(단계 1102), 새로운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한다(단계 1103). 이상의 단계를 실행한 후, 스캐너 이상의 검출을 실행한다. 우선 새로운 프로파일의 각 특성값을 참조하여 장표 처리 시스템의 사양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거나(단계 1104), 만약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캐너 이상으로서 스캐너 보유자 및 도 1의 시스템 제공자(101)에게 경고한다(단계 1105). 기타 프로파일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경고하도록 해도 된다. 경고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메일을 이용하거나, 혹은 우송, 시스템 제공자가 직접 메인터넌스를 경하여 방문해도 된다. 본 경고에 의해, 시스템 제공자(101)가 해당 스캐너를 조사하여 교환·수리등을 한다. 또한, 해당 스캐너가 시스템 이용자(102)나 장표 처리 희망자(103)의 것인 경우에는, 시스템 제공자로부터, 사양을 충족시키지 않은 취지의 경고와, 사양을 만족시키는 스캐너의 소개 등을 한다. 또한, 새로운 프로파일과 과거의 프로파일과의 차이가 어떤 임계값 이상인 경우(단계 1107)도 마찬가지로 경고한다.
본 수단은 프로파일 갱신 시 혹은 신규 작성 시에 실행한다. 또 신규 작성시에는, 단계 1102, 1103, 1106, 1107은 실행되지 않는다.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서비스로서 서비스원이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 혹은 시스템 이용자에게 정기적으로 프로파일 작성용 시트와 판독 화상을 송신하여 받도록 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판독을 실시함과 함께, 그 정밀도도 보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은, 장표 정의를 해당 정의에 이용한 화상 데이터의 제1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장표 화상 데이터와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한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장표 정의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제1과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의 차이를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계산 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장표 정의를 보정하는 수단과,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장표 정의를 이용하여 판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형태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장표 정의 시와 장표 판독 시에 스캔 환경이 다른 경우나,복수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표 정의 혹은 장표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도, 단일 장표 정의 DB를 작성 및 이용할 수 있어, 장표 정의 작성 작업의 저감과 장표 판독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년 열화나 고장 등의 스캐너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메인터넌스 작업 저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프레임 위치 정보와 프레임 속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표 정의를 해당 정의에 이용한 화상 데이터의 제1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장표 화상 데이터와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한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장표 정의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제1과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의 차이를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계산 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프로파일이 근접하도록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장표 정의를 변경하는 수단과,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장표 정의를 이용하여 판독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해당 제2 입력 장치의 1 D 코드와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취득한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에 첨부되는 ID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상기 제2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입력 장치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새롭게 입수한 해당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을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은 휘도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계산 수단의 휘도값에 대한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장표 정의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은 괘선의 판독 정밀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계산 수단의 괘선 판독 정밀도 정보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 정보 혹은 상기 장표 정의의 괘선 판독 정밀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 입력 장치의 프로파일은 문자의 판독 정밀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계산 수단의 문자 판독 정밀도에 대한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의 절출 정밀도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복수의 문자 인식용 사전을 기억하고,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장표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 데이터의 문자 인식에 사용하는 사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시스템.
  10.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장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한 제2 입력 장치에 의존하는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 중의 특성값에 대한 제2 정보를 취득하며,
    해당 장표 화상 데이터의 장표 정의와, 해당 장표 정의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해당 정의에 이용한 제1 입력 장치의 상기 특성값에 대한 제1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1과 제2 정보의 차이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장표 정의 혹은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상기 장표 정의를 이용하여 상기 장표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제1과 제2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방법.
  12.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장표 정의와 해당 장표 정의 작성 시에 이용한 화상의 입력 수단의 제1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단계와,
    접속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장표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입력 장치의 제2 프로파일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프로파일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프로파일이 근접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장표 정의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장표 정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한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판독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020083862A 2002-04-12 2002-12-26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 KR20030080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9904A JP4185699B2 (ja) 2002-04-12 2002-04-12 帳票読み取りシステム、帳票読み取り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JP-P-2002-00109904 2002-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998A true KR20030080998A (ko) 2003-10-17

Family

ID=2924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862A KR20030080998A (ko) 2002-04-12 2002-12-26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85699B2 (ko)
KR (1) KR20030080998A (ko)
CN (1) CN11982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513A (ja) * 2004-09-13 2006-03-23 Toppan Printing Co Ltd 生産履歴管理システム
US9137417B2 (en) 2005-03-24 2015-09-15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video data
US9769354B2 (en) 2005-03-24 2017-09-19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scanned data
JP2007141159A (ja) * 2005-11-22 2007-06-0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977368B2 (ja) 2005-12-28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媒体処理方法,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媒体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8958605B2 (en) 2009-02-10 2015-02-17 Kofax,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US9576272B2 (en) 2009-02-10 2017-02-21 Kofax,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US8774516B2 (en) 2009-02-10 2014-07-08 Kofax,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US9767354B2 (en) 2009-02-10 2017-09-19 Kofax, Inc. Global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validation, and normalization
US9349046B2 (en) 2009-02-10 2016-05-24 Kofax, Inc.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US8855375B2 (en) 2012-01-12 2014-10-07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US9483794B2 (en) 2012-01-12 2016-11-01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10146795B2 (en) 2012-01-12 2018-12-04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US9058515B1 (en) 2012-01-12 2015-06-16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9058580B1 (en) 2012-01-12 2015-06-16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9311531B2 (en) 2013-03-13 2016-04-12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objects in digital images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9355312B2 (en) 2013-03-13 2016-05-31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objects in digital images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9208536B2 (en) 2013-09-27 2015-12-08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geometric reconstruction of captured image data
US20140316841A1 (en) 2013-04-23 2014-10-23 Kofax, Inc. Location-based workflows and services
JP2016518790A (ja) 2013-05-03 2016-06-23 コファ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装置を用いて取込まれたビデオ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を検出および分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5073920A1 (en) 2013-11-15 2015-05-21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mposite images of long documents using mobile video data
CN105095842B (zh) * 2014-05-22 2018-12-11 口碑控股有限公司 一种单据的信息识别的方法和装置
US9760788B2 (en) 2014-10-30 2017-09-12 Kofax, Inc. Mobile document detection and orientation based on reference object characteristics
US10242285B2 (en) 2015-07-20 2019-03-26 Kofax, Inc. Iterative recognition-guided thresholding and data extraction
US9779296B1 (en) 2016-04-01 2017-10-03 Kofax, Inc. Content-based detection and three dimensional geometric reconstruction of objects in image and video data
US11062176B2 (en) 2017-11-30 2021-07-13 Kofax, Inc. Object detection and image cropping using a multi-detector approach
WO2020045039A1 (ja) * 2018-08-27 2020-03-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Ocr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03315A (ja) 2003-10-24
CN1198236C (zh) 2005-04-20
CN1452119A (zh) 2003-10-29
JP4185699B2 (ja)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0998A (ko) 장표 판독 시스템, 장표 판독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
JP5204208B2 (ja) レシートデータ照合支援装置およびレシートデータ照合支援プログラム
EP15033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quantizing document quality
JP4561474B2 (ja) 電子化文書保管システム
US8306325B2 (en) Text charact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724925B2 (en) Misalignment detecting apparatus, misalignment detec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11392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documents, and computer product
JP6357621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50652B (zh) 收据定义数据编制装置
CN103914858A (zh) 文档图像压缩方法及其在文档认证中的应用
JP2021515951A (ja) ラベル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13569863B (zh) 一种单据稽查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40179717A1 (en) Printing system, method of inspecting print data, method of classifying print inspection result and program
EP1573622A1 (en) Method for supervising the publication of items in published media and for preparing automated proof of publications.
CN103581498A (zh) 印刷色彩评价系统、印刷色彩评价方法以及存储介质
US8976428B2 (en) Image information managing method, image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and image information managing system for preparing and measuring an evaluation chart
CN101833662A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2011060067A (ja) 自動検針システム
CN113841156A (zh) 基于图像识别的控制方法与装置
JP6010318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07392A1 (en) Optical imaging and analysis of a graphic symbol
US10079958B2 (en) Printed material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JP20161433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RU2249251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распознавание символов на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м фоне при помощи комбинирования моделей фона и символов
CN114118949B (zh) 一种票据的信息处理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