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939A - 신문용 클립 - Google Patents

신문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939A
KR20030080939A KR1020020020174A KR20020020174A KR20030080939A KR 20030080939 A KR20030080939 A KR 20030080939A KR 1020020020174 A KR1020020020174 A KR 1020020020174A KR 20020020174 A KR20020020174 A KR 20020020174A KR 20030080939 A KR20030080939 A KR 2003008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spaper
clip
support
clip body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riority to KR102002002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939A/ko
Priority to PCT/KR2003/000254 priority patent/WO2003066347A1/en
Priority to AU2003206240A priority patent/AU2003206240A1/en
Publication of KR2003008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7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with sliding clamping mean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문을 구독 시 절첩부를 클립핑(clipping)하여 신문 구독상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A clip for newspaper)의 구조를 더욱 간단히 하여 염가로 양산공급이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문용 클립(1)은 신문(2)의 절첩부(3)에 강제 끼움될 수 있도록 끼움개구(4)를 가지는 클립본체(5)와, 클립본체(5)에 교환가능한 필기구(7)를 내장한 보조대(6)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클립본체(5)에 개폐가능한 뚜껑(13)을 구비하며, 뚜껑(13)에는 끼움결합 방향이 하측으로 형성된 행거(14)가 부착되고, 상기 행거(14) 상측에는 목걸이(15)를 연결할 수 있는 결합공(16)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초소형으로 휴대상의 편의성 제공 및 클립핑 작업이 보다 용이하며 필기구(7)의 리필(refill)이 가능한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문용 클립{A clip for newspaper}
본 발명은 신문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문을 읽을 때 절첩부를 클립핑(clipping)하여 신문 구독상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A clip for newspaper)의 구조를 더욱 간단히 하여 염가로 양산공급이 가능하고, 사용편의성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신문을 읽을 때는 기사 내용이 양면으로 인쇄되어 있고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서 절첩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독자가 신문을 읽을 때는 좌우로 분할된 전후면을 연속으로 번갈아 가면서 신문을 읽어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롭고 신문이 지류로 만들어지므로 파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절첩부 등이 쉽게 구김이 가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신문을 읽은 후 일정 장소에 비치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읽고자 할 경우에는 신문의 전후면이 가지런히 정리가 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보기에도 흉할 뿐 아니라 정리를 하면서 읽어야 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히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문용 클립에 대하여 선출원(출원번호: 20-2002-0004219, 20-2002-0004565)한 바 있으나, 상기 선출원의 경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휴대상의 어려움과 조작이 복잡하여 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신문용 클립의 개발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문을 읽을 때 신문에 구김이 가는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신문용 클립에 있어 서,
본 발명자의 선출원 구성에 비하여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초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편리하며, 신문에 클립핑 시 보조대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신문 부피에 의하여 클립본체와 보조대 사이가 꽉 차기 때문에 클립이 쉽게 빠지지 않는 신규한 구성의 신문용 클립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문용 클립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신문용 클립 2:신문
3:절첩부 4:끼움개구
5:클립본체 6:보조대
6a:결합공 7:필기구
8:보강리브 9:캡
10:암나사공 11:숫나사부
12:고정플렌지 13:뚜껑
14:행거 15:목걸이
16:결합공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문용 클립(1)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는 통상의 신문(2) 절첩부(3) 외측에서 절첩부(3)를 에워싸듯이 클립핑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개구(4)를 갖는 클립본체(5)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본체(5)는 PVC 등과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구성되며, 클립본체(5)의 끼움개구(4)가 탄성적으로 신문(2)의 절첩부(3)를 클립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립본체(5)에는 신문(2)의 절첩부(3) 내측으로 끼움되어 신문(2)을 확실하게 클립핑할 수 있도록 보조대(6)가 결합되는바, 상기 보조대(6)는 클립본체(5)에 일체고정하거나 나사식 등으로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보조대(6)가 리필(refill)이 가능한 필기구(7)를 내장하기 때문이다.
즉, 이를 위하여 클립본체(5)의 내측 단부에는 필기구(7)를 결합할 수 있도록 관체로 이루어진 보조대(6)를 일체 형성하되, 보조대(6)의 후단부 결합공(6a)이클립본체(5)의 후측단부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6a) 주위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8)를 수개 형성토록 한다. 그리고 보조대(6)상에 결합공(6a)을 통하여 필기구(7)가 끼움조립된 상태에서 이의 후단부를 폐쇄 및 마감하기 위한 캡(9)을 끼움식으로 결합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자가 실제 신문(2) 등을 본 발명의 신문용 클립(1)으로 클립핑해 본 결과 상기 클립본체(5)의 내경치수는 약 10mm, 보조대(6)의 외경치수는 약 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상기 보조대(6)는 필기구(7) 리필을 위하여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식 조립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즉 클립본체(5)에 암나사공(10)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공(10)에 나사조립될 수 있는 숫나사부(11)와 고정플렌지(12)를 보조대(6) 후측에 형성하여 보조대(6)가 클립본체(5)에 나사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7)를 내장하여 필기구 기능을 동시에 갖는 보조대(6)를 구비한 클립본체(5)를 휴대 및 보관시의 편익을 도모함과 동시에 필기구(7)의 잉크등이 건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클립본체(5)의 외연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뚜껑(13)을 별도로 구비하는바, 상기 뚜껑(1])에는 의복의 포켓 등에 클립본체(5)을 고정할 수 있는 탄력식 행거(14)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14)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15)를 연결할 수 있는 결합공(16)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13)에 형성되는 행거(14)는 포켓 등에 끼움결합하는 방향이 하측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뚜껑(13)의 외면부에는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하여 휴대시에 악세사리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신문용 클립(1)은 신문을 구독자가 읽을 때 신문(2)의 절첩부(3)에 결합시켜 신문(2)을 넘길 때 구김이 잘 발생하지 않고 잘 넘어가며, 신문(2) 파지의 용이성 제공 및 신문(2) 구독상의 편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갖는 특유의 작용과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일간지, 주간지, 정보지 등과 각종 신문(2)이나 정보지 등을 구독할 시에 절첩부(3)에 결합시켜 사용되는 것인바, 평소에는 본 발명의 신문용 클립(1)을 뚜껑(13)에 형성된 행거(14)를 사용하여 의복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 등에 결합시켜 휴대하거나 목걸이(15)를 결합공(16)에 연결하여 목에 걸어서 간편히 휴대하다가 신문(2) 등을 구독코자 할 경우에는 클립본체(5)를 뚜껑(13)으로부터 분리하고 보조대(6)를 신문(2)이 접어진 부위, 즉 절첩부(3) 상으로 끼워 넣으면서 클립본체(5)의 끼움개구(4) 상으로 신문(2)의 절첩부(3)를 상부에서 끼움시켜 신문(2) 절첩부(3)를 클립핑하는 것인바,
신문(2)의 절첩부(3) 부위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클립본체(5)의 보조대(6)가 절첩부(3)로 끼워지도록 하고 절첩부(3)의 외측면은 끼움개구(4)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면 신문(2) 절첩부(3)는 보조대(6)와 클립본체(5)의 내부에 꽉 찬 상태로 클립핑되므로 임의 이탈하지 않는 상태로 클립핑이 완료되어 신문(2) 구독시의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조대(6)상에 필기구(7)가 설치되어 있어 휴대 중에 뚜껑(13)으로부터 클립본체(5)를 분리한 상태에서 필기구(7)를 사용하여 간단한 필기를 행할 수 있고, 필기구(7)의 잉크 등이 소모되면 간단히 분리하여 새로운 필기구(7)로 보충할 수도 있는바, 이때는 클립본체(5) 후측 단부에 결합된 캡(9)을 분리한 후 필기구(7)를 인출하고 새로운 필기구(7)를 보조대(6)상에 끼움조립한 후 캡(9)을 폐쇄하면 필기구(7)를 교환할 수 있으며,
도 3,4와 같이 나사식으로 구성할 경우는 보조대(6)를 클립본체(5)에서 나사분리한 후 필기구(7)를 인출하여 교환시킨 후 클립본체(5)의 암나사공(10)에 다시 나사결합하면 간단히 필기구(7)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문용 클립(1)은 신문(2)의 가로방향 좌우를 중앙에서 접는 선, 즉 절첩부(3)에 세로방향으로 강제 끼움시켜 절첩부(3) 외측에서 신문(2)을 클립핑할 수 있는 끼움개구(4)를 가진 클립본체(5)와, 상기 클립본체(5)에 필기구(7)를 내장한 보조대(6)를 설치하고, 뚜껑(13)으로 클립본체(5)를 개폐토록하고 휴대시 편익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문(2) 구독시의 편익제공과 함께 구조가 단순하고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상의 편익제공 및 악세사리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보조대(6)의 내부에 필기구(7)를 내장하여 휴대 중 필기구(7)를 사용하여 간단한 필기를 행할 수 있고, 필기구(7)를 리필이 가능토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며, 필기구(7)가 보조대(6)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보조대(6)가 쉽게 휘어지는 등의 폐단이 방지되므로 신문(2)을 클립핑시에 보조대(6)가 절첩부(3)상에 보다 쉽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립본체(5)의 하부에서 뚜껑(13)이 개폐되도록 하여 포켓 등에 행거(14)로 고정하여 휴대하거나 목걸이(15)를 결합공(15)에 연결하여 휴대상의 호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기구(7)의 심이 휴대시 항상 하부로 위치하게 되어 필기시에 잉크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필기상의 편익을 제공하게 되며, 필기구(7)를 휴대시 뚜껑(13)이 밀폐하고 있어 본 발명을 휴대 중 넘어지더라도 필기구(7) 심에 의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와 분리되어 있다가 외기의 영향으로 잉크가 응고되는 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3)

  1. 통상의 각종 신문(2)의 가로방향으로 좌우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절첩부(3)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신문용 클립(1)에 있어서;
    상기 신문용 클립(1)은 신문(2)의 절첩부(3)에 강제 끼움될 수 있도록 끼움개구(4)를 가지는 클립본체(5)와,
    상기 클립본체(5)에 교환가능한 필기구(7)를 내장한 보조대(6)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클립본체(5)에 개폐가능한 뚜껑(13)을 구비하며,
    상기 뚜껑(13)에는 끼움결합 방향이 하측으로 형성된 행거(14)가 부착되고, 상기 행거(14) 상측에는 목걸이(15)를 연결할 수 있는 결합공(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6)의 후측단부는 클립본체(5)에 보강리브(8)와 함께 일체 고정되고, 보조대(6)의 후측 필기구(7) 결합용 결합공(6a)에는 캡(9)을 끼움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용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6) 후측단부에는 숫나사부(11)와 고정플렌지(12)를 형성하여 클립본체(5) 후측에 형성된 암나사공(10)에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용 클립.
KR1020020020174A 2002-02-08 2002-04-09 신문용 클립 KR2003008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74A KR20030080939A (ko) 2002-04-09 2002-04-09 신문용 클립
PCT/KR2003/000254 WO2003066347A1 (en) 2002-02-08 2003-02-06 A clip for newspaper
AU2003206240A AU2003206240A1 (en) 2002-02-08 2003-02-06 A clip for news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74A KR20030080939A (ko) 2002-04-09 2002-04-09 신문용 클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392U Division KR200285783Y1 (ko) 2002-05-07 2002-05-07 신문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939A true KR20030080939A (ko) 2003-10-17

Family

ID=3237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74A KR20030080939A (ko) 2002-02-08 2002-04-09 신문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93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276U (ko) * 1987-03-30 1988-10-11
JPH0363386A (ja) * 1989-04-12 1991-03-19 Paurat Gmbh 掘進機の切削ヘッドにおける切削工具保持装置
JP2000118183A (ja) * 1998-10-20 2000-04-25 Osamu Shimoji 新聞紙ホルダー
KR20020025124A (ko) * 2002-02-08 2002-04-03 김중신 신문용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276U (ko) * 1987-03-30 1988-10-11
JPH0363386A (ja) * 1989-04-12 1991-03-19 Paurat Gmbh 掘進機の切削ヘッドにおける切削工具保持装置
JP2000118183A (ja) * 1998-10-20 2000-04-25 Osamu Shimoji 新聞紙ホルダー
KR20020025124A (ko) * 2002-02-08 2002-04-03 김중신 신문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953B2 (en) Pocketable note holder with writing instrument
US20060282989A1 (en) Magnetic instrument holder
US7316516B2 (en) Pocketable writing instrument
WO1999055192A1 (en) Flat folding writing instrument
US5501171A (en) Flexible bookmark with holder for writing instrument
EP1610962A2 (en) Combination of a writing device and a clamping device
KR200285783Y1 (ko) 신문용 클립
KR20030080939A (ko) 신문용 클립
US6006693A (en) Bookmark with highlighter pen
CN217455474U (zh) 便收纳笔筒
KR200320945Y1 (ko) 신문용 클립
KR200260972Y1 (ko) 필기구와 메모지를 겸비한 열쇠고리
KR960003615Y1 (ko) 펜홀더, 메모지함, 메모꽂이가 장착된 다용도 화장지케이스
KR200459150Y1 (ko) 다용도 서류가방
KR20110064977A (ko) 클립보드 겸용 파일케이스
KR200152479Y1 (ko) 다목적 립스틱
JP3777260B2 (ja) 付帯小型容器吊り下げ用ホルダー
KR200276905Y1 (ko) 신문용 클립
JP2006341923A (ja) ペットボトルホルダー
KR960001174Y1 (ko) 다용도 사무용품 수납케이스
KR910006857Y1 (ko) 절첩식 문구 보관실을 갖춘 필기구 꽃이
KR960008634Y1 (ko) 분리식 필통
KR200276899Y1 (ko) 신문용 클립
KR19980020687U (ko) 필통
KR870001759Y1 (ko) 꽂이대를 설한 종합문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