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664A - 문신기구 - Google Patents

문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664A
KR20030080664A KR1020020019409A KR20020019409A KR20030080664A KR 20030080664 A KR20030080664 A KR 20030080664A KR 1020020019409 A KR1020020019409 A KR 1020020019409A KR 20020019409 A KR20020019409 A KR 20020019409A KR 20030080664 A KR20030080664 A KR 2003008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inear
tattoo
need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139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02-001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139B1/ko
Priority to US10/410,407 priority patent/US20030195542A1/en
Publication of KR2003008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설계된 원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을 통해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켜 자침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구의 진동을 보다 저감시켜 문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신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문신기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원동절을 이루는 원동기어; 원동기어와 치(齒) 결합되어 종동절을 이루는 종동기어; 종동기어의 중심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회전운동을 상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편심축; 편심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회전바; 회전바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바에 의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한편 타단은 케이스의 하단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직동바; 직동바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 직동바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자침; 자침을 직동바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 및 케이스의 하단에 체결되어 파지부를 이루는 한편 하단에 자침을 안내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파지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신기구{Tattooing device}
본 발명은 문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회전하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침을 통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들면서 색소 등을 상처 부위에 넣어 그림이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문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tattoo)이라 함은 피부에 상처를 만들고 색소 등을 고의로 넣어서 그림이나 문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문신의 어원은 포리네시아계의 상처(마크의 뜻)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신은 처음에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로 피부를 눌러 찍거나 뚫어 흠집을 내고 그 흠집을 염료로 채워 피부에 지울수 없는 흔적을 남기는 방법으로 행해졌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자침을 직선 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문신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종래의 문신기구를 보인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1b 는 도 1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신기구(10)는 외부를 구성하는 상·하부 케이스(12, 14), 상부 케이스(12)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 경사각이 있는 캠면(18a)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6)의 구동축(16a)에 결합되는 원동절을 이루는 캠(18), 하부 케이스(14)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된 상태로 캠면(18a)에 접촉되어 캠(18)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종동절을 이루는 종동바(20), 종동바(20)의 일단이 상시 캠면(18a)에 밀착되도록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22) 및 종동바(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자침(2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문신기구(10)는 구동모터(16)의 회전에 의해 캠(18)이 회전하게 되면 캠면(18a)의 높고 낮은 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종동바(20)는 직선 왕복운동은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침(24)은 하부 케이스(14) 하단의 출입구(14a)를 통해 출입된다. 이때, 탄성스프링(22)은 캠(18)의 회전에 의해 캠면(18a)의 높은 면에서 낮은 면으로 회전 이동시 종동바(20)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자침(24)이 출입구(14a)의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하고, 캠면(18a)의 낮은 면에서 높은 면으로 회전 이동시 종동바(2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자침(24)이 출입구(14a)의 외측으로 나오게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문신기구는 캠면에 종동바의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캠의 회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속회전이 이루어질수록 문신기구 자체의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문신작업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문신작업시 고통이 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신기구는 종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스프링이 구성되기 때문에 종동바를 직선 왕복시키기 위해서는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을 극복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그에 따른 구동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문신기구의 무게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도 2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예의 문신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2b 는 도 2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의 문신기구(30)는 외부를 구성하는 상·하부 케이스(32, 34), 상부 케이스(32)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6), 경사각이 있는 캠면(38a)이 형성되는 구동모터(36)의 구동축(38), 하부 케이스(34)의 내측에 힌지(40a)에 의해 설치되어 구동축(38)의 회전에 따른 캠면(38a)에 의해 좌우로 일정범위 회전되는 회전바(40),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단(42a)이 회전바(40)의 일단과 힌지(42b)에 의해 결합되어 종동바(4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직동바(42) 및 직동바(42)의 타단에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자침(4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문신기구(30)는 구동모터(36)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38)이 회전하게 되면 캠면(38a)의 높고 낮은 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회전바(40)는 좌우로 일정범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직동바(42)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여 자침(44)을 하부 케이스(34) 하단의 출입구(34a)를 통해 출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예의 문신기구는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바가 구성되어 회전바의 회전과 직동바의 직선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진동이 심하하게 발생되어 문신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신기구의 사용에 따라 직동바의 결합단 부분이 약해져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자침과 직동바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문신작업시 자침이 튀어나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설계된 원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을 통해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켜 자침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구의 진동을 보다 저감시켜 문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신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켜 문신기구의 부피와 중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문신기구의 파지용 커버를 통해 자침의 노출된 정도를 조절하여 피부에 찌르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신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1b 는 도 1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2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예의 문신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2b 는 도 2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에서 직동바와 직동바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직동바 안내부재의 결합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5b 는 도 5a 의 작동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6a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도 6b 는 도 6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7a 는 도 4 의 B-B선 단면도.
도 7b 는 도 7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직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문신기구 110. 케이스
112. 모터 고정 케이스 114. 전원선 고정용 케이스
116. 편심축 지지부재 120. 구동모터
122. 구동축 130. 원동기어
132. 종동기어 140. 편심축
142. 회전바 이동범위 제한편 150. 회전바
160. 직동바 162. 직동편
166. 탄성지지편 170. 직동바 안내부재
174. 안내편 180. 자침
190. 자침 고정너트 200. 파지용 커버
210. 패킹부재 220. 문신용 잉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원동절을 이루는 원동기어; 원동기어와 치(齒) 결합되어 종동절을 이루는 종동기어; 종동기어의 중심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회전운동을 상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편심축; 편심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회전바; 회전바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바에 의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한편 타단은 케이스의 하단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직동바; 직동바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 직동바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자침; 자침을 직동바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 및 케이스의 하단에 체결되어 파지부를 이루는 한편 하단에 자침을 안내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파지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직동바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직동바의 상단 양측면에 평면상의 안내면이 형성되는 직동편; 및 직동바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단 양측에 직동편의 양측 안내면 사이의 거리에 관계하는 만큼 이격 형성되어 안내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직동편을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편이 구비된 직동바 안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직동바 안내부재의 안내편 상하 길이는 직동바의 상하 이동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직동편의 안내면이 안내편의 상하 길이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자침을 직동바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은 직동바의 타단에 체결홈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다수 개로 분할되어 체결홈으로 삽입·체결된 자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편; 탄성지지편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 및 숫나사부에 관계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탄성지지편의 숫나사부에 체결되어 체결홈으로 삽입·체결된 자침을 고정시키는 자침 고정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탄성지지편은 3 개 또는 4 개로 절개되어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직동바의 하단을 이루는 탄성지지편의 숫나사부는 상호 대응되도록 상하로 절개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고정너트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동기어와 종동기어는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편심축에 결합된 회전바를 사이에 두고 종동기어의 상대측인 편심축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바의 일단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바 이동범위 제한편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케이스의 하부측 외주면 적소에 체결되어 파지용 커버의 체결시 파지용 커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케이스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와 파지용 커버의 내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져 파지용 커버의 잠금과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파지용 커버의 출입구로 노출되는 자침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파지용 커버의 출입구는 문신용 잉크의 표면장력에 의해 소정량의 문신용 잉크가 유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자침의 출입시 자침의 끝단에 출입구의 문신용 잉크가 묻어 피부의 상처에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문신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에서 직동바와 직동바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직동바 안내부재의 결합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5b 는 도 5a 의 작동을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0),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에 결합되는 원동기어(130), 원동기어(130)와 치(齒) 결합되는 종동기어(132), 종동기어(132)의 중심에 편심되어 설치되는 편심축(140),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바(150), 회전바(150)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152) 결합되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직동바(160), 직동바(16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 직동바(16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자침(180),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 및 케이스(110)의 하단에 체결되어 파지부를 이루어 자침(180)을 안내하는 출입구(202)가 형성된 파지용 커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문신기구(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모터(120)가 구동을 하게 되면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에 연결된 원동기어(130)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원동기어(130)에 치(齒)결합된 종동기어(132)의 구동이 연이어 이루어진다.
한편, 종동기어(132)의 구동에 따라 종동기어(132)의 중심에 편심되어 설치된 편심축(14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은 회전바(15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바(150)에 의해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됨에 따라 직동바(160)는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자침(180)은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를 출입하면서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들게 된다. 이때,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내측에는 문신용 잉크(220)가 표면장력에 의해 소량이 유지되어 자침(180)의 출입시 자침(180)의 끝단에 묻어 상처부위에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10)는 문신기구(100)의 외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하로 관통·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부의 공간은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은 상부측에 비해 좁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10)의 상부측으로는 후술할 구동모터(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케이스(112)가 체결되며, 모터 고정 케이스(112)의 상부측으로는 구동모터(120)의 접속단자(124)에 전원선(114a)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전원선 고정용 케이스(114)가 체결된다.
구동모터(120)는 기어(130, 132)를 구동시켜 직동바(160)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한 자침(18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 구동모터(120)는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구동모터(120)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단자(124)에는 전원선(11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단의 중심에는 구비된 구동축(122)에는 후술하는 원동기어(130)가 결합된다.
원동기어(13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원동기어(130)는 구동모터(120) 하단의 구동축(122)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종동기어(132)는 원동기어(13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후술하는 회전바(1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종동기어(132)는 원동기어(130)에 직각으로 치(齒)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원동기어(130)와 종동기어(132)의 결합은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동기어(130)와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를 이루는 종동기어(132)는 그 중심에 구비되는 편심축(140)에 의해 구동모터(1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동기어(132)는 편심축(140)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모터(120)의 하단에 체결되어 편심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편심축 지지부재(1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편심축(140)은 종동기어(132)의 회전운동을 상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편심축(140)은 구동모터(120)의 하단에 체결되어 편심축(14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편심축 지지부재(116)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바(150)는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 회전바(150)는 그 상단이 편심축(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하단은 후술하는 직동바(160)의 상단에 힌지(152)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회전바(150)는 편심축(14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여 직동바(160)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따른 헬리컬 베벨기어 구종의 원동기어(130)와 종동기어(132)의 회전운동은 편심축(140)과 회전바(150)의 구성에 의해 상하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직동바(160)는 회전바(150)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자침(18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직동바(160)는 그 상단이 회전바(150)의 하단과 힌지(152)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직동바(160)의 하단은 회전바(150)의 하단과 힌지(152)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내측을 통해 하단 외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된다.
직동바(16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지동바(160)의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직동바(16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직동바(160)의 상단 양측면에 평면상의 안내면(162a)이 형성되는 직동편(162) 및 직동바(160)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72)이 형성되는 한편 상단 양측에 직동편(162)의 양측 안내면(162a) 사이의 거리에 관계하는 만큼 이격 형성되어 안내면(162a)이 면접촉된 상태로 직동편(162)을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편(174)이 구비된 직동바 안내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과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 상하 길이는 직동바(160)의 상하 이동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이 안내편(174)의 상하 길이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때,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 상하 길이는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상하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직동바(16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에서 직동바 안내부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을 통해 내측의 공간으로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체결되고,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 상에서 직동바(160)의 직동편(162)이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직동편(162)의 양측 평면인 안내면(162a)과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내측면은 면접촉된 상태이다.
한편, 직동편(162)의 양측 평면인 안내면(162a)이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양측 안내편(17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억지끼움되어 케이스(110)의 하단 내측에 고정된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관통공(172)으로 직동바(160)를 관통시켜 안내편(174)의 상단에 직동편(162)의 하단이 걸린 상태에서 직동편(162)의 양측 안내면(162a)이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양측 안내편(174) 사이로 삽입되도록 직동바(16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2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은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상하단 사이의 길이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이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상하단 사이의 길이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하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에 직동바(160)의 좌우 유동은 최소화된다.
자침(180)은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기구로, 이 자침(180)은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하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에 의해 직동바(160)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은 직동바(160)의 하단에 체결홈(164)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의 3 개 내지 4 개로 절개되어 분할되어 체결홈(164)으로 삽입·체결된 자침(18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편(166), 탄성지지편(16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68) 및 숫나사부(168)에 관계하는 암나사부(192)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탄성지지편(166)의 숫나사부(168)에 체결되어 체결홈(164)으로 삽입·체결된 자침(180)을 고정시키는 자침 고정너트(19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에서 자침 고정너트(190)는 케이스(110)의 하단으로 노출되게 체결된 직동바(160)의 하단 숫나사부(168)에 체결됨으로써 직동바(160)의 탄성지지편(166)에 탄성·지지된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하단에 고정시킨다.
파지용 커버(200)는 문신기구(100)를 통한 문신 작어시 작업자가 문신기구(100)를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이 파지용 커버(200)의 하단에는 자침(180)을 안내하여 내외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구(202)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파지용 커버(200)는 작업자로 하여금 문신기구(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자침(180)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자침으로부터작업자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는 표면장력에 의해 소정량의 문신용 잉크(220)가 유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자침(180)의 출입시 자침(180)의 끝단에 출입구(202)의 문신용 잉크(220)가 묻어 피부의 상처에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는 문신 작업시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끝단에 문신용 잉크(220)를 소정량 주입시킨 상태로 문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지용 커버(200)는 그 상단이 케이스(110)의 하단외주면에 체결된다. 이때, 케이스(110)의 하부측 외주면 적소에는 파지용 커버(200)의 체결시 파지용 커버(20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부재(21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구성에는 자침(18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자침(18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케이스(11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10a)와 파지용 커버(200)의 내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0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침(18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파지용 커버(200)의 잠금과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파지용 커버(200)를 상단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침(18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에는 편심축(140)에 결합된 회전바(150)를 사이에 두고 종동기어(132)의 상대측인 편심축(140)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바(150)의 일단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바 이동범위 제한편(142, 도 7 참조)이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바 이동범위 제한편(142, 도 7 참조)은 편심축(140) 상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회전바(150)의 일단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그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조립은 먼저, 회전바(150)와 직동바(160)가 힌지(152)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회전바(150)의 상단이 편심축(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편심축(140)의 일단에는 종동기어(132)가 결합된 상태로 편심축 지지부재(116)에 의해 구동모터(1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종동기어(132)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에 결합된 원동기어(130)와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치(齒)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구동모터(120), 원동기어(130), 종동기어(132), 편심축(140), 회전바(150) 및 직동바(160)는 케이스(110)의 상부측을 통해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직동바(160)의 직동편(162)은 케이스(110)의 하단을 통해 내측으로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된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관통공(172)으로 관통되어 안내편(174)의 상단에 직동편(162)의 하단이 걸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12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직동편(162)의 양측 안내면(162a)이 직동바 안내부재(170) 상단의 양측 안내편(174)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처럼 구동모터(12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직동편(162)의 양측 안내면(162a)이 직동바 안내부재(170) 상단의 양측 안내편(174) 사이로 삽입되면 직동바(160)의 하단은 케이스(110)의 하단 외측으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하단 외측으로 직동바(160)의 하단이 노출되면 직동바(160) 하단의 체결홈(164)에 자침(180)의 상단을 체결하여 일차적으로 탄성지지편(166)에 지지시켜 놓은 후, 자침 고정너트(190)를 탄성지지편(16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68)에 체결하여 자침(180)을 직동바(160)의 하단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상부측으로는 모터 고정 케이스(112)가 체결되어 구동모터(120)를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상에 고정시키게 되고, 모터 고정 케이스(112)의 상부측으로는 구동모터(120)의 접속단자(124)에 전원선(11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선 고정용 케이스(114)가 체결된다.
한편, 케이스(110)의 하단으로는 파지용 커버(200)가 체결된다. 이때, 파지용 커버(200)는 케이스(110)의 하부측 외주면 적소에 파지용 커버(200)의 체결시 그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부재(210)에 의해 일차적으로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용 커버(20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스(11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10a)와 파지용 커버(200)의 내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04)가 결합되어 이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는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문신기구(100)는 케이스(11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10a)에 파지용 커버(200)의 내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04)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200)를 잠금 및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지용 커버(200)를 상단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단으로 이동시켜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외측으로 노출되는 자침(1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도 6b 는 도 6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7a 는 도 4 의 B-B선 단면도, 도 7b 는 도 7a 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작동은 먼저,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내측에 소정량의 인쇄용 잉크(220)가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문신을 형성하고자 하는 인체의 피부 표면에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선단을 밀착시킨 후, 전원의 인가를 통해 구동모터(120)를 구종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모터(12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에 연결된 원동기어(130)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원동기어(130)에 치(齒)결합된 종동기어(132)의 구동이 연이어 이루어진다.
한편, 종동기어(132)의 구동에 따라 종동기어(132)의 중심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편심축(14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은 회전바(15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바(150)에 의해 편심축(140)의 회전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됨에 따라 직동바(160)는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자침(180)은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를 출입하면서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신기구(100)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직동편(162)의 안내면(162a)은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안내편(174) 상하단 사이의 길이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문시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 내측에 유지된 문신용 잉크(220)의 양이 소진하게 되면, 다시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를 문신용 잉크용기에 찍어 소량의 문신용 잉크(220)가 파지용 커버(200)의 출입구(202)의 내측에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후 문신작업을 계속 진행시킨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직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직동바(160)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1회 사용후 피가 묻은 부품들을 위생상 폐기하고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동바(160)의 하단을 이루는 탄성지지편(166)의 숫나사부(168)를 상호 대응되도록 상하로 절개된 이중구조로 하여 고정너트(190)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동바(160)의 하단을 이루는 탄성지지편(166)의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이 직동바(16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고정너트(190)의 체결과 분리에 의해 직동바(160)의 하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1회 사용후 고정너트(190)를 분리하여 직동바(160)의 하단으로부터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A)을 분리시켜 폐기시키게 된다. 이때, 폐기되는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A)과 함께 피가 묻은 자침(180), 고정너트(190), 파지용 커버(200) 등도 폐기되고, 새로운 자침(180),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A), 고정너트(190), 파지용 커버(200)가 새롭게 체결된다.
전술한 도 8 에서와 같이 직동바(160)의 하단을 이루는 탄성지지편(166)의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이 직동바(16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의 1회 사용후, 고정너트(190)의 분리를 통해 직동바(160)의 하단으로부터 숫나사부(168) 하단의 자침(180)을 지지하는 부분(A)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문신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에서와 같이 고정너트(190)의 상단에는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하단 내측으로 피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편(192)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보호편(192)은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하단 외경에 관계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너트(190)의 상단에 보호편(192)이 형성됨으로써 문신기구(100)를 통해 문신 작업시 피가 파지용 커너(200)의 내측으로 튀어들어도 보호편(192)의 하단에 의해 가로 막히기 때문에 직동바 안내부재(170)의 하단에 피가 묻거나 내측으로 피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보다 위생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구(100)는 기구의 진동을 보다 저감시켜 문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설계된 원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을 통해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켜 자침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구의 진동을 보다 저감시켜 문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켜 문신기구의 부피와 중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문신기구의 파지용 커버를 통해 자침의 노출된 정도를 조절하여 피부에 찌르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신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원동절을 이루는 원동기어;
    상기 원동기어와 치(齒) 결합되어 종동절을 이루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중심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회전운동을 상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편심축;
    상기 편심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편심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에 의해 상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하단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직동바;
    상기 직동바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
    상기 직동바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자침;
    상기 자침을 상기 직동바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체결되어 파지부를 이루는 한편 하단에 상기 자침을 안내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파지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신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바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상기 직동바의 상단 양측면에 평면상의 안내면이 형성되는 직동편; 및
    상기 직동바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단 양측에 상기 직동편의 양측 안내면 사이의 거리에 관계하는 만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안내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직동편을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편이 구비된 직동바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바 안내부재의 안내편 상하 길이는 상기 직동바의 상하 이동거리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직동편의 안내면이 상기 안내편의 상하 길이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침을 상기 직동바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은 상기 직동바의 타단에 체결홈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다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체결홈으로 삽입·체결된 자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편;
    상기 탄성지지편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 및
    상기 숫나사부에 관계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편의 숫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홈으로 삽입·체결된 자침을 고정시키는 자침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바의 하단을 이루는 상기 탄성지지편의 숫나사부는 상호 대응되도록 상하로 절개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에 결합된 회전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기어의 상대측인 상기 편심축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의 일단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바 이동범위 제한편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측 외주면 적소에 체결되어 상기 파지용 커버의 체결시 상기 파지용 커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파지용 커버의 내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용 커버의 잠금과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지용 커버의 출입구로 노출되는 상기 자침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커버의 출입구는 문신용 잉크의 표면장력에 의해 소정량의 상기 문신용 잉크가 유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침의 출입시 상기 자침의 끝단에 상기 출입구의 문신용 잉크가 묻어 피부의 상처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10. 제 1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어와 종동기어는 헬리컬 베벨기어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기구.
KR10-2002-0019409A 2002-04-10 2002-04-10 문신기구 KR10044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09A KR100444139B1 (ko) 2002-04-10 2002-04-10 문신기구
US10/410,407 US20030195542A1 (en) 2002-04-10 2003-04-10 Apparatus for making tatto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09A KR100444139B1 (ko) 2002-04-10 2002-04-10 문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64A true KR20030080664A (ko) 2003-10-17
KR100444139B1 KR100444139B1 (ko) 2004-08-11

Family

ID=2878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409A KR100444139B1 (ko) 2002-04-10 2002-04-10 문신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195542A1 (ko)
KR (1) KR1004441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98B1 (ko) * 2006-08-11 2007-12-28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장치
KR101040379B1 (ko) * 2009-07-14 2011-06-1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KR101402302B1 (ko) * 2011-11-28 2014-06-02 이상현 문신장치
KR20180054159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파이룩스 피부자극 겸용 문신용 니들
CN117582263A (zh) * 2024-01-15 2024-02-23 诺美伊创医疗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医用刨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5782B1 (de) * 2003-07-08 2005-12-21 MediUm-TECH Medizingeräte GmbH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r Tätowierung oder von permanentem Make-up
KR100923050B1 (ko) * 2008-06-18 2009-10-22 이종대 문신장치
ES2361359T3 (es) * 2008-08-01 2011-06-16 Mt Derm Gmbh Aparato manual para el pinchado local de piel humana o animal, módulo de accionamiento, módulo de aguja así como procedimiento de acoplamiento.
KR100922138B1 (ko) * 2009-04-14 2009-10-1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101150777B1 (ko) * 2009-07-22 2012-06-08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장치
TWM411841U (en) * 2011-05-06 2011-09-21 Mei Chi Na Hsinyen Co Ltd Transmission mechanism for core of eyebrow tattooing device
US8858570B2 (en) * 2012-07-19 2014-10-14 Henry Ping Chang Skin treatment apparatus
US9126027B2 (en) * 2013-05-30 2015-09-08 Mei-Chi-Na-Hsinyen Co., Ltd. Eyebrow tattoo machine capable of activating both swinging movement and up-and-down movement
EP2826518B1 (de) * 2013-07-16 2018-05-16 Rene La Fontaine Nadelmodul und Gerät zum Anstechen der Haut
ES2541334B1 (es) * 2013-12-17 2016-04-25 Richard BONATTI ANDRADA Varilla porta-agujas para una máquina de tatuar
US9393395B2 (en) * 2014-01-21 2016-07-19 Michael Chen Tattoo machine
US9750528B2 (en) * 2014-06-12 2017-09-05 MT. DERM GmbH Handheld device for repeated puncture of human or animal skin
US9827409B1 (en) * 2015-02-06 2017-11-28 Inline Tattoo Machines, Llc Electronic tattooing device and method
KR101805063B1 (ko) 2015-04-16 2017-12-05 이승용 피부 문신 장비
CN104784044B (zh) * 2015-05-12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针灸装置
USD805195S1 (en) * 2015-08-26 2017-12-12 Bomtech Electronics Co., Ltd. Tattooing apparatus
US11020203B2 (en) 2015-09-09 2021-06-01 Rejuvatek Medical Inc. System for puncturing the epidermis with controlled fluid delivery
CN105268094A (zh) * 2015-09-15 2016-01-27 英曼医疗电子仪器(苏州)有限公司 无回弹力纹刺针头及应用该针头的纹刺装置
USD805197S1 (en) * 2015-11-30 2017-12-12 Bomtech Electronics Co., Ltd. Tattooing apparatus
USD805640S1 (en) * 2015-12-16 2017-12-19 Jong Dae Lee Needle cartridge for a tattooing apparatus
USD805196S1 (en) * 2016-03-10 2017-12-12 Bomtech Electronics Co., Ltd. Tattooing apparatus
USD805198S1 (en) * 2016-03-22 2017-12-12 Bomtech Electronics Co., Ltd Tattooing apparatus
US10220195B2 (en) 2016-06-08 2019-03-05 Eclipse Medcorp, Llc Radio frequency needl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US9629991B1 (en) 2016-06-08 2017-04-25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radio frequency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inment barriers
US9636491B1 (en) 2016-06-08 2017-05-02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minant barriers
US11260209B2 (en) * 2016-08-24 2022-03-01 Fk Irons Inc. Pen style microneedling machine apparatus
CN106621079B (zh) * 2016-11-25 2022-11-11 广州市柯派实业有限责任公司 热立塑塑形仪手柄
CN107376112A (zh) * 2017-09-06 2017-11-24 霍立明 一种纹身用针
KR102160626B1 (ko) 2018-09-11 2020-09-28 우제혁 타투머신의 탄성을 이용한 구동방법
US11400268B2 (en) 2018-10-11 2022-08-02 Fk Irons Inc. Electromagnetically driven tattoo machine and system
US10953213B2 (en) * 2018-10-22 2021-03-23 Carson B. Vester Tattoo device
EP3646918A1 (de) * 2018-11-05 2020-05-06 Mt.Derm Vorrichtung zum aufstechen eines organisches gewebes sowie antriebsmodul
USD974552S1 (en) 2020-08-17 2023-01-03 Rejuvatek Medical Inc. Needle cartridge clip
CN115212444A (zh) * 2021-04-14 2022-10-21 夏婷婷 一种导入针头及纹绣装置
USD1025357S1 (en) 2021-09-30 2024-04-30 Fk Irons Inc. Tattoo machine
USD1008459S1 (en) 2022-03-04 2023-12-19 Fk Irons Inc. Tattoo device
CN115120858B (zh) * 2022-05-12 2024-03-29 肖龙 用于纹身装置的针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46A (en) * 1888-03-27 Half to austin c
US2588623A (en) * 1948-05-10 1952-03-11 Eliscu Frank Surgical instrument for intradermal injection of fluids
US4644952A (en) * 1985-02-19 1987-02-24 Palm Beach Medical Engineering, Inc. Surgical operating instrument
KR880001981Y1 (ko) * 1985-05-21 1988-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조리기의 가열온도 과도상승 방지회로
KR880004122Y1 (ko) * 1986-02-06 1988-11-18 이태표 화장용 문신(文身)기구
US4719825A (en) * 1986-03-24 1988-01-19 Lahaye Peter G Metering needle assembly
US4782725A (en) * 1987-08-07 1988-11-08 Spaulding & Rogers Mfg., Inc. Article identification device
JPH01131428A (ja) * 1987-11-17 1989-05-24 Nec Corp 半導体装置の気密度の測定方法
US5048538A (en) * 1989-11-27 1991-09-17 Vance Products Incorporated Biopsy instrument
US4914988A (en) * 1988-08-17 1990-04-10 Chang Meng Cheng Eyebrow tattooing machine
US5165488A (en) * 1992-04-20 1992-11-24 Liu Chen Hai Electric vibrator tool
US5279552A (en) * 1993-01-11 1994-01-18 Anton Magnet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US5472449A (en) * 1993-07-26 1995-12-05 Chou; Kuei C. Permanent pigment applicator having a detachable needle coupler
US5586473A (en) * 1994-07-20 1996-12-24 Mei-Chi-Na Beauty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needle for permanent pigment applicator
US5741290A (en) * 1994-08-15 1998-04-21 Te-Shih Huang Eyebrow tattooing tool
US5551319A (en) * 1995-06-06 1996-09-03 Spaulding & Rogers Mfg., Inc. Device for marking and article with ink
US5746555A (en) * 1996-02-06 1998-05-05 Mcevoy; William Richard Connector with engagement indicator
US6033421A (en) * 1997-07-11 2000-03-07 Scott Marsh Theiss Tattoo machine
US6065371A (en) * 1998-12-09 2000-05-23 Yacowitz; Harold Dual needle injection device
DE29919199U1 (de) * 1999-10-22 2000-01-20 Medium Tech Gmbh Tattoo- und/oder Permanent-Make-up-Farben-Handgerä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98B1 (ko) * 2006-08-11 2007-12-28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장치
WO2008018781A1 (en) * 2006-08-11 2008-02-14 Bomtech Electronics Co., Ltd. Tattooing apparatus
US8794109B2 (en) 2006-08-11 2014-08-05 Jong-Dae Lee Tattooing apparatus
KR101040379B1 (ko) * 2009-07-14 2011-06-1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KR101402302B1 (ko) * 2011-11-28 2014-06-02 이상현 문신장치
KR20180054159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파이룩스 피부자극 겸용 문신용 니들
CN117582263A (zh) * 2024-01-15 2024-02-23 诺美伊创医疗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医用刨刀
CN117582263B (zh) * 2024-01-15 2024-04-19 诺美伊创医疗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医用刨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95542A1 (en) 2003-10-16
KR100444139B1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139B1 (ko) 문신기구
KR100973628B1 (ko) 피부용 복합장치
KR100922138B1 (ko)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101150777B1 (ko) 문신장치
KR101623202B1 (ko) 문신장치
DE4026142A1 (de) Motorbetriebener oszillierender rasierapparat
KR200466520Y1 (ko) 문신 장치
KR20070050409A (ko) 주사 기구
US20150367118A1 (en) Handheld device for repeated piercing of a human or animal skin and drive module
US20070028722A1 (en) Tattoo machine
DE4408432A1 (de) Aufsteck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Zahnbürstenantrieb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KR20140006169A (ko) 피부시술장치
KR20070054578A (ko) 스위치 조립체를 통합시킨 방수 장치
CN103750879B (zh) 一种神经外科手术用的钻颅器
US20220323735A1 (en) Hand-held microneedling device for local puncturing of a skin, skin puncturing device, and item
KR20090131673A (ko) 문신장치
EP0472965A1 (de) Massagevorrichtung für Körperhöhlen
RU2322950C2 (ru) Инструментодержатель для гибкодеформируем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RU2270040C2 (ru) Гигиенич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глы и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перфоратора для микропигментации и нанесения татуировки
US11247075B2 (en) Ultrasonic probe device
JPS646104Y2 (ko)
JP2017502753A (ja) 特に美容的な処置を目的としたデバイスの運動を伝達するための機構、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0350253Y1 (ko) 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DE102010035710B4 (de) Massage- und/oder Therapie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