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331A -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331A
KR20030079331A KR1020020018293A KR20020018293A KR20030079331A KR 20030079331 A KR20030079331 A KR 20030079331A KR 1020020018293 A KR1020020018293 A KR 1020020018293A KR 20020018293 A KR20020018293 A KR 20020018293A KR 20030079331 A KR20030079331 A KR 2003007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layer
gree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한밭대학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한밭대학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 (한밭대학총장)
Priority to KR102002001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331A/ko
Publication of KR2003007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수 및 제조단가를 최소화하고, 낮은 구동전압 하에서도 높은 색순도와 충분한 발광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백색광 발진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청색광 발광층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 상에 투명전극층과,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녹·적색광 혼정발광층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 상에 투명 표면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청색광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 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녹·적색광 혼정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 상에 투명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and white light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단가를 낮추고 낮은 구동전압에서도 발광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관한 것이다.
표시화면의 두께가 수 센티미터(cm)에 불과한 초박형의 평판(Flat panel) 디스플레이, 그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노트북 컴퓨터용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나, 이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수동발광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 뒤에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백라이트의 장착은 무게, 전력소모 및 두께 측면에서 비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아직도 많은 연구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새로운 종류의 고효율 및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의 대체가 필수적인 것으로 예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얇고 가벼운 백색광 전계발광소자가 연구·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전계발광소자는 적용원리에 따라 크게 LED (light-emitting diode : 발광다이오드)와 ELD (electro luminescent device : 전계발광소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LED는 P-N 접합부근에서 발생하는 전자-정공 재결합 과정의 복사성 전이과정을 이용하며, 최근에는 유기재료를 이용한 LED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ELD는 발광층 내에서 고에너지의 전자가 생성되고 이러한 전자들이 형광체를 충격 여기(impact excitation)시킬 때 발생되는 발광현상을 이용하는 소자로서, 고전계하에서 발광층내의 전자가 전계로부터 에너지를 얻고, 이 전자가 발광중심을 여기, 완화시키는 과정에서 광을 발생한다.
상기 ELD는 크게 레진(resin)과 발광 분말(light emitting powder :phosphor)을 혼합하여 후막 인쇄하는 분산형과, 박막기술로 제작되는 박막형으로 구분되며, 구동방법에 따라 AC형과 DC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구성도로서, 기판(1)과, 상기 기판(1) 상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층(2)과, 상기 투명전극층(2) 상에 형성되는 하부 절연층(3)과, 상기 하부 절연층(3) 상에 형성된 청색광 발광층(4)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4) 상에 형성된 녹색광 발광층(5)과, 상기 녹색광 발광층(5) 상에 형성된 적색광 발광층(6)과, 상기 적색광 발광층(6)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층(7)과, 상기 상부 절연층(7)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는 투명전극층(2)과 금속전극층(8) 사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발광층들 ((4), (5), (6)) 내에 고전계 (∼106V/cm)가 형성되고, 상부절연층(7)과 최상부 발광층 (6)의 계면에서 발생한 전자가 발광층으로 터널링 (tunneling)되며, 상기 터널링된 전자는 발광층들 ((4), (5), (6)) 내의 고전계에 의해 가속화되고, 상기 가속화된 전자는 적색발광층 (ZnS)(6) 내의 발광중심 (Mn), 녹색발광층 (ZnS)(5) 내의 발광중심 (Tb), 그리고 청색발광층 (SrS)(4) 내의 발광중심 (Cu)에 충돌함으로써, 기저상태에서 전자가 여기되고 여기된 전자는 다시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그 에너지만큼의 고유한 광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각층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각각 청색, 녹색, 적색으로 방출되어 빛의삼원색으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는 외부에 백색광의 형태로 발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글라스기판(1) 상에 투명전극층(2)을 형성하는데, 도전성이 높으면서 투명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을 기판(1) 상에 증착하여 하부 투명전극층(2)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투명전극층(2) 상에 RF 반응성 스퍼터링 (sputtering) 혹은 원자층성장법 (ALD)을 이용하여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질화실리콘 등의 하부 절연층(3)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절연층(3) 상에 RF 반응성 스퍼터링이나 원자층성장법에 의하여 청색광 발광층(4), 녹색광 발광층(5), 적색광 발광층(6)을 각각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적색광 발광층(6) 상에 RF 반응성 스퍼터링이나 원자층성장법에 의해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질화실리콘 등의 상부 절연층(7)을 형성하며, 이어서 최종적으로 상기 상부절연층(7) 상에 Al 등의 상부 금속전극층(8)을 열증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전계발광소자는 고전계가 요구되므로 임의의 결함에 의한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절연파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절연층이 필요하며, 이 절연층은 소자에 흐르는 최대전류의 크기를 절연층의 방전 및 충전 변위 수준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이유로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절연층을 형성할 경우, 전압강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소자구동 (광발진)에 필요한 문턱전압 (threshold voltage, VT)가 높아져서 높은 구동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둘째,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부 및 하부절연층을 RF 반응성 스퍼터링이나 원자층성장법으로 성장하는데, 스퍼터링 공정 자체가 매우 고단가이며, 공정이 복잡하고, 더욱이 대면적 면발광형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스퍼터링 장비가 엄청나게 대형화되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경제성이나 생산성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하부의 절연층을 벌크 분말을 이용하여 후막인쇄법으로 절연층을 형성하면 소자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수십∼수백 μm) 응용분야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같이 공정단가를 줄이기 위해서 상·하부 절연층을 벌크분말을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으로 형성할 경우, 소자를 장시간 사용하면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 성분이 분말 사이를 통하여 발광층까지 침투하여 소자의 발광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이같은 외부 수분 및 습기의 침투 현상은 종래의 전계발광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핵심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도 1 에 표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관계로, 각층에 인가되는 전계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각 발광층 내의 부분적으로 전자에 충돌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해서 방출되는 백색광의 순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서, 공정 수 및 제조단가를 최소화하고, 낮은 구동전압 하에서도 충분한 발광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구성도
도 3 은 도 2 의 청색 발광층(20)의 확대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20 : 청색광 발광층 21 : 발광분말
22 : 절연층 23 : 바인더 30 : 투명전극층
40 : 녹ㆍ적색광 혼정발광층 41 : 녹색발광용 분말
42 : 적색발광용 분말 43 : 바인더 50 : 투명 표면보호층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청색광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 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녹·적색광 혼정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 상에 투명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별도의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수 및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전압강하 현상이 원천적으로 극소화되기 때문에 소자구동에 필요한 문턱전압이 높아질 염려가 없으며, 따라서 저전압으로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구성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청색 발광층(20)의 단면을, 그리고 도 4 는 도 2 의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청색광 발광층(20)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20)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30)과, 상기 투명전극층(30) 상에 형성된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 상에 형성된 투명 표면보호층(50)으로 구성된다.
이를 도 1 에 도시한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와 비교하여 볼 때 별도의 상부 및 하부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이 상부 및 하부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대신에 상기 청색광 발광층(20)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이 고유전상수를 갖는 절연층(22)으로 코팅된 수 많은 발광분말 (ex; GaN:Mg) (21)들과, 이들을 유지해 주는 바인더(23)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분말(21)을 코팅하고 있는 절연물질(22)은 BaTiO3계 물질이며, 그 두께는 테트라 알킬 티탄에이트(Tetra alkyl titanate)계 물질과 테트라 알킬 바륨 옥사이드(Tetra alkyl barium oxide)계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알코올과 혼합한 상태에서 BaTiO3가 차지하는 중량%를 어느 정도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BaTiO3의 중량%을 4∼6%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청색광 발광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층(30)은 투명한 ITO 박막을 스퍼터링 공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투명전극층(30)을 형성한 이후에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을 형성하는데,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분말 (ex; CdS) (41)과 적색발광용 분말 (ex; CdSe) (42)을 적당한 바인더(43)에 혼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을 형성한 이후에 투명 표면보호층(5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이같은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청색광 발광층(20)을 형성하는데 이 청색광 발광층(20)의 형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테트라 알킬 티탄에이트(Tetra alkyl titanate)계 물질과 테트라 알킬 바륨 옥사이드(Tetra alkyl barium oxide)계 물질을 혼합하여 BaTiO3용액을 만든 다음, BaTiO3의 중량%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알코올과 혼합한다.
이때, 상기 테트라 알킬 티탄에이트계 물질로서는 Ti(OCH3)4, Ti(OC2H4)4, Ti(OC3H7)4, Ti(OC4H9)4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테트라 알킬 바륨 옥사이드계 물질로서는 Ba(OCH3)4, Ba(OC2H4)4, Ba(OC3H7)4, Ba(OC4H9)4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aTiO3의 코팅 두께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BaTiO3의 중량%는 대략 4∼6%가 적당하며, 상기 코팅 두께는 BaTiO3의 중량%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BaTiO3의 중량%를 소정의 범위로 조절한 다음, 이 결과물에 발광중심이 도핑된 발광분말 (GaN:Mg 입자)(21)을 적당량 투입한 후, 밀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분산을 수행한다.
상기 초음파 분산은 청색광 발광입자(21)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입자간 격리 효과를 증진시키고, 그에 따라 BaTiO3의 입자 코팅(22)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후, BaTiO3가 코팅(22)된 발광분말(21)을 여과한 후, BaTiO3의 결정화 온도로 진공로에서 열처리한다.
이때, BaTiO3의 결정화 온도는 500∼600℃이다.
이와 같이, 그 표면이 적정한 두께를 가진 고유전상수의 절연층(22)으로 코팅된 발광분말(21)을 바인더(binder)(23)와 혼합하여 스핀 코팅(Spin coating) 하고, 건조 및 열처리를 수행하면 발광층(20)이 형성된다.
바인더(23)로는 비교적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Si(OC2H5)4)를 사용하는데, 청색광 발광층(20)을 스핀코팅하려면 액체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메탄올을 추가로 투입한다.
이때 BaTiO3절연층(22)이 코팅된 청색광 발광분말(21)과 TEOS 고분자용매(23)와 메탄올의 비율은 부피비로 1:1:5∼1:1:10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이 TEOS 고분자용매는 열처리과정을 거쳐서 고분자화 (polymerization) 되면 청색광 발광층(20) 자체가 틈새 없이 치밀한 구조가 되어 외부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할 여지가 없어져서 장시간 신뢰성이 향상되어 소자의 장수명성이 확보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퍼터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청색광발광층(20) 상에 투명전극층(30), 즉 ITO 박막을 형성한다.
이후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을 형성하는데, 이 층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광 발광분말 (ex; CdS)(41)과 적색광 발광분말 (ex; CdSe)(42)를 적당한 바인더(43)에 혼합하여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을 형성한다.
이 경우의 바인더(43) 역시 상술한 TEOS 계열의 고분자용매를 사용하는데, 상술한대로 분말 (41, 42)과 TEOS 고분자용매(43)와 메탄올의 비율은 부피비로 1:1:5∼1:1:10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이 TEOS 고분자용매는 열처리과정을 거쳐서 고분자화 (polymerization)되면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 자체가 틈새 없이 치밀한 구조가 되어 외부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할 여지가 없어져서 장시간 신뢰성이 향상되어 소자의 장수명성이 확보된다.
참고로 녹색광 발광분말(41)과 적색광 발광분말(42)은 고전계 하의 전자충돌에 의해 여기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될 청색광에 의한 광여기에 의한 에너지 방출에 의한 녹색 및 적색광의 방출 형식이므로, 청색광 발광분말(21)의 경우처럼 절연층(22)을 코팅할 필요는 없다.
이후 도 5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 표면보호층(50)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작과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금속전극층 (기판)(10)과 상부 투명전극층(30)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청색광 발광층(20)에 고전계(∼106V/cm)가 형성되고, 청색광 발광분말(21)과 절연층(22)의 계면에서 발생한 전자가 발광분말(21)로 터널링된다.
이같이 터널링된 전자는 청색광 발광분말(21) 내의 고전계에 의해 가속되고, 상기 가속된 전자는 발광분말 (ex; GaN)(21) 내의 발광중심(ex; Mg)에 충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저상태에서 전자가 여기되고, 여기된 전자는 다시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그 에너지 차이만큼의 고유한 광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청색광 발광층(20)에서는 청색광에 해당되는 에너지 방출에 의해 청색광이 방출된다.
상기 청색광은 투명전극층(30)을 투과하여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에 도달하게 된다.
이같이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에 도달한 청색광은 녹색광원 분말 (41)과 적색광원 분말 (42)의 전자를 충만대에서 전도대로 여기시키는데, 이에 따라 녹색광원과 적색광원 분말에서는 각각 녹색광과 적색광이 방출되게 된다.
이같이 청색광 발광층(20)으로부터 발생한 청색광과,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으로부터 발생한 녹색광 및 적색광이 투명 표면보호층(5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 때 빛의 삼원색인 적·녹·청색의 조건이 만족되어 백색광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백색광 방출원리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별도의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발광층이 그 표면에 고유전상수의 절연막으로 코팅된 발광분말로 구성되기 때문에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절연층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경우에 비해 소자 구동을 위한 문턱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저전압으로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셋째, TEOS 용매의 고분자화 (polymerization)에 힘입어서 틈새없는 치밀한 층으로 되어, 외부 수분이나 습기의 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장시간 신뢰도가 향상되어 소자의 장수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경우, 적색광이 배제된 상태 즉 청색과 녹색광만을 가지고 동작시키므로, 순수 백색광이 아닌 백색광에 근사한 상태의 광이 방출되거나, 혹은 청·녹·적색광을 다 포함하더라도 적색광의 강도가 너무 높아서 백색광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청색광을 기본으로 하되, 적·녹색광 발광분말의 농도를 조절하여 청·녹·적색광의 비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색순도가 높은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종래의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경우, RF 반응성 스퍼터링과 같은 매우 고가의 대형 진공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아울러 제작 가능한 소자의 면적도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서 소면적 소자 제작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층(30)을 제외한 모든 층을 저가의 스핀코팅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라 대면적형 백색광 전계발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종래의 소자에는 기판으로 투명전극이 코팅된 글라스를 필히 사용해야 했으나, 본 발명의 기판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ex; Al)을 사용하므로 경제성이 높다.

Claims (8)

  1.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청색광 발광층(20)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20)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30)과,
    상기 투명전극층(30) 상에 형성된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 상에 형성된 투명 표면보호층(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청색광 발광층(20)은 표면이 고유전상수를 갖는 절연층(22)으로 코팅된 수많은 발광분말 (ex; GaN:Mg) (21)들과 이들을 유지해 주는 바인더(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발광분말(21)을 코팅하고 있는 절연물질(22)은 BaTiO3계 물질이며, 이 BaTiO3는 테트라 알킬 티탄에이트(Tetra alkyl titanate)계 물질과 테트라 알킬 바륨 옥사이드(Tetra alkyl barium oxide)계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알코올과 혼합한 상태에서 BaTiO3의 중량%을 4∼6%의 범위로 조절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녹·적색광 혼정발광층(40)은 녹색발광용 분말 (ex; CdS) (41)과 적색발광용 분말 (ex; CdSe) (42)을 적당한 바인더(43)에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5. 기판 상에 청색광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청색광 발광층 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녹·적색광 혼정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녹·적색광 혼정발광층 상에 투명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청색광 발광층의 형성공정은 테트라 알킬 티탄에이트(Tetra alkyl titanate)계 물질과 테트라 알킬 바륨 옥사이드(Tetra alkyl barium oxide)계 물질을 혼합하여 BaTiO3용액을 만든 다음, BaTiO3의 중량%가 4∼6%가 되도록 알코올과 혼합한 결과물에 발광중심이 도핑된 발광분말 (GaN:Mg 입자)을 적당량 투입한 후, 밀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분산을 수행하여 BaTiO3가 코팅된 발광분말을 확보하고 이를 여과한 후, 이를 500∼600℃로 진공로에서 열처리하여 BaTiO3를 결정화하여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청색광 발광층의 형성공정은 청색광 발광분말을 TEOS 계열의 고분자용매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형성하되, 발광분말과 TEOS 고분자용매와 메탄올의 비율은 부피비로 1:1:5∼1:1:10으로 조절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녹·적색광 혼정발광층의 형성공정은 녹색광 발광분말과 적색광 발광분말을 TEOS 계열의 고분자용매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형성하되, 발광분말과 TEOS 고분자용매와 메탄올의 비율은 부피비로 1:1:5∼1:1:10으로 조절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20018293A 2002-04-03 2002-04-03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20030079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293A KR20030079331A (ko) 2002-04-03 2002-04-03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293A KR20030079331A (ko) 2002-04-03 2002-04-03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331A true KR20030079331A (ko) 2003-10-10

Family

ID=3237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293A KR20030079331A (ko) 2002-04-03 2002-04-03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331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2691A (ja) * 1988-05-30 1989-12-06 Nec Kansai Ltd 分散型電界発光素子
JPH0278188A (ja) * 1988-09-13 1990-03-19 Alps Electric Co Ltd 蛍光体ペースト
JPH03171591A (ja) * 1989-11-29 1991-07-25 Nippon Kasei Kk 分散型電界発光素子
JPH05211093A (ja) * 1991-03-07 1993-08-20 Nippon Sheet Glass Co Ltd 直流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757874A (ja) * 1993-08-18 1995-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分散型elパネル用素子
JPH07312288A (ja) * 1994-05-13 1995-11-28 Seikosha Co Ltd バックライト用el
US5912533A (en) * 1996-05-22 1999-06-15 Ju Hyeon Lee AC powder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00013291A (ko) * 1998-08-06 2000-03-06 박성 El현상을 응용한 식별센서
KR20030023298A (ko) * 2001-09-13 2003-03-19 이엘코리아 주식회사 교류용 분말 멀티칼라 el 소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2691A (ja) * 1988-05-30 1989-12-06 Nec Kansai Ltd 分散型電界発光素子
JPH0278188A (ja) * 1988-09-13 1990-03-19 Alps Electric Co Ltd 蛍光体ペースト
JPH03171591A (ja) * 1989-11-29 1991-07-25 Nippon Kasei Kk 分散型電界発光素子
JPH05211093A (ja) * 1991-03-07 1993-08-20 Nippon Sheet Glass Co Ltd 直流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757874A (ja) * 1993-08-18 1995-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分散型elパネル用素子
JPH07312288A (ja) * 1994-05-13 1995-11-28 Seikosha Co Ltd バックライト用el
US5912533A (en) * 1996-05-22 1999-06-15 Ju Hyeon Lee AC powder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00013291A (ko) * 1998-08-06 2000-03-06 박성 El현상을 응용한 식별센서
KR20030023298A (ko) * 2001-09-13 2003-03-19 이엘코리아 주식회사 교류용 분말 멀티칼라 el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7724B2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organic layer doped with photoluminescent material
KR101263497B1 (ko) 연색평가수가 높은 전계발광 램프
CN100531496C (zh) 发光元件和显示装置
US20060152150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8456082B2 (en) Surface-emission light source with uniform illumination
US7053422B2 (en) Solid-state self-emission display and its production method
JP5191476B2 (ja) 表示装置
KR100685917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723049B1 (ja) 直流駆動の無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発光方法
Heikenfeld et al.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a high-temperature stable GaN-based phosphor and thick-film dielectric layer
KR100642204B1 (ko) 저제조단가의 적층형 백색광 전기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20030079331A (ko) 백색광 전계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100405134B1 (ko)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4178271B2 (ja) 酸化物電界発光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電界発光素子
JP2006040642A (ja) 色変換膜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obayashi et al. Research on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present status
Kitai Alternating Current Thin Film and Powder Electroluminescence
WO2002073708A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0512010B1 (ko) 청색발광형광체, 이를 이용한 청색전계발광소자 및 그제조방법
CN1817065A (zh) 电场发光元件以及显示装置
KR101457056B1 (ko) 소결 세라믹 형광시트를 이용한 전계발광패널 및 그제조방법
Chen et al. AC powder electroluminescence
KR100319766B1 (ko) 교류-직류 하이브리드형 박막전계발광소자
CN113867066A (zh) 一种白光交流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Satoh et al. Red-emitting organic-dye-dispersed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