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745A -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745A
KR20030077745A KR1020020016590A KR20020016590A KR20030077745A KR 20030077745 A KR20030077745 A KR 20030077745A KR 1020020016590 A KR1020020016590 A KR 1020020016590A KR 20020016590 A KR20020016590 A KR 20020016590A KR 20030077745 A KR20030077745 A KR 2003007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ffective
effect
blood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국
Original Assignee
안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국 filed Critical 안창국
Priority to KR102002001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745A/ko
Publication of KR2003007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폼 클렌징 크림 원료에 특정의 한약재로 조성한 미량의 한약원료를 첨가함으로서 포화지방산인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과 알칼리의 상호 반응으로 표면장력과 계면장력을 저하시키고, 기포성과 분산성 그리고 유화성과 세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보습제와 첨가제로 피부에 대한 보습작용과 진정, 청정효과를 강화하여 노화된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함으로서 피부를 한층 부드럽고 촉촉하게 관리할 수 있고, 여드름과 기미 및 주근깨의 제거, 잔주름 완화에 의한 탄력있는 피부로 가꿀 수 있는 경제적인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여드름과 기미, 주근깨의 제거와, 잔주름의 완화로 탄력있는 피부로 가꿀 수 있게 한 경제적인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미용과 피부치료 등 크게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피부치료라는 목적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은 얼굴에 생긴 여드름 제거용, 기미 제거용, 주근깨 제거용, 잔주름 억제용 등으로 세분되며, 개중에는 2가지 이상의 기능을 발휘하는 화장품도 있다.
종래의 기능성 화장품은 대체로 화장품 원료에 적량의 약품을 혼합한 것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피부에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역기능과, 효과가 미흡한 것이 문제다. 또, 한결같이 고가품이어서 수요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기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에 생긴 여드름과 기미, 주근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잔주름을 완화하여 탄력있는 피부로 가꿀 수도 있는 다기능 화장품을 염가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일반 폼 클렌징 크림의 원료에 특정의 한약재로 조성한 미량의 한약원료를 첨가함으로서 포화지방산인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과 알칼리의 상호 반응으로 표면장력과 계면장력을 저하시키고, 기포성과 분산성 그리고 유화성과 세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보습제와 첨가제로 피부에 대한 보습작용과 진정, 청정효과를 강화하여 노화된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함으로서 피부를 한층 부드럽고 촉촉하게 하는 높은 보습력과 미백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달성하게 된다.
한국 본초도감(경희대 한의대 안덕균 교수저)에 수록된 한약재 중에는 다음과 같은 약재들이 있다.
당귀(當歸)
학명은 Angelica sinensis (Oliv.)Diels.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그 뿌리는 한약재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왜당귀[일당귀.Ligusicum acutilbum(Sieb.Et Zucc)인 키타가와를 당귀 대용의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효능은 보혈과 활혈지통(活血止通), 윤장(潤陽).
즉, 심혈과 간혈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안면 창백, 입술과 손톱에 과애가 없고 머리와 눈이 어지러우면서 가슴이 뛰는 증상에 보혈작용을 한다. 또, 결혼 여성이 혈허(血虛)하고 어혈이 있어서 생리가 불규칙하고 생리통 또는 생리가 없는 증상에도 효험이 있다. 여자의 생리 조절작용이 뛰어나고 산전 및 산후질환의 치료에도 널리 사용된다. 혈액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어혈과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마비증상을 풀어주고 통증도 완화시킨다. 부기를 빼 주고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을 다스리므로 외과적으로도 활용된다. 혈어로 인하여 나타나는 두통치유와 변비에도 유효하다.
성분에는 휘발성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주성분은 부틸렌프탈라이드, N-발레로페논-0-카복실산이며, 지방유, 비타민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자궁 흥분과 억제 작용을 조절하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며, 비타민 E 결핍을 방지하므로 유산을 막아준다.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하며, 항염증, 진통 작용도 나타난다. 비특이성 면역촉진작용이 있어서 단핵 대식세포의 탐식 능력을 높인다. 또, 항산화 및 항방사능 작용도 하고, 기관지 천식에도 유효하며, 간 기능 보호작용도 한다. 그밖에 여러 종류의 세균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도 한다.
임상보고에 따르면, 각종 기관지천식에 유효성을 높이고, 결혈성중풍과 심장박동 이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약침 제제는 결혈성 중풍치료에서 혈류 변화를 볼 수 있었고, 뇌동맥 경화에서도 치유율이 높았다. 또한 요퇴통, 흉부외과 수술 후의 통증 해소, 간장 질환의 치료, 급성 신우신염, 상부 소화기도의 출혈 증상, 자궁탈수, 불면증, 뇌동맥경화, 유뇨(遣尿), 하악관절의 문란 증상, 혈전 폐쇄성 맥관염, 대상성 포진, 우피선, 습진, 만성비염, 만성 인후염, 돌발성 이롱, 음경섬유성 해면체염, 견관절염, 위, 십이지장 궤양, 만성 간염, 습관성 변비 등에도 효과가 확인되었다.
천문동(天門冬)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Lour.) Merr]의 덩이뿌리를 말한다. 효능은 청패강화(淸肺降火)와 자음윤조(滋陰潤燥).
즉, 조사(燥邪)가 폐에 침투하여 마른기침을 하고 가래가 없거나 적은 양의 끈끈한 가래를 배출하고 심하면 피가 섞이는 증상에 상영(桑葉), 사삼(沙蔘), 행인(杏仁)과 같이 사용한다. 음허(陰虛)로 인한 해수, 각혈에 활용되며, 열병 후기에 인후가 건조하고 갈증이 있는 증상에 사용한다. 소갈증으로 입 안이 건조하고 물을 많이 마시는 증상에 유효하며, 장관(腸管)의 수분 부족으로 인한 변비와 열을 수반하는 증상에 쓰인다. 신음휴손(腎陰虧損)으로 인한 허와상염(虛火上炎)으로 인후염에 효력을 보인다. 주요 성분은 아스파라긴, 점액질, β-시토스테롤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탄저균, 연쇄상구균, 패렴쌍구균, 황색 포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S-180 육종과 백혈병에서는 세포억제 작용이 확인되었다. 임상보고에서는 약침 제제로 유선암 치료에 효과를 보였으며, 악성 림프암종에도 효과가 있었다.
천화분(天花紛)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하늘파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의 뿌리다. 열매는 과루(瓜蔞), 종자는 과루인(瓜蔞仁), 열매 껍질은 과루피(瓜蔞皮)라고 한다. 천화분의 효능은 청열생진(淸熱生津)과 소종배농(消腫排膿)이다. 또, 과루와 과루인은 윤폐화담(潤肺化痰)과 활장하고 과루피는 윤패화담과 이기관흉(利氣寬胸)하다.
즉, 천화분은 열로 인하여 진액이 손상되어 입안이 마르며 혀가 건조하고 가슴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및 갈증을 많이 느끼는 소갈증에 널리 활용된다. 특히 입안이 마르고 물과 음식을 많이 먹을 때에 유효하다. 종기와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농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유도한다.
천화분 약침 제제는 악성 포도태와 상피 세포암종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루는 담열로 인한 해수에 유효하며, 관상동맥 질환으로 가슴에 통증이 심한 것을 치료하고, 폐결핵의 각혈에 치료 효과가 있다. 소갈, 활달에도 쓰이고, 변비에도 유효하며, 종기 초기에 소염 효과를 나타낸다. 과루인은 담열해수에 유효하며, 변비를 치료하고, 종기·유즙 분비량의 부족증상을 치유하는 데 유효하다. 그리고 과루피는 담열해수에 유효하며, 협심증으로 인한 흉부동통을 완화시키고,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그밖에도 소갈변비와 초기 종기진압에도 유효하다.
주요 성분은 단백질과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과 사포닌, 전분, 천화분단백 등이다. 과루에는 트리에르페노이드, 유기산, 수지,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천화분 단백은 자궁 평활근을 직접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어 유산을 일으키고 임신을 방지한다. 생쥐의 실험성 간암에 일정한 치료작용을 나타내지만 기타 다른 암종에는 현저한 효과가 확인된 바 없다. 혈당을 내리고 달인 물은 용혈성 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에 일정한 억제 작용을 보인다. 비교적 강한 항원 활성이 있어서 과민반응을 일으키며, 발열과 두통, 발진, 인후통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과루는 대장균, 이질균, 변형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고, 육종 복수암세포에 억제 효과가 있다.
임상보고에 의하면 임신 중기에 천화분 단백을 근육 주사하거나 양막강 안에 주사하면 유산을 일으킨다. 포도태, 상피 세포암, 자궁외 임신에 천화분단백을 약침 제제로 만들어 근육 주사하여 상당한 효력을 얻은 바 있다.
인삼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인삼의 뿌리이다. 효능은 대보원기(大補元氣), 보비익폐(補脾益肺), 생진지갈(生津止渴), 안신(安神), 증지(增知) 등이다. 즉, 인삼은 원기 부족으로 인한 신체허약, 권태, 피로, 땀이 많은 증상, 비위 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나타나는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활용된다. 폐 기능이 약화로 인해 호흡이 가쁜 경우에도 활용되며, 진액 손상으로 기운이 없으면서 갈증이 있는 경우 및 소갈증에도 널리 쓰인다. 안신작용이 있어서 꿈이 많고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 가슴이 뛰고 잘 놀며, 정신력을 증강시키고 사고력의 영적활동을 높인다. 또, 기운이 허약하여 혈허 증상을 일으키는 사람에게는 기혈을 보해준다. 그밖에도 신기능 허약으로 음위증을 일으킬 때에도 큰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은 인삼 사포닌( ginsenoside Ra,Rbl,Rb2,Rb3,Rc,Rd,Re,Ro)등과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 플라보노, 휘발성 정유, 무기질이다.
약리작용으로는 대뇌 피질의 흥분 및 억제 과정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며, 긴장으로 인한 신경의 문란한 체계를 회복시킨다. 또, 두뇌의 노동과 체력을 향상시키므로 항피로 작용과 사유 활동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항노화 작용이 있어 집중력과 기억력 감퇴, 지력 손상 등에 유효하다. 그리고 신체의 유해한 자극에 대하여방어력을 증강시키며, 신체의 면역 기능 개선효과도 있다. 소량을 사용하면 심장의 수축력을 높이나 다량을 사용하면 약화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성선 촉진작용도 있고, 고혈당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단백질합성 촉진 인자가 있어서 DNA와 RNA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밖에도 항상성유지와 암세포의 발육 억제작용, 간장 해독기능 강화 등이 입증된 바 있다.
임상보고에 따르면, 심근경색과 심인성 쇼크에 유효하였고, 중기와 말기 위암 수술 환자에게서 현저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 성 기능장애로 인한 발기곤란, 조루, 사정부족, 성욕상실 등에도 유효하였으며, 당뇨병에서는 혈당을 내리고 전신 기능이 호전되었다. 허약한 소화기능에 유효하였고, 고혈압과 죽상동맥경화증에도 유효하였다. 노인병과 고지혈증, 관상동맥경화증, 백혈구감소증 등에도 유효하였으며, 급성간염의 경우에는 간 기능 회복력이 가속되었다.
백렴(白)
포도과의 낙엽 덩굴나무인 가위톱[Ampelopsis japonioca(Thunb.)Makino]의 뿌리줄기이다. 효능은 청열해독(淸熟解毒)과 검창생기(斂瘡生飢).
즉, 청열해독작용이 있어서 피부궤양, 종기, 부스럼, 화상 등에 가루를 내어 뿌리면 빠른 효과를 보인다. 또한 안구충혈 및 여자의 음부가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주요성분은 점액질과 전분이다. 약리작용으로는 피부진균 억제 작용이다. 임상보고결과, 급만성 이질에 가루를 내어 복용하자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녹두
콩과의 한해살이풀인 녹두(phaseolus radiatus Linne)의 종자이며, 효능은청열해독과 청서지갈(淸署止渴) 및 이수(利水). 즉, 약성이 서늘하므로 열로 인한 악창이나 종기, 단독에 생것을 찬물에 담갔다가 즙을 내어 마시거나, 대황과 함께 가루를 낸 후 꿀에 개어서 환부에 붙인다. 부자(附子), 파두(巴豆), 초오(草烏)의 중독을 해독시키며, 여름에 끓여서 차로 마시면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나는 증상과 갈증을 제거한다. 가벼운 이뇨작용이 있다.
주요 성분은 단백질과 인지질, 비타민, 탄수화물이며, 약리적으로는 실험성 고지혈증의 예방과 치료 작용이다. 임상보고에 따르면, 농약중독시 녹두 600g, 식염 60g을 갈아서 찬물 2ℓ를 붓고 수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마시면 해독작용을 볼 수 있다. 납중독에도 매일 녹두 150g과 감초 20g에 물을 넣고 달여서 비타민 C와 함께 복용하고, 화상에는 생녹두를 75% 알코올에 타서 환부에 붙이면 효험을 볼 수 있다.
감국(甘菊)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산국 [Chrysanthemum boreale(Makno)Makino], 감국(Chysanthemum indicum Linne)의 꽃봉오리이다. 효능은 청열해독이다. 즉, 혈열로 인한 종기, 작고 튼튼하고 뿌리가 깊이 박혀 헌 것이 악화된 정독(毒), 인후염에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눈이 붉게 충열된 경우에는 하고초(夏枯草)를 가미하여 치료하며, 혈압을 내리기도 하므로 고혈압에 유용하다.
주요 성분은 휘발성 정유와 다당류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관상 동맥의 혈류량 증가, 혈압 강하작용, 항균 작용이 증명되었다. 임상보고에 의하면, 만성 자궁경부미란, 만성 장염, 결핵성 경부 림프선염, 급성이질 등에 약침 제제로 사용하거나 내복하여 효과를 보았으며, 감기로 열이 나고 오슬오슬 춥고 두통이 있는 것이 치유되었다. 만성 전립선염에서는 총유효율이 상승되었다.
고본(藁本)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고본 Ligusticum sinense Oliv의 뿌리줄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형과의 고본 Ligusticum tenuissimum(Nakai)Kitagwa의 뿌리줄기를 대신 악용한다. 효능은 발표산한(發表散寒)과 거풍숭습지통(祛風濕止痛).
즉, 매운 맛은 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발열, 해수, 가래, 콧물에 쓰고,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사지마비관정동통에 강활(羌活), 방풍, 위령선(威靈仙)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두정통에 지통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은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며, 주성분은 3-부틸프탈라이드, cnidilide이다.
약리적으로는, 정유 성분은 진정, 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을 보인다. 장관과 자궁 평활근을 억제시키고, 배선균에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상으로는 신경성 피부염에 50% 약침 제제를 사용하여 가려움증 및 피부의 발진을 소실시켰다.
창이자(蒼耳子)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inne)의 열매이며, 효능은 산풍습(散風濕)과 통비규(通鼻竅) 및 지통(止痛). 즉, 축농증으로 코가 막히고, 호흡이 불편하여, 두통이 있으면서 냄새를 못 맡고 때로는 콧물을 흘리는 증상에 유효하다.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 동통마비와 굴신이 자유스럽지 못할 때도 사용한다. 피부가려움증에는 백질려(白藜), 백선피(白鮮皮), 형개(荊芥)를 배합하여사용하고 중이염에도 활용된다.
성분은 크산토스드루마린(xanthostrumarin), 지방유, 알카로이드, 비타민 C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정유와 알카로이드에서 독성이 나타난다. 혈당을 강화시키고, 백혈구 수의 감소를 방지하며, 진해작용과 심장억제 작용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허리와 대퇴부 동통에 약칭 제제로서 효력을 얻었으며, 만성비염에 일정한 효능을 얻었다. 만성기관지염에 유효율을 높였고, 급성이질의 경우 하루에 이 약물 120∼150을 3∼4회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효과가 있었다. 국부에 생긴 급성 염증에 고약으로 만들어 환부에 붙였더니 소염작용도 보였다.
백지(白芷)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et Hooker)의 뿌리이다. 효능은 거풍제습과 통규지통 및 소종배농. 즉,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코막힘,콧물이 연이어 나오는 증상을 다스린다. 양명위경(陽明胃經)에 작용하므로 위장장애로 인한 미릉골통(眉稜骨痛) 및 치통을 치료하며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의 치료율이 높다.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지마비 및 안질환, 부인의 대하에도 유효하며, 소염과 배농작용이 있어 창양자 종독(腫毒), 피부궤양에도 활용된다.
성분은 byak-angelicin, oxypeucedanin, byak-angelicol imperatorin, isoimperatorin, phellopterin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항균작용 있어 대장균, 이질균, 바이러스균, 녹농균, 호흡 중추, 미주 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 작용을 보인다. 백전풍(白瘢風), 즉 살갖에 철 반점이 생기는 병증과 은설병(銀屑病), 즉 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가루가 생기는 병증에 유효하며,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킨다.
임상보고에 의하면, 두통 치료에 유효하였으며, 물을 넣고 달인 액은 기능성 두통 치료에 탁월하였다. 백전풍과 피부병의 예방, 치료율을 높였고, 은설병에 알코올 추출액으로 유효율을 높였다.
방풍(防風)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Hoffm.) Wolff]과 중국방풍[Ledebouriella divaricata(Turcz.)]의 뿌리를 사용한다. 효능은 거풍해표, 제습지통, 해경. 즉, 일체의 풍증을 제거하는 묘약으로 그 중에서도 외감성으로 인해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두통, 전신통 및 인후통에 가장 유효하다.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지관절동통과 사지경련 및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에 널리 활용되므로 신경 계통 의 질환 및 관절 질환 등에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풍증을 제거하고 경련 발작을 가라앉히므로 파상풍이나 허리를 뒤로 젖히면서 입과 치아를 떨리지 못하는 증상 및 사지의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에 활용된다. 피부의 풍증으로 가렵거나 옴, 버짐에는 형개, 백질려 등과 배합하여 치료한다.
성분은 휘발성 정유와 만니톨(mannitol), 다당류, 유기산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약물 달인 물은 해열작용이 현저하므로 항염증 작용과 진경작용이 입증되었으며, 면역기능을 활성화하고 항알레르기 작용 및 실험성 위궤양에서는 항궤양 작용을 나타낸다. 체외 실험으로는 녹농균과 황색 포도상구균 등에 서 항균작용을 있었으며, 피부 개선균을 억제시키기도 한다.
임상보고에 따르면, 비화 수소의 배출을 돕고 자각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만성 요배관절통에 약침 제제가 유효한 반응을 보였다. 안면 신경마비에도 효과가 있었고, 사마귀 제거에도 이롭다.
신이(辛夷)
목련과의 갈잎큰키나무 목련(Magnolia kobus A.P.DC.), 자목련(Magnolialiliflora Desr.),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의 꽃봉오리로서, 효능은 산풍한자 통비규. 즉, 외감성으로 인한 코막힘을 다스린다. 축농증으로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면서 냄새를 못 맡고 두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집중력이 떨어지는 증상에 신속한 반응을 보인다. 기후 변화로 인한 감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한과, 발열과 땀이 없고 전신통에 효험이 있다. 성분은 휘발성 정유와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비염에 수렴 작용이 있어서 점막 표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모세 혈관을 확장시키고, 국부의 혈액 순환을 개선 시켜 분비물의 흡수를 촉진시키므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호흡을 원활하게 하며 증상을 완화시킨다. 약침요법으로는 혈압강하작용을 보인다. 정유 성분은 진통과 진정작용이 있으며, 달인 약물은 혈압강하작용을 보이고, 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의 억제 작용도 보인다. 임상결과, 비염과 부비동염, 과민성비염에 달인물로 치유율을 높였으며, 만성비염에는 약침 제제로 유효율을 높였다.
백급(白)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자란(Bletilla striata Reichb.fil.)의 덩이뿌리이다. 효능은 수검지혈(收止血)과 소종생기. 즉, 폐열로 인한 각혈, 위열로 인한 토혈 및 위, 십이지장 궤양의 출혈에서 지혈반응을 보이며 궤양의 유합을 촉진시킨다. 외상에는 가루를 내어 환부에 뿌린다. 종기 및 창양(瘡瘍), 즉 몸의 겉에 생기는 여러 가지 외과적 질병과 피부 질병에 내복 및 외용한다. 기름 성분이 많아서 궤양이나 앙상 면의 유합을 촉진시키고, 새로운 피부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킨다.
성분은 수분과 전분, 포도당, 정유, 점액질 등이다. 약리적으로는 국부 출혈에 양호한 지혈 반응을 보이고, 실험성 위, 십이지장 천공에 치료 반응을 보이며, 결핵균과 백일해균, 백색 포도상구균에 일정한 억제작용을 보인다. 혈압 상승작용과 항암작용도 있다.
임상적으로는 출혈성 병증, 즉 폐결핵과 각혈, 기관지 확장으로 인한 각혈, 소화기 출혈, 변혈 등의 증상에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위, 십이지장 궤양, 급성 천공에도 임상효과가 탁월하였다. 폐결핵 환자의 만성 섬유공동에 지혈효과가 있었다. 또한 백일해와 규패증,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 실혈성 쇼크에도 유효하였다. 손발이 갈라질 때에는 이 약물 30g과 대황 50g, 용뇌 3g을 가루내어 1일 3회 꿀에 개어서 붙인다.
백부자(自附子)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노랑돌쩌귀(Aconitum koreanum R.Raymond)의 덩이줄기이다. 효능은 조습화담(조습화담), 거풍지경, 해독산결, 지통지상(止庠). 즉, 풍담이 쌓여 일어나는 안면 신경마비, 경련발작, 중풍, 파상풍, 편두통 또는 두통과 몸이 무겁고 혀에 흰 설태가 끼는 증상에 쓰이며, 경부 림프절염과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인다. 풍습으로 인한 사지마비관절통, 굴신을 못하는 증상에 활용되고, 남자의 음낭습진, 피부가려움증에 강활, 백질려 등과 함께 가루를 내어서 1회 6g씩 물로 마시고, 습진에는 꿀에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성분에는 알칼로이드인 하이파코니틴(hypaconitin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적으로는 결핵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고, 항실험성 심박동 이상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에서는 안면신경 마비에 약침 제제가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
감송향(甘松香)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감송향(Nardostachys chinensis Batal.)의 뿌리이며, 효능은 이기(理氣)지통과 성비건위(醒脾健胃).
즉, 이기작용이 있어 복통 및 흉복부가 창만하여 일어나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신경성 위통에 활용되며, 두통에도 적용된다. 각기(脚氣)에는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 성분은 1-아리스톨렌-2-one, nardostachone, 1,8,9,10-tetrade-hydroaristolan-2-One등이 알려져 있다.
약리적으로는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힐초근(草根)과 같은 진정작용이 있다. 심장 박동이 일정하지 않은 사람에게 심장 박동조절작용이 현저하다. 기관지와 소장, 대장, 자궁 등의 평활근의 경련을 풀어준다. 미약한 항균작용도 나타난다. 임상보고상으로는 향성으로 개위성비의 효능이 있기 때문에 위허한으로 인한 완복만통, 식용부진 등의 징을 다스린다. 또한 모든 향료의 합하여 복합향료로 만든다.
정선한 상기 한약재를 알콜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알콜 추출법, 중탕기에 한약재와 물을 넣고 가열하여 추출하는 중탕 추출법 등에 의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농축한 후 분말화한다.
당귀 0.2g, 천문동 0.1g, 천화분 0.1g, 인삼 0.2g, 백렴 0.07g, 녹두 0.15g, 감국 0.05g, 고본 0.1g, 창이자 0.05g, 백지 0.1g, 방풍 0.1g, 신이 0.1g, 백급 0.1g, 백부자 0.05g, 감송향 0.03g 의 비율로 혼합된 기능성 화장품용 한약재 분말을 조성한다.
상기 한약재 분말을 일반 폼 클렌징 원료에 미량 혼합 교반하고 일공지의 폼 클렌징 크림제조법으로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한다. 즉, 백납 1.0∼3.0 중량%, 스테아린산 6.0∼8.0 중량%, 팔미틴산 8.0∼10.0 중량%, 미리스틴산8.0∼10.0 중량%, 라우린산 3.5∼5.5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3.0 중량%,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0.2∼1.2 중량%, 피이지-75 라놀린 0.2∼1.2 중량%, 트리(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0.5∼1.5 중량%, 1,3 부틸렌글리콜 6.0∼8.0 중량%, 글리세린 9.0∼11.0 중량%, 에틸렌디아민 트라초산나트륨 0.05∼1.05 중량%, 수산화칼륨 5.5∼7.5 중량%,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2.0∼4.0 중량%, 가수분해 클라겐 0.1∼1.1 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0.1∼1.1 중량%, 조합향료 0.1∼1.1 중량% 및 정제수 47.25∼28.5 중량%로 이뤄지는 공지의 폼 클렌징에 상기한 한약재 분말 1.5∼3.25 중량%를 혼합 교반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코자 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얻어지는 것이다.
기존의 폼 클렌징 크림에서 한약재의 역할은 포화지방산인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과 알칼리의 상호 작용으로 표면장력과 계면장력이 저하되고, 기포성과 분산성 그리고 유화성과 세정성은 높아진다. 또, 기존의 보습제와 첨가제에 의한 피부의 보습작용에다 진정 및 청정효과를 강화하므로 노화된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성 화장품을 장기간 사용하면 피부가 한층 부드러워지고 촉촉해지며, 미백효과도 현저히 향상된다.
이처럼 특정하게 조성한 한약재 분말을 미량만 첨가해도 종전에는 전혀 볼 수 얼던 월등한 효과가 나타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저렴하게 제조하여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은 일반 폼 클렌징 크림 원료에 특수하게 조성한 한약재 분말을 미량 첨가함으로서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과 알칼리의 상호 반응에 의한 표면장력과 계면장력의 저하와, 기포성과 분산성, 유화성 및 세정성의 증대, 여기에 보습제와 첨가제에 의한 기존의 피부 보습작용에다 진정 및 청정효과가 증대되어 노화된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하게 되므로 한층 부드럽고 촉촉하며 높은 보습력과 미백효과가 우수하며, 여드름과 기미, 주근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잔주름의 완화로 탄력있는 피부로 가꿀 수 있으며, 저가보급이 가능한 기능성 화장품이 제공된다.

Claims (1)

  1. 추출한 당귀 0.2g, 천문동 0.1g, 천화분 0.1g, 인삼 0.2g, 백렴 0.07g, 녹두 0.15g, 감국 0.05g, 고본 0.1g, 창이자 0.05g, 백지 0.1g, 방풍 0.1g, 신이 0.1g, 백급 0.1g, 백부자 0.05g, 감송향 0.03g 의 비율로 혼합하여 농축한 후 분말화한 한약재 분말 1.5∼3.25 중량%를 공지의 폼 크렌징 크림 원료에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020016590A 2002-03-26 2002-03-26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KR20030077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90A KR20030077745A (ko) 2002-03-26 2002-03-26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90A KR20030077745A (ko) 2002-03-26 2002-03-26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45A true KR20030077745A (ko) 2003-10-04

Family

ID=3237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90A KR20030077745A (ko) 2002-03-26 2002-03-26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7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164A (ko)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100721508B1 (ko) * 2004-11-22 2007-05-23 김성진 위령선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당뇨합병증, 인슐린저항성 및 그로 인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315265B1 (ko) * 2010-10-14 2013-10-08 소셜테크 주식회사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04027296A (zh) * 2014-06-12 2014-09-10 贵州普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美白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20170019829A (ko) * 2015-08-13 2017-02-22 인코스(주) 로즈마리, 감국, 목련꽃,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818A (ko) * 1986-10-31 1988-06-27 김주천 한약제를 이용한 피부 미용제의 제법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920017634A (ko) * 1991-03-06 1992-10-21 김만경 국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970005274A (ko) * 1995-07-20 1997-02-19 박동기 화장품 및 피부관련 의약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19990024886A (ko) * 1997-09-09 1999-04-06 김광석 창이자(도꼬마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20000020728A (ko) * 1998-09-23 2000-04-15 성재갑 피부미백제 조성물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818A (ko) * 1986-10-31 1988-06-27 김주천 한약제를 이용한 피부 미용제의 제법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920017634A (ko) * 1991-03-06 1992-10-21 김만경 국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970005274A (ko) * 1995-07-20 1997-02-19 박동기 화장품 및 피부관련 의약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19990024886A (ko) * 1997-09-09 1999-04-06 김광석 창이자(도꼬마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20000020728A (ko) * 1998-09-23 2000-04-15 성재갑 피부미백제 조성물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8B1 (ko) * 2004-11-22 2007-05-23 김성진 위령선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당뇨합병증, 인슐린저항성 및 그로 인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60093164A (ko)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265B1 (ko) * 2010-10-14 2013-10-08 소셜테크 주식회사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04027296A (zh) * 2014-06-12 2014-09-10 贵州普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美白洁面膏及其制备方法
CN104027296B (zh) * 2014-06-12 2016-08-31 贵州普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美白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20170019829A (ko) * 2015-08-13 2017-02-22 인코스(주) 로즈마리, 감국, 목련꽃,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JP2007523110A (ja) 赤ブドウ葉の抽出物および抗炎症剤を含む、慢性静脈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CN105326753A (zh) 一种淡化唇纹滋养唇膏及其制备方法
CN103877247A (zh) 用于治疗褥疮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02854A (ko)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52779A (zh) 具有净化人体血液作用的保健中药组合物及其保健制品
KR100825436B1 (ko) 피부개선 미용비누 조성물
CN105832619A (zh) 杀菌除臭足浴盐及制备方法
CN103751762B (zh) 一种促进肌肤细胞重组并能延缓衰老的产品
KR20030077745A (ko) 기능성 화장품 제조방법
CN105709020A (zh) 一种含艾叶药渣的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5213285A (zh) 一种祛痘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05232987A (zh) 一种促进神经外科术后康复的中药
CN110680794A (zh) 一种纯天然无化学添加剂的食品级珍珠蜂蜜茶味口腔护理组合物的绿色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344460A (zh) 一种痤疮肌肤专用保湿祛痘面霜及其制备方法
CN105342923A (zh) 一种预防嘴唇干裂的唇膏及其制备方法
CN105250747A (zh) 一种养生膏
CN105687050A (zh) 一种沐浴盐及制法
CN105687051A (zh) 具有除粉刺效果的沐浴盐及制备方法
CN104997672A (zh)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CN105168091A (zh) 一种祛红血丝面膜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