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727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727A
KR20030077727A KR1020020016556A KR20020016556A KR20030077727A KR 20030077727 A KR20030077727 A KR 20030077727A KR 1020020016556 A KR1020020016556 A KR 1020020016556A KR 20020016556 A KR20020016556 A KR 20020016556A KR 20030077727 A KR20030077727 A KR 2003007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ctive
standby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2001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727A/ko
Publication of KR2003007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메인 보드에 대한 이중화 운용 방안을 상위 제어국과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기지국의 여러 장애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상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개발 초기 단계 및 실제 필드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기지국의 모든 상태에 대해서 제어국에서 개입하여, 액티브/스탠바이 양쪽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신호(Keep Aliv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기지국의 어드레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및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검출하여, 모든 비정상적인 기지국의 상태에 대해 제어국에서의 기지국 제어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을 보다 나은 상태로 유도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ement of processor status by BTS duplexing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 메인 보드에 대한 이중화 운용 방안을 상위 제어국과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기지국의 여러 장애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상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개발 초기 단계 및 실제 필드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기지국의 모든 상태에 대해서 제어국에서 개입하여, 액티브/스탠바이 양쪽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신호(Keep Aliv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기지국의 어드레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및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검출하여, 모든 비정상적인 기지국의 상태에 대해 제어국에서의 기지국 제어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을 보다 나은 상태로 유도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제어국은 기지국의 액티브 사이드(Active Side)에게만 키프 얼라이브시그널(Keep Alive Signal)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장애가 발생시 이를 즉각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지국 링크 장애나 SCC1 링크 장애 발생시 해당 기지국의 어드레스(Address) 체계가 변경되는데, 이 변경된 어드레스를 제어국에서 바로 검출(Detect)하지 못하고, 기존의 어드레스로 계속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한 뒤 응답이 없을 경우에 한해서 어드레스를 바꿔서 다시 키프 얼라이브하는 등 기지국의 상태에 대해 능동적으로 관리하거나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기지국간이 전용 링크(SCC1) 장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듀얼 액티브(Dual Active)나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상태에 대해서 운용자가 운용하지 않는 이상 제대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개발 초기 단계 및 실제 필드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기지국의 모든 상태에 대해서 제어국에서 개입하여, 액티브/스탠바이 양쪽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신호(Keep Aliv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기지국의 어드레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및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검출하여, 모든 비정상적인 기지국의 상태에 대해 제어국에서의 기지국 제어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을 보다 나은 상태로 유도 및 제어하고, 기지국의 여러 장애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상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멀 케이스(Normal Case)인 경우 제어국에서는 기지국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5초)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의 가능한 모든 경로(Path)에 대해서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Keep Alive Signal)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을 전송받은 기지국에서는 자신의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 상태를 점검하여, 액티브인 기지국만이 자기 사이드 및 반대편 사이드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이를 제어국에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에서 주기적으로(2초) 기지국 링크를 관리하는 보드(HICA, High Capacity IPC Control Assembly)에게 시그널을 전송하여 링크의 상태를 업데이트(update)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 사이드의 기지국이 스탠바이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2초)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하여, 스탠바이 사이드에서 기지국 전용 링크(SCC1)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노멀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링크 장애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간의 통신 전용 링크(SCC1)의 장애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듀얼 액티브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듀얼 스탠바이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국 상태 블럭(CSHX)
210, 220 ..... 기지국 상태 블럭(BSHX)
300 ..... 기지국 링크 관리 보드(HICA)
400 ..... 기지국 로딩 블럭(BPLX)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노멀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케이스(Normal Case)인 경우 제어국(100)에서는 기지국(210)(220)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5초) 제어국(100)에서 기지국(210)(220)으로의 가능한 모든 경로(Path)에 대해서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Keep Alive Signal)을 전송하고, 상기 시그널을 전송받은 기지국(210)(220)에서는 자신의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 상태를 점검하여 액티브인 기지국(210)만이 자기 사이드 및 반대편 사이드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이를 제어국(100)에 보고한다.
또한, 기지국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에서는 주기적으로(2초) 기지국 링크를 관리하는 보드(HICA, High Capacity IPC Control Assembly)에게 시그널을 전송하여 링크의 상태를 업데이트(update) 한다.
한편, 양쪽 기지국간의 통신 전용 링크(SCC1)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액티브 사이드의 기지국이 스탠바이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2초)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하여, 스탠바이 사이드에서 기지국 전용 링크(SCC1)의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링크 장애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링크의 장애는 종래의 방법과 같이, 링크를 관리하는 보드(HICA)(300)로 부터의 응답이 없을 경우로 검출(Detect)될 수 있으며, 이때 액티브 사이드 기지국(210)에서 절체(Active -> Standby, Standby -> Active)를 시도하여 링크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스탠바이 사이드에 제어권을 넘겨줘서 액티브 사이드(210)로 운용하게끔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간의 통신 전용 링크(SCC1)의 장애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간의 통신 전용 링크(SCC1)의 장애는 스탠바이 사이드(220)에서 액티브 사이드(210)로 부터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런 현상이 5회 이상 반복될 때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220)는 제어국(100)에게 액티브 사이드(210)로 절체를 요구하는 시그널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시그널을 전송받은 제어국(100)에서는 현재 액티브 사이드(210)의 상태를 체크하여 실제로 액티브 사이드(210)에 장애가 발생되어 키프 얼라이브가 되지 않을 경우 스탠바이 사이드(220)에게 액티브 사이드(210)로 절체해도 좋다는 시그널을 내려보내고, 단지 통신 전용 링크에 장애가 발생했을뿐 실제 액티브 사이드(210)와 키프 얼라이브하고 있을때는 더 이상의 호자원을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220)가 점유하지 않도록 스탠바이 사이드(400)를 리스타트 로딩(Restart Loading) 시킨다.
여기서, 상기의 두가지 링크 장애가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에 해당 기지국은 외부와의 통신이 불가하므로 자체 리스타트 로딩을 수행하여 더 이상의 호자원의 점유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듀얼 액티브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로딩(Loading) 중 링크 장애 발생 등의 원인에 의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가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또는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사이드로 운용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이때, 이중 듀얼 액티브 상태(211)(212)는 제어국(100)이 모든 가능한 경로로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Keep Alive Signal)을 전송하기 때문에, 해당 기지국에서는 자신의 상태가 액티브라면 이 시그널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제어국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국 입장에서 보면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에 대한 응답이 양쪽 사이드에서 모두 올라오므로, 보고 받은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액티브 사이드의 정보가 토글(Toggle)된다.
또한, 상기 제어국에서는 상기와 같은 토글 상태를 체크하여 순수한 액티브 상태 변화인지 아니면 듀얼 액티브에 대한 응답인지 분석하여, 후자일 경우 디폴트(Default)로 A 사이드를 살리고 B 사이드를 리스타트 로딩 시켜 기지국의 B 사이드가 다시 살면서 A 사이드와의 Nego를 통하여 스탠바이 사이드로 살도록 유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기지국 듀얼 스탠바이 케이스인 경우 프로세서 상태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가 듀얼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각 사이드에서는 액티브 사이트로 부터의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이 들어 오지 않기 때문에 각각 제어국에게 액티브 사이드로의 절체를 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데 제어국에서는 먼저 들어온 시그널에 대해 절체 허용 시그널을 전송하고, 현재 절체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올라온 시그널에 대해서는 절체 거부 시그널(Reject Signal)을 보내서 절체가 완료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술된 본 발명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어국 측면에서 노멀 케이스(Normal Case)는, 기지국의 상태를 즉각 반영하기 위해서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 가능한 모든 어드레스(Address)를 구하여 전송한다(A/B Side 및 Active/Standby Side의 조합).
case 1. A Side + Active Side
case 2. A Side + Standby Side
case 3. B Side + Active Side
case 4. B Side + Standby Side
다음으로, 제어국 측면에서 기지국 링크 장애는 별도의 연산 수행이 없다.
다음으로, 제어국 측면에서 SCC1 링크 장애는,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로부터 액티브 체인지 요청 시그널(Active Change Request Signal)을 수신하고,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와 키프 얼라이브가 되고 있을 때에는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리스타트 로딩(Standby Side Restart Loading)을 수행하고,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와 키프 얼라이브가 되지 않을 때에는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에 액티브 체인지 억셉트 시그널(Active Change Accept Signal)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국 측면에서 기지국 링크 및 SCC1 장애는 별도의 연산 수행이 없다.
다음으로, 제어국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액티브 케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보고 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액티브 사이드 계산하고, 이전의 액티브 사이드와 비교하여 변경 유무 체크하여, 그 결과 변경시에는 카운트(Count) 값을 증가하고, 미변경시에는 카운트 값을 감소한다. 또한, 상기에서 카운트 값이 임계값(Threshold Value) 이상이면 B 사이드 리스타트 로딩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어국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스탠바이 케이스는, 스탠바이 사이드로부터 절체를 요구하여, 액티브 체인지 억셉트 시그널을 전송하고, 한 사이드의 절체가 진행되고 있을때에는 다른 스탠바이 사이드의 절체를 요구하여, 액티브 체인지 거부 시그널을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노멀 케이스는, 제어국으로 부터의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에 대해 액티브 사이드가 현재 기지국의 상태정보(Active Side, A Side Status, B Side Status)를 취합하여 제어국에 보고한다.
또한, SCC1 링크를 통하여 스탠바이 사이드에게 주기적으로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링크 장애는, HICA로부터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스위치 오버(Switch Over(Active Side -> Standby Side, Standby Side -> Active Side)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SCC1 링크 장애는, 별도의 연산 수행이 없다.
다음으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링크 및 SCC1 장애는, 해당 기지국과 외부와 통신이 두절되는 상태로 리스타트 로딩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액티브 케이스(Dual Active Case)는, 별도의 연산 수행이 없다.
다음으로,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스탠바이 케이스(Dual Standby Case)는, 해당 사항이 없다.
또한,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측면에서, 노멀 케이스와 기지국 링크 장애는, 별도의 연산 수행이 없다.
다음으로,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측면에서, SCC1 링크 장애는,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로부터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은 수신되지 않으며, 제어국에게 액티브 체인지 요청 시그널을 전송하고, 제어국으로부터 액티브 체인지 억셉트 시그널을 수신하면, 기지국 스위치 오버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국으로부터 액티브 체인지 거부 시그널이 수신되면, 제어국에게 액티브 체인지 요청 시그널을 반복 전송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링크 및 SCC1 장애는,해당 기지국과 외부와 통신이 두절되는 상태로 리스타트 로딩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액티브 케이스는, 해당 사항이 없다.
다음으로,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 측면에서, 기지국 듀얼 스탠바이 케이스는, 기지국 액티브 사이드로부터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은 수신되지 않으며, 제어국에게 액티브 체인지 요청 시그널을 전송하고, 제어국으로부터 액티브 체인지 억셉트 시그널을 수신하면, 기지국 스위치 오버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국으로부터 액티브 체인지 거부 시그널이 수신되면, 제어국에게 액티브 체인지 요청 시그널을 반복 전송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개발 초기 단계 및 실제 필드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기지국의 모든 상태에 대해서 제어국에서 개입하여, 액티브/스탠바이 양쪽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신호(Keep Aliv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기지국의 어드레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및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검출하여, 모든 비정상적인 기지국의 상태에 대해 제어국에서의 기지국 제어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을 보다 나은 상태로 유도 및 제어하고, 기지국의 여러 장애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상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기지국의 상태가 예상치 못한 상태로 천이 했을 경우 및 기지국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 등 모든 기지국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해 제어국에서 즉각적인 제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하여 비정상적인 기지국을 가장 빨리 정상적인 상태로 유도하도록 하여 기지국의 호자원의 가용율을 높이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5)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노멀 케이스(Normal Case)인 경우 제어국에서는 기지국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5초)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의 가능한 모든 경로(Path)에 대해서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Keep Alive Signal)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을 전송받은 기지국에서는 자신의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 상태를 점검하여, 액티브인 기지국만이 자기 사이드 및 반대편 사이드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이를 제어국에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에서 주기적으로(2초) 기지국 링크를 관리하는 보드(HICA, High Capacity IPC Control Assembly)에게 시그널을 전송하여 링크의 상태를 업데이트(update)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 사이드의 기지국이 스탠바이 사이드의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2초)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하여, 스탠바이 사이드에서 기지국 전용 링크(SCC1)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링크의 장애는 링크를 관리하는 보드(HICA)로 부터의 응답이 없을 경우 검출(Detect)될 수 있으며, 이때 액티브 사이트 기지국에서 절체(Active -> Standby, Standby -> Active)를 시도하여 링크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스탠바이 사이드에 제어권을 넘겨주고, 이를 통해 액티브 사이드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
  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간의 통신 전용 링크(SCC1)의 장애는 스탠바이 사이드에서 액티브 사이드로 부터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런 현상이 5회 이상 반복될 때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는 제어국에게 액티브 사이드로 절체를 요구하는 시그널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을 전송받은 제어국에서는 현재 액티브 사이드의 상태를 체크하여 실제로 액티브 사이드에 장애가 발생되어 키프 얼라이브가 되지 않을 경우 스탠바이 사이드에게 액티브 사이드로 절체해도 좋다는 시그널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전용 링크에 장애가 발생 했을뿐 실제 액티브 사이드와 키프 얼라이브하고 있을때에는 더 이상의 호자원을 기지국 스탠바이 사이드가 점유하지 않도록 스탠바이 사이드를 리스타트 로딩(Restart Loading)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
  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로딩(Loading) 중 링크 장애 발생 등의 원인에 의해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가 듀얼 액티브(Dual Active) 또는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사이드로 운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상기 이중 듀얼 액티브 상태는 제어국이 모든 가능한 경로로 기지국에게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을 전송하기 때문에, 해당 기지국에서는 자신의 상태가 액티브라면 이 시그널에 대한 응답을 제어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국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에 응답이 양쪽 사이드에서 모두 올라오므로, 보고 받은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액티브 사이드의 정보를 토글(Toggle)되고, 상기 제어국에서는 상기와 같은 토글 상태를 체크하여 순수한 액티브 상태 변화인지 아니면 듀얼 액티브에 대한 응답인지 분석하여, 후자일 경우 디폴트(Default)로 A 사이드를 살리고 B 사이드를 리스타트 로딩 시켜 기지국의 B 사이드가 다시 살면서 A 사이드와의 Nego를 통하여 스탠바이 사이드로 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
  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양쪽 사이드가 듀얼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각 사이드에서는 액티브 사이트로 부터의 키프 얼라이브 시그널이 들어 오지 않기 때문에 각각 제어국에게 액티브 사이드로의 절체를 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데 제어국에서는 먼저 들어온 시그널에 대해 절체 허용 시그널을 전송하고, 현재 절체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올라온 시그널에 대해서는 절체 거부 시그널(Reject Signal)을 보내서 절체가 완료 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 제어 및 그 운용방법.
KR1020020016556A 2002-03-26 2002-03-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7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56A KR20030077727A (ko) 2002-03-26 2002-03-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56A KR20030077727A (ko) 2002-03-26 2002-03-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27A true KR20030077727A (ko) 2003-10-04

Family

ID=3237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56A KR20030077727A (ko) 2002-03-26 2002-03-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62B1 (ko) * 2002-11-20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KR100810233B1 (ko) * 2001-12-2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는 이중화 기지국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33B1 (ko) * 2001-12-2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는 이중화 기지국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0511662B1 (ko) * 2002-11-20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822B1 (ko) 액티브 라우팅 컴포넌트 장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702709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ndancy Control of Electrical Devices
CN105577444A (zh) 一种无线控制器管理方法及无线控制器
US20030023892A1 (en) Peer-to-peer redundancy control scheme with override feature
KR100407323B1 (ko) 사설 무선 네트워크에서 콜 매니저 이중화 방법
CN108009239A (zh) 数据库访问方法及系统
JP20063328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回線制御装置、移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351122B (zh) 容灾方法、装置、系统与电子设备
CN101247213A (zh) 一种主备倒换的方法及系统
KR2003007772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US77246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ervice switching
CN116340058A (zh) 主备切换方法及装置
CN113852514A (zh) 服务不中断的数据处理系统、处理设备切换方法、连接设备
JP2004007930A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54947A (ko)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7993B1 (ko) 접속 교환 프로세서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JP2001350736A (ja) オンライン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173562B1 (ko) 교환기 메인 프로세서의 자동 절체 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20000056007A (ko) 소용량 기지국의 주 제어 프로세서 이중화장치 및 방법
KR200600865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화 프로세서 보드의 상태 관리방법
KR20070080626A (ko)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277840B1 (ko)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의 장애 처리 방법
KR20010038971A (ko) 기지국 관리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감시라인 운용방법
KR20070040089A (ko) 시디엠에이 기지국에서 리던던시 시스템을 이용한 복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