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947A -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947A
KR20040054947A KR1020020081289A KR20020081289A KR20040054947A KR 20040054947 A KR20040054947 A KR 20040054947A KR 1020020081289 A KR1020020081289 A KR 1020020081289A KR 20020081289 A KR20020081289 A KR 20020081289A KR 20040054947 A KR20040054947 A KR 2004005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data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947A/ko
Publication of KR2004005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통신망 관리시스템은 단일화된 시스템을 갖기 때문에 관리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운용자의 접속이 불가능해 질 뿐 아니라 통신망으로부터 통해 업데이트되는 시스템의 변경사항, 히스토리 등의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시스템을 이중화시키고 각 시스템 간에 상호 상태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하여, 양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정상인 시스템으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운용자가 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신망으로부터 수령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리시스템의 장애발생 시, 운용자의 접속 불능상태를 해소하는 한편, 통신망으로부터 업데이트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무선 통신망은 다수개의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1)과, 각 기지국(1)을 제어하는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3)과, 제어국(3)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호처리를 위한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5)과, 각 기지국(1) 및 제어국(3)의 유지보수를 위한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제어국관리기(BSM: Base Station Manager)(10) 등으로 구성된다.
기지국(1)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의 호는 기지국(1)을 통해 제어국(3)으로 전달되고, 제어국(3)은 사용자 신호를 교환국(5)에 제공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가 구축된다. 이러한 통신망의 원만한 구동을 위해, 제어국관리기(10)는 운용자가 통신망의 각 구성요소의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종래의 제어국관리기(10)의 제어블럭도이다. 제어국관리기(10)는, 통신망(107)으로부터의 데이터 수령을 위한 통신망접속링크(112)와, 통신망접속링크(112)를 통해 수령되는 통신망(107) 구성요소의 상태, 성능 등의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디스크(116)와, 통신망접속링크(112)를 통해 수령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크(116)에 저장하는 상태데이터처리부(114)를 포함한다.
상태데이터처리부(114)는 통신망(107) 구성요소의 운용데이터, 상태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장애 및 경보를 모니터링하며, 통계데이터를 처리하는 등 통신망(107)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운용자는 제어국관리기(10)를 통해 수집 및 처리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통신망(107)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07) 구성요소의 성능, 구성상태 등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통신망(107) 관리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변경사항에 대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제어국관리기(110)에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제어국관리기는 단일화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어 제어국관리기의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운용자의 접속이 불가능해 질 뿐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시스템의 변경사항, 히스토리 등의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의 시스템 장애발생 시에도 운용자의 관리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며, 통신망으로부터 수령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이중화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이중화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 통신망 11 : 통신망 관리시스템
12 : 제1보드 14 : 제2보드
16 : 디스크 20 : 상태신호교환라인
22 : 제1데이터라인 24 : 제2데이터라인
26 : 통신망접속링크 28 : 제1로컬라인
30 : 제2로컬라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은, 통신망구성요소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데이터저장부와;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실장되어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에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저장하며, 상호 간에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교환하여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상태로 이중화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드 및 제2보드는, 상호 교환되는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측의 장애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액티브상태의 보드 측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스탠바이상태의 보드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어 관리시스템의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시스템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보드와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 간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제1로컬라인과; 상기 제2보드와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 간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제2로컬라인과; 상기 제1보드 및 제2보드 간의 상기 상태정보 교환을 위한 상태정보신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신호라인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보드 및 상기 제2보드는 상기 제1로컬라인 및 상기 제2로컬라인을 통해 상기 상태정보를 교환하여, 보드 간의 통신장애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관리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실장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를 통해,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를 각기 처리 및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드가 상기 제2보드에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메시지를 요구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보드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보드 측이 응답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1보드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11)은, 통신망(7) 구성요소의 유지, 관리를 위한 각종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디스크(16)와, 통신망(7)을 통해 수령되는 각종데이터를 처리하는 한편, 상호 상태메시지를 주고받는 제어시스템이 실장된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를 포함한다.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에는 통신망(7)의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데이터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각기 실장되어 디스크(16)에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저장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이중화한다.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상태의 이중화 상태로 운용되어, 통신망(7)으로부터의 데이터 수령을 위한 통신망접속링크(26)에 연결된 제1데이터라인(22) 및 제2데이터라인(24)을 통해 각기 데이터를 수령한다. 즉, 제1보드(12)는 통신망접속링크(26)에 연결된 제1데이터라인(22)을 통해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수령하고, 제2보드(14)는 통신망접속링크(26)에 연결된 제2데이터라인(24)을 통해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수령한다.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각기 수령한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로컬라인(28) 및 제2로컬라인(30)을 통해 각각 디스크(16)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로컬라인(28) 및 제2로컬라인(30)은 통신망 관리시스템(11) 내부에 마련된 하드웨어적 접속부로써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디스크저장장치 간에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인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하나의 디스크(16)를 공유하게 된다. 즉, 제1보드(12) 측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제2보드(14) 측에서 액세스할 수 있으며, 제2보드(14) 측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제1보드(12) 측에서 액세스할 수있다.
한편,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각 보드의 시스템상태에 대한 상태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상태신호교환라인(20)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태신호교환라인(20)은 하트비트(Heart Beat)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트비트는 일종의 응답함수로써 TCP/IP프로토콜로 연결된 링크의 사용가능성을 일정시간 간격으로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 각 액티브/스탠바이 모드로 이중화되어 동작하며, 제1데이터라인(22) 및 제2데이터라인(24)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를 각기 처리하여, 상호 공유되는 디스크(16)에 저장하고 상태신호교환라인(20)을 통해 상호 간에 상태신호를 교환하여 관리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1보드(12)가 액티브인 상태에서 제1데이터라인(22)이 탈장되어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수령하지 못하게 된 경우, 제1보드(12)는 액티브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로컬라인(28)을 통해 디스크(16)에 제2보드(14)가 저장한 통신망관리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1보드(12)가 액티브인 상태에서 제1로컬라인(28)이 탈장되어 디스크(16)와 연결이 끊어진 경우, 제1보드(12)는 제2보드(14)로 장애발생 상태신호를 발신하여 제2보드(14)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어 시스템보드가 절체되도록 한다.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 간의 상태신호교환라인(20)이 탈장되는 경우,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는 로컬라인(28, 30)을 통해 상호 상태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상태인 보드가 다운되거나 디스크(16)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스탠바이 측의 보드가 이를 감지하여 보드가 절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11)은 시스템을 액티브/스탠바이 상태로 이중화시켜 장애발생 시 시스템이 자동 절체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장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였으며, 이중화된 시스템 간의 통신 또한 TCP/IP방식의 상태신호교환라인(20) 및 IDE방식의 로컬라인(28, 30)으로 이중화하여 시스템간의 통신장애를 최소화 시킴으로써 시스템 장애상태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11)의 이중화방법의 흐름도로써 제2보드(14)가 다운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액티브/스탠바이상태가 결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보드(12)는 제2보드(14)에 상태메시지를 요구하는 통신을 요청하여(S10), 제2보드(14)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제1보드(12)의 통신요청에 대해 제2보드(14) 측이 응답하지 아니하는 경우, 제1보드(12)는 제2보드(14) 측에 통신을 요청한 횟수를 카운팅한다(S14). 여기서, 제1보드(12)는 제2보드(14)로부터의 응답신호를 기다리는 대기시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보드(12)의 통신요청 횟수 내지는 응답신호에 대한 대기시간이 소정 기준 이상일 경우, 제1보드(12)는 바로 액티브상태로 전환된다(S18).
한편, 제1보드(12)의 통신요청에 대해, 제2보드(14)가 바로 응답신호를 발신한 경우, 제1보드(12)는 제2보드(14)와 현재 보드의 시스템상태정보를 교환하고(S16),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제1보드가(12) 액티브상태로 전환된다(S18). 이는 제1보드(12)가 액티브상태의 우선순위에 있을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만약 제2보드(14)에 우선순위가 있다면, S16단계에서 상호 상태를 확인한 후제2보드(14)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한편, 제1보드(12)가 다운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11)의 이중화방법은 도 5의 흐름도와 같다.
제1보드(12) 및 제2보드(14)의 액티브/스텐바이 상태가 결정되지 아니한 상태일 경우, 제2보드(14)는 제1보드(12)로부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
제1보드(12)로부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제2보드(14)는 제1보드(12)의 통신요청신호의 미수신상태가 소정 기준시간 이상 계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기준시간 이상 제1보드(12)로부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 제2보드(14)는 액티브상태로 전환된다(S24).
한편, 제1보드(12) 측으로부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2보드(14)는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발신하며(S26), 상호 보드의 시스템상태를 확인 한후 액티브상태의 우선순위가 있는 제1보드(12)는 액티브상태로, 제2보드(14)는 스탠바이상태로 전환된다(S28). 여기서, 액티브상태의 우선순위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시스템을 액티브/스탠바이 상태로 각각 이중화시키고 각 시스템 간에 주기적으로 상호 상태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양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정상인 시스템이 액티브되어 시스템이 자동 절체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관리시스템을 이중화시키고 각 시스템 간에 상호 상태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양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정상인 시스템으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운용자가 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신망으로부터 수령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통신망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구성요소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망관리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데이터저장부와;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실장되어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에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를 저장하며, 상호 간에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교환하여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상태로 이중화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 및 제2보드는,
    상호 교환되는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측의 장애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액티브상태의 보드 측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스탠바이상태의 보드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와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 간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제1로컬라인과;
    상기 제2보드와 상기 관리데이터저장부 간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제2로컬라인과;
    상기 제1보드 및 제2보드 간의 상기 상태정보 교환을 위한 상태정보신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신호라인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보드 및 상기 제2보드는 상기 제1로컬라인 및 상기 제2로컬라인을 통해 상기 상태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
  4.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관리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실장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를 통해, 상기 통신망관리데이터를 각기 처리 및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드가 상기 제2보드에 상기 제어시스템의 상태메시지를 요구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보드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보드 측이 응답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1보드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드 측에서 상기 제1보드로부터 상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드로부터 상기 통신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2보드의 상태가 액티브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20081289A 2002-12-18 2002-12-18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4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89A KR20040054947A (ko) 2002-12-18 2002-12-18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89A KR20040054947A (ko) 2002-12-18 2002-12-18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47A true KR20040054947A (ko) 2004-06-26

Family

ID=3734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289A KR20040054947A (ko) 2002-12-18 2002-12-18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94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06B1 (ko) * 2004-12-20 2006-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ca 플랫폼에서 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중화를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8240B1 (ko) * 2006-05-25 2008-04-0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인터넷 기지국 시스템,및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KR100842213B1 (ko) * 2006-11-30 2008-06-30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통신망 내에서 사용자의 요청 정보 예측을 통한 정보전달장치 및 방법
KR100850351B1 (ko) * 2005-12-07 2008-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한 atca 시스템의 이중화 구현방법 및 이를 구현한 atca 시스템
US7706259B2 (en) 2005-12-07 2010-04-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t structure of ATCA (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system via base interface and the ATCA system for use in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06B1 (ko) * 2004-12-20 2006-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ca 플랫폼에서 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중화를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351B1 (ko) * 2005-12-07 2008-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한 atca 시스템의 이중화 구현방법 및 이를 구현한 atca 시스템
US7706259B2 (en) 2005-12-07 2010-04-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t structure of ATCA (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system via base interface and the ATCA system for use in the same
KR100818240B1 (ko) * 2006-05-25 2008-04-0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인터넷 기지국 시스템,및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KR100842213B1 (ko) * 2006-11-30 2008-06-30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통신망 내에서 사용자의 요청 정보 예측을 통한 정보전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system
JPH03106144A (ja) ネツトワーク・モジュールの相互接続方法
US20050005001A1 (en) Cluster computing system and its failover method
US20080301489A1 (en) Multi-agent hot-standby system and failover method for the same
US200702709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ndancy Control of Electrical Devices
US6002665A (en) Technique for realizing fault-tolerant ISDN PBX
US2004025518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in redundant systems
CN111585835A (zh) 一种带外管理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040054947A (ko) 통신망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305558A (ja) 二重化システムのデータベースサーバ
JPH09274575A (ja) 統合システム管理方式
US80234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3852514A (zh) 服务不中断的数据处理系统、处理设备切换方法、连接设备
KR100241557B1 (ko) 이중화 네트워크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KR100237370B1 (ko) 이중화된 운용 워크스테이션 포트의 절체방법
KR100303344B1 (ko) 시스템이중화를위한프로토콜및시스템절체우선순위관리방법
KR200600865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화 프로세서 보드의 상태 관리방법
KR10032428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버스 이중화시 오동작 방지방법
KR10054787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드웨어알람보드의 이상 발생시하드웨어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H07152662A (ja) 通信システム
KR20010038971A (ko) 기지국 관리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감시라인 운용방법
KR20040024068A (ko) 이중화 프로세서의 크로스 이중화 제어방법
JPS63279646A (ja) 網管理装置の自動再開処理方式
JPH0371346A (ja) 二重化装置における監視方式
KR100439370B1 (ko) 통합 액세스 장비의 유-링크 장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