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862A -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 Google Patents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862A
KR20030075862A KR1020020015333A KR20020015333A KR20030075862A KR 20030075862 A KR20030075862 A KR 20030075862A KR 1020020015333 A KR1020020015333 A KR 1020020015333A KR 20020015333 A KR20020015333 A KR 20020015333A KR 20030075862 A KR20030075862 A KR 2003007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resistor
connection terminal
l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739B1 (ko
Inventor
고영옥
이진식
나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to KR10-2002-001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7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전지를 폐기할 경우 리튬 전지에 남아있는 잔량 에너지를 완전히 방전시켜 폐기 공정 수행중 전지 내부의 잔량 에너지에 의한 파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튬 전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 상기 접속 단자(20)에 연결되어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저항(R), 상기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와 저항(R)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동안 발광하는 LED(L),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장치 전체의 동작을 ON/OFF 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Complete discharge apparatus in lithium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튬 전지를 폐기할 경우 리튬 전지에 남아있는 잔량 에너지를 완전히 방전시켜 폐기 공정 수행중 전지 내부의 잔량 에너지에 의한 파열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전기, 컴퓨터, 가전 제품 그리고 자료 백업 기능을 갖는 각종 전자 장비에는 전류 공급을 위해 리튬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리튬 전지는 작은 크기를 갖지만 장시간 동안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비에서의 사용 수명이 종료되어 리튬 전지를 폐기할 경우, 폐기하는 리튬 전지에는 장비를 구동시키기에는 불충분하지만, 어느 정도의 내부 에너지는 항상 존재하고 있게 된다. 특히 리튬 전지는 전지 내부에 반응성이 매우 좋은 금속인 리튬이 존재하고 있어, 폐기 작업시 폐전지에 인가되는 외부 조건(충격, 압착, 도체에 의한 단락, 200℃ 이상의 고온환경)에 의해 전지가 파열할 가능성을 항상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전지의 폐기시에는 리튬 전지에 남아있는 잔량 에너지를 완전히 소모시킬 필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장비에서 사용이 끝난 리튬 전지의 내부 잔류 에너지를 완전히 방전시켜 리튬 전지 폐기시 전지의 파열과 누액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의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리튬 전지 20 : 접속 단자
L : LED R : 저항
R1, R2 : 제 1, 제 2 저항 SW : 스위치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리튬 전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 상기 접속 단자(20)에 연결되어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저항(R), 상기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와 저항(R)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동안 발광하는 LED(L), 사용자의조작에 의해 장치 전체의 동작을 ON/OFF 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기되는 전자 장비에서 분리된 리튬 전지(10)를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에 연결하고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10)의 전류는 저항(R)으로 입력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모된다.
저항(R)에 입력되는 전원은 LED(L)를 통과하기 때문에 리튬 전지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LED(L)가 발광하여 기기가 동작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LED(L)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는 리튬 전지(10)의 방전이 완전히 끝난 상태이므로 리튬 전지(10)를 접속 단자(20)에서 분리하여 폐기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일반적인 리튬 전지를 완전 방전시킬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대용량 리튬 전지 또는 저온에서 사용하는 리튬 전지의 경우에는 폐전지 내부의 잔류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도 1의 실시예를 사용할 경우 완전한 방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의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리튬 전지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 상기 접속 단자(20)에 연결되어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제 1 저항(R1), 상기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와 제 1 저항(R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동안 발광하는 LED(L), 상기 제 1 저항(R1)과 LED(L)에 대하여 병렬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여분 전류를 소모하는 제 2 저항(R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장치 전체의 동작을 ON/OFF 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저항(R2)의 저항값은 제 1 저항(R1)의 저항값의 1/2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기되는 전자 장비에서 분리된 리튬 전지(10)를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에 연결하고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대전류용 리튬 전지 또는 저온용 리튬 전지를 완전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대전류용 리튬 전지 또는 저온용 리튬 전지는 일반 리튬 전지에 비하여 폐전지내 잔류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단일 저항을 사용할 경우에는 방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저항(R1)과 LED(L)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저항(R1)의 저항값보다 1/2 이하의 저항값을 갖는 제 2 저항(R2)을 병렬로 연결하여 리튬 전지의 방전량이 증가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전지 전압(V) 제 1 저항(Ω) 제 2 저항(Ω)
0~10 500 이상 50 이하
11~20 1k 이상 50~250
21~30 5k 이상 250~2K
31~50 10k 이상 500~5K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10)의 전류는 제 1 및 제 2 저항(R2)으로 입력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모된다.
제 1 저항(R1)에 입력되는 전원은 LED(L)를 통과하기 때문에 리튬 전지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LED(L)가 발광하여 기기가 동작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제 1 저항(R1)에 의해 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저항(R2)으로도 전류가 방전된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저항(R2)의 저항값은 제 1 저항(R1)의 저항값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저항(R1)보다 큰 전류가 도통되고 따라서 더 큰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리튬 전지인 경우에도 짧은 시간내에 방전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제 1 및 제 2 저항(R2)에 의한 리튬 전지의 방전이 완료되면 LED(L)의 발광이 정지된다.
LED(L)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는 리튬 전지(10)의 방전이 완전히 끝난 상태이므로 리튬 전지(10)를 접속 단자(20)에서 분리하여 폐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장비에서 사용이 끝난 리튬 전지의 잔류 에너지를 완전히 방전시킬 수 있어, 폐 리튬 전지의 보관과 리튬 전지 폐기시 리튬 전지의 파열 및 누액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리튬 전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 상기 접속 단자(20)에 연결되어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저항(R), 상기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와 저항(R)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동안 발광하는 LED(L),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장치 전체의 동작을 ON/OFF 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2. 리튬 전지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 상기 접속 단자(20)에 연결되어 접속 단자(20)를 통해 출력되는 리튬 전지의 전류를 소모시키는 제 1 저항(R1), 상기 리튬 전지 접속 단자(20)와 제 1 저항(R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동안 발광하는 LED(L), 상기 제 1 저항(R1)과 LED(L)에 대하여 병렬 연결되어 리튬 전지의 여분 전류를 소모하는 제 2 저항(R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장치 전체의 동작을 ON/OFF 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KR10-2002-0015333A 2002-03-21 2002-03-21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KR10046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33A KR100460739B1 (ko) 2002-03-21 2002-03-21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33A KR100460739B1 (ko) 2002-03-21 2002-03-21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862A true KR20030075862A (ko) 2003-09-26
KR100460739B1 KR100460739B1 (ko) 2004-12-09

Family

ID=3222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333A KR100460739B1 (ko) 2002-03-21 2002-03-21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7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17B1 (ko) * 2005-09-22 2007-05-02 주식회사 비츠로셀 리튬전지의 완전방전장치
WO2011047999A1 (de) 2009-10-21 2011-04-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integrierter tiefentladeeinrichtung
KR102308374B1 (ko) * 2021-03-09 2021-10-06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07356B1 (ko) * 2022-10-06 2023-11-29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모듈 및 방전기의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616A (ja) * 1996-12-13 1998-06-26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二次電池の残量確認方法
JP3716618B2 (ja) * 1998-05-14 2005-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制御装置
JP3331201B2 (ja) * 1999-12-22 2002-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組電池の電池電圧補正装置
JP3949334B2 (ja) * 2000-01-27 2007-07-2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充放電回路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17B1 (ko) * 2005-09-22 2007-05-02 주식회사 비츠로셀 리튬전지의 완전방전장치
WO2011047999A1 (de) 2009-10-21 2011-04-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integrierter tiefentladeeinrichtung
CN102576913A (zh) * 2009-10-21 2012-07-11 欧陆汽车有限责任公司 具有集成的深放电装置的电储能器
KR20120099046A (ko) * 2009-10-21 2012-09-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통합된 딥 방전 디바이스를 갖는 전기 에너지 스토어
CN102576913B (zh) * 2009-10-21 2014-12-10 大陆汽车有限公司 具有集成的深放电装置的电储能器
US9825340B2 (en) 2009-10-21 2017-11-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a radio-controlled switch for discharging energy using an integrated deep discharge device
KR102308374B1 (ko) * 2021-03-09 2021-10-06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07356B1 (ko) * 2022-10-06 2023-11-29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모듈 및 방전기의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739B1 (ko)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588B2 (ja) 電池パックとその検査装置
US20090091295A1 (en) Balanced charging/discharging circuit for lithium battery set
JPH07192770A (ja) 電圧コンバータを有する電池ユニット
JP2008022605A (ja) キャパシタ一体型電池
KR100460739B1 (ko) 리튬 전지의 완전 방전 장치
JP2013042645A (ja) バックアップ電池の保護システム
KR20040052033A (ko)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 제어장치
JPH11178226A (ja) 二次電池パック
US7135838B2 (en) Power-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ably powering a circuit system with an adaptor or with a battery
CN213817282U (zh) 一种电池管理系统以及电池包
CN109005619B (zh) 一种具有充放电管理功能的led驱动芯片
CN219873666U (zh) 电池包的控制电路及电池包
JP2003079058A (ja) 電池パック
JP2004208344A (ja) 複数電池を有する携帯端末
JP3045291B2 (ja) 情報処理装置
US11962181B2 (en) Drive circuit of energy storage power supply, and energy storage power supply
CN213817321U (zh) 双电池系统及双电池管理器
JP3239402U (ja) 携帯型スポット溶接機
CN218387470U (zh) 一种控制电源通断电路及电源电路
CN218526113U (zh) 一种应急供电输出控制电路及充电装置
CN213213142U (zh) 一种手持式设备的电源管理系统
CN215378508U (zh) 一种电池管理系统的控制电路、电池管理系统及电子设备
TWI771871B (zh) 多電池串聯之電壓平衡系統
CN210092933U (zh) 电池保护电路
JP2000326265A (ja) 電池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