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156A -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156A
KR20030075156A KR10-2003-7008740A KR20037008740A KR20030075156A KR 20030075156 A KR20030075156 A KR 20030075156A KR 20037008740 A KR20037008740 A KR 20037008740A KR 20030075156 A KR20030075156 A KR 20030075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medicament
suppor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코스모 디루치오
앨리스 수잔 고르돈
듀안 제랄드 크르지시크
바루네쉬 샤르마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7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61F2013/5111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the lotion having skin car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2Lipids, fatty acids, e.g. prostaglandins, oils, fats, wa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유효량의 의약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치수가 4 mm 미만인 개개의 단편 (MD 및 CD 평면으로 뻗어 있음)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도포된 구역을 갖는 신체접촉면을 함유하는 탑시트 및 (ii) 탑시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 제품 등과 같은 용품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측면에서, 상기 용품은 배면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배면 시트는 액체-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탑시트의 반대편에서 흡수 물질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수 용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Absorbent Article Having Releasable Medicinal Treatments}
유아용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가먼트, 생리대, 베드패드 (bedpad), 팬티라이너, 실금자용 패드, 여성용 위생 제품 등과 같은 흡수 용품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용품들은 저렴하고 보통 일회용이나, 유체 및 기타 신체 분비물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용품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은 전형적으로 신체측 층 또는 탑시트, 외부 커버 또는 배면 시트 및 신체측 층과 배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나, 이러한 용품 모두가 외부 커버 또는 배면 시트를 함유하는 것은 아님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탐폰 등과 같은 몇몇의 여성용 위생 제품). 배면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의 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 또는 탑시트가 흡수 코어를 싸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측 라이너 및 외부 커버는 주변부 둘레가 봉합되어 그 내부에 흡수 코어를 완전히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 코어 안에 함유된 임의의 유체를 포획하고 보유할 수 있게 한다. 특정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구성에 따라, 다른 성분들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탄력성 측면 패널, 유체 샘방지 플랩, 체결 디바이스 및 기타 유체 전달 또는 보유 물질 층 등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탑시트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이들은 통상적으로 우수한 액체 취급성을 제공하고 신체 분비물이 피부에서 멀어져 흡수 코어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시키도록 고안된다. 그러나, 특정 제품의 경우에, 더럽혀진 용품을 오랜 시간 착용한다면 피부가 매우 높은 습도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홍반, 기저귀 발진 및 피부 장벽 (barrier)의 손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느 정도의 피부 자극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품에 노출되는 신체 표면이 다른 원인 (예를 들어 마찰에 의한 손상, 과다 건조 (탐폰 또는 순간(脣間) (interlabial) 디바이스는 신체의 천연 수분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 자극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러한 사실은 내부에 사용되는 제품 (예를 들어 탐폰) 또는 창상 등에 노출되는 제품에도 해당된다. 또한, 기저귀 및 유사한 개인 위생 제품은 효율적으로 뇨를 흡입 및 흡수하지만, 배설 물질 및 배설 고형물은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거나 배설 물질 및 배설 고형물을 피부로부터 적절히 제거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월경액은 흡입 또는 흡수하지만, 전형적으로 고형물은 흡수하거나 피부 표면 또는 노출된 신체의 최외곽 표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지 않는 여성용 위생 제품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보는 사람은 흡수 용품을 착용시키기 전에 착용자의 피부에 로션, 크림 및(또는) 다른 의약을 도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특정 예로서, 돌보는 사람은 통상적으로 유아에게 기저귀를 착용시키기 전에 기저귀로 덮히는 피부 영역에 바셀린 (Vaseline) 또는 광유를 도포한다. 이 물질은 윤활제로서 작용하고 피부 장벽를 제공하거나 개선시킬 뿐 아니라 자극물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함으로써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그러나, 피부 보호제 및(또는) 다른 의약을 손으로 도포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노력으로, 연화제가 흡수 용품 자체를 통해 피부에 도포되도록 해왔다. 일례로서, 미국 특허 제3,585,998호는 압력하에서 파열되는 연화제 캡슐을 내부 층에 함유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교시한다. 이후, 연화제는 통상의 접촉, 착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체열에 의해 피부로 이동된다. 추가의 예로서, 미국 특허 제5,643,588호는 개인 위생 제품에서 탑시트의 표면에 반-고형물 연화제를 코팅함으로써, 연화제가 역시 통상의 접촉, 착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체열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로 이동됨을 교시한다.
특정 예로서, 팸퍼스 발진 방지 (PAMPERS Rash Guard) 기저귀에는 탑시트에 용품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패턴으로 시트의 신체측에 위치시킨 연화제를 함유하는 탑시트가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줄무늬는 각 줄의 폭 (즉, 용품의 측면 방향)이 약 0.635 cm (약 0.25 인치)이고 길이가 약 29.845 cm (약 11.75 인치)이도록 도포된다. 줄무늬 사이의 간격은 약 0.762 cm (약 0.3 인치)이다. 피부 보호용 조성물을 기저귀 탑시트에 도포하는 것은 WO 99/45973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탑시트에 연화제를 도포하는데 따른 문제점 중 하나는 이러한 도포가 탑시트의 의도된 기능, 즉 액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탑시트를 통하여 착용자로부터 멀리 분포시키고 흡수 코어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종종 방해한다는 것이다. 탑시트에 도포된 연화제는 이의 구조적 특성 및 소수성 때문에 종종 필름을 형성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기공을 차단하므로, 탑시트에 연화제를 도포하는 것이 탑시트의 액체 취급성을 파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탑시트에 연화제를 도포하여 얻을 수 있는 잇점은 종종 탑시트를 통해 의도했던 액체 분포성 및 액체 취급성과 경쟁한다. 따라서, 탑시트에 도포하는 연화제의 양을 제한할 필요가 종종 있다. 그러나, 피부에 원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연화제가 착용자의 피부로 방출 및 이동되어 이용가능해야 한다.
흡수 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관련한 추가의 문제점은 탑시트에 연화제를 도포하는 것이 위치 및(또는) 양의 면에서 불균일 (uneven)하다는 점이다. 연화제의 이러한 불균일 도포에 상응하여, 피부로의 연화제 이동이 불균일해진다. 이는 피부의 일부 영역에는 연화제가 적게 수용되거나 전혀 수용되지 않는 반면, 다른 영역에는 연화제가 과량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유효량의 연화제가 수용되지 못했거나 과량의 연화제가 수용된 영역들이 피부에 많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연화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다면, 탑시트에 도포된 연화제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탑시트의 기능적 특성을 유의하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더 많은 양의 의약을 방출할 수 있는 신체측 층 또는 탑시트를 함유하는 흡수 용품이 요구된다. 또한, 착용자의 피부로 의약을 유의하게 방출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신체측 층 또는 탑시트를 함유하는 흡수 용품이 요구된다. 또한, 의약이 균일하게 도포된 상기 신체측 층 및(또는) 탑시트가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i) 유효량의 의약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치수가 약 4 mm 미만인 개개의 단편 (MD 및 CD 평면으로 뻗어 있음)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도포된 구역을 갖는 신체접촉면을 함유하는 탑시트 및 (ii) 탑시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측면에서, 상기 용품은 배면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배면 시트는 액체-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탑시트의 반대편에서 흡수 물질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마이크로-투약 (micro-dispense) 밸브 제트를 사용하여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도포할 것이고, 의약 조성물의 패턴화된 도포물은 약 1.5 mm 내지 약 3 mm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mm 내지 약 2.5 mm의 범위 내의 원하는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복수개의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의약 조성물의 패턴화된 도포물은 압전성 (piezoelectric) 제트로 도포될 수 있고, 폭이 약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9 mm 미만,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9 mm 내지 약 0.05 mm인,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복수개의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약 조성물은 상기 탑시트의 상기 신체접촉면에 약 0.05 mg/cm2내지 약 50 mg/cm2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패턴화된 의약 조성물은 선택된 구역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특정 측면에서, 상기 패턴은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별개의 단편들은 길이 및 폭이 약 4 mm 미만일 수도 있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패턴은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별개의 단편들은 길이 및 폭이 약 0.9 mm 미만일 수도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별개의 단편들은 둥글거나 점 형태인 단편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둥근 형태이다. 추가의 측면에서, 의약 조성물의 별개의 단편들의 각각의 부피는 약 3 pL (피코리터) 내지 약 400 nL (나노리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서, (i)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고, 유효량의 의약 조성물이 부피가 약 3 pL 내지 약 400 n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도포된 신체접촉면을 함유하는 탑시트 및 (ii) 탑시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상기 용품은 배면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배면 시트는 액체-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탑시트의 반대편에서 흡수 물질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별개의 단편들은 탑시트의 신체접촉면상에서 뻗어 있으며, 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별개의 단편들은 실질적으로 둥근 단편 (MD 및 CD 평면에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개의 단편들은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상기 탑시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단편 배치의 진동수는 도포기가 주어진 시간 내에 단편 제조를 위해 "발사 (fire)"하거나 펄싱 (pursing)한 횟수라는 용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의약 조성물의 별개의 단편들은 탑시트의 선택된 구역에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 조성물은 탑시트의 신체접촉면 중 선택된 구역에서 이격된 일련의 선들로 뻗어 있도록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의약 조성물을 지지체에 별개의 단편들로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 처리된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한 몇가지 도포 방법이 본원에서 구체화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다른 방법보다 더 우수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과, 이에 따라 도포기를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지지체의 제공 단계는 제직물, 부직물, 이들의 필름 또는 적층체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공정 중 (in-line)에 제조되거나, 따로 (off-line) 제조될 수 있다. 별개의 단편들은 지지체의 선택된 구역에 위치할 수 있음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의약은 일정 패턴으로 지지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는 무작위로 수행되거나 반복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의약 화학제가 고려되지만, 본 발명의 의약은 지질 화학제 (장벽 회복 및 보호), 피부 보호제 활성제, 항균 활성제, 항진균 활성제, 모공수축 (astringent) 활성, 데오도란트제, 외용 진통 활성제, 자외선 차단 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의약의 이격 배치는 마이크로-투약 밸브 (또는 "밸브 제트"), 압전성 제트 (또는 "피에조 (piezo) 제트"), 분무 또는 임의의 비접촉 도포 수단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의약이 피에조 제트를 통해 도포되는 경우,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는 도포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25 센티포이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20 센티포이즈,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센티포이즈 내지 약 14 센티포이즈이다. 또한, 의약의 패턴은 각각의 부피가 약 3 pL 내지 약 200 p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단편들이 약 10 kHz 내지 약 50 kHz의 진동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kHz 이하의 진동수로 지지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진동수는 도포기가 주어진 시간 내에 단편 제조를 위해 "발사" 하거나 펄싱한 횟수의 측정치이다. Hz로 표현된 진동수는 도포기가 하나의 별개의 단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사해야 하는 횟수가 아니라, 도포기가 주어진 시간 동안 별개의 단편들 제조를 위해 지지체의 원하는 구역(들)에 발사할 수 있는 횟수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물질 (예를 들어 의약)이 지지체에 도포될 수 있는 속력 또는 진동수가, 생성된 별개의 단편들의 서로에 대한 배치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즉, 단편이 도포되는 지지체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편들은 서로의 최상부에 존재하거나 이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넓게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도포기의 진동수만을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단편들의 원하는 배치 간격(들)이 제공되도록 지지체 속력을 선택하고(하거나) 조절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의약이 밸브 제트를 통해 도포되는 경우,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공정 점도는 도포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1 센티포이즈 내지 약 300 센티포이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50 센티포이즈의 범위이다. 또한, 의약의 패턴은 부피가 약 5 nL 내지 약 400 n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별개의 단편들이 바람직하게는 약 1 Hz 내지 약 2 kHz의 진동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Hz 내지 약 1.2 kHz의 진동수로 지지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의약 처리물이 상면에 도포된 탑시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탑시트의 신체접촉면 중 일부를 확대도로 도시하였다.
도 2는 상면에 의약 조성물이 도포된 탑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다공성 시트에 의약 처리물을 도포하는 일례의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 대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압전성 제트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휴지시의 제트를 나타낸다. 도 4b는 펄싱시의 제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품의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용품은 배면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흡수 용품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탑시트 및 배면 시트 또는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탑시트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종종 탑시트와 외부 커버가 봉합되어 흡수 코어를 싸고 있다. 하기에서는 일회용 기저귀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다른 유형의 흡수 용품, 특히 다른 개인 위생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적합할 것임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몇가지 특정 구조물과 관련하여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하기 논의된 특정 구조물 (예를 들어 배면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탐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추가로 조합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음도 알 것이다.
도 1에서, 기저귀 (10)은 배면 시트 또는 외부 커버 (12),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이고 외부 커버 (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탑시트 (14) 및 외부 커버 (12)와 탑시트 (14)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 (1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귀 (10)은 필요에 따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T-형 또는 모래시계형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탑시트 (14)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 (12)와 같은 크기이지만 (coextensive), 필요에 따라 외부 커버 (12)의 구역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영역을 임의로 덮을 수 있다. 외부 커버 (12)의 가장자리 구획과 같은 기저귀 (10)의 일부는 흡수 코어 (18)의 말단 연부를 너머 뻗어 있을 수 있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외부 커버 (12)는 흡수 코어 (18)의 말단 가장자리 연부를 너머 바깥쪽으로 뻗어나가, 기저귀 (10)의 측면 가장자리부 (22) 및 말단 가장자리부 (24)를 형성할 수 있다. 의약 처리물 (17)을 함유하도록 처리된 구역 (16)은 탑시트 (14)의 신체접촉면 중 선택된 부분에 배치된다.
탑시트 (14)는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피부에 쉽게 접촉하고 감촉이 부드러우며, 자극적이지 않은 신체접촉면을 제공한다. 탑시트 (14)는 액체 분포성 및 액체 취급성이 양호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 (18)에 보유된 액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킬 수도 있다. 착용자에게 건조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탑시트 (14)는 흡수 코어 (18)보다 덜 친수성이고, 또한 액체가 쉽게 투과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다공성일 수 있다. 다양한 탑시트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다공성 발포체, 망상형 발포체, 틈이 있는 (apertured)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 직물 (예를 들어 모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 직물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직물 등과 같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탑시트는 내부에 다수의 사이사이의 구멍을 함유하는, 고도로 개방되어 있거나 다공성인 직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탑시트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고층 (high-loft) 스펀본디드 웹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본디드-카디드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탑시트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되거나 달리 가공되어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또는) 투과성을 부여하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탑시트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879,343호, 미국 특허 제5,490,846호, 미국 특허 제5,364,382호 및 1998년 12월 9일자로 출원되어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209,177호 (및 2000년 6월 15일자로 공개된 관련사건 WO 00/33779)에 기재된 탑시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언급한 각각의 특허 및 출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특정 예로서, 예시적인 라이너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신체접촉층은 소수성 섬유의 저밀도 부직 웹을 포함하고 하부 층은 친수성 섬유의 저밀도 부직 웹을 포함한다.
배면 시트 또는 외부 커버 (12)는 바람직하게는 액체-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고,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풍성이고 액체-불투과성인 물질을 포함한다. 외부 커버 자체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 예를 들어 다층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실시양태에서, 외부 커버 (12)는 통풍성이고 액체-불투과성인 필름 (26)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직물층 (28)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의 특정 구조 및 조성은 필름 및(또는) 직물의 다양한 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개개의 층 또는 적층체는 강도, 마모 저항성, 수증기 투과율, 촉각성 및(또는) 미(美)적 성질 등과 같은 원하는 특질을 가진 물질이 제조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외부 커버 또는 외부 커버의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213,881호, 미국 특허 제4,777,073호, 미국 특허 제5,855,999호 및 미국 특허 제6,075,179호에 기재된 물질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언급한 각각의 특허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특정 예로서, 외부 커버 물질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스펀본드 섬유의 부직 웹에 적층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함유하는 통풍성 필름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외부 커버 (12)와 탑시트 (14) 사이에는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코어 (18)이 배치된다. 적합한 흡수 물질로는 초흡수성 입자, 목재 펄프 플러프 (fluff) 섬유, 합성 목재 펄프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들의 배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초흡수성 입자의 예로는 실리카 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된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된 전분,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배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초흡수성 입자는 통상적으로 펄프 플러프 등과 같은 다른 흡수 물질과 함께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펄프 플러프와 초흡수성 입자의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기저귀 및 실금자용 가먼트 등과 같은 개인 위생 제품에서 흡수 코어로서 사용된다. 초흡수성 물질은 다른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거나, 흡수체의 원하는 대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신체 분비물을 더욱 우수하게 함유하고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의 농도는 흡수 코어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별법으로, 흡수 코어는 섬유상 웹과 초흡수성 물질의 적층체 또는 초흡수제를 국소 영역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펄프 또는 다른 유사한 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를 흡입한 후 흡수체의 일체성 (integrity)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수 코어에 직물 또는 물질을 강화시키는 보강재 (stiffer)를 첨가하는 것이 종종 유리하다. 흡수 코어는 임의의 수많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코어는 직사각형, I-형 또는 T-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는 기저귀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서보다 가랑이부에서 더 좁을 것이 요구된다. 흡수 코어의 크기 및 흡수 코어의 재료 선택은 원하는 하중량, 흡수 용품의 의도된 용도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에서 기저귀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였지만, 당업자는 여러가지 다른 성분 및(또는) 구조물을 본 발명의 흡수 용품 및 개인 위생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기저귀와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기저귀는 추가의 성분들, 예를 들어 탄력성 측면 패널, 체결구 및(또는) 기저귀를 착용자에 고정시키고 기저귀로부터의 누출을 감소시키도록 보조하는 탄력성 다리 커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추가의 예로서, 기저귀는 이를 실질적으로 직립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기저귀 중앙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어 신체 분비물의 측면 누출에 대한 추가의 장벽으로 기능하는, 종방향으로 확장된 샘방지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및 기타 성분들은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라면 본발명의 흡수 용품과 관련하여 이를 사용하는 방식 및 방법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예시적인 개인 위생 제품 및 이들의 성분은 미국 특허 제4,798,603호, 미국 특허 제4,753,649호, 미국 특허 제4,704,116호 및 미국 특허 제5,429,629호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언급한 각각의 특허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지만, 이는 단지 예에 불과하다.
의약
수많은 의약들이 피부에 치료적 잇점 또는 건강상의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의약으로는 피부를 연화, 진정, 가소화 (placticize), 보습, 코팅 보호 (예를 들어 자극물이 피부에 부착되거나 피부의 건강 또는 장벽 성질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함), pH 균형, 윤활 (예를 들어 천이 피부를 문질러서 피부가 벗겨지는 것을 감소시킴), 경감 (통증 및 자극) 및(또는) 세정할 수 있는 조성물 및 물질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의약의 구체적인 클래스의 예로는 모공수축제, 소독제, 항산화제, 항균제, 항진균제, 데오도란트제, 효소 억제제, 연화제, 피부 보호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 및 기타 의약 또는 피부 건강에 이로운 작용제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신체측 표면에 도포된 의약은 지지체 또는 다공성 직물의 노출된 부분에 유지되고, 실질적으로는 탑시트 내부로 이동하거나 탑시트를 통해 이동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의약은 피부 건강에 이로운 1종 이상의 작용제 뿐 아니라 추가의 용매,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점도/레올로지 개질제, 현탁화제 및(또는) 원하는 물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타 작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 의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고점도 액체 또는 에멀젼, 겔, 반고형물 또는 고형물이며 액체로서 압출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의약 조성물의 융점은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100℃,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80℃이어야 한다. 또한, 의약 조성물이 탑시트에 적절하게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의약이 탑시트 내부로 이동하거나 탑시트를 통해 이동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의약 조성물은 지나치게 단단하지도 않고, 탑시트에 지나치게 강력하게 부착되어 용품 착용시에 탑시트로부터 피부로의 의약 이동이 저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의약 조성물의 전단 점도는 약 6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50 센티포이즈 내지 약 1,000,000 센티포이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센티포이즈 내지 약 800,000 센티포이즈 정도로 낮다. 또한, 의약 조성물의 침투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5 mm 내지 약 350 mm,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mm 내지 약 150 mm의 범위이다.
일례로서, 라이너 또는 탑시트의 신체측 부분은 이의 표면에 친수성 용매 약 10 내지 약 90 중량%, 분자량이 약 720 이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약 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및 지방 알콜 약 20 중량% 내지 약 60 중량%를 포함하는 친수성 로션 제제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친수성 용매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지방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아라키딜 알콜, 베헤닐 알콜 및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탄소 쇄 길이가 약 C14내지 C30인 알콜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친수성 로션 제제는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298,313호 (및 2000년 11월 2일자로 공개된 관련 사건 WO 00/64500)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상기 출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추가의 구체적인 예로서, 신체측 라이너는 이의 외부 표면에 연화제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고형화제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및 점도 증강제 0 중량% 내지 약 25 중량%를 포함하는 로션 제제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연화제로는 광유 기재의 오일, 식물 기재의 오일, 동물 기재의 오일, 무기 오일, 실리콘, 합성 오일,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 에스테르, 분지된 에스테르, 거벳 (gurbet)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의 유도체, 알콕실화 카르복실산, 알콕실화 알콜, 지방 알콜, 트리글리세리드, 알킬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형화제 (주된 기능은 조성물이 실온에서 고형물이도록 조성물을 고형화시키는 것임)의 예로는 C16이상의 알킬 실리콘, 융점이 약 35℃ 이상인 지방산 에스테르, C16이상의 알킬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알콕실화 알콜, 알콕실화 카르복실 알콜, 수소 첨가된 동물 및 식물성 오일 및 왁스 또는 개질된 왁스류의 베이베리 (bayberry) 왁스, 비즈왁스, 카누바 왁스, 세레신, 라놀린 왁스, 파라핀, 쌀겨 왁스, 합성 경랍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쉘락 왁스, 몬탄 왁스, 불소화 (fluoranated)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 및 배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점도/레올로지개질제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실리카, 처리된 실리카, 활석, 점토 및 유기적으로 개질된 점토,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 아연, 세틸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및 이들의 배합물 및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로션 제제는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6,149,934호 및 동 제6,217,89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09/671,357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특허 및 출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추가의 예로서, 의약 조성물은 피부 건강에 이로운 작용제,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점도 수중유 에멀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유 의약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제09/596,162호에도 기재되어 있고,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다양한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을 본원에 개시하였지만, 다른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추가의 의약 조성물은 미국 특허 출원 제09/382,018호 (및 2000년 11월 2일자로 공개된 관련 사건 WO 00/64501) 및 동 제09/379,929호 (및 2001년 6월 20일자로 공개된 관련 사건 WO 00/64409)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각각의 출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유용한 화학물질의 예로는 필수 및(또는) 불필수 지방산, 스테롤 및 유도체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천연 지질 물질 등이 있다.
성공적이라고 입증된 지질 조성물의 예는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인지질 SV,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포스파티드로 구성된 생체모방 미용 연화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포스파타티딜 PG-디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알콜로서 기재됨); 인지질 CDM,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포스파티드로 구성된 생체모방 미용 연화제; 모나미드 (Monamid) 150-IS, 이소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프로필렌 글리콜; 스쿠알렌, 개환된 이소프레노이드 탄화수소, C30; 및 옥틸 스테아레이트. 지질 조성물의 다른 예로는 필수 및(또는) 불필수 지방산, 스테롤 및 유도체 등이 있다.
탑시트에의 도포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은 통상의 접촉, 착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체열에 의해 의약이 지지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지체에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도포하여, 의약 대부분이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 또는 표면에 근접한 곳에 보유된다. 상기 주지한 바와 같이, 이는 의약에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점도 개질제 및(또는) 기타의 작용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에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도 고려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은 직물상에 뻗어 있는 부분의 단면 형태가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도포된다. 또한,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도포되는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의 양은 사용하는 동안에 통상적으로 방출되는 의약의 백분율(%) 및 피부 건강상의 이익 제공에 필요한 의약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추가로, 상기 언급한 계면활성제 또는 기타 첨가제의 사용은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또한, 2001년 8월 24일자로 출원되어 동시 계류 중이고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938347호 (발명의 명칭: "Treated Substrate With Improved Transfer Efficiency Of Topical Application")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경계 층 등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고 고려된다. 주어진 임의의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유효량은 달라질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약 0.05 mg/cm2내지 약 50 mg/cm2,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g/cm2내지 약 25 mg/cm2의 양으로 도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많은 실시양태에서,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상의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의 양은 도포된 영역, 즉 처리된 구역에 균일하게 존재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몇몇 실시양태에서는 선택된 의약 패턴으로 인해 용품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균일한 밀도로 도포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된 영역 1 cm2당 의약 조성물의 양은 상기 영역 1 cm2당의 평균 의약 조성물 양으로부터 약 5% 미만,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미만 이내로 차이가 난다.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신체 접촉 구역에 도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탑시트의 신체 접촉 구역에 도포된다.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은 탑시트의 신체 접촉 구역 전체에 도포되거나, 또는 제한되거나 선택된 구역에 걸쳐 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기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으로 도포된다. 그러나,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은 미적 만족감을 주는 패턴 및 화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여러가지 패턴 및 밀도로 도포될 수 있다. 패턴(들)은 반복적이거나 반복적이지 않을 수 있고,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을 균일하게 코팅하거나 도포하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한다.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탑시트상의 지지체에 길이 (L) 및 폭 (W)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치수가 약 4 mm 미만이고, 몇몇 실시양태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m 미만인 원하는 패턴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은 연속적이고(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일련의 선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들은 평행선 및(또는) 교차선을 포함할 수 있고, 선들은 직선, 지그재그, 사인형 또는 곡선일 수도 있다. 또한, 선들은 탑시트의 기계 방향에 대해 평행이거나, 수직이거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탑시트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은, 단위 면적 당 의약의 양은 조절되나 이에 도포된 의약의 구체적인 방위 및 방향은 어느 정도로 변동되어 반복적인 패턴이 아닌, 조절된 무작위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패턴화된 영역 자체는 점 매트릭스 패턴 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는 근접하게 이격되고(되거나) 중첩된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의약은 폭이 약 4 mm 미만인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일련의 선들로 지지체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선들의 폭은 약 1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0.9 mm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0.9 mm 내지 약 0.05 mm인 것이 훨씬 더욱 바람직하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선들의 폭은 약 1.5 mm 내지 약 3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5 mm 내지 약 2.5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개개의 선들은 약 2.5 cm 미만으로 이격될 것이 요구되며 바람직하고, 약 1 cm 이하로 이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의약은 액체를 원하는 패턴으로 정확하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접착제 뿐 아니라 프린터 헤드 및 연속 잉크-젯 (CIJ) 프린터, 드롭-온-디맨드 (drop-on-demand, DOD) 프린터, 정전형 프린터 등과 같은 인쇄기의 등록된 도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체적인 장치로는 미국 조지아주 노르크로스에 소재하는 노르드손 코포레이션 (Nordson Corporation)이 시판하는 멜텍스 (MELTEX) EP11 코팅 다이, 콘트롤 위브 (CONTROL WEAVE) (CW-200) 도포기 및 핫 멜트 로터리 스크린 코팅 시스템 (Hot Melt Rotary Screen Coating System) 등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에 불과하다. 노르드손 코포레이션 제품인 CW-200 도포기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요구되는 정확한 도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포기에서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예로서, 적합한 도포기에는 텍트로닉, 인크. (Tektronix, Inc.) (미국 오레곤주 비버톤 소재)가 시판하는 페이저 5 (PHASER 5) 프린터 헤드도 포함된다. 프린터 헤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속 방법으로 프린터 헤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도포기로는 스펙트라, 인크. (Spectra, Inc.) (미국 뉴햄프셔주 레바논 소재)가 시판하는 압전성 제트 (이하, "피에조 제트") 또는 마이크로-투약 밸브 (이하, "밸브 제트"), 바람직하게는, 2001년 11월16일자로 출원되어 공동 양도되고 동시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9/991,185호 (발명의 명칭: "Apparatus To Produce Topography, Unique Fluid Handling Properties And Bonding Properties On And Within Substrat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및 동 제09/990,686호 (발명의 명칭: "Material Having One Or More Applications Which Produce Topography, Unique Fluid Handling Properties And/Or Bonding Properties Thereon Or Therein")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 제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피에조 제트를 통해 별개의 단편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 (68)에 연결된 유체 챔버 (74)에서 부피를 신속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비동시적인 (asynchronous) 소적 스트림이 발생할 수 있다. 오리피스 (68)에서의 유체 정지 압력은 표면 장력을 극복하는 데에 필요한 값 미만으로 유지되고, 일부 경우에서는 대기압 미만으로 유지된다. 압전성 소자 (70)에 인가된 신속한 전위 펄스는 상기 소자 (70) 및 압전성 물질 (70)에 인접한 금속 지지물의 이동을 초래한다. 이러한 신속한 이동은 챔버 (74)내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오리피스 (68)로부터 소적 (66)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유체의 일부를 오리피스 (68)의 배출 속도 초과로 가속시키기에 충분한 동적 에너지를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단 오리피스 (68)로부터 배출된 소적 (66)은 지지체 (나타내지 않음)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해 그 위에 별개의 단편들이 형성된다.
의약이 피에조 제트를 통해 도포되는 경우, 지지체에 도포된 의약의 공정 점도는 도포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25 센티포이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20 센티포이즈,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센티포이즈 내지 약 14 센티포이즈이다. 또한, 의약의 패턴은 부피가 약 3 pL 내지 약 200 p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별개의 단편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kHz 내지 약 50 kHz의 진동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kHz 이하의 진동수로 지지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Hz로 표현된 진동수는 도포기가 하나의 단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사해야 하는 횟수가 아니라, 도포기가 주어진 시간 동안 수많은 별개의 단편들 제조를 위해 지지체의 원하는 구역(들)에 발사할 수 있는 횟수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의약이 밸브 제트를 통해 도포되는 경우,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는 도포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1 센티포이즈 내지 약 300 센티포이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50 센티포이즈의 범위이다. 또한, 의약의 패턴은 부피가 약 5 nL 내지 약 400 n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별개의 단편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1 Hz 내지 약 2 kHz의 진동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Hz 내지 약 1.2 kHz의 진동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다고 확인된 몇몇의 진동수는 본원에서 논의한 1종 이상의 도포기를 사용해서는 통상적으로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지만, 도포 진동수는 통상적으로 기계적 한계 (예를 들어 전자장치 또는 오리피스가 서로에게 근접함으로써 유발된 원치않는 전기적 소통 또는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제한되고, 기술이 계속 개선되어 도포기의 고 진동수의 작동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되기때문에, 당업자는 이러한 고 진동수 작동이 본 발명에서 고려되고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며, 고 진동수 작동이 바람직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몇가지 도포 방법은 통상적으로 기계적 한계에 의해 제한되고, 이러한 기계적 한계가 극복된다면 본원에서 청구하고 기재한 지지체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논의한 1종 이상의 도포기를 더 높은 진동수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더 높은 진동수로 도포할 수 있는 도포기의 사용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고려되고 본 발병의 방법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패턴화된 구역 자체는 개개의 점 또는 선의 매트릭스 또는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화된 구역은 별개의 점들 또는 단편들의 매트릭스에 도포된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트릭스 또는 패턴은 처리된 영역에서의 액체 취급성 손실을 감소시킨다고 여겨진다. 이와 관련하여, 매트릭스는 해당 용품의 원하는 특성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의 점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적 또는 단편은 실질적으로 동량의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점 또는 단편은 약 3 pL 내지 약 400 nL의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은 점 또는 단편의 단면 형태가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상에 뻗어 있도록 탑시트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반구형이 아닌 형태의 단편들도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지만,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것이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원하는 이동 달성에 더욱 효능적이기때문에, 지지체에 도포할 필요가 있는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양을 감소시켜 원하는 결과를 달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도 2는 탑시트 (40)의 단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탑시트 (40)의 신체측 표면 (42)는 위쪽으로 반구형인 의약 조성물 (44)를 함유한다. 둥근 형태의 점 및(또는) 단편을 제공함으로써, 평평한 구조로 도포되는 의약의 경우에 비하여 탑시트의 표면적 당 더 많은 양의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작은 소적 및(또는) 단편을 이용함으로써 용융되거나 액체 상태의 의약 및(또는) 의약 조성물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되고(되거나) 고형화되어, 탑시트의 신체측 표면상에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고 싶지는 않지만, 작은 크기인 것이 전체 단편 및(또는) 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고도 여겨진다. 또한, 처리된 영역 내 수많은 별개의 점 또는 단편을 이용함으로써 연부의 노출 면적이 증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부 면적 증가는 특히 기계적 작용, 즉 탑시트에 대한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이 용이해지는 경우에 처리물이 시트에서 착용자로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고 여겨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의약 조성물을 지지체에 별개의 단편들로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 처리된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지체 제공 단계에는 제직물, 부직물, 이들의 필름 또는 적층체의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에는 배출 오리피스로부터의 의약 발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단편들은 지지체의 선택된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반복되거나 반복되지 않은 패턴으로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한 바와 같이, 지지체에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임의의 비접촉 도포 수단 또는 도포기 수단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나, 밸브 제트 또는 피에조 제트 등과 같은 잉크-젯 도포 또는 유사한 도포 수단을 통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탑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공성 직물 또는 부직 웹 등과 같은 지지체 (54)는 롤 (52)로부터 풀려나와 이동 벨트 또는 이동 스크린 (56)으로 공급된다. 벨트 (56)과 그 위의 지지체 (54)는 도포기 (58) 아래로 이동하고, 의약 조성물 (60)은 지지체 (54)의 상면 표면 (57)에 도포된다. 그 후, 필요하다면 의약 조성물 (60)을 냉각 또는 건조시키는데, 이와 관련하여 의약 조성물은 주변 공기에 노출된 후에 매우 빈번하게 신속하게 냉각되고 재고형화될 것이다. 그 후, 처리된 지지체 (62)는 처리된 직물의 롤 (64)를 형성하는 권취롤 (나타내지 않음)상에서 권취될 수 있다. 별법으로, 처리된 지지체는 먼저 권취되어 권취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전환될 수 있다. 별법으로, 탑시트는 완성된 용품에 처리될 수 있다. 기저귀 등과 같은 개인 위생 제품은 수축되지 않은 상태로 탑시트 쪽을 위로 하여 제조되고 벨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노출된 탑시트에 의약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등록된 처리 기술 뿐 아니라 상기에서 논의한 기술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상기 기재한 장치를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처리된 지지체를 제조하는 특정 방법을 본원에 개시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 및(또는)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지지체를 미리 제조하여 롤 형태로 권취해 두는 대신에 공정 중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탑시트의 신체측 층을 처리하여 전환된 형태로 의약 조성물을 그 위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직물에 계면활성제를 도포한 후에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침착시킴으로써, 지지체로부터의 의약 및(또는) 의약 처리물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탑시트를 포함하는 다공성 물질에 대한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친화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물질에 대해 충분한 친화성을 가져서 처리물이 탑시트상에 유지되지만, 피부로 이동하지 않을 만큼 매우 고친화성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물체보다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더 높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계면활성제로는 헨켈 코포레이션 (Henkel Corporation)이 시판하는 세티올 (CETIOL), 미리스트산의 에톡실화 에스테르 유도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추가의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재의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는 탑시트의 신체 접촉 구역상에 균일하게 처리될 수 있거나, 별법으로는 의약 처리물을 함유할 구역에만 중첩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다양한 특허 및 다른 참고 문헌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었으나, 도입된 문헌과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 사이에 임의의 불일치가 있을 정도로 본 명세서를 수정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본원을 상세하게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 변형 및 기타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변경 및(또는) 변화를 포괄하거나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정의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포괄적이거나 제한이 없는 것이며, 언급되지 않은 추가의 요소, 구성 성분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더욱 제한적인 용어인 "본질적으로 구성된" 및 "구성된"를 포함한다.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백분율(%), 비율 및 비는 중량에 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신체측" 또는 "내측"이란 용어는 용품에서 착용자 쪽으로 향하게 될 물질의 면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용어는 신체로부터 떨어진 쪽을 향하는 반대쪽 면, 즉, 상기 물질이 혼입된 용품을 착용할 때 신체에서 먼 쪽에 있는 면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유효량"이란 용어는 피부에 치료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고,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의 상기 잇점 달성에 필요한 피부로의 전달량 및 의약이 지지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방출되어 피부로 전달되는 백분율(%)까지 고려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직물"이란 용어는 제직물 또는 편물, 터프티드 (tufted) 물질 또는 터프티드-유사 물질, 부직 웹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섬유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기계-방향" 또는 MD란 용어는 직물이 제조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가로-방향" 또는 CD란 용어는 직물에서 일반적으로 MD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의약"이라는 용어는 피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피부상에 및 피부에 이익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이익 또는 치료 효과는 초기 도포 및(또는) 시간에 따른 연속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의약" 및 "의약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서로 바꿔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부직" 직물 또는 웹이란 용어는 개별적인 섬유 또는 실이 교차하지만, 편물 또는 직물에서와 같이 구분가능한 형식으로 교차된 구조가 아닌 웹을 의미한다. 부직 직물 또는 부직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윙 (meltblowing) 방법, 스펀본딩 (spunbonding) 방법, 하이드로엔탱글링 (hydroentangling), 에어레이드 (air-laid) 및 본디드 카디드 (bonded carded) 웹 방법 등과 같은 많은 방법으로 형성되어 왔다.
본원에서 사용된 "다공성"이란 용어는 지지체 또는 물질 내부에 사이사이의 구멍 (interstitial space) 또는 개구부가 존재하여 상기 물질의 전체 두께에 걸쳐 뻗어 있는 통로가 존재하는 지지체 또는 물질을 의미하는데, 이때 상기 사이사이의 구멍은 물질 전체에 걸쳐 뻗어 있을 필요는 없고 서로 연결된 인접 공간을 통해 물질의 두께에 걸쳐 집합적으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개인 위생 제품"이란 용어는 와이프, 기저귀, 배변 연습용 팬츠, 흡수 언더팬츠, 성인 실금자용 용품, 여성용 위생 제품 등과 같은 개인의 위생을 위한 제품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 위생 제품은 간호용 패드, 창상 치유 용품, 패드 또는 붕대, 장례 용품, 수의학 용품 및 와이프, 지속 방출형 및(또는) 조건 방출형 용품 (의약 패취 (patch) 등) 등을 포함한다.

Claims (43)

  1. 약 0.05 mg/cm2내지 약 50 mg/cm2의 양의 의약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치수가 약 4 mm 이하인 개개의 단편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도포된 구역을 갖는 신체접촉면을 함유하는 탑시트 및
    탑시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수 물질
    을 포함하는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배면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탑시트와 배면 시트 사이에 흡수 물질이 배치된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배면 시트가 액체-불투과성인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약 4 mm 미만의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복수개의 선들을 포함하는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선들인 상기 패턴의 폭이 약 1 mm 미만인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탑시트의 신체접촉면상에 약 1 mg/cm2내지 약 25 mg/cm2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패턴화된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상기 영역 1 cm2당 의약 조성물의 도포량이 상기 영역 1 cm2당의 평균 의약 조성물 양으로부터 약 5% 미만 이내로 차이가 나며, 실질적으로 균일한 패턴으로 도포된 것인 용품.
  8. 제7항에 있어서, 패턴화된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상기 영역 1 cm2당 의약 조성물의 도포량이 상기 영역 1 cm2당의 평균 의약 조성물 양으로부터 약 2% 미만 이내로 차이가 나며, 실질적으로 균일한 패턴으로 도포된 것인 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길이 및 폭이 약 0.9 mm 미만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용품.
  10. 제9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탑시트상에 배치된 용품.
  11. 제9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의 부피가 약 3 pL (피코리터) 내지 약 400 nL (나노리터)인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의약이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품.
  13. 제1항에 있어서, 탑시트가 제직물, 부직물 또는 이들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용품.
  14.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고, 유효량의 의약 조성물이 부피가 약 3 pL 내지 약 400 n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도포된 신체접촉면을 함유하는 탑시트 및
    탑시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수 물질
    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배면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탑시트와 배면 시트 사이에 흡수 물질이 배치된 흡수 용품.
  16. 제14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탑시트의 신체접촉면상에서 뻗어 있으며, 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흡수 용품.
  17. 제14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탑시트상에 배치된 흡수 용품.
  18. 제14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탑시트의 선택된 구역상에만 위치하는 흡수 용품.
  19. 제14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탑시트상에 뻗어 있고 폭이 약 4 mm 미만인 이격된 선들 안에서만 위치하는 흡수 용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용품.
  21. 제14항에 있어서, 개인 위생 제품의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흡수 용품.
  22. 제21항에 있어서, 개인 위생 제품이 기저귀, 배변 연습용 팬츠, 흡수 언더팬츠, 성인 실금자용 용품, 생리대, 습윤 와이프, 여성용 위생 제품, 창상 치유용 드레싱, 간호용 패드, 지속 방출형 패취 (patch), 붕대, 장례 용품, 수의학 용품, 위생 제품 및 흡수 제품으로부터 선택된 흡수 용품.
  23.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의약 조성물을 지지체에 별개의 단편들로 약 1 Hz 내지 약 100 kHz의 진동수로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약 처리된 물질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가 배출 오리피스로부터의 의약 발사 (projection)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지지체 제공 단계가 제직물, 부직물, 이들의 필름 또는 적층체의 제공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지지체 제공 단계가 부직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 웹의 제공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지지체의 선택된 구역상에만 위치하는 것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의약이 지질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의약이 약 15℃ 내지 약 135℃의 온도에서 지지체에 도포되는 것인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이격 배치가 밸브 제트 (마이크로-투약 (micro-dispense) 밸브), 피에조 (piezo) 제트 (압전성 (piezoelectric) 제트), 분무 또는 임의의 비접촉 도포 수단을 통해 달성되는 것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이격 배치가 피에조 제트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가 도포시에 약 25 센티포이즈 이하인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가 도포시에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20 센티포이즈인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가 도포시에 약 8 센티포이즈 내지 약 14 센티포이즈인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부피가 약 3 pL 내지 약 200 p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31항에 있어서, 별개의 단편들이 지지체상에 1 cm2당 약 10개 내지 약100개의 소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방법.
  37. 제23항에 있어서, 의약이 약 10 kHz 내지 약 50 kHz의 진동수로 지지체에 도포되는 것인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이격 배치가 밸브 제트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가 도포시에 약 1 센티포이즈 내지 약 300 센티포이즈인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지지체에 도포될 의약의 점도가 도포시에 약 4 센티포이즈 내지 약 50 센티포이즈인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부피가 약 5 nL 내지 약 400 nL인 별개의 단편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2. 제23항에 있어서, 의약이 약 1 Hz 내지 약 2 kHz의 진동수로 지지체에 도포되는 것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의약이 약 500 Hz 내지 약 1.2 kHz의 진동수로 지지체에도포되는 것인 방법.
KR10-2003-7008740A 2000-12-29 2001-12-21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KR20030075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914300P 2000-12-29 2000-12-29
US60/259,143 2000-12-29
US09/990,697 2001-11-16
US09/990,697 US20020087129A1 (en) 2000-12-29 2001-11-16 Absorbent article having releasable medicinal treatments
PCT/US2001/050846 WO2002053074A2 (en) 2000-12-29 2001-12-21 Absorbent article having releasable medicinal treat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56A true KR20030075156A (ko) 2003-09-22

Family

ID=2694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740A KR20030075156A (ko) 2000-12-29 2001-12-21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20087129A1 (ko)
EP (1) EP1347725A2 (ko)
JP (1) JP2005502386A (ko)
KR (1) KR20030075156A (ko)
CN (1) CN1484518A (ko)
BR (1) BR0116648A (ko)
MX (1) MXPA03005731A (ko)
WO (1) WO20020530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7100B1 (en) * 2000-10-25 2003-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rticle containing an astringent agent
US6656168B2 (en) * 2001-12-18 2003-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care product with discrete areas of a skin wellness additive
US20030130636A1 (en) * 2001-12-22 2003-07-10 Brock Earl David System for improving skin health of absorbent article wearers
US6770793B2 (en) * 2002-08-08 2004-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wound dressing with skin health treatment additives
US6855134B2 (en) * 2002-08-08 2005-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skin health and odor control additives
JP3751618B2 (ja) * 2002-08-28 2006-03-01 山一電機株式会社 不織布、吸湿部材、不織布の製造方法、不織布の製造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US7060867B2 (en) * 2002-11-27 2006-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US6957884B2 (en) * 2002-12-27 2005-10-25 Kinberly-Clark Worldwide, Inc. High-speed inkjet printing for vibrant and crockfast graphics on web materials or end-products
US7388123B2 (en) * 2002-12-30 2008-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care absorbent articles having guide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US7642397B2 (en) * 2004-08-10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bodily exudate modifying agent and a skin care formulation
US7265257B2 (en) * 2004-08-10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bodily exudate modifying agent and a film-forming skin care formulation
US8039685B2 (en) * 2004-12-15 2011-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
US20060140899A1 (en) * 2004-12-28 2006-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leansing system comprising an anti-adherent formulation and a cationic compound
US20070166358A1 (en) * 2006-01-17 2007-07-19 Hyonho Chong Nasal mucus absorber pad
US20080058737A1 (en) * 2006-07-28 2008-03-06 Rosa Alejandra Hernandez Absorbent articles and wipes comprising lotion
US8449507B2 (en) * 2007-08-28 2013-05-28 Miss Smarty Pants Enterprises, Inc. Disposable analgesic and local anesthetic undergarment
GB2467742A (en) * 2009-02-11 2010-08-18 Edna Ma Local anaesthetic undergarment
RU2493878C1 (ru) * 2009-09-18 2013-09-27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снова, содержащая композицию в виде лосьона, ограничивающая прилипание фекалий или менструальных выделений к коже
KR20120102088A (ko) * 2009-11-23 2012-09-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처리된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용품 및 처리된 다공성 입자를 사용한 건조 방법
CN101810529A (zh) * 2010-03-15 2010-08-25 天津小护士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保护婴儿腹部和肚脐的纸尿裤
US9238348B2 (en) 2010-10-08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article for delivering health-benefit agent
US8552251B2 (en) 2010-10-08 2013-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health-benefit agent delivery system
JP5746855B2 (ja) * 2010-12-13 2015-07-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791216B1 (en) 2011-12-13 2015-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including active agent
JP5726128B2 (ja) * 2012-05-09 2015-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978265B2 (en) 2013-04-30 2015-03-17 Rashendz, Inc. Bandage/diaper aeration device
JP6577360B2 (ja) * 2015-12-24 2019-09-18 花王株式会社 繊維シート
CN112437654B (zh) * 2018-08-03 2023-09-22 宝洁公司 具有施用到其上的组合物的纤维网
CN112512475A (zh) 2018-08-03 2021-03-16 宝洁公司 其上具有组合物的纤维网
CN110327160A (zh) * 2019-07-17 2019-10-15 王勇 紫草油尿不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3293C2 (de) * 1984-06-23 1995-08-24 Lohmann Therapie Syst Lts Selbstklebendes Pflaster
US4882204A (en) * 1988-05-05 1989-11-21 Harvey Tenenbaum Diaper spray
DE19650471A1 (de) * 1996-12-05 1998-06-10 Beiersdorf Ag Wirkstoffhaltige Pflaster
US6149934A (en) * 1999-04-23 2000-1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ized bodyside liner
US6103951A (en) * 1998-10-13 2000-08-15 Freeman; Frank Releasable wound dressing for efficient removal of exuded fluid
US6153209A (en) * 1999-09-28 2000-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having a transferable breathable skin care composition thereon
US20030095167A1 (en) * 2001-11-16 2003-05-22 Jameson Lee Kirby Apparatus and method to produce topography, unique fluid handling properties and bonding properties on and within substrates
US20030106605A1 (en) * 2001-11-16 2003-06-12 Jameson Lee Kirby Material having one or more chemistries which produce topography, unique fluid handling properties and/or bonding properties thereon and/or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16648A (pt) 2005-11-16
CN1484518A (zh) 2004-03-24
MXPA03005731A (es) 2003-10-06
WO2002053074A3 (en) 2003-07-24
US20020087129A1 (en) 2002-07-04
EP1347725A2 (en) 2003-10-01
WO2002053074A2 (en) 2002-07-11
JP2005502386A (ja)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5156A (ko) 방출가능한 의약 처리물을 함유하는 흡수 용품
US7060867B2 (en)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EP1120097B1 (e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skin-protective ingredient
EP1404278B1 (en) High amount of beneficial components in the top of a substrate
RU2246320C2 (ru) Микропористые пленки, включающие флокированные волокна
EP1578334B1 (en) Absorbent products with enhanced rewet, intake, and stain masking performance
EP2117610B1 (en) Absorbent article with lotion comprising a polypropylene glycol material
EP1153617B1 (en) Sheet with oily ingredient-containing layer
JP5254457B2 (ja) 糞便及び経血の付着性を備えた基材
JP2009505707A (ja) 濃縮タンニンを含む吸収性製品
KR20140009576A (ko) 청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EP3474800B1 (en) Absorbent article with an oil composition and an oil protecting layer
US20050137544A1 (en) Absorbent article with skin care composition
JP2003012490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ローション剤
JP6157447B2 (ja) 吸収性物品
AU2002232920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releasable medicinal treatments
JP2009005859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