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987A -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987A
KR20030074987A KR1020020014043A KR20020014043A KR20030074987A KR 20030074987 A KR20030074987 A KR 20030074987A KR 1020020014043 A KR1020020014043 A KR 1020020014043A KR 20020014043 A KR20020014043 A KR 20020014043A KR 20030074987 A KR20030074987 A KR 2003007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barrier rib
main
auxiliar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7128B1 (en
Inventor
황태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128B1/en
Publication of KR2003007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1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3Cross section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Abstract

PURPOSE: A barrier rib of a plasma display panel is provided to prevent an abnormal discharge in the non-display area by preventing an accumulation of wall discharge in the non-display area. CONSTITUTION: A barrier rib comprises a plurality of main barrier ribs(64) for defining discharge cells in a display area(61) for displaying images; and auxiliary barrier ribs(63) arranged between the main barrier ribs which are disposed adjacent with each other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main barrier rib, wherein the auxiliary barrier ribs serve to suppress an abnormal discharge in a non-display area(62) arranged in the outside of the display area.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Barrier of plasma display panel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표시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상방전을 억제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ti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for suppressing abnormal discharge generated from a non-display area.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한다)은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방전할 때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여기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PDP는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기술 개발에 힘입어 화질이 향상되고 있다.Plasm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 is used to excite and emit phosphors by using ultraviolet rays generated when an inert mixed gas such as He + Xe, Ne + Xe, He + Xe + Ne is discharged. Will be displayed. Such PDPs are not only thin and large in size, but also have improved in image quality due to recent technology development.

도 1을 참조하면,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 상에 형성되어진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을 포함한 서스테인전극쌍과, 서스테인전극쌍과 직교되도록 하부기판(2)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X)을 구비한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각각은 투명전극과, 그 위에 형성된 금속버스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이 형성된 상부기판(1)에는 상부 유전체층(6)과 MgO 보호층(7)이 적층된다. 어드레스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2) 상에는 어드레스전극(X)을 덮도록 하부 유전체층(4)이 형성된다. 하부 유전체층(4) 위에는 수직으로 격벽(3)이 형성된다. 하부 유전체층(4)과 격벽(3)의 표면에는 형광체(5)가 형성된다. 상부기판(1)과 하부기판(2) 및 격벽(3)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상부기판(1)과 하부기판(2)은 도시하지 않은 실재(Sealant)에 의해 합착된다.Referring to FIG. 1, a discharge cell of a three-electrode alternating surface discharge type PDP includes a sustain electrode pair including a scan electrode (Y) and a sustain electrode (Z)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 and a lower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sustain electrode pair. An address electrode X formed on the substrate 2 is provided. Each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metal bus electrode formed thereon. The upper dielectric layer 6 and the MgO protective layer 7 are stacked on the upper substrate 1 on which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re formed. The lower dielectric layer 4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2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to cover the address electrode X. FIG. A partition 3 is formed vertically on the lower dielectric layer 4. Phosphors 5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s 4 and the partition walls 3. An inert mixed gas such as He + Xe, Ne + Xe, He + Xe + Ne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1, the lower substrate 2, and the partition wall 3. The upper substrate 1 and the lower substrate 2 are bonded by a seal (not shown).

PDP는 화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을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서브필드로 나누어 시분할 구동하게 된다. 각 서브필드는 전화면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초기화기간과, 주사라인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사라인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기간과,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뉘어진다. 초기화기간은 상승램프파형이 공급되는 셋업기간과 하강램프파형이 공급되는 셋다운 기간으로 다수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2와 같이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16.67ms)은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게 된다.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화기간, 어드레스기간 및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각 서브필드의 초기화기간과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한 반면에 서스테인 기간과 그에 할당되는 서스테인펄스의 수는 각 서브필드에서 2n(n=0,1,2,3,4,5,6,7)의 비율로 증가된다.The PDP is time-divisionally driven by dividing one frame into several subfields with different number of emission times in order to realize grayscale of an image. Each subfield is divided into an initialization period for initializing the full screen, an address period for selecting a scan line and selecting a cell in the selected scan line, and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y lev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charges. The initialization period is divided into a setup period in which the rising ramp waveform is supplied and a set down period in which the falling ramp waveform is supplied. For example, when the image is to be displayed with 256 gray levels, as shown in FIG. 2, the frame period (16.67 ms) corresponding to 1/60 second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SF1 to SF8.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eight subfields SF1 to SF8 is divided into an initialization period, an address period, and a sustain period. The initialization period and the address period of each subfield are the same for each subfield, while the sustain period and the number of sustain pulses allocated thereto are 2 n (n = 0,1,2,3,4,5,6) in each subfield. , 7).

이와 같은 PDP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영역(31)의 상측 외곽에 위치하는 상단 비표시영역(32)과 하측 외곽에 위치하는 하단 비표시영역(33) 각각에 표시영역(31)의 방전셀과 동일한 구조의 더미 방전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단 비표시영역(32)과 하단 비표시영역(33) 각각에는 어드레스전극(X)과 더미전극쌍(UD1,UD2,BD1,BD2)이 형성되고 그 전극들(X,UD1,UD2,BD1,BD2)을 덮도록 유전체층(4,6)이 형성되고, 그 위에 형광체(5)가 형성된다. 상단 비표시영역(32)과 하단 비표시영역(33) 각각에 형성된 더미전극(UD1,UD2,BD1,BD2)은 에이징공정(Aging process)에서 비표시영역에서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표시영역(31)의 다른 방전셀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표시영역(31)의 첫번째 수평라인과 n 번째 수평라인의 방전셀들의 방전특성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더미전극(UD1,UD2,BD1,BD2)에는 에이징 공정시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전압이 인가되고, 에이징 공정 후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기저전압(GND)이 인가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DP has a display area 31 in each of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locat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isplay area 31 an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located on the lower outside. The dummy discharge spac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discharge cell in () is formed. That is, the address electrode X and the pair of dummy electrodes UD1, UD2, BD1, and BD2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an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and the electrodes X, UD1, UD2, Dielectric layers 4 and 6 are formed to cover BD1 and BD2, and phosphors 5 are formed thereon. The dummy electrodes UD1, UD2, BD1, and BD2 formed in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an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respectively generate a discharge in the non-display area in the aging process, thereby causing the display area 31 to be discharged.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discharge cells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and the n-th horizontal line of the display area 31 are stabiliz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other discharge cells of. To this end, a voltage capable of causing a discharge during the ag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dummy electrodes UD1, UD2, BD1, and BD2, and no voltage is applied or the ground voltage GND is applied after the aging process.

종래의 PDP는 상단 비표시영역(32)과 하단 비표시영역(33)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방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전은 이상방전으로 정의된다. 이상방전은 PDP의 구동시 초기화방전, 어드레스방전 및 서스테인방전 등의 방전이 일어나면, 그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전하가 상단 비표시영역(32)과 하단 비표시영역(33)의 유전체와 형광체상에 축전된다. 예컨데, 어드레스방전시 도 4와 같이 부극성의 스캔전압이 스캔전극들(Y1 내지 Yn)에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정극성의 공간전하(42)는 하단 비표시영역(33)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극성의 공간전하(41)는 상단 비표시영역(3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비표시영역(32,33)으로 이동된 공간전하(41,42)는 비표시영역(32,33) 내의 유전체층(6,7)과 형광체(5) 상에 축적된다. 비표시영역(32,33) 상에 축적된 벽전하에 의해 상승하는 벽전압이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전압 이상이 되면, 비표시영역(32,33) 내의 어드레스전극(X)과 스캔전극(Y) 또는 서스테인전극(Z) 사이에 이상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이상방전이 일어나게 되면 수초동안 영상구현이 불가능함은 물론, 이상방전시에 발생되는 가시광(51)은 도 5와 같이 표시영역(31) 쪽으로 전파되어 관찰자에게 인식된다. 그 결과, 이상방전으로 인하여 PDP의 표시품질이 떨어지게 된다.The conventional PDP has a problem in that discharge is accidentally generated from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an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Such discharges are defined as abnormal discharges. The abnormal discharge occurs when discharge such as initialization discharge, address discharge and sustain discharge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DP, so that the space charges generated by the discharge are in the dielectric and phosphor phases of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an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Is condensed 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negative scan voltage is sequentially shifted to the scan electrodes Y1 to Yn, and the positive space charge 42 moves toward the lower non-display area 33. The negative space charge 41 moves toward the upper non-display area 32. The space charges 41 and 42 moved to the non-display areas 32 and 33 are accumulated on the dielectric layers 6 and 7 and the phosphor 5 in the non-display areas 32 and 33. When the wall voltage rising due to the wall charges accumulated on the non-display areas 32 and 3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voltage capable of causing a discharge, the address electrode X and the scan electrode in the non-display areas 32 and 33 Abnormal discharge occurs between (Y) or the sustain electrode (Z). When the abnormal discharge occurs, not only the image can be implemented for a few seconds but also the visible light 51 generated during the abnormal discharge is propagated toward the display area 31 as shown in FIG. 5 and recognized by the viewer.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PDP is degraded due to the abnormal dischar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표시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상방전을 억제하도록 한 PDP의 격벽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rier rib of a PDP to suppress abnormal discharge generated from a non-display area.

도 1은 종래의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cel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256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8 비트 디폴트 코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configuration of an 8-bit default code for implementing 256 gray levels.

도 3은 비표시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plasma display panel for showing a non-display area.

도 4는 비표시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sma display panel for showing a non-display area.

도 5는 비표시영역으로부터 발생되어 표시영역에서 인식되는 가시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visible light generated from a non-display area and recognized in a display are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사이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between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조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parti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조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parti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조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parti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71 : 상부기판 2,72 : 하부기판1,71: upper substrate 2,72: lower substrate

3,83,64 : 격벽(메인격벽) 4,6,74,76 : 유전체층3,83,64: bulkhead (main bulkhead) 4,6,74,76: dielectric layer

5 : 형광체 7,77 : 보호층5: phosphor 7,77: protective layer

31,61 : 표시영역 32,33,62 : 비표시영역31,61: display area 32,33,62: non-display area

41,42 : 공간전하 51 : 가시광41,42: space charge 51: visible light

63 : 보조격벽 81,91,101 : 개구공63: secondary bulkhead 81,91,101: opening hole

82,92,102 : 공기유로 X : 어드레스전극82,92,102: air flow path X: address electrode

Y : 스캔전극 Z : 서스테인전극Y: scan electrode Z: sustain electrode

UD1,UD2,BD1,BD2,D1,D2 : 더미전극UD1, UD2, BD1, BD2, D1, D2: dummy electr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의 격벽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의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격벽들과, 메인격벽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메인격벽들 사이에 형성되어 표시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 내의 이상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보조격벽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rtition of the PD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main partitions for partitioning the discharge cells of the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between the main part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partition wall; And an auxiliary barrier rib formed therein to suppress abnormal discharge in the non-display area located outside the display area.

상기 보조격벽은 비표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상기 보조격벽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partition wall is loca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상기 보조격벽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개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hole is formed to form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상기 보조격벽은 메인격벽보다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bulkhe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lower than the main bulkhead.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보조격벽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상기 메인격벽은 스트라이프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arrier rib is formed in a stripe shape.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는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을 포함한 서스테인전극쌍과, 서스테인전극쌍과 직교되도록 하부기판(2)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X)과, 적, 녹 및 청색별로 셀들을 수직으로 구획하기 위한 메인격벽(64)과, 비표시영역(62) 내에서 또는 비표시영역(62)과 표시영역(61)의 경계에서 인접한 메인격벽들(64) 사이에서 상기 메인격벽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격벽(63)을 구비한다.6 and 7, the PD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2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sustain electrode pair including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sustain electrode pair. The address electrode X, the main partition 64 for vertically dividing the cells by red, green and blue, and the non-display area 62 or the non-display area 62 and the display area 61 An auxiliary partition 63 is formed between the main partitions 64 adjacent to the boundar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partition.

비표시영역(62)은 표시영역(61)의 상단 또는 하단의 바깥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 비표시영역(63)에는 표시영역(61)의 서스테인쌍(Y,Z)과 동시에 형성되는 더미전극(D1,D2)이 형성된다.The non-display area 62 is disposed outside the top or bottom of the display area 61, respectively. In the non-display area 63, dummy electrodes D1 and D2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ustain pairs Y and Z of the display area 61 are formed.

서스테인전극쌍(Y,Z)이 형성된 상부기판(71) 상에는 유전체층(76)과 MgO 보호층(77)이 적층된다. 어드레스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72) 상에는 어드레스전극(X)을 덮도록 하부 유전체층(74)이 형성되고, 그 위에 수직으로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이 형성된다. 하부 유전체층(74)과 메인격벽(64) 및 보조격벽(63)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형광체가 형성된다. 상부기판(71)과 하부기판(72) 및 메인격벽(64)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상부기판(71)과 하부기판(72)은 도시하지 않은 실재(Sealant)에 의해 합착된다.The dielectric layer 76 and the MgO protective layer 77 are stacked on the upper substrate 71 on which the sustain electrode pairs Y and Z are formed. The lower dielectric layer 74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72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to cover the address electrode X, and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are vertically formed thereon. Phosphor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74,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An inert mixed gas such as He + Xe, Ne + Xe, He + Xe + Ne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71, the lower substrate 72, and the main partition 64. The upper substrate 71 and the lower substrate 72 are bonded by a seal (not shown).

메인격벽(64)은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 녹 및 청색(R,G,B)의 방전공간을 물리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인접한 셀들 간의 크로스토크를 전기적, 광학적 혼신(crosstalk)를 방지하게 된다.The main partition 64 is vertically elongated in the form of a stripe to physically distinguish discharge spaces of red, green, and blue (R, G, B) to electrically and optically crosstalk between adjacent cells. Will be prevented.

보조격벽(63)은 메인격벽(64)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초기화방전, 어드레스방전 및 서스테인방전시 표시영역(61) 내에서 발생되는 공간전하가 비표시영역(62)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비표시영역(62) 내에서 이상방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상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가시광이 표시영역(61)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 보조격벽(63)에는 표시영역(6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고 방전에 필요한 불활성가스를 표시영역(61) 내의 방전공간에 주입하기 위한 배기공정 시 표시영역(61)과 비표시영역(62) 사이에 공기흐름이 원할히 되도록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그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다.The auxiliary partition 63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partition 64 to block the space charge generated in the display area 61 during the initialization discharge, the address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from moving to the non-display area 62. In addition, when abnormal discharge occurs in the non-display area 62, the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abnormal discharge is prevented from propagating to the display area 61.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63 has a display area 61 and a non-display area during the exhaust process for exhausting air in the display area 61 to the outside and injecting inert gas necessary for discharge into the discharge space in the display area 61. The air flow path is form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shown in FIGS.

도 8을 참조하면, 보조격벽(63)의 높이는 메인격벽(6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보조격벽(63) 위에는 개구공(81)이 형성된다. 개구공(81)은 배기공정시 공기유로(82)를 형성하여 공기흐름을 원할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63 is lower than that of the main partition wall 64. An opening 81 is formed on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63. The opening hole 81 forms an air flow path 82 during the exhaust process to smooth the air flow.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격벽(63)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홈으로 파인 개구공(91)이 형성된다. 개구공(91)을 통하여 배기공정시 공기유로(91,101)가 형성된다. 이 보조격벽(63)은 개구공(91)의 폭이 도 8에 도시된 개구공(81)에 비하여 더 작기 때문에 표시영역(61)으로부터 비표시영역(62)으로 전파되는 공간전하와 비표시영역(62)으로부터 표시영역(61)으로 전파되는 가시광을 차단하기에 더 유리하다.9 and 10, the opening hole 91 is formed in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63). Air passages 91 and 101 are formed in the exhaust process through the opening hole 91. Since the width of the opening hole 9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pening hole 81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63 propagates from the display area 61 to the non-display area 62 and the non-display area. It is more advantageous to block visible light propagating from the area 62 to the display area 61.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이 제조공정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보조격벽(63)의 높이가 메인격벽(64)에 비하여 낮게 되거나 보조격벽(63)의 상단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is as follows. 8 and 9,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63 is lower than that of the main partition 64, or the groov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auxiliary partition 63.

스크린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은 먼전, 하부기판(72) 상에 메인격벽패턴과 보조격벽패턴이 형성된 제1 스크린을 정렬한 후, 제1 스크린을 통하여 하부기판(72) 상에 글라스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건조하게 된다. 이 글라스 페이스트의 인쇄와 건조공정은 보조격벽(63)의 높이 또는 개구공(91,101)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저면 높이까지 반복된다. 이어서, 메인격벽패턴이 형성된 제2 스크린이 하부기판(72) 상에 정렬된 후, 제2 스크린을 통하여 하부기판(72) 상에 글라스 페이스트가 인쇄 및 건조된다. 그러면, 메인격벽(64)에 해당하는 부분과 보조격벽(63)에 해당하는 부분 사이에 글라스 페이스트의 적층높이가 다르게 된다. 마지막으로 소성공정을 실시하면, 전체 높이가 메인격벽(64)보다 낮거나 메인격벽(64)과 동일한 높이에서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보조격벽(63)이 형성된다.The process for forming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using the screen printing method is performed in a long time, after aligning the first screen on which the main partitio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rtition pattern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72. 1 The glass paste is printed and dried on the lower substrate 72 through the screen. The printing and drying process of this glass paste is repeated up to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63 or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groove for forming the opening holes 91 and 101. Subsequently, after the second screen on which the main bulkhead pattern is formed is aligned on the lower substrate 72, the glass paste is printed and dried on the lower substrate 72 through the second screen. Then, the stacking height of the glass paste is different betwee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partition 63. Finally, when the firing process is performed, an auxiliary partition 63 having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main partition 64 or at the same height as the main partition 64.

샌드 블라스팅법을 이용한 격벽 제조공정은 먼저, 하부기판(72) 상에 글라스 페이스트를 인쇄 및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인쇄한다. 포토레지스트 위에는 메인격벽부분만 마스킹하기 위한 제1 마스크가 정렬된다. 제1 마스크를 통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노광 및 현상되어 메인격벽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 해당하는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됨으로써 제1 포토레지스트패턴이 글라스페이스트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제1 마스크가 제거된 다음, 샌드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가압된 연마입자가 포토레지스트패턴과 글라스 페이스트 쪽으로 분사된다. 이 때, 연마입자의 분사시간은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의 높이차만큼 글라스 페이스트가 연마입자에 의해 스퍼터링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1 포토레지스트패턴이 제거된 후에 하부기판(72) 상에 1차 스퍼터링공정에 의해 보조격벽부분의 일부가 소정 깊이만큼 스퍼터링된 글라스 페이스트 위에 2차로 포토레지스트가 인쇄된다. 포토레지스트 위에는 메인격벽과 보조격벽부분을 마스킹하기 위한 제2 마스크가 정렬된다. 제2 마스크를 통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노광 및 현상되어 메인격벽부분과 보조격벽부분 이외의 방전셀 공간에 해당하는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됨으로써 제2 포토레지스터패턴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2 마스크가 제거된 다음, 샌드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가압된 연마입자가 제2 포토레지스트패턴과 글라스 페이스트 쪽으로 분사된다. 이 때, 제2 포토레지스트패턴 이외의 글라스 페이스트만이 연마입자에 의한 스퍼터링으로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제2 포토레지스트패턴이 제거되고 글라스 페이스트가 소성되면, 높이가 다른 메인격벽과 보조격벽이 완성된다.In the partition fabrication process using sandblasting, first, a glass paste is printed and dried on the lower substrate 72, and then a photoresist is printed thereon. Above the photoresist, a first mask for masking only the main partition wall portion is aligned. The photoresist is exposed and developed through the first mask to remove photoresist correspond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main partition, thereby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on the glass paste. Subsequently, after the first mask is removed, the abrasive particles pressed using the sand blasting apparatus are ejected toward the photoresist pattern and the glass paste. At this time, the injection time of the abrasive grains is set so that the glass paste can be sputtered and removed by the abrasive grains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After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is removed, the photoresist is secondarily printed on the glass paste on which a part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is sputtered to a predetermined depth by a primary sputtering process on the lower substrate 72. On the photoresist, a second mask for masking the main and auxiliary partitions is aligne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is formed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resist through the second mask to remove photoresis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cell spaces other than the main and sub barrier parts. Subsequently, after the second mask is removed, the abrasive particles pressed using the sand blasting apparatus are ejected towar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the glass paste. At this time, only glass pastes other than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re removed by sputtering with abrasive particles. Finally, when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is removed and the glass paste is fired, the main partition walls and the auxiliary partition wall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completed.

이러한 제조방법들 이외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노광 및 현상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감광성 페이스트법을 이용하여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 제조방법은 금속기판상에 그린시트를 형성하고 그 그린시트를 금형으로 성형하며, 성형된 그린시트를 저온소성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LTCCM(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on Metal)으로 기판 상에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 제조방법은 라미네이팅공정(Laminating)으로 기판 상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Dry Film Regist : DFR)를 형성된 다음, 그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성형함으로써 기판상에 메인격벽(64)과 보조격벽(63)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se manufacturing methods,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auxiliary partition 63 may be formed using the photosensitive paste method of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paste to form a structure. In addition, the barrier rib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reen sheet on a metal substrate, and the green sheet is molded into a mold, and the substrate is formed by LTCCM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on Metal) to form a structure by low-temperature firing the molded green shee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main partition 64 and the secondary partition (63). 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ry film resist (DFR) on a substrate by a laminating process, and then forms the dry film resist to support the main partition wall 64 on the substrate. The partition 63 may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은 비표시영역 내에 또는 비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경계에 공간전하와 가시광의 전파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보조격벽을 메인격벽들 사이에서 메인격벽의 폭방향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은 표시영역으로부터 비표시영역으로 전파되는 공간전하를 차단함으로써 비표시영역 상에 벽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표시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이상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PDP의 격벽은 비표시영역에서 이상방전이 발생되더라도 이상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가시광이 표시영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표시품질을 높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wall of the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partition wall between the main partition walls to physically block propagation of space charge and visible light in the non-display area o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non-display area and the display area. It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the partition wall of the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wall charges from accumulating on the non-display area by blocking space charges propagated from the display area to the non-display area, thereby suppressing abnormal discharge generated in the non-display area. Can be. Furthermore, even if an abnormal discharge occurs in the non-display area, the partition wall of the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abnormal discharge from propagating to the display area, thereby improving display qualit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7)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의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격벽들과,A plurality of main partition walls for partitioning discharge cells of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상기 메인격벽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메인격벽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 내의 이상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보조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And an auxiliary barrier rib formed between the main barrier rib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arrier rib to prevent abnormal discharge in a non-display area positioned outside the display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비표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And the auxiliary barrier rib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And the auxiliary barrier rib is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개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The auxiliary barrier rib is form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hole is formed to form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메인격벽보다 높이가 동일하거나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And the auxiliary barrier rib is the same or lower than the main barrier rib.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보조격벽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The opening of the plasma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격벽은 스트라이프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The main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 stripe shape partition wa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KR10-2002-0014043A 2002-03-15 2002-03-15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47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043A KR100447128B1 (en) 2002-03-15 2002-03-15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043A KR100447128B1 (en) 2002-03-15 2002-03-15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987A true KR20030074987A (en) 2003-09-22
KR100447128B1 KR100447128B1 (en) 2004-09-04

Family

ID=3222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043A KR100447128B1 (en) 2002-03-15 2002-03-15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12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69B1 (en) * 2002-09-04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ummy barrier rib
KR100484645B1 (en) * 2002-09-23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ummy barrier rib
KR100684749B1 (en) * 2004-10-2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 plasma display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69B1 (en) * 2002-09-04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ummy barrier rib
KR100484645B1 (en) * 2002-09-23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ummy barrier rib
KR100684749B1 (en) * 2004-10-2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7128B1 (en)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095B1 (en) Rib of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47128B1 (en)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561649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2259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452695B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90076659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19698A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1954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404845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456437B1 (en) Ag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800522B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51343B1 (en) Plasma display panel of facing discharge type
KR100570695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193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27357B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84644B1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ummy electrode
KR100581938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15316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49234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364669B1 (en) Fabricat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Using Radio Frequency
KR20060031555A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2392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2388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22585A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2389A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