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970A -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970A
KR20030073970A KR1020020013767A KR20020013767A KR20030073970A KR 20030073970 A KR20030073970 A KR 20030073970A KR 1020020013767 A KR1020020013767 A KR 1020020013767A KR 20020013767 A KR20020013767 A KR 20020013767A KR 20030073970 A KR20030073970 A KR 2003007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lamping
hydraulic cylinder
block
clamp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726B1 (ko
Inventor
정구철
박문수
진충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1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7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열연공장에서 작업이 완료된 코일제품을 창고에서 수요가에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화차에 상차 시킨후, 코일자중을 이용한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일 클램핑장치(1)는, 코일이송용 화차베드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유압실린더(32)와, 그 상측으로 설치되어 코일이 안착 클램핑되는 제 1 클램핑블록(34) 및,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과 베이스 플레이트(10)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36)을 갖춘 제 1 클램핑부(30);와,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에 형성된 가이드홈(34a)의 내측에서 이동토록 연결된 링크바아(52)와, 상기 링크바아(5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54)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는 링크지지아암(56) 및, 상기 링크지지아암(56)의 상단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코일 원주면을 클램핑하는 제 2 클램핑블록(58)을 갖춘 제 2 클램핑부(50); 및, 코일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72)의 상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의 하강 작동시 전진 작동되는 제 2 유압실린더(74) 및, 상기 실린더(74)의 일측에 연결되어 코일(C)의 양측부를 클램핑하는 제 3 클램핑블록(76)을 갖춘 제 3 클램핑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제품의 상차시 코일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코일제품을 사방에서 자동적으로 클램핑하여, 기존에 작업자가 코일제품의상차후 별도의 고정대를 수작업으로 클램핑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어 코일제품의 상하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A COIL CLAMPING APPARATUS FOR A COIL TRANSFER TRAIN}
본 발명은 열연공장에서 작업이 완료된 코일제품을 창고에서 수요가에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화차에 상차시킨후, 코일을 고정시키는 코일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코일제품의 상차시 코일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코일제품을하부, 원주면 및, 측부의 사방에서 클램핑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작업자가 코일제품의 상차후 별도의 고정대를 수작업으로 클램핑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어 코일제품의 상하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열연공장등에서 생산된 코일제품은 코일 이송용 전용화차에 상차시키어 수요자에게 인도하는데, 철도를 이용한 이와 같은 코일의 화차이송은 화차가 기울기가 심한 산을 운행하고, 주행시의 충격에 의한 떨림과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화차에 상차된 코일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야 한다.
예를 들어, 화차에 상차된 코일제품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고정블록과 코일제품 사이에 고무패드(PAD)를 삽입하고 가이드와 코일제품사이에는 각재를 끼워 결속시키는데, 코일제품외경이 2,000mm 이상이면 와이어로프로 결속하고, 또한 코일제품의 외경이 1,800~2,000mm 이면 연장가이드를 사용하고, 화차단위당 상차가능한 최대의 적재 코일제품 수는 대략 6 코일(COIL)이며, 창고단위로 투입가능 화차수는 최대 9량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코일제품 상차시 그 고정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연공장 제품창고에서 철도화차를 이용하여 수요자에서 코일제품의 인도에 대한 출하지시가 내려보면, 화차(100)의베드(110)상에 볼팅 고정된 반호형으로 한쌍으로 이루는 코일블록(120)들을 볼트를 해체하여 상차될 각 코일제품(130)의 직경에 맞추어 간격을 조정하여 재 볼팅작업으로 화차 베드(110)에 코일블록(120)들을 조정 설치한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40)을 이용하여 조정 배치된 코일블록(120)상에 코일제품(130)을 안착시키는데, 이때 상기 코일제품(130)과 코일블록 (120)사이에는 틈새발생을 없애기 위하여 나무판 이나 쐐기(140)를 끼워서 안착시킨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블록(120)상에 코일제품(130)을 안착시킨 후에는 작업자는 코일제품(130)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하여, 코일블록 (120)의 하부에 끼워지는 측면 고정블록(150)을 하나의 코일제품(130)에 4개가 고정되도록 볼팅작업을 통하여 코일제품(130)의 화차 클램핑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고정블록(150)과 상차된 코일(130)간의 틈새를 방지토록 나무쐐기(160)를 끼우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도화차(100)에 의한 코일제품의 이송중 측면 고정블록(150)과 코일제품(130)사이의 떨림으로 상기 나무쐐기(160)가 탈락되지 않도록 철사등으로 나무쐐기와 측면 고정블록을 묶어준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제품의 상차시 그 클램핑작업은, 자체중량이 큰 코일제품(130)과 코일블록(120) 및 측면 고정블록(150)등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볼팅작업 및 쐐기작업을 통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코일제품(130)의 상차작업시 크레인의 조작불량에 따른 흔들림발생으로인한, 코일제품과 작업자간의 협착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데, 예를 들어 크레인 운전자와 작업자 상호간의 수신호가 일치되지 않으면, 작업자의 손가락이 코일제품과 블록사이에 끼이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절단되는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코일을 상차시키기 위하여 여러번의 블록 조정에 따른 볼팅작업을 수행하고 추가로 쐐기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코일제품의 상차작업이 상당이 지연되고, 이는 결국 원활한 제품의 이송을 지연시키어 수요자에게 제픔의 인도가 지연되는 요인을 초래하고, 심한경우 작업자의 오작업에 따른 크램핑불랭으로 화차 이송중에 코일제품이 화차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코일제품의 상차기 작업자의 과도한 클램핑작업으로 코일재품의 표면손상과 같은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제품의 상차시 코일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코일제품을 저부, 원주면 및 측면부의 사방에서 클램핑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작업자가 코일제품의 상차후 별도의 고정대를 수작업으로 클램핑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어 코일제품의 상차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한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의 상차시 클램핑작업이 자동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수행됨으로서, 기존 작업자의 클램핑불량에 따른 화차 이송중의 코일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의 상차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코일제품을 보다 신속하게 수요자에게 보낼 수 있어 수요자에 대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코일 이송화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송화차에 탑재된 상차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코일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코일 클램핑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제 1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코일 클램핑장치의 제 2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코일 클램핑장치의 제 3 클램핑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코일 상착작업전 코일 대기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b)는 코일의 상차작업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인 코일 클램핑장치에서 코일의 직경이 변하는 경우에도 코일 원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제 2 클램핑블록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하방 조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b)는 상방 조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 클램핑장치10.... 베이스 플레이트
30,50,70.... 제 1-3 클램핑부32,74.... 제 1,2 유압실린더
34,58,76.... 제 1-3 클램핑블록34a.... 가이드홈
34b....저부블록34c.... 안착블록
34d....패드36.... 가이드수단
52.... 링크바아54,72.... 수직대
56.... 링크지지아암62,80.... 지지롤
90,90a.... 오일관92.... 축압실린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코일이송용 화차베드상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유압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코일이 안착 클램핑되는 제 1 클램핑블록 및, 상기 제 1 클램핑블록과 베이스 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을 갖춘 제 1 클램핑부;와,
상기 제 1 클램핑블록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내측에서 이동토록 연결된 링크바아와, 상기 링크바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수직대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는 링크지지아암 및, 상기 링크지지아암의 상단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코일 원주면을 클램핑하는 제 2 클램핑블록을 갖춘 제 2 클램핑부; 및,
코일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수직대의 상단부에 수평설치되고 상기 제 1 유압실린더의 하강 작동시 전진 작동되는 제 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코일의 양측부를 클램핑하는 제 3 클램핑블록을 갖춘 제 3 클램핑부;로 구성된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를 마렴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코일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코일 클램핑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6은 코일 클램핑 장치의 제 1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코일 클램핑장치의 제 2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코일 클램핑장치의 제 3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코일 클램핑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코일 클램핑장치의 제 2 클램핑블록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의 전체구성을 사시도 및 정면 구성도로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 클램핑장치(1)는 크게 화차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코일(2)이 안착되고 하부측이 지지되는 제 1 클램핑부(30)와 코일의 상측 원주면이 지지되는 제 2 클램핑부(50) 및 코일의 측면부가 지지되는 제 3 클램핑부(7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각 구성부(10)(30)(50)(70)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이송 화차의 베드상에 장착되는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의 상기 제 1 클램핑부(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클램핑부(30)는 다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코일이 안착 클램핑되는 제 1 클램핑블록(34) 및,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과 베이스 플레이트 (10)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36)을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은 다시 저부블록(34b) 및 안착블록(34c)으로 나누어 지는데, 상기 저부블록(34b)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가이드수단(36)이 저부에 연결 고정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제 2 클램핑블록(58)의 작동을 위한 가이드홈(34a)이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의 안착블록(34c)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부블록(34b)의 상측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안착되는 코일(2)의 하측 원주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V형상으로 이루어 져, 코일(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V자형 안착블록(34c)상에는 코일 안착시 그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우이한 패드(34d)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는, 그 내부 오일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피스톤(32c)에 연결된 로드(32b)의 상단부 고정판(32a)이 고정되어 있고, 결국 상기 안착블록(34c)상에 코일(2)이 안착되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내의 오일을 코일의 자중만큼 압력을 받아 다음에 설명하는 제 3 클램핑부(70)의 제 2 유압실린더(74)를 전진 작동시키도록 하면서, 동시에 코일 안착시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는 완충역활을 하여 안착블록(34c)의 급속한 하강을 방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저부블록 (34b)사이에 설치된 총 4개의 가이드수단(36)은 안착블록(34c)과 저부블록 (34b)의 승,하강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3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바아(36a) 및, 상기 저부블록 (34b)의 저부에 수직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아(36a)에 삽입되는 지지파이프(36b)로 이루어 진다.
다음, 도 3,도 5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의 상기 제 2 클램핑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클램핑부(50)는 코일(2)의 상측 원주면을 지지 클램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에 형성된 가이드홈(34a)의 내측에서 이동토록 연결된 링크바아(52)와, 상기 링크바아(5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10)상에 설치된 수직대(54)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는 링크지지아암(56) 및,상기 링크지지아암(56)의 상단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코일 원주면을 클램핑하는 제 2 클램핑블록(58)을 갖추고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아(52)는 상기 제 1 클램핌블록 저부블록(34b)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34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로서 가이드홈(34a)에 이탈방지토록 연결되는 연결아암(52a)의 부싱(52b)외곽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어 회전 가능라게 저부블록(34b)의 내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아(52)의 단부에 핀(57) 연결된 상기 링크지지아암(56)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다음에 설명하는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이 핀(60) 연결되는 브라켓트(56a)가 설치되도록 고정판(56b)이 설치되어 측면상으로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지지아암(56)은 제 1 클램핑블록(34)의 양측으로 총 4개가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이의 중앙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54')에 힌지블록(54a')이 핀 연결되는 직선형 링크지지아암(56')이 배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 코일클램핑부(50)의 제 2 클램핑블록(58)은, Y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링크지지아암(56)에 연결되는 부분)가 상기 수직대(54)상에 설치된 링크지지아암(56)의 브라켓트(56a)에 핀(60) 연결되어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은 링크지지아암(56)의 상단부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0a 및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지지아암(56)의 상단부(56c)와 하측의 고정판(56b)사이의 브라켓트(56a)에 핀(60) 연결되는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의 하단부(58a)는 상기 링크지지아암 상단부(56c)와 고정판(56b)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코일(2) 원주면의 지지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결국 코일(2)의 직경이 가변되어도 제 2 클램핑블록(58)은 이에 대응하여 코일(2)을 안정적으로 클팸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에는 코일원주면을 손상없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롤(62)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3,도 5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의 상기 제 3 클램핑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클램핑부(70)는 코일(2)의 측면부를 지지 클램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일(2)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72)의 상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의 하강 작동시 전진 작동되는 제 2 유압실린더(74) 및, 상기 실린더(74)의 일측에 연결되어 코일(C)의 양측부를 클램핑하는 제 3 클램핑블록(76)을 갖추고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클램핑블록(76)은 상기 제 2 유압실린더(74)의 로드(74a)에 연결되는 T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T 형상의 실린더로드(74a)에는 코일측부를 손상없이 클램핑하는 한쌍의 지지롤(80)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제 2 유압실린더(74)사이에는 코일자중에 의한 제 1 유압실린더(32)의 로드 하강시 오일을 제2 유압실린더(74)로 보내어 제 2 유압실린더(74)를 전진작동시키는 오일관(9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유압실린더(74)의 내부에는 코일자중이 없는 경우 오일을 제 1 유압실린더(32)로 보내도록 하여 제 1 유압실린더(32)의 초기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78)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제 2 유압실린더(74)를 연결하는 오일관(90)에서 분기된 연결관(90a)에 설치되는 축압실린더(92)가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갖추어 지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축압실린더(92)는, 내부에 유압된 오일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스프링(94a)이 탄성 지지되는 조정판(94)과 오일의 출입을 수행하는 피스톤(96)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연공장에서 생산된 코일을 수요자에게 인도하기 위한 철도화차상에 코일들을 상차시키는 때에, 작업자의 수작업이 필요없고, 동시에 코일 자중에 의하여 코일의 상차시 자동적으로 코일을 개별 클램핑하도록 하여 코일의 이송을 보다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한 본 발명의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코일(2)이 본 발명인 장치(1)에서 제 1 클램핑부(30)의 제 1 클램핑블록(34)의 V자형 안착블록(34c) 패드(34d)상에 안착되면, 저부블록(34b)은 가이드수단(36)으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코일의 자체중량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블록(34)의 저부블록(34b)가이드홈(34a)에 핀 연결된 제 2 클램핑부(50)의 한쌍의 링크바아(52)는 저부블록 (34b)의 하강시 내측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고, 결국 상기 링크바아(520는 도 9a상태의 링크지지아암(56)을 당기게 되고, 상기 링크지지아암(56)상에 연결된 제 2 클램핑블록(58)의 지지롤(62)들은 코일(2)의 상부측 원주면에 밀착되면서 코일을 안착블록(34c)과 함께, 안정적으로 크램핑 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클램핑부(70)의 제 3 클램핑블록(76)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클램핑부(30)의 제 1 유압실린더(32)가 코일의 안착으로 그로드(32b)가 하강하면, 일체로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32c)이 하강하고, 결국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내부의 오일(h)은 오일관(90)을 통하여 제 2 유압실린더(74)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2)이 제 1 클램핑블록(34)의 안착블록(34c)에 안착되면 제 1 유압실린더(32)는 코일 하강시 완충역활을 하면서 오일(h)을 제 2 유압실린더 (74)에 보내어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78)을 압축시키면서 피스톤(74b)과 일체로 로드(74a)를 전진시키고, 결국 상기 로드(74a)에 연결된 T자형의 제 3 클램핑블록 (76)에 설치된 지지롤(80)은 코일(2)의 측면부를 자동적으로 클램핑하는 것이다.
다음,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이 화차에서 하차되거나 코일이안착되지 않으면, 오일(h)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2 유압실린더 (74)내의 스프링(78) 탄성력으로 피스톤(74b)은 후진하고 결국, 오일은 다시 제 1 유압실린더(32)내로 보내지고, 제 1 유압실린더(32)는 상승하여 안착블록(34c)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1)에 의하면, 코일(2)은 제 1 클램핑블록(34)의 안착블록(34c)에 하부 양측이 지지되고, 동시에 제 2 클램핑블록(58)의 지지롤(62)에 의하여 상측 원주면이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 3 클램핑블록(76)의 지지롤(80)이 코일 영측부를 지지하여 코일은 상차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안정적으로 클램핑되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유압실린더(32)(74)사이에 연결된 오일관(90)의 일지점에서 분기된 연결관(90a)에는 축압실린더(92)가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축압실린더(92)의 조정판(94)을 조정하면 내부에 유입되는 오일 (h)양이 조정되면서 스프링(94a)이 압축 또는 풀리게 되고, 결국 제 1 유압실린더 (32)가 코일 자중으로 하강하면, 상기 축압실린더(92)는 일부 오일이 스프링(94a)을 압축시키면서 유입되고, 제 1 유압실린더(32)가 압력이 없어지게 되어 상승하면 상기 스프링(94a)의 탄성력으로 축압실린더(92)내의 오일은 제 1 유압실린더(32)로 보내지면서 제 2 유압실린더(74)의 스프링(78) 탄성력에 더하여 보다 원활하게 제 1 유압실린더(32)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압실린더(92)의 조정판(94)을 외곽의조정너트를 풀고 밀게되면, 그 만큼 피스톤(96)사이의 스프링(94a)은 압축되어 피스톤 (96)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게 됨으로서, 코일의 자중에 따라 오일의 축적량을 조정하면서, 코일 자중에 따라 제 1,2 유압실린더(32)(74)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코일의 직경이 커서 자중이 크게되면, 상기 조정판(94)을 밀어서 축압실린더(92)로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압력을 높이면, 그만큼 제 1 유압실린더 (32)는 하강속도가 느려지면서 보다 높은 완충력을 갖게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혀 필요없이 크레인으로 코일을 장치중앙에 안착시키는 순간, 코일의 사방 즉, 하부 및 상부 원주면 및 측부가 클램핑되어 보다 신속하게 상차작업이 수행되고, 보다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작업자가 코일제품의 상차후 별도의 고정대를 수작업으로 클램핑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어 코일제품의 상차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코일상차시 클램핑작업이 자동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수행됨으로서, 기존 작업자의 클램핑불량에 따른 화차 이송중의 코일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코일의 상차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코일제품을 보다 신속하게 수요자에게 보낼 수 있어 수요자에 대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코일이송용 화차베드상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코일이 안착 클램핑되는 제 1 클램핑블록(34) 및,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과 베이스 플레이트(10)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 (36)을 갖춘 제 1 클램핑부(30);와,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에 형성된 가이드홈(34a)의 내측에서 이동토록 연결된 링크바아(52)와, 상기 링크바아(5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54)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는 링크지지아암(56) 및, 상기 링크지지아암(56)의 상단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코일 원주면을 클램핑하는 제 2 클램핑블록(58)을 갖춘 제 2 클램핑부(50); 및,
    코일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 수직대(72)의 상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의 하강 작동시 전진 작동되는 제 2 유압실린더(74) 및, 상기 실린더(74)의 일측에 연결되어 코일(C)의 양측부를 클램핑하는 제 3 클램핑블록(76)을 갖춘 제 3 클램핑부(70);로 구성된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제 2 유압실린더(74)사이에는, 코일자중에 의한 제 1 유압실린더(32)의 로드 하강시 오일(h)을 제 2 유압실린더 (74)로 보내어 제 2 유압실린더(74)를 전진 작동시키는 오일관(90)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유압실린더(74)의 내부에는 코일자중이 없는 경우 오일을 제 1 유압실린더(32)로 보내도록 하여 제 1 유압실린더(32)의 초기복귀를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78)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제 2 유압실린더(74)를 연결하는 오일관(90)에서 분기된 연결관(90a)에 설치되는 축압실린더(9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축압실린더(92)는 내부에 유압된 오일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스프링 (94a)이 탄성 지지되는 조정판(94) 과 오일의 출입을 수행하는 피스톤(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블록(34)은,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2)와 가이드수단(36)이 저부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홈(34a)이 형성된 저부블록 (34b); 및, 상기 저부블록(34b)의 상측으로 일체로 장착되고 상부에 패드 (34d)가 설치되어 내측으로 코일(C)이 안착 클램핑되는 안착블록(34c)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3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바아(36a); 및, 상기 저부블록(34b)의 저부에 수직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아 (36a)에 삽입되는 지지파이프(36b);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클래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클램핑부(50)의 제 2 클램핑블록(58)은, Y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수직대(54)상에 설치된 링크지지아암(56)의 브라켓트(56a)에 핀(60) 연결되어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은 링크지지아암 (56)의 상단부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클램핑블록(58)에는 코일원주면을 손상없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롤(62)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클램핑부(70)의 제 3 클램핑블록(76)은, 상기 제 2 유압실린더(74)의 로드(74b)에 연결되는 T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T 형상의 실린더로드(74b)에는 코일측부를 손상없이 클램핑하는 한쌍의 지지롤(80)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KR1020020013767A 2002-03-14 2002-03-14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KR10081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67A KR100815726B1 (ko) 2002-03-14 2002-03-14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67A KR100815726B1 (ko) 2002-03-14 2002-03-14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70A true KR20030073970A (ko) 2003-09-19
KR100815726B1 KR100815726B1 (ko) 2008-03-20

Family

ID=3222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67A KR100815726B1 (ko) 2002-03-14 2002-03-14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797B1 (ko) * 2019-09-26 2020-09-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상가 시스템
CN112059592A (zh) * 2020-08-31 2020-12-11 重庆宗申吕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上件的座圈压装生产线
CN116174526A (zh) * 2023-03-17 2023-05-30 河北昊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开关插座生产用的上板机
CN112059592B (zh) * 2020-08-31 2024-05-24 重庆宗申动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上件的座圈压装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62B1 (ko) 2012-02-21 2013-05-20 권영길 코일적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797B1 (ko) * 2019-09-26 2020-09-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상가 시스템
CN112059592A (zh) * 2020-08-31 2020-12-11 重庆宗申吕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上件的座圈压装生产线
CN112059592B (zh) * 2020-08-31 2024-05-24 重庆宗申动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上件的座圈压装生产线
CN116174526A (zh) * 2023-03-17 2023-05-30 河北昊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开关插座生产用的上板机
CN116174526B (zh) * 2023-03-17 2023-11-28 河北昊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开关插座生产用的上板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726B1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297B2 (en) Scissor lifting platform
US7581713B1 (en) Jack and safety stand
US4764075A (en) Load elevator
US4517698A (en) Cargo handling ramp
US4047625A (en) Gravity roller conveyors
JP2000508611A (ja) 使用者寄付き部を備えたトレーラ用伸縮式荷積み荷おろし機
US8360710B2 (en) Tiltable loading system and extendable platform for transferring cargo
US9375369B2 (en) Vehicle lift with biasing device
US20090272953A1 (en) Lift apparatus
US5464315A (en) Squeeze and lift apparatus
US6676220B2 (en) Dump rack
CA2971925C (en) Load manipulator
US20080056873A1 (en) Meshing wheel for transferring cargo
US5133633A (en) Low-angle slidably supported roll-back vehicle transport apparatus
US20020179555A1 (en) Storage system with automatic elevator
US4815711A (en) Hydraulic leveling apparatus for recreational vehicle & the like
US4516423A (en) Vehicle frame clamping and support apparatus
KR100815726B1 (ko) 코일자중을 이용한 코일 이송화차의 코일 클램핑장치
US3836014A (en) Vehicle lifting device
CN111605888A (zh) 一种用于卷钢安全底座的v型挡板结构
US20140248114A1 (en) Lifting device for conveyor equipped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3760961A (en) Load compensated car dumper clamp
US2334080A (en) Structure straightener
CN105253816A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