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882A - 증기 분사 청소기 - Google Patents

증기 분사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882A
KR20030073882A KR1020020013637A KR20020013637A KR20030073882A KR 20030073882 A KR20030073882 A KR 20030073882A KR 1020020013637 A KR1020020013637 A KR 1020020013637A KR 20020013637 A KR20020013637 A KR 20020013637A KR 20030073882 A KR20030073882 A KR 2003007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am
casing
pipe
pressur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074B1 (ko
Inventor
남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0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분사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와; 일단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는 증기관과; 상기 증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분사노즐과; 상기 증기관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와; 일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관과; 상기 공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과; 상기 공기관을 개폐하는 공기관개폐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증기 및 열풍을 분사할 수 있어 청소대상면의 오염 제거,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고 청소후 청소대상면에 습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 분사 청소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증기 분사 청소기{STEAM INJECTION CLEANER}
본 발명은, 증기 분사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 및 열풍을 분사할 수 있어 청소대상면의 오염 제거,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고 청소후 청소대상면에 습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증기 분사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증기 분사 청소기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노즐을 통해 청소 대상면에 분사하여 청소 대상면의 얼룩 및 오염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청소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증기 분사 청소기는 욕실 및 조리실 등의 얼룩제거, 헌 벽지 제거, 화장실 바닥 및 변기 등의 찌든 때, 부엌의 기름 찌든 때 등의 제거와, 진드기 및 세균의 살균 및 소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기 분사 청소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증기의 온도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분사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고 물(15)이 가열되어 증기(16)가 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용기(21)와, 압력용기(21)의 내부에 증기(16)가 발생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된 물(15)을 가열하는 히터(31)와, 일단은 압력용기(21)의 내부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케이싱(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증기관(41)과, 증기관(41)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증기관(41)을 따라 유동된 증기(16)를 분사시키는 증기분사노즐(43)과, 증기관(41)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4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캐니스터(Canister) 또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저부영역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휠(13)이 구비되어 있다.
압력용기(21)의 상면 일측에는 내부에 물(15)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구(22)에는 주입구마개(23)가 구비되어 있다. 주입구(22)의 일측에는 압력용기(21)의 내부 압력이 과다 상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안전장치(25)의 일측에는 증기관(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증기관결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용기(21)의 저부영역에는 압력용기(21)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2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증기분사노즐(43) 및 증기관개폐밸브(44)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손잡이(42)의 형태로 구성되며, 손잡이(42)에는 청소 대상면에 적합한 여러 형태의 노즐, 예를 들면 바닥노즐, 핸드노즐, 원형노즐, 유리창 노즐 등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주입구(22)를 통해 압력용기(21)의 내부에 물(15)이 수용되고 히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에는 증기(16)가 발생된다. 가열이 계속되어 압력용기(21)의 내부 압력이 상승된 후, 증기분사노즐(43)을 청소 대상면에 대고 증기관개폐밸브(44)를 개방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의증기(16)가 청소대상면에 분사되어 대상면의 오염 및 얼룩이 용이하게 제거된다. 이 때, 고온의 증기(16)에 의해 진드기 및 세균 등의 살균 및 소독이 수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증기 분사 청소기에 있어서는, 증기분사노즐(43)로부터 분사된 증기(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분사노즐(43)의 끝단으로부터 조금만 멀어져도 온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청소대상면으로부터 증기분사노즐(43)이 멀어지게 될 경우 살균 및 소독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증기(16)는 청소대상면에 분사될 경우 쉽게 응축되어 잘 마르지 않기 때문에 청소후 습기가 잔류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이 따르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및 열풍을 분사할 수 있어 청소대상면의 오염 제거,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고 청소후 청소대상면에 습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 분사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증기 분사 청소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증기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증기의 온도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싱21 : 압력용기
30 : 전열핀31 : 히터
41 : 증기관43 : 증기분사노즐
44 : 증기관개폐밸브51 : 공기관
53 : 공기분사노즐54 : 공기관개폐밸브
55 : 공기가이드61 : 송풍팬
63 : 공기가열히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와; 일단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는 증기관과; 상기 증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분사노즐과; 상기 증기관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와; 일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관과; 상기 공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과; 상기 공기관을 개폐하는 공기관개폐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관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외부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전열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을 가지는 전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관의 입구의 상류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관의 입구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전열부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전열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상기 공기분사노즐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관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가열히터는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송풍팬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관은 상기 공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 분사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15) 및 증기(16)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용기(21)와, 압력용기(21)의 내부의 물(15)을 가열하는 히터(31)와, 일단은 압력용기(2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11)의 외부로 연장 인출되는 증기관(41)과, 증기관(41)의 말단에 결합되는 증기분사노즐(43)과, 증기관(41)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44)와, 일단은 케이싱(11)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11)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관(51)과, 공기관(51)을 개폐하는 공기관개폐밸브(54)와, 공기관(51)의 말단에 결합되는 공기분사노즐(53)과,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관(51)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6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1)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캐니스터(Canister) 또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저부영역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휠(13)이 구비되어 있다.
압력용기(21)는 내부에 수용된 물(15)이 가열되어 증기(16)로 될 경우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물(15)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22)에는 주입구(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주입구마개(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주입구(22)의 일측에는 증기관(41)이 상호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증기관결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용기(21)의 저부영역에는 압력용기(21)의 내부에 수용된 물(15)을 가열하는 히터(31)와,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27)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1)의 일측에는 케이싱(11)과 상호 연통되게 공기관(5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관(51)의 입구영역에는 공기가이드(55)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가이드(55)의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공기가열히터(63)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가열히터(63)의 일측에는 공기가열히터(63)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기관(51)을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팬(61)이 마련되어 있다.
공기관(51)의 말단에는 송풍팬(6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공기분사노즐(53)이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분사노즐(53)의 일측에는 공기관(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관개폐밸브(5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력용기(21)의 내부에 물(15)이 주입된 상태에서 히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의 물(15)이 가열되어 압력용기(21)의 내부에는 증기(16)가 발생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증기(16)가 분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 증기분사노즐(43)을 청소대상면에 대고 증기관개폐밸브(44)를 조작하여 증기관(41)이 개방되도록 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의 증기(16)가 증기분사노즐(43)을 통해 청소대상면에 분사된다.
한편, 증기(16)가 분사된 청소대상면에 열풍을 분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분사노즐(53)을 청소대상면에 대고 공기관개폐밸브(54)를 조작하여 공기관(51)이 개방되도록 한다. 공기가열히터(63) 및 송풍팬(61)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공기가열히터(63)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61)에 의해 유동되어 공기분사노즐(53)을 통해 청소대상면에 분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 분사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력용기(21)와, 압력용기(21)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는 증기관(41)과, 증기관(41)에 결합되는 증기분사노즐(43) 및 증기관개폐밸브(44)와, 케이싱(1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는 공기관(51)과, 공기관(51)에 결합되는 공기분사노즐(53) 및 공기관개폐밸브(54)와, 압력용기(21)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61)과, 압력용기(21)의 외면에 공기와의 전열면적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전열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관(51)의 입구에는 송풍팬(6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공기관(5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기가이드(5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열핀(30)은 압력용기(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전열핀(30)의 상류측에는 송풍팬(61)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히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에는 증기(16)가 발생되고, 압력용기(21) 자체의 온도도 상승하게 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증기관(41)이 개방되도록 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의 증기(16)는 증기분사노즐(43)을 통해 청소대상면에 분사된다.
한편, 공기관(51)이 개방된 상태에서 송풍팬(61)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팬(61)이 구동되면, 내부의 공기는 전열핀(30)을 경유하여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공기관(51)을 따라 유동하여 공기분사노즐(53)을 통해 청소대상면에 분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분사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 분사 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15) 및 증기(16)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용기(21)와, 증기(16)의 분사를 위해 압력용기(21)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는 증기관(41)과, 증기관(41)의 말단에 결합되어 증기(16)를 분사하는 증기분사노즐(43)과, 증기관(41)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44)와, 일단이 케이싱(11)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내부에 증기관(41)이 수용결합되며 증기관(41)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동로가 형성되는 공기관(51)과, 공기관(51)의 말단에 결합되는 공기분사노즐(53)과, 공기관(51)을 개폐하는 공기관개폐밸브(54)와,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어공기관(51)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61)과, 압력용기(21)의 전열면적이 증대되도록 압력용기(21)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열핀(30)과, 공기관(51)과 송풍팬(61)의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히터(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력용기(21)의 상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리브형태의 복수의 전열핀(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전열핀(30)의 상류측에는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팬(61)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송풍팬(61)의 하류측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공기가열히터(6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1)의 상부영역에는 케이싱(11)의 내부의 공기를 공기관(51)이 인입되어 있으며, 공기관(51)은 내부에 증기관(41)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증기관(41)에 비해 확장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관(51)의 단부에는 송풍팬(61)에 의해 유동되고 전열핀(30)과 접촉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공기관(5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기가이드(5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관(51) 및 증기관(41)의 각 말단영역에는 공기 및 증기(16)를 각각 분사할 수 있도록 공기분사노즐(53) 및 증기분사노즐(43)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공기분사노즐(53)의 내부에는 증기분사노즐(43)이 상호 동심적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공기관(51) 및 증기관(41)에는 이들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관개폐밸브(54) 및 증기관개폐밸브(4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히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력용기(21)의 내부에는 증기(16)가 발생되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증기(16)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때 증기분사노즐(43)을 청소대상면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증기관개폐밸브(44)가 개방되도록 하면 증기분사노즐(43)을 통해 증기(16)가 청소대상면에 분사된다.
한편, 청소대상면에 증기(16)를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관(51)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송풍팬(61) 및 공기가열히터(63)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송풍팬(61)이 구동되어 유동된 공기는 전열핀(30)과 접촉되어 열교환됨과 아울러 공기가열히터(63)에 의해 가열되고 승온된 공기는 공기가이드(55)에 의해 공기관(51)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증기(16) 온도가 강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청소대상면에 분사되어 청소대상면의 습기를 제거하고, 살균 및 소독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소정의 압력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용기와, 압력용기를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히터와, 압력용기의 증기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증기관과, 증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분사노즐과, 증기관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와, 케이싱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공기관과, 공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과, 공기관을 개폐하는 공기관폐밸브와, 케이싱의 내부의 공기를 공기관의 입구영역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구비하여 증기 및 열풍을 청소대상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대상면의 오염 및 얼룩, 찌든 때, 세균 및 진드기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후 청소대상면에 습기가 잔류되지 않도록 한 증기 분사 청소기가 제공된다.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와; 일단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는 증기관과; 상기 증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분사노즐과; 상기 증기관을 개폐하는 증기관개폐밸브와; 일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관과; 상기 공기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과; 상기 공기관을 개폐하는 공기관개폐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외부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전열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을 가지는 전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관의 입구의 상류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관의 입구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전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상기 공기분사노즐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가열히터는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송풍팬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관은 상기 공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분사 청소기.
KR10-2002-0013637A 2002-03-13 2002-03-13 증기 분사 청소기 KR10043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37A KR100434074B1 (ko) 2002-03-13 2002-03-13 증기 분사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37A KR100434074B1 (ko) 2002-03-13 2002-03-13 증기 분사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82A true KR20030073882A (ko) 2003-09-19
KR100434074B1 KR100434074B1 (ko) 2004-06-04

Family

ID=322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637A KR100434074B1 (ko) 2002-03-13 2002-03-13 증기 분사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0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76B1 (ko) * 2002-03-22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의 스팀온도 유지장치
KR100486558B1 (ko) * 2002-05-08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분사 청소기의 압력용기
CN114206182A (zh) * 2019-08-08 2022-03-18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具有空气喷射组合件的机器人清洁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15B1 (ko) 2006-06-09 2008-06-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청소기 및 스팀청소기용 물탱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459A (en) * 1980-04-14 1982-05-04 Metropolitan Vacuum Cleaner Co., Inc. Combined steam and vacuum cleaner
JP2912144B2 (ja) * 1993-10-06 1999-06-28 株式会社 デナロ 蒸気を用いた清掃機能を有するマルチクリーナー
JP3453965B2 (ja) * 1995-11-10 2003-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ゅうたんメンテナンス機
JPH09141220A (ja) * 1995-11-16 1997-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チーム掃除機
DE20001650U1 (de) * 2000-01-31 2000-03-23 Chen Chung Ming Dampfabgebendes Reinigungsgerä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76B1 (ko) * 2002-03-22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의 스팀온도 유지장치
KR100486558B1 (ko) * 2002-05-08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분사 청소기의 압력용기
CN114206182A (zh) * 2019-08-08 2022-03-18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具有空气喷射组合件的机器人清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074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868Y1 (ko)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KR101897245B1 (ko) 코핸드워시 드라이장치
KR100928162B1 (ko) 청소기의 노즐
US8239999B2 (en) Mop assembly with steam generation device
KR20100023175A (ko) 식기 세척기
JP4567792B2 (ja) 手乾燥装置
KR102165102B1 (ko) 세정장치
KR101037414B1 (ko) 에어 세탁 장치
JP4226382B2 (ja) 洗浄乾燥機
KR100899230B1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손소독기
KR100434074B1 (ko) 증기 분사 청소기
KR100404114B1 (ko) 스팀청소기의 증기발생장치
JP2008284698A (ja) 金型洗浄装置
KR200415185Y1 (ko) 탈착이 가능한 걸레청소기용 스팀분사기구
JP2835139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0550600B1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CN211355965U (zh) 一种消毒供应中心器械清洗器
JP2000060763A (ja) 手洗浄乾燥装置
KR100992774B1 (ko) 변기시트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CN1270664C (zh) 蒸汽喷射吸尘器
KR950012992B1 (ko) 증기분사식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JP2019092591A (ja) 洗浄装置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KR100503830B1 (ko) 공기 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CN219183552U (zh) 蒸汽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