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621A -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621A
KR20030073621A KR1020020013271A KR20020013271A KR20030073621A KR 20030073621 A KR20030073621 A KR 20030073621A KR 1020020013271 A KR1020020013271 A KR 1020020013271A KR 20020013271 A KR20020013271 A KR 20020013271A KR 20030073621 A KR20030073621 A KR 2003007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high speed
slave
mast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724B1 (ko
Inventor
홍성백
이후성
허진
한상백
김병조
박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1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7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 기기 간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1Mbps를 초과하는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고속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규약을 따르는 블루투스 장착 기기들과, 블루투스 규약을 지원하면서 고속도의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고속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피코넷을 이루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규약을 따르는 블루투스 기기들과, 블루투스 규약을 지원하면서 고속의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 기능을 가지는 고속 기기들이 블루투스 규약에서 제시하는 피코넷 구조를 유지하면서 블루투스 규약의 723Kbps 보다 월등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 기기 간의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pparatus mounted with bluetooth and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 기기 간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1Mbps를 초과하는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고속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2.4GHz 대역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기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약을 일컫는다. 이러한 블루투스 규약을 따르는 두 개의 단말기들은 서로를 인식한 후 링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블루투스 규약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비트 처리속도를 1Mbps로, 헤더(Header) 및 기타 다른 오버헤드(Over Head)를 고려한 실제 사용자 데이터 전송속도를 최대 723Kbps로 정의 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에서의 주파수 호핑 방식(Frequency Hopping)을 사용하여 다른 무선 장비로부터의 간섭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한 전파 환경 악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근거리 송수신을 목표로 함으로 적은 소비 전력만을 사용한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723Kbps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 속도는 보급형 가정용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전송속도, 예컨대 2Mbps의 전송속도 보다도 훨씬 느리기 때문에, 블루투스 시스템의 커다란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블루투스 규격에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의 비트 처리 속도는 현재의 기술 수준에 비해 적정 수준 이하로 낮은 속도이다. 하나의 예로 무선 랜 규약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에서는 22Mbps이상의 비트 처리 속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Mbps를 초과하는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고속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단말기 간에 호환이 가능한 고속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일례로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링크의 시분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링크에서의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고속 링크에서의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고속 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또는 블루투스 모드에서 고속 모드로 전환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스터 고속 기기 20, 30 : 슬레이브 고속 기기
40 :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
본 발명은 근거리 네트워크 내에서 다수의 고속 기기 및 블루투스 장착 기기가 하나의 피코넷을 이루는 단계와, 마스터의 연결요청에 따라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초기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와 상기 슬레이브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및 블루투스 장착 기기중 어느 하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가 상기 고속 기기이면, 고속 링크를 설정하여 고속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단말기 간에 호환이 가능한 고속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일례로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은 블루투스 규약을 통해 정의되는 최소 구성 단위인 피코넷(Piconet)을 공통으로 사용하며, 마스터(Master)로 동작하는 마스터 고속 기기(10)와,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하는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내지 30) 및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를 포함한다.
마스터 고속 기기(10) 및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및 30)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데이터 전송 기능과, 1Mbps를 초과하는 비트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고속 무선 단말 기능을 모두 지원하고 있는 기기를 칭한다. 아울러,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는 블루투스가 장착된 기기로서, 일반적인 블루투스 규약만을 따르는 기기를 칭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피코넷의 마스터로 동작하는 마스터 고속 기기(10)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및 30) 및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 중에서 자신이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가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및 30)인지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인지를 먼저 파악한다. 이 때,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가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이면, 일반적인 블루투스 규약에 따라 블루투스 링크(BL)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가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및 30)중 어느 하나이면, 고속의 비트 처리 기능을 사용하는 고속 링크(HL)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고속 링크(HL)는 1Mbps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고속 기기들은 넓은 주파수 대역의 사용, 모듈레이션 방식의 적용 등 종래의 고속 전송 기술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기기가 각각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마스터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기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블루투스 타임 슬롯을 625㎲(즉, 1/1600초) 단위로 하여 시분할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마스터 슬롯 즉, 짝수 번째 슬롯에서는 마스터가 슬레이브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홀수 번째 슬레이브 슬롯에서는 슬레이브가 마스터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슬레이브 슬롯에서 어떤 슬레이브가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는 마스터가 결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속 기기의 타임 슬롯은 블루투스 규약에 정의된 타임 슬롯과는 다른 고속 타임 슬롯 단위를 적용한 TDD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고속 링크가 사용하는 고속 타임 슬롯의 길이는 블루투스 타임 슬롯의 길이의 1/n(n은 자연수)로 한다. 이렇듯, 블루투스 타임 슬롯이 고속 타임 슬롯의 정수 배이므로, 하기에서 설명할 블루투스 모드 구간과 고속 모드 구간 사이의 변환에 있어서 슬롯의 정렬(Align)이 유지된다. 예컨대, 하기에서는 'n=2'일 경우에 대해서만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고속 링크에서는 고속도의 비트 처리 속도를 가지는 것 외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방식을 사용한 에러 처리 방식, FEC(Forward Error Correction)방식을 사용한 에러 복원 방식은 블루투스 규약에서 정의된 규약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이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링크에서의 패킷 포맷(Packet Format)은 블루투스 규약에서 사용하던 패킷 포맷과 거의 유사하다.
상세히 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블루투스 링크의 패킷 포맷과, 고속 링크의 패킷 포맷의 구조는 액세스 코드(Access Code), 헤더(Header), 페이로드 헤더(Payload Header) 및 페이로드(Payload)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속 링크의 패킷 포맷의 액세스 코드(Access Code) 부분은 고속 링크가 사용하는 고속 기기에 알맞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고속 링크 데이터 패킷의 액세스 코드 부분은 고속 기기의 변복조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DBPSK 모듈레이션 방식의 고속 전송 기술을 적용할 경우, 액세스 코드 부분은 '0 0 0 0 0 0 1 0 0 1 1 1 0 1 0 1'의 반복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의 최대 길이 또한 주어진 고속 타임 슬롯 길이와, 고속 기기의 비트처리 기능에 맞도록 늘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규약에서는 정의되지 않았던 페이로드 헤더의 비트들을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상기의 내용을 토대로,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방법을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피코넷의 마스터로 동작하는 마스터 고속 기기(10)의 연결요청(Page)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속된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또는 블루투스 기기인 것과 무관하게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초기 링크는 블루투스 링크로 설정하여 접속한다(단계 S10).
이어서, 마스터 고속 기기(10)는 연결요청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속된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또는 블루투스 기기인지를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Link Manager Protocol)을 확장하여 확인한다. 이 때,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의 확장은 일반적인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에 몇가지 PDU(Protocol Data Unit)를 새로 정의하여 구현하는데, 구체적으로 슬레이브가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규약에 정의되어 있는 응답, 이를 테면 'Unknown PDU'와 같은 응답을 전송하고, 슬레이브가 슬레이브 고속 기기(20 및 30)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확장된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에서 규정한 응답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고속 기기(10)는 물리적으로 접속된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또는 블루투스 기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
예컨대,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의 확장은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또는 블루투스 기기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새로이 'LMP_check_high_rate'와 같은 PDU를 정의하여 일반적인 PDU와 겹치지 않는 명령 코드를 배정해준다. 이에 따라, 확장되지 않은 일반적인 링크 매니저는 이해할 수 없는 PDU를 받았을 경우 'Unknown_PDU'라는 응답을 전송하므로, 상대방 기기가 확장된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확장되지 않은 일반적인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0에서, 마스터 고속 기기(10)와 물리적으로 접속된 슬레이브가 슬레이브 블루투스 기기(40)인 경우에는 초기에 설정된 블루투스 링크(BL)를 통해 블루투스 모드로만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되고(단계 S30), 블루투스 고속 기기(20 및 30)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고속 링크(HL)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확장된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을 통해 교환하여 내용을 합의한다. 이 때, 상기 정보에는 고속 링크에서 사용할 모듈레이션 방식, 주파수 영역 및 최대 데이터 길이를 포함한다. 이후,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면 고속 모드로 전환할 시간과 간격을 셋팅(Setting)하여 고속 링크 설정을 마무리 한다(단계 S40). 여기서, 확장된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에서 새롭게 추가된 PDU들은 일반적인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에서 SCO(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홀드, 파크 모드 전환에서 사용된 요청-허락 방식으로 교환하여 고속 링크를 위한 약속을 설정한다.
상기 단계 S40에서 고속 링크(HL)가 설정되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에 마스터 고속 기기(10)와, 슬레이브 고속 기기들(20 및 30)중 어느 하나, 예컨대 슬레이브 고속 기기(20)가 고속 모드로 전환하여 고속 링크(HL)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단계 S50).
한편, 고속 모드에서 고속 링크(HL)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마스터 고속 기기(10)와 블루투스 고속 기기(20)는 블루투스 모드로 회귀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귀는 어느 한 측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모드에서는 맨 처음 물리적 연결을 맺은 블루투스 링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고속 모드로 돌아갈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고속 링크 설정(단계 S40)을 다시 하거나, 이전 설정 그대로 고속 모드 설정(단계 S50)을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고속 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또는 블루투스 모드에서 고속 모드로 전환하는 일례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고속 기기들과 블루투스 기기들이 하나의 피코넷을 이루게 되면, 마스터(고속 기기)가 고속 링크로 통신하는 시간(고속 모드 구간)과 블루투스 링크로 통신하는 시간(블루투스 모드 구간)으로 분리하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행한다.
예컨대, 마스터가 슬레이브#2(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슬레이브#2의 주소로 연결요청을 하면, 슬레이브#2는 마스터의 연결요청에 따라 마스터와의 연결을 형성한다. 이로써, 마스터와 슬레이브#2 간의 물리적인 연결이 형성되면, 마스터와 슬레이브#2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지는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 동작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상태인 블루투스 모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마스터가 슬레이브#1과의 새로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슬레이브#1로 연결요청을 하면, 이 연결요청에 따라 마스터와 슬레이브#1 간에 물리적인 접속이 형성된다. 이때, 마스터와 슬레이브#1 간에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드 상태가 형성된다. 이후, 마스터는 물리적으로 접속된 슬레이브#1이 고속 기기인지를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확인하고, 고속 기기인 경우 슬레이브#1과 고속 링크를 설정하여 고속 모드 상태로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1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한 블루투스 모드 상태에서 초기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후, 새롭게 설정된 고속 링크를 통한 고속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수신 동작은 마스터와 슬레이브#1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속 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또는 블루투스 모드에서 고속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그 전환 시점은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서로 일치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즉, 슬레이브들이 고속 모드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도 마스터는 블루투스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마스터는 다른 슬레이브와의 새로운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 모드 전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1이 블루투스 모드와 고속 모드로 동일 시점에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는 블루투스 모드 구간에서 모든 블루투스 슬레이브들(도면 상에는 슬레이브#2)과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는, 모든 고속 슬레이브들 역시 블루투스 링크를 가지고 있어, 블루투스 모드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마스터는 고속 모드 구간에서 고속 슬레이브들(도면 상에는 슬레이브#1)과 만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슬레이브들은 이 구간 동안 어떠한 데이터도 송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마스터는 정기적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회귀해야 한다.
도 5b에서는 마스터 만이 블루투스 모드로 회귀하고, 고속 슬레이브인 슬레이브#1과 슬레이브#2는 고속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슬레이브들이 고속 기기로만 이루어질 경우에도, 마스터는 정기적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회귀해야 한다. 이는, 블루투스 모드에서만 새로운 물리적 연결을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슬롯 길이가 블루투스 모드 구간과 고속 모드 구간에서 차이가 있더라도, 그 구간 끝에서의 정렬은 일치하여야 한다. 만약 하나의 모드 구간이 너무 길 경우 각각의 슬레이브들의 PLL(Phase Locked Loop)의 성능 때문에 이러한 정렬이 어긋날 수 도 있다. 이럴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터는 블루투스 모드 구간과 고속 모드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정기적으로 두 모드를 전환하여 줌으로써 정렬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상기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규약을 따르는 블루투스 기기들과, 블루수트 규약을 지원하면서 고속의 비트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 기능을 가지는 고속 기기들이 블루투스 규약에서 제시하는 피코넷 구조를 유지하면서 블루투스 규약의 723Kbps 보다 월등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a) 근거리 네트워크 내에서 다수의 고속 기기 및 블루투스 장착 기기가 하나의 피코넷을 이루는 단계;
    (b) 마스터의 연결요청에 따라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초기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와 상기 슬레이브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슬레이브가 고속 기기 및 블루투스 장착 기기중 어느 하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가 상기 고속 기기이면, 고속 링크를 설정하여 고속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구별되기 위해 PDU가 확장된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기기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데이터전송 기능과, 적어도 1Mbps를 초과하는 비트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고속 무선 단말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링크의 타임 슬롯 길이의 1/n(n은 자연수)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을 이용한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모드는 블루투스 규약과 동일한 패킷 재전송 방식 및 에러 검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가 상기 블루투스 기기이면, 상기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후, 상기 마스터와 상기 슬레이브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의해 상기 고속 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2-0013271A 2002-03-12 2002-03-12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KR10041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71A KR100418724B1 (ko) 2002-03-12 2002-03-12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71A KR100418724B1 (ko) 2002-03-12 2002-03-12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21A true KR20030073621A (ko) 2003-09-19
KR100418724B1 KR100418724B1 (ko) 2004-02-18

Family

ID=3222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271A KR100418724B1 (ko) 2002-03-12 2002-03-12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6353B2 (en) 2004-08-02 2009-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6353B2 (en) 2004-08-02 2009-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724B1 (ko)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5882B2 (ja) 無線通信装置
US7058040B2 (en) Channel interference reduction
EP2259498B1 (en)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US7602754B2 (e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services to master and slave mobile devices
US6804542B1 (en) Sleep modes in peer-to-peer communications
KR0149951B1 (ko) 스펙트럼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902516B2 (ja) 干渉低減用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20050071714A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daptive to data quality on radio-transmission and a method of data transmission therefor
JPH10257097A (ja) 広帯域デジタル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広帯域デジタル無線通信端末
US20040125821A1 (en) Network synchronisation
TWI827835B (zh) 用於基於調變方案之串流參數的動態組態的方法及無線通信裝置
EP1716669B1 (en) Protocol for indicating enhanced capabilities for use by short-range wireless connectivity equipment
US7684465B1 (en)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protocol
EP1222776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frequency bands used by a low power radio frequency device
US200301391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nection rate
US20020003812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2002010703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EP1865666A2 (en) Synchronis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418724B1 (ko) 블루투스 장착 기기와 고속 무선 통신기기 간의 무선통신방법
JPH11220459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US6970440B1 (en) Enhanced performance in frequency hopping wireless communications by combining frequency dwelling with data transmission adjustments
KR100481529B1 (ko) 비연결 지향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방법
JP2001045012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方法、データ受信装置及び方法、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732252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100365157B1 (ko) 블루투스에서 에프에이치에스 패킷을 이용한 원격제어정보전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