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053A -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053A
KR20030072053A KR1020020011589A KR20020011589A KR20030072053A KR 20030072053 A KR20030072053 A KR 20030072053A KR 1020020011589 A KR1020020011589 A KR 1020020011589A KR 20020011589 A KR20020011589 A KR 20020011589A KR 20030072053 A KR20030072053 A KR 2003007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ly
electrokinetic
purification system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692B1 (ko
Inventor
이기세
고성환
송현주
심두섭
박수진
이효상
김호중
홍순명
백용수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필
이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필, 이기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필
Priority to KR10-2002-001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6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09C1/08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e.g. by electrokin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다수의 동전기(70a)(80a)를 이용하여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고, 정화작용에 사용되는 세척액을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토양의 신속한 정화와 아울러 이에 소요되는 정화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system of 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
본 발명은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는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전기로서 오염토양을 정화하도록 된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른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의해서 대량의 유기성 폐기물이 발생되어 수질, 대기, 토양, 해양 등의 환경오염이 심각하게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환경오염중에서 특히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은 인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써 과학자들이나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부단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반면, 환경오염중에서의 토양오염은 시각적으로나 감각적으로도 인류에 미치는 정도가 위의 환경오염에 비해서는 다소 미약하여 다른 환경오염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다소 적어 대개의 경우에는 오염된 토양이 그대로 방치되어 왔고, 그로 인해서 오염된 토양의 정화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토양오염은 지하에 침투한 오염물질이 지질을 오염시키는 현상으로, 이러한 오염물질은 지하수나 지하공기 등 지질 중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오염시키게 되고, 특히 산업이 더욱 발달되면서 유류를 비롯한 각종 산업폐기물, 중금속이 대량으로 발생함에 따라 토양오염이 매우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토양의 오염은 대개의 경우가 중금속에 의한 오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바, 중금속에 의해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 중에는 대표적으로 차폐처리, 증기추출, 토양세척기술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차폐처리 기술로는 차단공, 차수공, 복토, 식재공 등이 있는데, 토양오염 수준에 따라 이에 해당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기술은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오염원의 확산을 막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인 토양의 오염은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기추출은 토양내 압력을 낮추어 유기오염물을 기화시킴으로써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휘발성이 큰 유기오염물질의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중금속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효능은 저하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동력과 설치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양세척기술은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사전 기초연구를 통하여 적절한 세척제를 선정한다면 비교적 단시간에 높은 효율로 토양을 정화할 수 있으나, 이러한 토양세척에 있어서는 토양입자의 크기가 작고, 다공도가 작은 치밀한 조직의 점토(clay)류의 토양에 대해서는 압력/진공 등에 의한 세척제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다는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점토류의 토양에 대해서는 세척제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 고압/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너지비용이 증가하는 한편, 토양내 불균일한 틈새로 세척제 흐름이 확산/이동하는 편류(channeling)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비(非)오염지역으로 세척제 및 오염물질이 이동할 수 있어, 세척효율의 감소는 물론 사용되는 세척제의 낭비와 비오염지역의 2차 오염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전기를 통해서 오염된 토양속에 세척액을 공급하여 중금속은 걸러내고, 유기오염물은 용해시켜 정화시킴과 아울러 이의 세척액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집중식의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액처리조가 구비된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액처리조가 구비된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액처리조가 구비된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정화시스템10 : 세척액공급수단
12 : 공급탱크14 : 공급관
16 : 공급펌프20 : 세척액회수수단
22 : 배수관24 : 배수펌프
26 : 회수탱크30 : 폐액처리조
30a : 유입관30b : 배출관
40 : 이온교환수지50 : 양극극판
52 : 음극극판54 : 양이온교환막
60 : 염화철첨가조62 : 수인산나트륨첨가조
62a : 황산칼륨첨가조64 : 수산화나트륨첨가조
70 : 양극동전기군70a : 양극동전기
80 : 음극동전기군80a : 음극동전기
90 : 전원부92 : 전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정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화시스템은 오염된 토양속에 같은 전극끼리 일렬로 소정의 간격으로서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 전극의 사이에는 이에 대응한 전극이 일렬로 소정의 간격으로서 이격되게 구비된 동전기군과; 상기 양극동전기군과 인접한 일측에 절곡된 공급관의 일측이 각각 구비되고, 이 공급관의 일단부에는 세척액이 저장되어 있는 공급탱크가 구비되며, 이 공급관상에는 공급탱크내의 세척액을 공급관내로 토출시키도록 된 공급펌프로 이루어진 세척액공급수단과; 상기 음극동전기군과 인접한 일측에 절곡된 배수관의 일측이 각각 구비되고, 이 배수관의 일단부에는 오염원을 함유한 세척액이 회수되어서 저장되는 회수탱크가 구비되며, 이 배수관상에는 배수관내의 세척액을 회수탱크내로 유입시키도록 된 배수펌프로 이루어진 세척액회수수단과; 상기 동전기군에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정화시스템에는 세척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시키는 폐액처리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폐액처리조는 세척액내의 중금속이 결합되어 정화하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처리조와, 세척액을 환원시켜서 중금속을 분리 및 침전시키는 전기분해조와, 세척액의 착화합물과 중금속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정화시키는 화학침전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화시스템(2)은 크게 동전기(70a)(80a)와, 세척액공급수단(10), 세척액회수수단(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동전기(70a)(80a)는 양극동전기(70a)와 음극동전기(80a)로 이루어져서 오염된 토양속에 구비되며, 상기한 각 동전기(70a)(80a)는 같은 전극을 갖는 동전기(70a)(80a)끼리는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서 구비된다.
상기한 양극동전기(70a)는 다수의 양극동전기(70a)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서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나의 양극동전기군(70)을 형성하고, 이 양극동전기군(70)의 사이에는 다수의 음극동전기(80a)가 양극동전기(70a)에 대응하게 구비되어서 하나의 음극동전기군(8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양극동전기(70a)와 음극동전기(80a)에는 전선(92)을 매개로 전원부(90)가 연결되어서 같은 전극끼리 이루어진 동전기군(70)(80)에는 동일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양극동전기군(70)은 모두 전원부(90)의 양극에 연결되고, 음극동전기군(80)은 모두 전원부(90)의 음극에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세척액공급수단(10)은 세척액이 저장되어 있는 공급탱크(12)가 구비되며, 이 공급탱크(12)에는 그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하게 절곡되어서 양극동전기군(70)에 인접되게 설치된 공급관(14)이 구비되며, 이공급관(14)상에는 공급탱크(12)로부터의 세척액을 공급관(14)내로 토출시키도록 된 공급펌프(16)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세척액공급수단(10)의 반대편에는 세척액회수수단(20)이 구비되는 바, 이 세척액회수수단(20)은 오염원을 함유한 세척액이 회수되어 저장되는 회수탱크(26)가 구비되고, 이 회수탱크(26)에는 그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하게 절곡되어서 음극동전기군(80)에 인접되게 설치된 배수관(22)이 구비되며, 이 배수관(22)상에는 배수관(22)내의 세척액을 회수탱크(26)내로 토출시키도록 된 배수펌프(24)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정화시스템(2)의 세척액은 오염물질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착화합물 혹은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이디티에이(EDTA :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와, 구연산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전기(70a)(80a)간의 이격거리는 0.5m∼5m로서, 이는 동전기(70a)(80a)간의 이격거리가 0.5m이하일 경우에는 협소한 이격거리로 인해서 많은 양의 동전기(70a)(80a)가 소요되어 설치비용의 상승요인이 되고, 5m이상일 경우에는 오염된 토양의 정화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원부(90)로부터 동전기(70a)(80a)로 공급되는 전류는 0.1∼10㎃/㎠이고, 전압은 10∼330V의 전기자의 세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오염된 토양속에 양극동전기(70a)를 대략 1m 정도로 이격시킨 상태로 일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이후, 상기한 양극동전기군(70)의 상방 내지 하방에는 음극동전기(80a)가 설치되는 바, 이 음극동전기(80a)는 양극동전기(70a)와 대략 1m 정도로 이격되어서 양극동전기(70a)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전기(70a)(80a)상에 전선(92)을 매개로 전원부(90)를 연결하고, 양극동전기군(70)과 인접한 곳에 공급탱크(12)와 연결된 공급관(14)을 설치하고, 음극동전기군(80)과 인접한 곳에는 회수탱크(26)와 연결된 배수관(22)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정화시스템(2)의 동전기(70a)(80a)에 전원부(90)로부터의 0.1∼10㎃/㎠의 전류 내지는 10∼330V의 전압으로 이루어진 전원을 공급하면, 이의 전류가 양극동전기(70a)로부터 음극동전기(80a)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이때 상기한 공급펌프(16)에 의해서 공급탱크(12)로부터 토출된 세척액이 공급관(14)내를 유동하게 되고, 이 세척액은 위에서와 같은 전류의 흐름에 의한 전기삼투현상에 의해서 오염된 토양을 지나서 배수관(22)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세척액은 오염된 토양을 지날 때에 유기오염물은 용해시키고, 중금속은 이온화시켜서 배수관(22)으로 유입됨으로써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수관(22)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을 함유한 세척액은 배수펌프(24)에 의해서 배수관(22)내를 신속하게 유동하면서 회수탱크(26)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전기(70a)(80a)를 이용한 토양 정화공정은 세척액(전해액)에 완충용액을 주입하여 전기반응에 의해 양극에서 발생된 수소이온과 음극에서 발생된 수산기를 중화하여 토양의 pH를 조절하면서 세척제를 토양내에 주입하는 것이다.
전기동력적 정화공정은 오염된 토양내에 전극을 설치하여 낮은 DC 전류를 가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현장내 토양정화기술이다. 전기동력 현상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한다. 전위차에 의해서 토양내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전기삼투(electroosmisis), 금속이나 이온들이 반대 전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전기이동(electromigration), 콜로이드나 하전된 입자가 반대 전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상기 전기삼투란 토양과 같은 다공성 매질(porous media)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매질내의 액체가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삼투가 발생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토양입자가 약한 음전하를 띠므로 입자사이의 공간에는 양전하가 모이게 되어 전류를 흘리면 토양내 액체가 음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토양내 전기삼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오염지역 주변에 양극과 음극을 설치하고, 이 전극들을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오염지역에 전류를 공급하면, 위에서와 같은 전기삼투현상이 발생되면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집중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토양의 오염이 집중적으로 발생된 곳에 하나의 음극동전기(80a)를 설치하고, 이 음극동전기(80a)의 주변에는 다수의 양극동전기(70a)를 설치하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동전기(70a)(80a)는 전선(92)을 매개로 전원부(90)에 연결되어서 구비되되, 다수의 양극동전기(70a)는 모두 전원부(90)의 음극에 연결되고, 음극동전기(80a)는 전원부(90)의 양극에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양극동전기(70a)에 인접한 공급관(14)내를 유동하는 세척액이 전기삼투현상에 의해서 오염된 토양을 지나 양극동전기(70a)의 중앙부에 구비된 음극동전기(80a)측의 배수관(22)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세척액은 음극동전기(80a) 주위의 오염된 전반적인 토양을 지나면서 배수관(22)내로 유입되므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염된 토양내의 유기오염물은 용해시키고, 중금속은 이온화시켜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정화시스템(2)은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 폐액처리조(30)가 구비되고, 이 폐액처리조(30)는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으로서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상기한 폐액처리조(30)내에는 세척액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원인 중금속이 결합되어서 세척액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이온교환수지(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세척액은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가 아닌 구연산이 사용되고, 이온교환수지(40)는 양이온교환수지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킨 세척액이 회수탱크(26)로부터 토출되어서 유입관(30a)을 통해 폐액처리조(3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폐액처리조(30)로 유입된 세척액은 양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이온교환수지(40)를 지나면서 세척액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이 이온교환수지(40)에 화학반응되어 결합.부착되고, 중금속이 분리되어 재생된 세척액은 배출관(30b)을 통해서 세척액공급수단(10)의 공급탱크(12)로 재유입되어 순환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정화시스템(2)은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 폐액처리조(30)가 구비되고, 이 폐액처리조(30)는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으로서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폐액처리조(30)내에는 전원부(90)에 접속된 양극극판(50)과 음극극판(52)이 내장되어 구비되고, 이 양 극판(50)(52) 사이에는 양극극판(50)과 음극극판(52)을 분리시켜 격리시키도록 된 양이온교환막(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은 음극극판(52)이 구비된 폐액처리조(30)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각각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에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킨 세척액이 회수탱크(26)로부터 토출되어서 유입관(30a)을 통해 폐액처리조(3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폐액처리조(30)로 유입된 세척액은 음극극판(52)에서의 발생된 전극반응에 의해서 환원되면서 중금속이 분리되어 침전되거나 음극극판(52)상에 전착되고, 이와 같이 중금속이 분리되어 재생된 세척액은 배출관(30b)을 통해서 공급탱크(12)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한 양이온교환막(54)은 양극극판(50)에서 발생된 H+이온이 원상태로 재생된 세척액 즉, 이디티에이(EDTA)와 반응하여 착화합물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금속이 분리되어서 재생된 세척액은 유입관(30a)과 같이 음극극판(52)이 구비된 폐액처리조(30)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30b)을 통해서 세척액공급수단(10)의 공급탱크(12)로 재유입되어 순환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액처리조(30)가 구비된다.
상기한 폐액처리조(30)는 3개의 첨가조로 이루어지되, 이 첨가조는 염화철첨가조(60)와,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로 구비된다.
상기한 염화철첨가조(60)는 중금속과 결합된 이디티에이의 세척액에서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를 철과 결합시키고, 중금속은 이온상태로서 존재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는 염화철첨가조(60)에서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는 철과 결합된 상태 그대로 존재하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인산염과 결합되면서 침전되어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는 철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이디티에이의 착화합물을 나트륨과 결합시켜 재생시키고, 착화합물로부터 분리된 철은 수산화철의 형태로서 침전되어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염화철첨가조(60)와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 사이에는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를 대신하는 황산칼륨첨가조(62a)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황산칼륨첨가조(62a)는 염화철첨가조(60)로부터 유입된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는 철과 결합된 상태 그대로 존재하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황산염과 결합되면서 침전되어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시스템(2)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킨 세척액이 회수탱크(26)로부터 토출되어서 폐액처리조(30)의 염화철첨가조(6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오염토양을 정화시킨 후, 중금속과 결합된 이디티에이의 세척액이 유입된 폐액처리조(30)의 염화철첨가조(60)에서는 세척액중의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는 철과 결합되고, 중금속은 이온상태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세척액이 염화철첨가조(60)로부터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척액은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내에서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는 철과 결합된 상태로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인산염과 결합되어 침전되면서 제거된다.
이때, 상기한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를 대신하여 황산칼륨첨가조(62a)가 구비되어도 이 황산칼륨첨가조(62a)내에서는 전술한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와 같이, 착화합물인 이디티에이는 철과 결합된 상태로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황산염과 결합되어 침전되면서 제거된다.
또한, 상기한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 내지는 황산칼륨첨가조(62a)로부터 배출되어서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내로 유입된 세척액은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내에서 철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던 이디티에이의 착화합물은 나트륨과 결합되어 재생되고, 착화합물로부터 분리된 철은 수산화철의 형태로서 침전되어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생된 세척액은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로부터 배출되어 세척액공급수단(10)의 공급탱크(12)내로 재유입되어 순환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은 오염된 토양에 정화시스템을 신속하게 설치하여서 오염된 토양을 신속하게 정화시킴과 아울러 정화에 사용되는 세척액을 재사용할 수 있어 이에 소요되는 정화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정화시스템(2)에 있어서,
    상기 정화시스템(2)은 오염된 토양속에 같은 전극끼리 일렬로 소정의 간격으로서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 전극의 사이에는 이에 대응한 전극이 일렬로 소정의 간격으로서 이격되게 구비된 동전기군(70)(80)과;
    상기 양극동전기군(70)과 인접한 일측에 절곡된 공급관(14)의 일측이 각각 구비되고, 이 공급관(14)의 일단부에는 세척액이 저장되어 있는 공급탱크(12)가 구비되며, 이 공급관(14)상에는 공급탱크(12)내의 세척액을 공급관(14)내로 토출시키도록 된 공급펌프(16)로 이루어진 세척액공급수단(10)과;
    상기 음극동전기군(80)과 인접한 일측에 절곡된 배수관(22)의 일측이 각각 구비되고, 이 배수관(22)의 일단부에는 오염원을 함유한 세척액이 회수되어서 저장되는 회수탱크(26)가 구비되며, 이 배수관(22)상에는 배수관(22)내의 세척액을 회수탱크(26)내로 유입시키도록 된 배수펌프(24)로 이루어진 세척액회수수단(20)과;
    상기 동전기군(70)(80)에 전선(92)을 매개로 연결되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은 오염물질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이디티에이(EDTA), 구연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군(70)(80)을 이루는 각 동전기(70a)(80a)간의 이격거리는 0.5m∼5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90)로부터 동전기(70a)(80a)로 공급되는 전류는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는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중금속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액처리조(30)가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으로서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에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되, 이 폐액처리조(30)내에는 중금속이 결합되어서 세척액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이온교환수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는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중금속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액처리조(30)가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으로서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에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되, 이 폐액처리조(30)에는 전원부(90)에 접속된 양극극판(50)과 음극극판(52)이 내장되어 구비되고, 이 양극극판(50)과 음극극판(52) 사이에는 극판(50)(52)을 격리시키도록 된 양이온교환막(54)이 구비되며, 음극극판(52)이 구비된 폐액처리조(30)의 일측에 유입관(30a)과 배출관(30b)이 구비되어서 각각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로 연통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26)와 공급탱크(12) 사이에는 오염원을 함유한 채로 회수탱크(26)내로 회수되어 저장된 세척액을 중금속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액처리조(30)가 연통되게 구비되되,
    상기 폐액처리조(30)는 회수탱크(26)로부터 오염원을 함유한 세척액을 유입하여서 착화합물은 철과 결합시키고, 중금속은 이온상태로 존재시키도록 구비된 염화철첨가조(60)와;
    상기 염화철첨가조(60)로부터 유입된 착화합물은 철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시키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인산염과 결합시켜 중금속을 침전/제거시키도록 구비된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와;
    상기 수인산나트륨첨가조(62)로부터 유입된 철과 결합된 착화합물을 나트륨과 결합시켜 재생시키고, 착화합물로부터 분리된 철은 수산화철로서 침전/제거시키도록 구비된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처리조(30)의 염화철첨가조(60)와 수산화나트륨첨가조(64) 사이에는 염화철첨가조(60)로부터 유입된 착화합물은 철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시키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황산염과 결합시켜 중금속을 침전/제거시키도록 된 황산칼륨첨가조(6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70a)(80a)는 오염된 토양을 집중적으로 정화시키도록 설치된 하나의 음극동전기(80a) 주위에 다수의 양극동전기(70a)가 음극동전기(80a)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이 동전기(70a)(80a)는 전선(92)을 매개로 전원부(90)에 연결되어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KR10-2002-0011589A 2002-03-05 2002-03-05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KR10042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89A KR100427692B1 (ko) 2002-03-05 2002-03-05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89A KR100427692B1 (ko) 2002-03-05 2002-03-05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53A true KR20030072053A (ko) 2003-09-13
KR100427692B1 KR100427692B1 (ko) 2004-04-28

Family

ID=3222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89A KR100427692B1 (ko) 2002-03-05 2002-03-05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69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41B1 (ko) * 2006-02-16 2006-06-12 (주)수림건설 준설토 투기장의 해충박멸장치 및 그의 공법
KR100856909B1 (ko) * 2008-05-29 200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동전기 기술을 결합한 티피에이치 오염 토양의정화
KR100928215B1 (ko) * 2007-11-26 2009-11-30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전극 모듈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81291A1 (zh) * 2008-12-30 2010-07-22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有机污染土壤修复系统与方法
KR101005262B1 (ko) * 2008-05-23 2011-01-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토양 제염을 위한 수직형 동전기세정장치
KR101064662B1 (ko) * 2009-09-08 2011-09-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 콘크리트와 토양의 혼합토 제염용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방법
CN104307867A (zh) * 2014-09-05 2015-01-28 华北电力大学 表面涌进电动法联合降解菌修复污染土壤的装置和方法
KR101579241B1 (ko) * 2015-04-28 2015-12-21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인-시츄 하이브리드 쏘일 플러싱을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CN106925607A (zh) * 2015-12-30 2017-07-07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电Fenton法修复PAHs污染土壤的工艺装置及其方法
CN107691419A (zh) * 2017-10-27 2018-02-16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遥控自走式土壤射频处理机
CN111687203A (zh) * 2020-07-16 2020-09-22 常州大学 光能-垂直电动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607B2 (ja) * 1996-02-09 2001-10-02 株式会社大林組 陰イオン汚染物の除去における電極配置方法
JPH1034126A (ja) * 1996-04-25 1998-02-10 Maeda Corp 重金属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装置
US5846393A (en) * 1996-06-07 1998-12-08 Geo-Kinetics International, Inc. Electrochemically-aided biodigestion of organic materials
KR20010088497A (ko) * 2001-07-27 2001-09-28 김수삼 전기장에 의한 오염토양의 생분해에 이용되는 영양분과전자수용체의 주입방법
KR20030066901A (ko) * 2002-02-06 2003-08-14 한상재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 효율 향상과 후처리 겸용전극부 개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41B1 (ko) * 2006-02-16 2006-06-12 (주)수림건설 준설토 투기장의 해충박멸장치 및 그의 공법
KR100928215B1 (ko) * 2007-11-26 2009-11-30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전극 모듈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5262B1 (ko) * 2008-05-23 2011-01-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토양 제염을 위한 수직형 동전기세정장치
KR100856909B1 (ko) * 2008-05-29 200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동전기 기술을 결합한 티피에이치 오염 토양의정화
WO2010081291A1 (zh) * 2008-12-30 2010-07-22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有机污染土壤修复系统与方法
KR101064662B1 (ko) * 2009-09-08 2011-09-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 콘크리트와 토양의 혼합토 제염용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방법
CN104307867A (zh) * 2014-09-05 2015-01-28 华北电力大学 表面涌进电动法联合降解菌修复污染土壤的装置和方法
KR101579241B1 (ko) * 2015-04-28 2015-12-21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인-시츄 하이브리드 쏘일 플러싱을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CN106925607A (zh) * 2015-12-30 2017-07-07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电Fenton法修复PAHs污染土壤的工艺装置及其方法
CN107691419A (zh) * 2017-10-27 2018-02-16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遥控自走式土壤射频处理机
CN107691419B (zh) * 2017-10-27 2024-01-30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遥控自走式土壤射频处理机
CN111687203A (zh) * 2020-07-16 2020-09-22 常州大学 光能-垂直电动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692B1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692B1 (ko)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
CN102070288B (zh) 一种用于修复重金属污染淤泥的装置及方法
CN102874905B (zh) 用于原位修复重金属污染土和地下水的装置
KR100406766B1 (ko) 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KR101997877B1 (ko) 전기 생산과 지하수 처리가 동시에 가능한 농도차 발전 수처리 장치
KR19980027107A (ko) 전기분해식 오수정화장치 및 방법과 오수정화장치를 갖는 세탁기
JP2000140819A (ja) 重金属汚染土壌の浄化方法
KR101619944B1 (ko)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
KR20030066901A (ko)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 효율 향상과 후처리 겸용전극부 개발
CN205413907U (zh) 一种油类和重金属复合污染粘性土壤的净化装置
KR20060036961A (ko) 유기오염물로 오염된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시스템
US6428697B1 (en) System for processing waste water
KR20150113368A (ko) 유기물과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 정화 장치
KR101096100B1 (ko) 2차원적 전극배열에 의해 향상된 동전기 기술을 이용한 불소오염토양의 정화방법 및 정화장치
KR101369647B1 (ko) 연속식 전해 하폐수 처리 및 산화 장치
Sruthy et al.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CN108218095A (zh) 磁混凝-膜电容去离子技术一体化的工业废水处理系统
KR20060009978A (ko) 전기세척반응파일기법에 의한 사질토 및 점성토가 혼재된오염지반의 정화, 복원방법 및 장치
KR20180002245A (ko) 전기응집을 활용한 스크러버 순환수 재이용 장치
JPH11128901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52264Y1 (ko) 광산폐수처리장치
KR20060036963A (ko) 중금속오염물로 오염된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시스템
CN111320311B (zh) 一种一体式同心水平管电化学沉淀吸附污水处理系统
KR200374324Y1 (ko) 중금속오염물로 오염된 동전기 지반(토양) 정화 처리장치
KR100414771B1 (ko) 전기삼투현상을 이용한 오염토양내 유류오염물산화분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