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904A -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904A
KR20030071904A KR1020020011160A KR20020011160A KR20030071904A KR 20030071904 A KR20030071904 A KR 20030071904A KR 1020020011160 A KR1020020011160 A KR 1020020011160A KR 20020011160 A KR20020011160 A KR 20020011160A KR 20030071904 A KR20030071904 A KR 20030071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election
button
user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141B1 (ko
Inventor
이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to KR10-2002-001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functions of buttons by a user's sel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제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제품(101)은 복수의 버튼(103)이 포함되어 있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제품(101)이 CD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버튼(103) 각각은 PLAY 기능, STOP 기능 등으로 제품의 출시 당시부터 특정되어 있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와 같은 전자 제품은 휴대용의 용도에 의하여 물리적인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다. 또한, 전자 제품에 구비된 각 버튼은 제품 출시부터 해당하는 기능이 미리 특정되어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버튼의 수와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전자 제품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자 제품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버튼에 따른 기능이 전개되고 실현된다.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전자 제품의 기능이 다양해지거나, 복잡해져 가는 경향이다.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자 제품에 구비되는 버튼의 수도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전자 제품의 물리적인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다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튼의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버튼에서 세부 항목별로 다른 기능이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제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 이벤트에 따른 선택 가능한 초기 메뉴가 LCD에 출력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오른손 잡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왼손 잡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MY BUTTON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기능 선택 메뉴가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테이블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별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테이블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마이콤 203…LCD
207…스피커 205…키패드
209…타이머 211…카운터
213…메모리 215…기능 테이블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여, 복수의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기능 선택 메뉴, 버튼 선택 메뉴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기능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선택 메뉴 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는 LCD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테이블의 갱신에 의하여, 상기 버튼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여, 복수의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 기능 선택 메뉴, 버튼 선택 메뉴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기능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 기능 선택 메뉴 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 는 LCD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테이블의 갱신에 의하여, 상기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기능 버튼들(207), 메뉴 버튼(209) 및 선택 버튼들(211)을 포함하는 키패드(205) 및 LCD와 같은 표시 장치(203)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201)는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카세트, 이동 통신 단말기 등 모든 전자 제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201)는 오디오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기능 버튼들(207) 각각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201)의 출시때 디폴트로 정해진 각각의 기능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버튼 A가 PLAY 기능에 연결되고, 버튼 B가 STOP 기능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버튼 및 그에 따른 기능에 대한 사항은 후술할 메모리 내의 기능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기능 버튼들(207)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A 버튼)를 누르면, 그에 따른 기능(PLAY 기능)이 수행된다.
상기 메뉴 버튼(20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 버튼 또는 각 버튼의 세부 항목에 따른 기능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하, 변경 모드라 칭함)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선택 버튼들(211)은 사용자가 변경 모드에서 용이하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들의 개수, 형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한 버튼들의 개수, 형태 등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 장치는 LCD(203), 스피커(303), 키패드(205), 타이머(309), 카운터(307), 메모리(309) 및 마이콤(301)을 포함한다.
상기 LCD(203) 또는 스피커(303)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메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LCD(203)로 출력되는 모든 사항은 음성으로 변환되어 스피커(303)를통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기 LCD(203) 또는 스피커(303)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타이머(305)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카운터(307)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회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머(305)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짧게 누르거나(이하, STP라 칭함), 길게 누르는 것(이하, LTP라 칭함)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307)는 STP 또는 LTP의 입력 회수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머(305) 또는 카운터(307)는 후술할 버튼의 세부 항목별로 기능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사용된다.
상기 마이콤(301)은 상기 LCD(203), 스피커(303), 키패드(205), 타이머(305), 카운터(307), 메모리(309)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이 메모리(309)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콤(301)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을 업로드하여 실행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은 향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메모리(309)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의 실행에 의하여 변경되는 사항이 기록 또는 갱신되는 기능 테이블(311)을 저장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 이벤트에 따른 선택 가능한 초기 메뉴가 LCD에 출력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르면(메뉴 선택 이벤트 발생), 선택 가능한 초기 메뉴(401)가 LCD 상에 출력된다. 초기 메뉴(401)는 오른손 잡이 항목(403), 왼손 잡이 항목(405) 및 MY BUTTON 항목(407)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가 출시될 때, 오른손 잡이를 기준으로 기능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초기 메뉴(401)를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른손 잡이 항목(403)을 선택하면, 도 4b와 같은 메뉴가 출력된다. 만약 사용자가 왼손 잡이라면, 상기 초기 메뉴(401)의 왼손 잡이 항목(405)을 선택 버튼들을 이용해 선택하여, 도 4c와 같은 형태로 왼손 잡이에 적합하도록 기능 버튼들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초기 메뉴(401)의 MY BUTTON 항목(407)을 선택하여 기능 버튼별로 자신만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오른손 잡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초기 화면의 오른손 잡이 항목을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오른손 잡이용 기능(409)에는 각 버튼별로 연결되어 있는 기능들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른손 잡이용 기능(409)에는 선택 항목(411) 및 취소 항목(413)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선택 항목(411)을 선택하면, 오른손 잡이용 버튼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취소 항목(413)을 선택하면, 도 4a에 도시된 초기 화면이 출력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왼손 잡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초기 화면의 왼손 잡이 항목을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왼손 잡이용 기능(415)에는 각 버튼별로 연결되어 있는 기능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메뉴에서 MY BUTTON 항목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초기 화면의 MY BUTTON 항목을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버튼 선택 메뉴(417)에는 사용자가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A 버튼 아이콘을 선택(버튼 선택 이벤트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기능 선택 메뉴가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d에서 도시된 버튼 선택 메뉴(417)에서 특정 버튼 아이콘(A 버튼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기능 선택 메뉴(419)에는 사용자가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들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A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으로 STOP 기능 아이콘을 선택(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테이블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d 및 도 4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버튼들 중에서, A 버튼에 STOP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갱신전 기능 테이블(501)이 갱신후 기능 테이블(503)로 변경된다. 즉, 갱신전 기능 테이블(501)의 각 버튼별 기능들은 제품 출시시 디폴트로 지정된 오른손 잡이용 기능들이 설정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도 4d 및 도 4e에서 나타낸 과정을 통하여, A 버튼에 STOP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갱신전 기능 테이블(501)이 갱신후 기능 테이블(503)로 변경된다. 상술한 마이콤은 갱신후 기능 테이블(503)을 참조로 하여, 버튼별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콤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을 업로드하여 실행한다.
단계 601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르면, 이에 따른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한다(단계 603). 마이콤은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LCD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605). 버튼 선택 메뉴는 도 4d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607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한다(단계 609). 마이콤은 추출한 기능 선택 메뉴를 LCD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단계 611). 기능 선택 메뉴는 도 4e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613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테이블에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사항을 갱신한다. 향후, 마이콤은 갱신후의 기능 테이블을 참조로 하여, 버튼별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테이블은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d에 도시된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원하는 버튼을 선택했을 때(A 버튼 아이콘 선택), 특정 버튼(예를 들어, A 버튼)의 각 세부 항목별로 전자 제품이 출시될 때, 디폴트로 지정한 기능(701)이 표시된다. 여기서, 디폴트로 PLAY 기능이 지정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A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경우(STP), 길게 누르는 경우(LTP), 짧게 한번 길게 한번 누르는 경우(STP:LTP) 또는 길게 한번 짧게 한번 누르는 경우(LTP:STP) 등 A 버튼을 누르는 순서나 형태에 관련없이 오로지 PLAY 기능만이 수행된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별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7a에서 도시된 세부 항목별로의 기능 선택 메뉴에서 특정 세부 항목 각각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했을 때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PLAY 기능, STOP 기능, NEXT 기능, BACK 기능, VOLUME UP 기능 또는 VOLUME DOWN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 중에서, A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경우(STP)의 세부 항목으로 PLAY 기능, 길게 누르는 경우(LTP)의 세부 항목으로 STOP 기능, 짧게 한번 길게 한번 누르는 경우(STP:LTP)의 세부 항목으로 NEXT 기능 및 길게 한번 짧게 한번 누르는 경우(LTP:STP)의 세부 항목으로 BACK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테이블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7a 및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버튼별 및 각 기능 버튼에서의 세부 항목별로 기능들이 설정되는 경우, 갱신전 기능 테이블(801)이 갱신후 기능 테이블(803)로 변경된다. 즉, 갱신전 기능 테이블(801)의 각 버튼별 및 세부 항목별(여기서는 A 버튼별 세부 항목별) 기능들은 제품 출시시 디폴트로 PLAY 기능들이 설정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도 7a 및 도 7b에서 나타낸 과정을 통하여, A 버튼의 짧게 누르는 세부 항목(STP)에 PLAY 기능을 설정, A 버튼의 길게 누르는 세부 항목(LTP)에 STOP 기능을 설정, A 버튼의 짧게 한번 길게 한번 누르는 세부 항목(STP:LTP)에 NEXT 기능을 설정 및 A 버튼의 길게 한번 짧게 한번 누르는 세부 항목(LTP:STP)에 BACK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갱신전 기능 테이블(801)이 갱신후 기능 테이블(803)로 변경된다. 상술한 마이콤은 갱신후 기능테이블(803)을 참조로 하여, 버튼별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이콤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모듈을 업로드하여 실행한다.
단계 901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르면, 이에 따른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한다(단계 903). 마이콤은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출력한다(905). 버튼 선택 메뉴는 도 4d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907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한다(단계 909). 마이콤은 추출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한다(단계 911). 세부 항목 메뉴는 도 7a 및 도 7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913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세부 항목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한다(단계 915). 마이콤은 추출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한다(단계 917). 기능 선택 메뉴는 도 7a 및 도 7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919에서, 마이콤은 사용자가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선택하면, 이에 따른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한다. 그 후, 마이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테이블에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사항을 갱신한다. 향후, 마이콤은 갱신후의 기능 테이블을 참조로 하여, 버튼별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테이블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한 버튼에서 사용자가 직접 세부 항목별로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전자 장치의 물리적 크기가 협소하더라도,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복수의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기능 선택 메뉴, 버튼 선택 메뉴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기능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메뉴 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는 LCD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테이블의 갱신에 의하여, 상기 버튼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여, 복수의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버튼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 기능 선택 메뉴, 버튼 선택 메뉴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기능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 기능 선택 메뉴 또는 상기 버튼 선택 메뉴 는 LCD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 상기 메뉴 선택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테이블의 갱신에 의하여, 상기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13.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장치.
  14.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장치.
  15.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버튼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선택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세부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세부 항목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 갱신 요청과 동시에 또는 때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버튼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튼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세부 항목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선택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능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부 항목 선택 이벤트에 상응하는 특정 세부 항목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이벤트에 응답하여 기능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2-0011160A 2002-03-02 2002-03-02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KR10045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60A KR100457141B1 (ko) 2002-03-02 2002-03-02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60A KR100457141B1 (ko) 2002-03-02 2002-03-02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904A true KR20030071904A (ko) 2003-09-13
KR100457141B1 KR100457141B1 (ko) 2004-11-16

Family

ID=3222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160A KR100457141B1 (ko) 2002-03-02 2002-03-02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791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59B1 (ko) 2013-11-22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90002239U (ko)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 카드 소켓 커넥터용 접속단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US6040829A (en) * 1998-05-13 2000-03-21 Croy; Clemens Personal navigator system
KR100369599B1 (ko) * 2001-02-23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 키패드 장치 및 방법
JP2002253892A (ja) * 2001-02-28 2002-09-10 Hitachi Ltd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791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141B1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3576A1 (ja) 電子機器
WO2010024357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MX2007006272A (es) Terminal de comunicacion movil con pantalla tactil y metodo de entrada de informacion usando la misma.
WO2008147622A2 (en) Customizing haptic effects on an end user device
JP518596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処理実行方法
CN108475204A (zh) 自动设置壁纸的方法、终端设备和图形用户界面
WO2013182143A2 (zh) 移动终端及其功能项快捷操作的实现方法
KR100457141B1 (ko)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KR200500828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설정 방법
KR20110064205A (ko)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JPH1117789A (ja) 携帯電話機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CN106959834A (zh) 分屏方法及装置
KR1004257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83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20000056149A (ko) 사용자 선택 메뉴 표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메뉴 선택 방법
KR100656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 방법
CN108235078A (zh) 打赏方法、打赏设备及终端设备
CN209729499U (zh) 用于提供语音服务的开关面板
KR100428851B1 (ko) 단축메뉴 설정방법
KR100701946B1 (ko)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KR1007034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527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2182833A (ja) 携帯端末の機能設定装置、その機能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