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856A -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856A
KR20030070856A KR10-2003-0012027A KR20030012027A KR20030070856A KR 20030070856 A KR20030070856 A KR 20030070856A KR 20030012027 A KR20030012027 A KR 20030012027A KR 20030070856 A KR20030070856 A KR 20030070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description
pictures
input material
picture sequ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베노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7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기에 용이한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을 제안하며, 단지 유한 디스플레이를 갖거나 및/또는 용량을 계산하는 소비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MPEG-7 형태의 디스크립션과 같은) 비디오 입력 자료(Vi)의 디스크립션을 사용하는 것, 사용자가 출력으로서 획득한 비디오 자료(Vo)에 대해 그 사용자가 여러-부분(multi-part)의 플랜(plan)을 공급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플랜은 이어서 각 부분에 관한 검색 기준을 생성하기 위해서 차례로 분석된다. 이어서, 생성된 각각의 검색 기준에 대해 디스크립션(D)에서 검색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비디오 세그먼트들은 비디오 출력 자료를 형성하기 위해 병치된다.
응용들: 비-전문화 비디오 합성 및 편집,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찍는 디지털 카메라

Description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Video composition and editing method}
발명 분야
본 발명은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자료로부터 출력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합성 및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프로그램이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때, 이러한 종류의 합성 및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자료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에 적합한 전자 장비의 아이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 배경
미국 특허 5,404,316호는 비디오 편집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처리의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에 기재된 방법은 전문적인 응용들에 적응되어 있다. 이는 대중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 또한, 단지 유한 처리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갖는 소비자 전자 장비 및 특히 휴대용 전자 장비에서 구현되기에 너무 복잡하다.
발명의 목적 및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찍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유한 처리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갖는 소비자 전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는 대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된 합성 및 편집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 복수의 부분들 내에 존재하고, 상기 출력 자료에 관한 플랜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 상기 입력 자료의 디스크립션으로부터, 상기 부분들에 대응하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 상기 플랜에 따라서, 선택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차례로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크립션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이 또한:
- 상기 입력 자료로부터 구조를 자동을 추출하기 위한 단계와,
-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의미론 정보로부터 상기 구조를 주석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들 및 화상 시퀀스들의 선택, 절단, 콜레이팅(collating)과 같은 종래의 합성 및 편집 동작들을 실행하기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서, 그 사용자는 출력 자료에 대한 플랜을 제공하고, 임의의 경우들에서, 그는 상기 입력 자료의 구조 특성을 주석하며, 상기 구조는 자동 추출에 의해 획득된다. 이어서 그 합성 및 편집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플랜에 따름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된다.
출력 자료 및 의미론 정보에 대한 플랜은 키보드를 사용하여 수동으로(manually) 또는 음성 인식 도구들을 사용하여 구두로(orally)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그의 자연 언어(natural language)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종래 디스크립션의 합성 및 편집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들보다 훨씬 더 간단하게 된다. 그들은 임의의 특정 노하우(know-how)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컴퓨터화된 도구(computerized tool)를 올바르게 동작시키는 방법을 알아야 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가능한 복잡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매우 다양한 아이템들 특히,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찍는 디지털 카메라들과 같은휴대용 전자 장비의 아이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얻어진 합성을 변경하고 간단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한 세트의 비디오 출력 자료(Vo)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의 재-실행(re-run)을 위한 새로운 입력 자료(Vi')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합성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것은 플랜(P)이 예를 들어, 문장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이 이후 기재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분명해지고 명료해 질 것이다.
도면들에서, 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비의 아이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프로그램 메모리14 : 처리기
15 : 데이터 메모리16 : 유저 인터페이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의 여러 단계들을 요약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은 출력 자료(Vo)가 사용자(U)에 의해 정의된 명령들을 고려함으로써,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자료(Vi)로부터 생성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은 입력 자료(Vi)의 디스크립션(D)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가 얻기를 원하는 출력 자료에 관한 플랜(P)의 획득을 위한 단계(S1)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랜(P)은 사용자(U)에 의해 정의된다. 이는 복수의 부분들(Tj)(j=1...N)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플랜(P)의 각각의 부분들(Tj)에 대응하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디스크립션(D)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들(S2)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플랜(P)하에서 선택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차례로 배치하기 위한 오더링(ordering) 단계들(S3)을 포함한다.
단계들(S2, S3)을 수행하기 위해서, 플랜(P)이 차례로 실행된다. 각각의 부분(Tj)에 대해:
그 부분(Tj)의 콘텐트의 논리 분석을 위한 단계(S2-1)가 상기 부분에 관한 검색 기준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크립션(D)에서 검색하기 위한 단계(S2-2)가 상기 검색 기준(Q(Tj))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VS(j,kj))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오더링 단계(S3)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미리 선택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의 연속(succession)에 추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침내 얻어지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의 연속, 오더링 단계(S3)는 출력 자료(Vo)를 형성한다. 이러한 출력 자료(Vo)는 단계들(S1, S2, S3)의 재-실행(re-run)을 위해 새로운 입력 자료(Vi')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사용자는 단계(S1)에서, 새로운 플랜(P')를 정의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Tj)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이동시킴으로써 최초의 플랜(P)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은 유리하게 디스크립션(D)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 단계(S0)를 포함한다. 단계(S0)는 입력 자료(Vi)에 대해 사용가능한 어떠한 디스크립션도 없을 때, 수행된다. 단계(S0)는 유리하게는:
- 입력 자료(Vi)로부터 구조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단계(S0-1)와,
-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의미론 정보(semantic information)로부터 상기 구조를 주석하기 위한 단계(S0-2)를 포함한다.
그러한 입력 자료의 디스크립션을 생성하기 위한 도구들은 예를 들어, (1999년) 간행물 "Journal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mage Representation" 10권 78-112페이지에 R.Bruneli, OMich, C.M.Modena 저자의 "A Survey on the Automatic Indexing of Video Data"라는 논문 제목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구들에 의해 산출된 디스크립션은 MPEG-7 표준에 따른다. MPEG-7 디스크립션은 MPEG-7 표준에 정의된 디스크립터(descriptor)들의 예들인 요소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세그먼트들의 계층적 구조이다. MPEG-7 표준으로 정의된 디스크립터들 간에는 (배경, 위치, 시간, 동작, 물체들, 사람들 등과 같은) 입력 자료로부터 자동으로 추론될 수 없는 개념적인 양상들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의도된 것들이다. 그러한 디스크립터들의 예들인 요소들의 콘텐트는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이 디스크립션(D)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S0)를 포함하며, 그러한 디스크립터들의 예들인 요소들의 콘텐트는 사용자(U)에 의해 제공된 의미론 정보(I)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P) 및 디스크립션(D) 간에 통신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플랜(P) 및 의미론 정보(I)가 사용자(U)가 하는 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정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플랜(P)의 각각의 부분(Tj)은 문장으로 형성된다. 플랜(P) 및 의미론 정보(I)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수동으로(manually) 또는 음성 인식 수단을 사용하여 구두로(orally) 입력된다.
디스크립션(D)의 예가 사용자의 휴가동안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는 비디오 시퀀스들에 의해 형성된 입력 자료가 주어질 것이다. (그 디스크립션(D)은 이후 MPEG-7 표준에 따른 디스크립션이며; 이는 W3C 협회에 의해 정의된 XML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다):
디스크립션의 예
이 예에서, 의미론 정보(I)의 아이템들은 굵은 문자들로 도시된다. 그 디스크립션은 입역 자료(Vi)의 전체에 관한 <AudioVisual>이라고 불리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 <AudioVisual> 세그먼트는 4개의 비디오 세그먼트들에 관한 <Segment>라고 불리는 4개의 엔트리들을 차례로 포함한다. 그 <Segment> 엔트리들은 각각 동작의 성질, 그 동작이 발생한 위치, 그 동작의 시간, 그 동작이 발생한 방법을 디스크립션하는 <WhatAction>, <Where>, <When>, <How>라고 불리는 특정 엔트리들을 포함하고, 그들은 의미론 정보를 포함한다. 그 <AudioVisual> 세그먼트 및<Segment> 엔트리들은 타이틀을 포함하는 속성 "id"를 각각 갖는다. 이러한 타이틀 역시 의미론 정보이다.
이후 위의 디스크립션에서 기재된 입력 자료(Vi)로부터 출력 자료(Vo)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플랜(P)의 일례가 제공될 것이다.
플랜의 예
"휴가동안 우리는 파리에서 2일을 보냈다. 우리는 보세쥬르 호텔에서 머물었다. 우리는 판테온 주위를 산책했다. 우리는 또한 에펠 타워에 방문했다. 우리는 로맨틱한 저녁 식사로 우리의 여행을 마쳤다."
이 예에서, 출력 자료는 입력 자료에 포함되지만, 다음: "파리에 도착", "우리의 호텔", "판테온 주위 산책", "에펠 타워 방문", "로맨틱한 저녁 식사"과 같이 재배치된 4개의 비디오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것이다.
검색 기준을 공식화하기 위한 단계(S2-1)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실시예들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검색 기준은 전체 문장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사전을 사용하여, 관사들, 전치사들, 단어들 간의 연결 등과 같은 원치 않는 단어들을 삭제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요한 워드들이 문장(Tj)으로부터 추출된다. 이어서, 추출된 워드들은 검색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제 3 실시예에서, 문법적인 분석이 중요한 단어들 간의 논리적인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어서 추출된 단어들은 검색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하여 사용된다. 그 문법적 분석은 유리하게는 그 검색이 검색 기준에 포함된 각각의 워드 또는 워드들의 조합을 포함해야 하는 디스크립터를 결정하는데 또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문법적 분석이 문장 내의 제 1의 중요한 워드가 사람에 관한 적절한 명사임을 나타낸다면, 이러한 제 1 워드에 대해 세밀히 조사될 디스크립터는 "Who" 디스크립터일 것이다. 문법적 분석이 문쟁 내의 제 2의 중요한 워드가 위치임을 나타낸다면, 이러한 제 2 워드에 대해 세밀히 조사될 디스크립터는 "Where" 디스크립터 등이 될 것이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그 검색 기준을 만족하는 <Segment> 비디오 세그먼트는:
- <Who> 요소는 상기 제 1 단어를 포함하고,
- <Where> 요소는 상기 제 2 단어를 포함하는 곳에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비의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비(10)의 아이템이 입력 자료(Vi)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11), 프로그램 메모리(12), 처리기(14)를 포함한다. 그 입력 자료(Vi)는 장비(10)의 아이템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형성할 수 없는 데이터 메모리(15)이다. 이러한 데이터 메모리(15)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와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 또는 디스크, 카세트, 디스켓 등의 형태의 제거가능한 매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장비(10)의 아이템은 또한 적어도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랜(P)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 유저 인터페이스(16)는 또한 의도된 의미론 정보(I)가 입력 자료(Vi)의 디스크립션을 주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실시예에서, 그 인터페이스(16)는 음성 인터페이스이다. 이것은 프로그램 메모리(12)에 저장된 마이크로폰 및 소프트웨어 음성 인식 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는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6)는 촉각 인터페이스이다. 이는 예를 들어,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촉각 스크린을 포함한다.
그 프로그램 메모리(12)는 특히 프로그램(CP)이 처리기(14)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CP)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및 편집 자료에 의해 생성된 출력 자료(Vo)는 예를 들어 데이터 메모리(15)에 저장된다.
임의의 경우들에서, 장비(10)의 아이템은 또한 입력 자료(Vi)를 캡쳐하기 위한 수단(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찍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유한 처리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갖는 소비자 전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는 대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된 합성 및 편집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Claims (8)

  1.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자료(Vi)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으로부터 출력 자료(Vo)를 생성하기 위한 합성 및 편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분들(Tj) 내에 존재하고 상기 출력 자료에 관한 플랜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S1)와,
    상기 입력 자료의 디스크립션(D)으로부터, 상기 부분들에 대응하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S2)와,
    상기 플랜에 따라서, 선택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차례로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및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입력 자료로부터의 구조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단계(S0-1)와,
    사용자(U)에 의해 제공된 의미론 정보(semantic information)(I)로부터 상기 구조를 주석하기 위한 단계(S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및 편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각각의 부분들(Tj)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기준(Q(Tj))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플랜(P)을 분석하기 위한 단계(S2-1)와,
    각각의 검색 기준(Q(Tj))을 만족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에 대한 상기 디스크립션(D)에서 검색하기 위한 단계(S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및 편집 방법.
  4.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자료(Vi)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11)과, 상기 입력 자료로부터 출력 자료(Vo)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입력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12, 14, 16, CP)에 적합한 전자 장비 아이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부분들에 존재하고 상기 출력 자료에 관한 플랜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입력 자료의 디스크립션으로부터, 상기 부분들에 대응하는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플랜에 따라서, 선택된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을 차례로 배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아이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각각의 부분들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기준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플랜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과,
    각각의 검색 기준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상들 및/또는 화상 시퀀스들에 대한 상기 디스크립션에서 검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아이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입력 자료로부터 구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의미론 정보로부터 상기 구조를 주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비 아이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자료를 캡쳐하기(capturing)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아이템.
  8. 프로그램(CP)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처리기(14)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합성 및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CP).
KR10-2003-0012027A 2002-02-26 2003-02-26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 KR20030070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2396 2002-02-26
FR0202396A FR2836567A1 (fr) 2002-02-26 2002-02-26 Procede de montage vide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56A true KR20030070856A (ko) 2003-09-02

Family

ID=2763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27A KR20030070856A (ko) 2002-02-26 2003-02-26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70002A1 (ko)
EP (1) EP1339061A1 (ko)
JP (1) JP2003274355A (ko)
KR (1) KR20030070856A (ko)
CN (1) CN1441596A (ko)
FR (1) FR2836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69B1 (ko) 2006-07-14 2008-10-24 뮤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사용자 공급의 비주얼 데이터를 선재 뮤직 비디오에삽입함으로써 새로운 뮤직 비디오의 생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5962B (en) * 2003-06-06 2005-07-1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converting high level motion scripts to computer animations
US20090079840A1 (en) * 2007-09-25 2009-03-26 Motorola, Inc. Method for intelligently creating, consuming, and sharing video content on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316A (en) * 1992-08-03 1995-04-04 Spectra Group Ltd., Inc. Desktop digital video processing system
US6038368A (en) * 1996-02-05 2000-03-14 Sony Corporation System for acquiring, reviewing, and editing sports video segments
US20030091329A1 (en) * 1997-04-12 2003-05-15 Tetsuro Nakata Editing system and editing method
EP0899737A3 (en) * 1997-08-18 1999-08-25 Tektronix, Inc. Script recogni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US6336093B2 (en) * 1998-01-16 2002-01-01 Avid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scripts to capture author and playback synchronized audio and video
GB2335125A (en) * 1998-03-04 1999-09-08 Ibm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or editing mutimedia presentation
WO2001028238A2 (en) * 1999-10-08 2001-04-19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nd ind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WO2001045391A1 (en) * 1999-12-16 2001-06-21 Kent Ridge Digital Lab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duction
GB2361128A (en) * 2000-04-05 2001-10-10 Sony Uk Ltd Video and/or audio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69B1 (ko) 2006-07-14 2008-10-24 뮤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사용자 공급의 비주얼 데이터를 선재 뮤직 비디오에삽입함으로써 새로운 뮤직 비디오의 생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1596A (zh) 2003-09-10
US20030170002A1 (en) 2003-09-11
EP1339061A1 (fr) 2003-08-27
JP2003274355A (ja) 2003-09-26
FR2836567A1 (fr)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4508B2 (en) Data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US8504573B1 (en) Management of smart tags via hierarchy
US6862038B1 (en) Efficient image categorization
US20060230334A1 (en) Visual thesaurus as applied to media clip searching
JP3895892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収集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2366964A (ja) 動画作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276484A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H06119405A (ja) 画像検索装置
JP2006235910A (ja) 写真画像検索装置、写真画像検索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Kustanowitz et al. Motivating annotation for personal digital photo libraries: Lowering barriers while raising incentives
JP2006350477A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01357045A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Zhang et al. A video database system for digital libraries
KR20030070856A (ko) 비디오 합성 및 편집 방법
JP2002142188A (ja) 動画像編集方法及び装置
JP2005173999A (ja) 電子ファイル検索装置、電子ファイル検索システム、電子ファイル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gyed-Zsigmond et al. A graph based audio-visual document annotation and browsing system.
JP2004046870A (ja) 情報単位群操作装置
Matellanes et al. Creating an application for automatic annotations of images and video
JPH06243172A (ja) 電子ファイル装置
JP2002288178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収集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291294B2 (ja) ビデオコンテンツ作成装置およびビデオ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
TWI780333B (zh) 動態處理並播放多媒體內容的方法及多媒體播放裝置
Kilchenmann et al. Digitizing, archiving... and then? Ideas about the usability of a digital archive
JP2008299493A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