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331A -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331A
KR20030069331A KR1020020008905A KR20020008905A KR20030069331A KR 20030069331 A KR20030069331 A KR 20030069331A KR 1020020008905 A KR1020020008905 A KR 1020020008905A KR 20020008905 A KR20020008905 A KR 20020008905A KR 20030069331 A KR20030069331 A KR 2003006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phone
battery
phone batte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02000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331A/ko
Publication of KR2003006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떠한 모델의 핸드폰배터리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상부에 구비되어 배터리가 장착된 핸드폰을 하방으로 밀어서 탈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핸드폰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도전성금속으로 이루어져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충전핀으로 구성된 충전배열핀과; 상기 핸드폰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충전배열핀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의 장착 뿐만 아니라, 충전시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배열핀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하지 못하는 기종의 핸드폰배터리 충전시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를 집게로 물어서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집게로 구성되고, 각 집게 내부에는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라인과 배터리전압을 체크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된 충전집게와; 상기 충전집게 또는 상기 충전배열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전압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검출부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상태 및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하고, 상기 충전배열핀 또는 상기 충전집게를 통해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회로부와; 가정용전원을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레벨로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부와;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LED를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기의 동작상태 및 현재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for a Battery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떠한 모델의 핸드폰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오랜 시간 동안 휴대하면서 이용하기 때문에 충전배터리의 이용시간이 길어야 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핸드폰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많이 탑재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핸드폰배터리의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의 핸드폰배터리는 핸드폰 구입시 포함된 전용충전기만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타지역으로 장기간의 출장을 가거나 바빠서 충전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핸드폰배터리가 방전되어 핸드폰의 수신 및 발신이 불가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기존의 핸드폰충전기는 가정에서만 이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나 거리에서 손쉽게 충전을 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핸드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핸드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제 1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에서 배터리의 충전전극과 접촉되는 부분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를 별도의 다른 상품을 판매하는 자판기에 탑재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12 : 장착부
14 : 충전배열핀16 : 전극검출부
18 : 제어회로부20 : 변압부
22 : LED표시부24 : 충전집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에 구비되어 배터리가 장착된 핸드폰을 하방으로 밀어서 탈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핸드폰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도전성금속으로 이루어져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충전핀으로 구성된 충전배열핀과; 상기 핸드폰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충전배열핀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의 장착 뿐만 아니라, 충전시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배열핀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하지 못하는 기종의 핸드폰배터리 충전시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를 집게로 물어서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집게로 구성되고, 각 집게 내부에는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라인과 배터리전압을 체크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된 충전집게와; 상기 충전집게 또는 상기 충전배열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전압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검출부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상태 및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하고, 상기 충전배열핀 또는 상기 충전집게를 통해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회로부와; 가정용전원을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레벨로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부와;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LED를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사용자에게 기기의 동작상태 및 현재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가진 핸드폰(10)을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요소인 장착부(12)와, 상기 장착부(12)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된 핸드폰(10)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충전용 전원을 인가하거나, 배터리 내부의 전원레벨을 전달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 충전배열핀(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전배열핀(14)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의 레벨을 측정하여 충전단자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극검출부(16)와, 가정용 교류전원을 강압(降壓)하여 소정의 배터리전원을 공급하는 변압부(20)의 충전용전원을 상기 전극검출부(16)로부터 전달된 극성에 따라 상기 핸드폰(10)배터리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하는 제어회로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18)와 연결되어 일반적인 가정용전원을 상기 핸드폰(10) 배터리의 충전전압으로 강압시키기 위한 변압부(20)와, 상기 제어회로부(18)와 연결되어 기기의 동작상태 및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LED표시부(2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12) 및 충전배열핀(14)을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핸드폰(10)배터리의 충전단자에 물려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충전집게(24)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 충전집게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충전하기 위한 충전집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드폰배터리의 일 전극에 물리기 위한 제 1 충전집게(24a)와, 핸드폰배터리의 타 전극에 물리기 위한 제 2 충전집게(24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 충전집게(24a)는 핸드폰배터리의 일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제 1 충전팁(240a)과, 외부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제 1 절연피복(242a)과, 상기 제 1 절연피복(242a) 내부에 위치하여 배터리로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충전라인(244a) 및 배터리의 현재 전압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검출라인(244b)가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충전집게(24b)는 핸드폰배터리의 타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제 2 충전팁(240b)과, 외부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제 2 절연피복(242b)과, 상기 제 2 절연피복(242b) 내부에 위치하여 배터리로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충전라인(244c) 및 배터리의 현재 전압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제 2 검출라인(244d)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내용을 토대로 전체적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실시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핸드폰충전기(30)는 배터리의 충전전극에 접촉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진 도전성을 가진 다수개의 핀들로 이루어진 충전배열핀(32)과, 핸드폰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상기 충전배열핀(32)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된 완충배열핀(34)이 장착구(G) 하단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충전배열핀(32)은 각 핀이 수평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핀홀(32a)과, 상기 각 핀을 수용하고 그 수평운동궤도를 정의하는 핀수용틀(32b)과, 도전성 금속으로 된 도전핀(32c)과, 상기 도전핀(32c)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d)이 일종의 매트릭스 형태로 다수 배열되어 있으며,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은 서로 극성을 달리하도록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핀(32c)들이 위치한 영역은 테두리부분과 중앙세로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외부로부터 무리한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핸드폰충전기(30)의 전면 상단부분에는 기기의 동작상태 및 배터리의 현재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LED 또는 LCD가 장착된 상태표시부(36)가 구비되어 있고, 전면 하단부분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제어명령 예컨대, 충전시작, 현재 전압체크 등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회로부에 전달하기 위한 버튼입력부(38)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드폰충전기(30)의 단면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충전기(30)의 단면을 보면 중앙부분에 핸드폰(10)이 끼워져 있고, 그 하단의 우측에는 실질적인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배열핀(32)이 위치하며, 그 하단의 좌측에는 상기 핸드폰이 충전시간 동안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완충배열핀(3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10)이 도로 토출되지 않도록 측면에서 잡아주는 고정가이드(G)가 위치한다.
즉, 도 4와 90°차이가 나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 5에서와 같이, 핸드폰(10)이 아래로 끼워 장착되면서 누르게 되는 누름버튼(50)과, 이 누름버튼(50)에 연동하여 양축(T1)(T2)를 기점으로 핸드폰(10)의 측면 부위로 조여드는 고정쇠(52)와, 이 고정쇠(52) 종단에 부착된 제 1 및 제 2 고정가이드(G1)(G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양축(T1)(T2)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케이스부분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충전배열핀과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전극이 접촉되는 보다 상세한 단면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에 탑재된 충전배열핀이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전극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다수개의 도전핀(32c)을 구비함으로써 어떤 형태의 핸드폰(10)이 끼워지더라도 충전전극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였고, 각 도전핀들이 내부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충전전극의 위치가 제조업체 마다 서로 상이하더라도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전극과 접촉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의 동작흐름을 설명하면,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을 배터리를 장착한 채로 꽂아서 로드하면, 상기 극성검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극성은 상기 제어회로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충전배열핀 및 상기 충전집게에는 충전용양극, 충전용음극, 극성검출용양극, 극성검출용음극이 각각 구비되어 충전기능과, 극성검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를 자판기 내부에 탑재하여도 되는데, 이럴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를 자판기내부에 탑재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핸드폰충전자판기(70)는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이외에도 다른 상품을 판매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충전으로 인해 무료해지기 쉬운 대기시간을 유익하게 보낼 수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핸드폰충전자판기(70)에는 다른 상품의 판매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제 1 표시부(72)와,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시 현재상태 및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표시부(7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72)(74)는 전기적 디스플레이방식이 아닌 인쇄물에 의한 표시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다른 상품의 구입을 위해 별도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부가버튼부(76)와, 충전하고자 하는 핸드폰을 일시적으로 꽂아서 로드하는 핸드폰충전부(78)와, 기기로 사용자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버튼부(80)와, 구입하려는 상품의 해당 금액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부(82)와, 상기 다른 상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품배출구(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언제 어디서나 핸드폰 배터리를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핸드폰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핸드폰사용자들이 종종 이용하게 되는 택시, 지하철, 버스의 내부에도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장기간의 출장으로 인해 핸드폰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나 건물, 길가에 설치된 핸드폰배터리충전자판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당구장, PC방, 증권사 등과 같이 장시간 고객이 머무는 업소에 설치하여 고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편의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설치업소의 대고객 이미지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구비되어 배터리가 장착된 핸드폰을 하방으로 밀어서 탈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핸드폰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도전성금속으로 이루어져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충전핀으로 구성된 충전배열핀과,
    상기 핸드폰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충전배열핀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의 장착 뿐만 아니라, 충전시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배열핀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하지 못하는 기종의 핸드폰배터리 충전시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단자를 집게로 물어서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집게로 구성되고, 각 집게 내부에는 충전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라인과 배터리전압을 체크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된 충전집게와,
    상기 충전집게 또는 상기 충전배열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전압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검출부와,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현재상태 및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하고, 상기 충전배열핀 또는 상기 충전집게를 통해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회로부와,
    가정용전원을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레벨로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부와,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LED를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기의 동작상태 및 현재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를 차량용전원을 이용해서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압시키도록 하고,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KR1020020008905A 2002-02-20 2002-02-20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KR20030069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905A KR20030069331A (ko) 2002-02-20 2002-02-20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905A KR20030069331A (ko) 2002-02-20 2002-02-20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31A true KR20030069331A (ko) 2003-08-27

Family

ID=3222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905A KR20030069331A (ko) 2002-02-20 2002-02-20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33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881A (en) * 1982-09-16 1983-08-02 Century Mfg. Co. Means indicating a condition of charge in a battery charger
JPH01169880A (ja) * 1987-12-25 1989-07-05 Nec Corp 充電器
JPH01143253U (ko) * 1988-03-22 1989-10-02
US5157318A (en) * 1991-09-18 1992-10-20 Jen Jong Ch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KR19990039777U (ko) * 1998-04-18 1999-11-15 김종배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KR200256184Y1 (ko) * 2001-08-21 2001-12-13 김현욱 집게형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881A (en) * 1982-09-16 1983-08-02 Century Mfg. Co. Means indicating a condition of charge in a battery charger
JPH01169880A (ja) * 1987-12-25 1989-07-05 Nec Corp 充電器
JPH01143253U (ko) * 1988-03-22 1989-10-02
US5157318A (en) * 1991-09-18 1992-10-20 Jen Jong Ch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KR19990039777U (ko) * 1998-04-18 1999-11-15 김종배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KR200256184Y1 (ko) * 2001-08-21 2001-12-13 김현욱 집게형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567B1 (ko) 범용 충전 모듈
WO2014088168A1 (ko) 휴대단말 충전장치
US8384348B2 (en) Touch-switchable USB charging receptacle
JP5673052B2 (ja) 蓄電装置、接続装置、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US20180262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nomadic electronic devices, and adapter for such a system
WO2014003419A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TW201239938A (en) Load control switch and load control switch system
TW200713665A (en) Charger
KR20030069331A (ko)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CN101459265A (zh) 多功能充电器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CN210806218U (zh) 一种智能多路充电插座
CN209911936U (zh) 一种多功能无线光电鼠标
CN216620203U (zh) 温控装置
CN220796206U (zh) 一种lcd公交站牌
KR100357035B1 (ko) 여행용 충전기
KR100398329B1 (ko) 핸드폰용 배터리의 충전접속장치
CN216624775U (zh) 一种多接口用充电插头
CN2362136Y (zh) 充电状态侦测显示装置
CN211022137U (zh) 一种分体式烹饪器具
JP2023118534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端末システム
CN205302619U (zh) 红外抄表装置
JP2962399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285697Y1 (ko) 분리형 커넥터를 갖는 핸드폰 충전기의 표시장치
CN1319245C (zh) 移动通信终端的充电用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