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78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787A
KR20030068787A KR1020020008401A KR20020008401A KR20030068787A KR 20030068787 A KR20030068787 A KR 20030068787A KR 1020020008401 A KR1020020008401 A KR 1020020008401A KR 20020008401 A KR20020008401 A KR 20020008401A KR 20030068787 A KR20030068787 A KR 2003006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discharge
cell
regist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783B1 (ko
Inventor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7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단위 시간당 체크하여 잔존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잔존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 셀의 충전시간, 셀의 방전시간과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와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검출수단; 셀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타이밍수단; 저장수단에 잘못 기록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 및 방전횟수를 보정하기 위한 에러 보정수단;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계산하여 저장수단에 저장시키고, 저장수단에 저장된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 시간과 에러 보정부에 저장된 에러 보정값을 읽어와서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계산하고,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의 리셋을 제어하는 용량측정 제어수단; 및 용량측정 제어수단의 리셋 명령에 따라,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 odd capacity of battery loaded o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를 저장해두는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고 나면 방전되므로, 다시 충전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려주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배터리의 잔량을 액정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그래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배터리의 잔량을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 의해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잔류 전류량을 입력받아 배터리의 잔량을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렇게 계산한 배터리의 잔량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판단하여 액정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산한 배터리의 잔량과 배터리 용량을 비교하므로써,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히 알아야만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종래에는 만충전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체크하므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용량 측정 방법의 경우, 배터리의 완전한 만충전 및 방전 상태에서 배터리 용량을 측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실질적으로 만충전 및 완전 방전에 가까운 상태에서 배터리 용량을 측정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히 알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정확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단위 시간당 체크하여 잔존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잔존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용량측정 제어부
200: 배터리 210: 셀
221: 충전 레지스터 222: 방전 레지스터
223: 충전량 검출기 224: 방전량 검출기
225: 충전시간 레지스터 226: 방전시간 레지스터
227: 충전 타이머 228: 방전 타이머
229: 에러 보정부 230: 리셋부
240: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셀의 잔존용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 상기 셀의 충전시간, 상기 셀의 방전시간과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셀에 유출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상기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와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검출수단; 상기 셀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타이밍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누수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저장수단에 잘못 기록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 및 방전횟수를 보정하기 위한 에러 보정수단; 상기 배터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 시간과 상기 에러 보정부에 저장된 에러 보정값을 읽어와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의 리셋을 제어하는 용량측정 제어수단; 및 상기 용량측정 제어수단의 리셋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셀의 잔존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레지스터, 방전 레지스터, 충전시간 레지스터, 충방전 레지스터, 충전 타이머와 방전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셀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를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까지 소요된 충전시간를 타이밍하여 상기 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를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 까지 소요된 방전시간를 타이밍하여 상기 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충전 레지스터와 방전 레지스터에 비정상적으로 기록되는 충방전 횟수의 보정값을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록된 충전횟수, 방전횟수, 충전시간및 방전시간과 충방전 횟수의 에러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제 3 단계; 상기 잔존용량을 계산한 후 소정의 제 1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리셋후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판단결과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리셋 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갱시되어 기록된 충전횟수, 방전횟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과 충방전 횟수의 에러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용량측정 제어부(110)가 배터리(200)의 셀(210)에 유출 및 유입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잔존용량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는, 셀(210)에 충전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를 기록하기 위한 충전 레지스터(221)와, 셀(210)로부터 방전되는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를 기록하기 위한 방전 레지스터(222)와, 셀(210)에 충전되는 단위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를 충전 레지스터(221)에 기록시키기 위한 충전량 검출기(223)와, 셀(210)로부터 방전되는 단위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를 방전 레지스터(222)에 기록시키기 위한 방전량 검출기(224)와, 셀(210)의 충전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충전시간 레지스터(225)와, 셀(210)의 방전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방전시간 레지스터(226)와, 리셋 상태에서부터 충전 레지스터(221)에 기록된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까지 소요되는 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충전시간 레지스터(225)에 기록시키기 위한 충전 타이머(227)와, 리셋 상태에서부터 방전 레지스터(222)에 기록된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까지 소요되는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방전시간 레지스터(225)에 기록시키기 위한 방전 타이머(228)와, 충전량 검출기(223) 및 방전량 검출기(224)로부터 누수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 레지스터(221)와 방전 레지스터(222)에 잘못 기록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 및 방전횟수를 보정하기 위한 에러 보정부(229)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배터리(200) 내에 구비되며, 상기 레지스터들에 기록된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 시간 등은 통신단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는, 배터리(200)를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시 셀(210)의 초기 충전용량을 계산하여 배터리(200)에 저장시키고, 배터리(200) 내의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에 기록된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 시간과 에러 보정부(229)에 저장된 에러 보정값을 통신단자를 통해 읽어온 후 이 값들과 초기 충전용량을 이용하여 배터리(200)의 잔존용량을 계산하고,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의 리셋(reset)을 제어하기 위한 용량측정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배터리(20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는, 용량측정 제어부(110)의 리셋 명령에 따라 배터리(200) 내의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을 리셋(reset)시키기 위한 리셋부(230)와, 용량측정 제어부(110)에 의해 계산된 배터리(200)의 초기 충전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1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탑재되면,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전원단자(+, -)를 통해 탑재시 셀(210)의 초기 충전용량을 측정한후 측정한 초기 충전용량(RC0)을 통신단자를 통해 메모리(240)에 저장시킨다. 이와 동시에,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명령을 통신단자를 통해 리셋부(230)로 전달하고, 이어 리셋부(230)는 전기적 충격을 가하여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을 리셋시킨다.
이와 같이 리셋이 이루어지고 나면, 곧바로 셀(210)의 유출입 전류량에 의한 단위 전류당 충방전횟수 및 충방전시간 등을 기록하는 과정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시에 수행된다.
충전량 검출기(223)는 셀(210)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되 0.25mA 단위로충전횟수(Rc)를 충전레지스터(221)에 기록한다. 즉, 충전량 검출기(223)는 셀(210)의 유입 전류량 0.25mA가 검출될 때마다 1회의 충전횟수를 충전 레지스터(221)에 갱신시킨다. 이때, 충전 타이머(227)는 셀(210)의 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충전시간 레지스터(225)에 기록하기 때문에, 충전시간 레지스터(225)에는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충전 레지스터(221)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Rc) 까지 소요된 충전시간(Rct)이 기록된다.
이와 동시에, 방전량 검출기(224)는 셀(210)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0.25mA 단위로 방전횟수(Rd)를 방전레지스터(221)에 기록한다. 즉, 방전량 검출기(224)는 셀(210)로부터 유출 전류량 0.25mA가 검출될 때마다 1회의 방전횟수를 방전 레지스터(222)에 갱신시킨다. 이때, 방전 타이머(228)는 셀(210)의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방전시간 레지스터(226)에 기록하기 때문에, 방전시간 레지스터(226)에는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방전 레지스터(222)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Rd) 까지 소요된 방전시간(Rdt)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충방전 횟수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충전량 검출기(223)와 방전량 검출기(224)로부터 전류가 누스되고, 이 누스 전류량에 의해 충전 레지스터(221)와 방전 레지스터(222)에 비정상적으로 충방전횟수가 갱신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러 보정부(229)는 충전량 검출기(223)와 방전량 검출기(224)로부터 누스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잘못 기록된 충방전 횟수(Roff)를 계산한다. 이렇게, 에러 보정부(229)에 의해 검출된 전기적인 옵셋(Roff)은 통신단자를 통해 용량측정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셀(210)의 잔존용량 계산시 충방전 횟수의 에러 값의 보정에 이용된다.
여기서, 충전 레지스터(221)와 방전 레지스터(222)에는 충전횟수가 1회 및 2회 등과 같이 정수 단위로 기록되므로, 에러 보정부(229)는 검출된 충방전 횟수의 에러 값(Roff)이 2.3회 일 경우 이를 2회로 인식하게 된다. 즉, 에러 보정부(229)는 소숫점 부분을 제외하고 정수 부분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에러 보정부(240)가 충방전 횟수의 에러 값(Roff)의 인식에서 제외한 소숫점 부분에 해당하는 전류량이 누적되어 0.25mA가 될 경우, 에러 보정부(229)가 인식하지 못한 충방전 횟수의 에러 값이 충전 레지스터(221)와 방전 레지스터(222)에 기록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200)의 잔존용량 계산시 큰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에러 보정부(229)는 검출한 충방전 횟수의 에러 값(Roff)에 오차 보정값(η)을 더한 에러 보정값(Roff+η)을 통신단자를 통해 용량측정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잔존용량 계산시 에러 보정값(Roff+η)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오차 보정값(η)은 일정횟수 동안의 반복된 실험을 통해 계산된 오차 값의 평균치로서, 에러 보정부(229)에 고정된 값이다.
그리고,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에 기록된 값들을 1분 단위로 읽어와서 배터리(200)의 잔존용량(RC)을 다음 [수학식 1]에와 같이 계산한다.
RC = RC0+ (Rc-Rd) + {(Roff+η)(Rct+Rdt)/M}
상기 [수학식 1]에서, M은 정상적인 배터리(100)가 1시간 동안 충방전될 경우의 단위 전류당 충방전 횟수로서, 실험을 통해 검증된 충방전 횟수이며, 용량측정 제어부(110)에 미리 저장된 값이다.
한편,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을 1시간 단위로 리셋시키게 되는데, 이는 리셋 과정이 자주 반복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고유 기능이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1시간 단위로 리셋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충전량 검출기(223)와 방전량 검출기(224)의 출력단으로부터 누스되는 전류량에 의한 충방전 횟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과정을 보다 구체적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배터리(10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탑재하면,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전원단자(+, -)를 통해 탑재시 셀(210)의 초기 충전용량을 측정한후 측정한 초기 충전용량(RC0)을 통신단자를 통해 메모리(240)에 저장시킨다(S201).
그리고,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리셋부(230)를 제어하여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과 타이머(227, 228)들을 리셋시킨다(S202).
이렇게 리셋이 수행된 후, 충전량 검출기(223)는 셀(210)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유입 전류량 0.25mA당 충전횟수(Rc)를 충전레지스터(221)에 기록하고, 충전 타이머(227)는 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충전 레지스터(221)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Rc) 까지 소요된 충전시간(Rct)를 충전시간 레지스터(225)에 기록하고, 방전량 검출기(224)는 셀(210)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유출 전류량 0.25mA당 방전횟수(Rd)를 방전레지스터(221)에 기록하고, 방전 타이머(228)는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방전 레지스터(222)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Rd) 까지 소요된 방전시간(Rdt)를 방전시간 레지스터(226)에 기록하고, 에러 보정부(229)는 충전량 검출기(223)와 방전량 검출기(224)로부터 누스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잘못 기록된 충방전 횟수(Roff)를 계산하여 일시 저장한다(S203).
이어서,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레지스터(221, 222, 225, 226)들에 기록된값들과 에러 보정부(229)로부터 에러 보정값(Roff+η)을 읽어와서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은 연산 과정을 통해 배터리(200)의 잔존용량(RC)을 계산한다(S204).
이렇게 배터리(200)의 잔존용량(RC)을 계산한 후,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1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05), 경과되지 않았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판단결과 잔존용량(RC)을 계산한 후 1분이 경과되었으면,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리셋 과정(S202)에서의 리셋후 1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6). 판단결과 1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리셋 과정(S202)을 진행한다.
만일, 판단결과 리셋후 1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잔존용량 계산 과정(S204)을 진행한다.
한편, 용량측정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를 슬립모드(Sleep Mode)로 설정하거나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본 발명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를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슬립모드가 설정되면, 본 발명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잔존용량 측정 과정을 중지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단위 시간당 체크하여 잔존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잔존용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잔존 사용시간을 보다 정확히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셀의 잔존용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 상기 셀의 충전시간, 상기 셀의 방전시간과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셀에 유출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상기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와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검출수단;
    상기 셀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타이밍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누수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저장수단에 잘못 기록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 및 방전횟수를 보정하기 위한 에러 보정수단;
    상기 배터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 시간과 상기 에러 보정부에 저장된 에러 보정값을 읽어와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의 리셋을 제어하는 용량측정 제어수단; 및
    상기 용량측정 제어수단의 리셋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 및 타이밍수단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셀에 유입되는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기 위한 충전 레지스터;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기 위한 방전 레지스터;
    상기 셀의 충전시간을 상기 타이밍수단으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기 위한 충전시간 레지스터;
    상기 셀의 방전시간을 상기 타이밍수단으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기 위한 방전시간 레지스터; 및
    상기 용량측정 제어수단에 의해 계산된 상기 배터리의 초기 충전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셀로 유입되는 단위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를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시키기 위한 충전량 검출기; 및
    상기 셀로부터 방전되는 단위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를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시키기 위한 방전량 검출기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수단은,
    리셋 상태에서부터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량당 충전횟수까지 소요되는 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상기 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시키기 위한 충전 타이머; 및
    리셋 상태에서부터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량당 방전횟수까지 소요되는 방전시간을 타이밍하여 상기 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시키기 위한 방전 타이머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측정 제어수단은,
    RC = RC0+ (Rc-Rd) + {(Roff+η)(Rct+Rdt)/M}
    여기서, RC는 잔존용량, RC0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 Rc는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Rd는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서, Rct는 상기 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된 충전시간, Rdt는 상기 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된 방전시간, Roff+η는 상기 에러 보정부에 의해 계산된 에러 보정값, M은 단위 시간당 소정의 충방전 횟수
    상기 수식에서와 같이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6.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셀의 잔존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레지스터, 방전 레지스터, 충전시간 레지스터, 충방전 레지스터, 충전 타이머와 방전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셀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를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까지 소요된 충전시간를 타이밍하여 상기 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를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리셋 상태에서부터 현재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수 까지 소요된 방전시간를 타이밍하여 상기 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상기 충전 레지스터와 방전 레지스터에 비정상적으로 기록되는 충방전 횟수의 보정값을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록된 충전횟수, 방전횟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과 충방전 횟수의 에러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제 3 단계;
    상기 잔존용량을 계산한 후 소정의 제 1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리셋후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판단결과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리셋 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갱신되어 기록된 충전횟수, 방전횟수,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과 충방전 횟수의 에러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및 제 6 단계에서,
    용량측정 제어부는,
    RC = RC0+ (Rc-Rd) + {(Roff+η)(Rct+Rdt)/M}
    여기서, RC는 잔존용량, RC0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 상기 셀의 초기 충전용량, Rc는 상기 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충전횟수, Rd는 상기 방전 레지스터에 기록된 단위 전류당 방전횟서, Rct는 상기 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된 충전시간, Rdt는 상기 방전시간 레지스터에 기록된 방전시간, Roff+η는 상기 에러 보정부에 의해 계산된 에러 보정값, M은 단위 시간당 소정의 충방전 횟수
    상기 수식에서와 같이 상기 셀의 잔존용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방법.
KR10-2002-0008401A 2002-02-18 2002-0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43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01A KR100433783B1 (ko) 2002-02-18 2002-0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01A KR100433783B1 (ko) 2002-02-18 2002-0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87A true KR20030068787A (ko) 2003-08-25
KR100433783B1 KR100433783B1 (ko) 2004-06-04

Family

ID=3222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401A KR100433783B1 (ko) 2002-02-18 2002-02-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361A (zh) * 2019-09-12 2019-12-13 华中科技大学 一种动力电池健康状态的预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6603A (ja) * 1992-03-27 1993-10-22 Nissan Motor Co Ltd 蓄電池の残量検出装置および充電装置
JP3272874B2 (ja) * 1994-07-27 2002-04-08 新電元工業株式会社 蓄電池の容量・残時間表示装置
KR20010055899A (ko) * 1999-12-13 2001-07-04 홍경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100343561B1 (ko) * 1999-12-13 2002-07-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KR20000030874A (ko) * 2000-03-23 2000-06-05 노태균 배터리의 잔류용량 측정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361A (zh) * 2019-09-12 2019-12-13 华中科技大学 一种动力电池健康状态的预测方法
CN110568361B (zh) * 2019-09-12 2020-09-08 华中科技大学 一种动力电池健康状态的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783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519B1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7071654B2 (en) Battery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discharging method
US6515452B2 (en) Remaining battery capacity corr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0987606B1 (ko) 배터리팩의 잔류용량 측정의 수정장치와 방법
EP1577677A1 (en) Battery apparatus and discharge controlling method of battery apparatus
JP3454657B2 (ja) 二次電池の残存容量検出方法
JP2012095532A (ja) 電子機器
JP2004304940A (ja) 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池残量予測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JP4329543B2 (ja) 電池の残量計測装置
US6828761B1 (en) Battery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discharging method
KR1004337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7322398A (ja) 電池パックおよび満充電容量検出方法
KR100844040B1 (ko) 충전배터리 용량 검증방법
JP2001338699A (ja) 二次電池の残量表示装置
JP2005156303A (ja) 電池容量判定装置
KR100755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정보 검출 방법
JP2005037151A (ja) 2次電池の劣化判定回路
KR1004429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디자인용량 측정방법
JP5025455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020090755A (ko) 스마트 배터리의 잔류용량 보정방법
JPH09308113A (ja) 二次電池の容量演算表示装置
JP5279935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03005392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배터리 잔여 용량 데이터의에러검출 및 보정방법
KR1004185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횟수 계산 방법
KR20030062549A (ko) 배터리 잔량 정보 제어를 위한 자동 충전/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