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065A -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 Google Patents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065A
KR20030068065A KR1020030038637A KR20030038637A KR20030068065A KR 20030068065 A KR20030068065 A KR 20030068065A KR 1020030038637 A KR1020030038637 A KR 1020030038637A KR 20030038637 A KR20030038637 A KR 20030038637A KR 20030068065 A KR20030068065 A KR 2003006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bsorbent
pad
pulp
absorben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818B1 (ko
Inventor
권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03-003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8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식품과 분리되도록 흡수·저장하기 위해 식품포장시 식품과 식품용기 사이에 배치, 사용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는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재료층(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수재료층(20)이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 또는 펄프(21)와 흡수성수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펄프가 흡수패드 내로 식품액체가 흡수, 저장되는 방향(Z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수재료층(20) 내 펄프가 액체의 흡수 및 저장방향(Z방향)으로 배열되어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흡수, 저장할 수 있고, 항균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An absorption pad used in absorbing liquid of food}
본 발명은 식품으로부터 배출(유출)되는 액체를 흡수·저장하기 위해서 식품포장시에 식품과 식품용기 사이에 배치, 사용하는 흡수패드(이하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흡수, 저장할 수 있으며 항균성도 우수하여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생선류, 채소류 및 과일류 등과 같은 식품은 그 세포가 파괴되면 세포내부 및 외부의 유액이 밖으로 흘러나와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 된다.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되면 식품의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어 식품으로부터 더 많은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와 식품의 자가분해, 세균증식 및 변색 등이 더욱 가속화 된다.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흡수패드를 사용하여 식품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흡수함으로서 식품과 유출된 액체를 분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흡수패드로 종이나 스폰지 등을 사용하는 경우 겉보기에는 식품과 식품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서로 분리된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들이 서로 접촉된상태이기 때문에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없다.
최근에는 식품과 식품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재료층으로 이루어진 흡수패드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인 종래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2-2324호에서는 반투막과 수분흡수성 다공시이트 사이에 분말상 또는 과립상 식용당이 위치하는 흡수패드를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0-3038호에서는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와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 사이에 펄프 및/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흡수재료가 배열되어 있는 흡수패드를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87146호에서는 하나 이상의 셀을 형성하도록 결합한 상부시이트와 하부시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셀 내에는 흡수제가 위치하고, 상기 시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미세천공부들을 포함하는 액체 불침투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패드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흡수패드들은 흡수물질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흡수,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물질이 상부패드와 하부패드 사이에 랜덤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 분배하여 안전하게 저장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로인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거나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너무 많을 경우에는 흡수패드에 흡수, 저장된 액체가 다시 식품쪽으로 역류하여 식품과 접촉하게 되어 식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패드를 두껍게 제조하는 경우에는 흡수패드의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아니라, 식품포장용 용기도 더 크게 제조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얇은 두께로도 식품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 분배하여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흡수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재료층(20) 내의 펄프들을 식품의 액체가 흡수패드로 흡수, 저장되는 방향(이하 "Z 방향" 이라고 한다)으로 배열하므로서 얇은 두께로도 식품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액체들을 신속하게 흡수, 분배하여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수패드 내에,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흡수패드 중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 내에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여 양호한 항균성을 갖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 흡수패드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흡수재료층(20)이 펄프와 열활성섬유로 이루어진 본 발명 흡수패드의 단면 모식도
도 3은 흡수재료층(20)이 펄프와 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본 발명 흡수패드의 단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 흡수패드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 20 : 흡수재료층
30 :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 11 : 메쉬필름 또는 부직포
12, 32 : 티슈 21 : 펄프 22 : 열활성섬유 23 : 흡수성수지
31 : 방수필름 A :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 공급로울러
B : 메쉬벨트 C : 드럼포머 D : 펄프공급기
E : 열활성섬유 또는 흡수성수지 공급기 F : 건조기
G : 핫멜트접착제 공급기 H :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 공급로울러
I : 닙로울러 J : 흡수패드 권취로울러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는,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재료층(20)으로 구성되어 식품에서 유출되는 액체를 흡수, 저장하는 흡수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료층(20)이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 또는 펄프(21)와 흡수성수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펄프가 흡수패드 내로 식품액체가 흡수, 저장되는 방향(Z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이하 "흡수패드"라 약칭한다)는 도 1과 같이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재료층(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는 사용시 식품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식품과 직접 접촉하게 되고,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는 식품용기 바닥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는 천공된 메쉬필름 또는 부직포(11) 1개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천공된 메쉬필름 또는 부직포(11)와 티슈(12)가 적층된 2개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가 천공된 메쉬필름 또는 부직포(11)와 그 아래에 배열된 티슈(12)가 적층된 2층 구조인 것이 흡수재료층(20) 내의 흡수성 재료가 식품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욱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구성하는 부직포(11)는 단섬유를 혼면(Blending), 타면(Opening), 소면(Carding), 접합(Bonding), 절단(Sliting) 및 권취(Winding)하는 통상의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11)를 구성하는 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면섬유, 마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섬유 등이다.
복합섬유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 Side) 형태의 분할형 복합섬유, 시쓰-코어(Sheath and Core) 형태의 심초형 복합섬유, 해도형(Island in the sea)의 복합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는 방수필름(31) 1개층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방수필름(31)과 티슈(32)가 적층된 2개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유체투과성 하부시이트(30)가 방수필름(31)과 그 아래에 배열된 티슈(32)가 적층된 2층구조인 것이 흡수재료층(20) 내의 흡수성 재료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흡수재료층(20)은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로 구성될 수도 있고, 펄프(21)와 흡수성수지(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수재료층(20)내 펄프(21)들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식품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흡수패드 내로 흡수, 저장되는 방향(Z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펄프 배열에 의해 식품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들은 흡수재료층 (20) 내로 신속하게 흡수,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Z 방향으로 배열된 펄프는 액체흡수시 도관역활을 하여 보다 신속하게 상기 액체가 흡수재료층(20) 내로 흡수되어 안전하게 저장되도록 한다.
도 2는 흡수재료층(20)이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로 구성되는 흡수패드의 단면도 이다. 흡수재료층(20) 내의 펄프(21)들은 열활성섬유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흡수재료층(20) 내의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들은 결합제 역할을 하는 열활성섬유(22)에 의해 펄프와 펄프 또는 펄프와 열활성섬유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열활성섬유는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에스테르수지(PET),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프로필렌수지(PP), 폴리프로필렌수지(PP)와 폴리에스테르수지 (PET), 개질 폴리에스테르수지(개질 PET)와 폴리에스테르수지(PET)들이 다양한 형태로 복합방사된 단섬유 형태의 복합섬유 이다.
상기 복합섬유의 형태는 1개 성분이 섬유단면의 중앙 또는 편심된 위치에 배열되고 나머지 1개 성분이 이를 감싸고 있는 심초형(Seath Core Type), 2개 성분이 교호 반복되면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등이 있다.
상기 열활성섬유는 서로 융점이 상이한 2개 수지 성분이 복합되기 때문에 약 90~160℃ 정도의 일정온도 범위 내에서 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1개 성분은 녹아 펄프와 펄프 또는 펄프와 열활성섬유 등을 결합(Bonding) 시키는 역할을 하고, 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나머지 1개 성분은 녹지않고 섬유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흡수재료층(20)이 펄프(21)와 흡수성수지(23)로 구성되는 흡수패드의 단면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수지(23)는 Z 방향으로 배열된 펄프(21)들 사이에 랜덤하게 분산 배열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수지(23)로는 전분그라프트코폴리머,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개조된 친수성 아크릴레이트 등이다.
한편, 본 발명의 흡수패드에는 항균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흡수패드의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내에 항균성 물질이 0.1-3.0 중량% 함유되어 있다.
항균성 물질로는 유기계 항균제 또는 무기계 항균제를 사용한다. 유기계 항균제로는 유기구리화합물, 유기아연화합물, 유기질소계화합물, 유기실리콘4급암모늄 등이 있고,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소티아조린계화합물이나 피리티온계 금속화합물 등이 있다. 무기계 항균제로는 제오라이트, 실리카알루미나 등의 무기담체에 은, 구리, 아연 등과 같이 항균성이 뛰어난 금속이온을 치환시킨 것을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은계 제오라이트를 사용한다.
항균성 물질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항균성이 부족하고, 3중량%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식용에 바람직하지 않다.
부직포인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공정 일례를 살펴보면, 키토산과 나노크기 입경을 갖는 은(Ag) 입자의 혼합액(상표명 : ChitoFix Siver)과 증류수를 약 1:9의 중량비로 섞어 디핑액을 제조한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패딩시키고 디핑액이 부직포 1㎡ 당 2.5-3g 도포되도록 스퀴징한 다음, 160-170℃에서 건조하여 부직포에 항균성을 부여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흡수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일례를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수패드를 제조하는 일례의 공정개략도 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 공급로울러(A)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위에 상단에 펄프공급기(D)와 열활성섬유 또는 흡수성수지 공급기(E)가 설치된 드럼포머(C)를 이용하여 펄프(분쇄된 펄프)와 열활성섬유 등을 균일하게 분산, 배치한 다음, 계속해서 건조기(F) 내에서 건조 한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 공급로울러(H)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본 발명의 흡수패드를 제조한다. 이때, 본 발명은 펄프가 Z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메쉬벨트 부분)를 100-600mmHg 로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은 아래 방법으로 측정,평가 하였다.
·항균력 시험
흡수패드 상에 식품(닭고기)을 3일 동안 포장된 상태로 올려놓은 다음, 상기 흡수패드를 분리하여 37℃ 항온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흡수패드 내 일반 세균농도를 측정 하였다.
·식품(닭고기)로 부터 배출되는 액체에 대한 투과시간 측정
가로 7cm, 세로 20cm의 흡수패드에 식품(닭고기)로 부터 배출되는 액체 8g을 투입하여, 표면에 상기 액체가 모두 흡입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식품액체에 대한 표면흡입력 및 투과율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식품(닭고)로 부터 배출되는 액체에 대한 표면건조성 측정
가로 7cm, 세로 20cm의 흡수패드에 식품(닭고기)로 부터 배출되는 액체 8g을 모두 흡입시킨 다음, 상기 흡수패드를 상온에서 10분 방치한 후에 여과지 5장을 0.3psi로 가압하여 여과지에 묻어 나오는 양을 기록하여,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표면 건조성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 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항균제액(상표명 : ChitoFix Silver)과 증류수가 1:9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디핑액에 부직포(11)를 디핑, 스퀴징 및 건조하여 상기 항균제가 1.5 중량% 함유된 부직포(11) 상에 티슈(1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제조한다. 한편, 방수필름(31) 상에 티슈(3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티슈(32)가 상부에 방수필름(31)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열활성섬유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0중량부와 열활성섬유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300mmHg 로 감압하여 펄프들이 Z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였고, 열활성섬유로는 폴리에틸렌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심초형으로 복합된 복합섬유를 사용 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상기 라미네이팅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을 구성하는 부직포(11)가 상부에 위치하고 티슈(1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공급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먼저, 은계 제오라이트(항균제)가 2.0 중량% 함유된 부직포(11)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로 사용하고, 방수필름(31)을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로 사용 하였다.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흡수성수지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0중량부와 흡수성수지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300mmHg 로 감압하여 펄프들이 Z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였고, 흡수성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소듐 솔트를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먼저, 은계 제오라이트(항균제)가 1.5 중량% 함유하며 천공된 폴리프로필렌메쉬필름(11) 상에 티슈(1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제조한다. 한편, 방수필름(31) 상에 티슈(3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티슈(32)가 상부에 방수필름(31)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흡수성수지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0중량부와 흡수성수지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300mmHg 로 감압하여 펄프들이 Z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였고, 흡수성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소듐 솔트를 사용 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상기 라미네이팅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을 구성하는 천공된 폴리프로필렌 메쉬필름(11)이 상부에 위치하고 티슈(1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공급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4
먼저, 은계 제오라이트(항균제)가 2.0 중량% 함유하며, 천공된 폴리에틸렌 메쉬필름(11)을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로 사용하고, 방수필름(31)을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로 사용 하였다.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열활성섬유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5중량부와 열활성섬유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300mmHg 로 감압하여 펄프들이 Z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였고, 열활성섬유로는 폴리에틸렌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심초형으로 복합된 복합섬유를 사용 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먼저, 항균제가 처리되지 않은 부직포(11) 상에 티슈(1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제조한다. 한편, 방수필름(31) 상에 티슈(3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티슈(32)가 상부에 방수필름(31)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열활성섬유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0중량부와 열활성섬유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감압하지 않아 펄프들이 랜덤하게 배열되도록 하였고, 열활성섬유로는 폴리에틸렌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심초형으로 복합된 복합섬유를 사용 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상기 라미네이팅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을 구성하는 부직포(11)가 상부에 위치하고 티슈(1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공급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먼저, 항균처리 되지 않고, 천공된 폴리프로필렌 메쉬필름(11) 상에 티슈(1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제조한다. 한편, 방수필름(31) 상에 티슈(32)를 라미네이팅시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를 그의 공급로울러(A)에 의해 티슈(32)가 상부에 방수필름(31)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포머(C) 상에 설치된 펄프공급기(D)와 흡수성수지 공급기(E)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100중량부 대비 펄프 30중량부와 흡수성수지 50중량부를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분산, 배치하여 흡수재료층(20)을 형성한 후 건조기(F) 내에서 건조한다. 이때, 상기 드럼포머(C)의 하단부를 감압하지 않아 펄프들이 랜덤하게 배열되도록 하였고, 흡수성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소듐 솔트를 사용 하였다. 계속해서, 건조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상에 상기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라미네이팅한 후 닙 로울러(I)로 가열, 압착하여 흡수패드를 제조 하였다. 상기 라미네이팅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을 구성하는 천공된 폴리프로필렌 메쉬필름(11)이 상부에 위치하고 티슈(1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를 공급하였다. 제조된 흡수패드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흡수패드 물성 측정 결과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항균성 : 일반세균통도(CFU/㎖) 70 30 67 33 13,000 15,000
식품(닭고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에대한 투과시간(초) 70 60 75 65 208 190
식품(닭고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에대한 표면건조성(g) 1.5 2.0 1.6 2.3 3.5 4.4
본 발명은 식품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흡수, 저장하여 식품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식품과 다시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로인해, 본 발명의 흡수패드는 식품의 신선도를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얇아도 다량의 식품액체를 효과적으로 흡수, 저장할 수 있어서 경제적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이 우수하여 식품을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재료층(20)으로 구성되어 식품에서 유출되는 액체를 흡수, 저장하는 흡수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료층(20)이 펄프(21)와 열활성섬유(22) 또는 펄프(21)와 흡수성수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펄프가 흡수패드 내로 식품액체가 흡수, 저장되는 방향(Z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2. 1항에 있어서, 흡수패드의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 내에 항균성 물질이 0.1-3.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3. 1항에 있어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가 천공된 메쉬필름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4. 1항에 있어서, 유체투과성 상부시이트(10)가 (ⅰ) 천공된 메쉬필름층 또는 부직포(11)와 (ⅱ) 티슈층(12)이 적층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5. 1항에 있어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가 방수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6. 1항에 있어서, 유체불투과성 하부시이트(30)가 (ⅰ) 방수필름(31)과 (ⅱ) 티슈(32)가 적층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7. 1항에 있어서, 열활성섬유(22)는 섬유단면 상에 융점이 서로 상이한 2종의 수지들이 심초형(Sheath core type)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복합되어 있는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8. 1항에 있어서, 흡수성수지(23)가 전분그라프트코폴리머,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개조된 친수성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2003-0038637A 2003-06-16 2003-06-16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041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37A KR100416818B1 (ko) 2003-06-16 2003-06-16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37A KR100416818B1 (ko) 2003-06-16 2003-06-16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065A true KR20030068065A (ko) 2003-08-19
KR100416818B1 KR100416818B1 (ko) 2004-02-11

Family

ID=3222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637A KR100416818B1 (ko) 2003-06-16 2003-06-16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57B1 (ko) * 2003-07-14 2006-01-10 주식회사 바이오휘네셀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767B1 (ko) 2019-12-10 2020-07-20 허광진 생분해성 식품용 흡수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57B1 (ko) * 2003-07-14 2006-01-10 주식회사 바이오휘네셀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6818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756B2 (en) Healthcare textiles
US711876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CN101657222B (zh) 带有细菌吸附组合物和持水系统的伤口敷料
CN102083473B (zh) 包含蜂蜜和超强吸收材料的组合物
US8563447B2 (en)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EP1654114B1 (en)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composition therefor, and method of producing
US20040138601A1 (en) Wound dressings and wound treatment compositions
WO2018003377A1 (ja) 吸収シート
JPH04226657A (ja) 改善された吸収力のあるアルギネート織布、外傷及び火傷の手当用品としての使用、及びその調製法
CN102378612A (zh) 吸收性物品
US20050035327A1 (en) Topical silver-based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wound care devices
US20050008737A1 (en) Absorbent pad for absorbing liquid exuding from food
EP1599626B1 (en) Nonwoven support based on activated carbon fibres, and use
JP2862274B2 (ja) 吸水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416818B1 (ko)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JPH09238977A (ja) 蓬含有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KR100510219B1 (ko)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US20190275781A1 (en) Absorbent fluff and tissue laminate pads for food packaging
KR100417652B1 (ko)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1678014B1 (ko) 마스크 팩
KR20030086976A (ko)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CN1226976C (zh) 吸收性物品
KR100542157B1 (ko)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JP2862262B2 (ja) 機能性を有する吸水シート
JPH08150690A (ja) 食品包装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