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643A - 배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643A
KR20030067643A KR1020030052358A KR20030052358A KR20030067643A KR 20030067643 A KR20030067643 A KR 20030067643A KR 1020030052358 A KR1020030052358 A KR 1020030052358A KR 20030052358 A KR20030052358 A KR 20030052358A KR 20030067643 A KR20030067643 A KR 2003006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pe
connecting pipe
connecto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783B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03005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7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ㆍ폐수용 배관연결시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양측에 복수개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는 본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둘레에는 탄성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는 복수개의 밀폐돌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패킹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에 비해 구성이 간소화되고 중량이 대폭 경감되어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취급이 더욱 더 용이해지게 할 뿐 아니라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금속재질로 된 본체의 양 끝단부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가 파이프의 외측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더욱 더 견고하게 밀착된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므로 밀폐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연결구{Coupling for pipe arrangement}
본 발명은 오ㆍ폐수용 배관연결시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양측에 복수개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는 본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둘레에는 탄성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는 복수개의 밀폐돌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패킹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에 비해 구성이 간소화되고 중량이 대폭 경감되어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취급이 더욱 더 용이해지게 할 뿐 아니라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금속재질로 된 본체의 양 끝단부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가 파이프의 외측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더욱 더 견고하게 밀착된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므로 밀폐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ㆍ폐수용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파이프들의 끝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을 하는 용접방식과, 파이프들의 끝단부에 연결용 플랜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써 고정시키는 플랜지방식과, 파이프들의 끝단부를 서로 맞대어 열수축시트를 감은 후 그 외측면둘레에 클램프 등을 감싸도록 설치한 다음 클램프를 조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방식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관연결방식들은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배관의 연결상태도 견고하지 못하여 배관에 사소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관연결방식들로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재질이 상이할 경우,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된 파이프와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연결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관연결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ㆍ후단부에 플랜지부(21a)(21b)가 절곡형성되고 양단부에 체결봉(22a)(23a)이 각각 삽입설치되는 체결부(22)(23)가 형성되며 양단부의 일측에 슬라이드부(24)가 용접설치되어 있는 스테인레스재질로 된 본체(25)와, 상기 본체(25)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밀폐지지부(26a)(26b)가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패킹체(27)와, 상기 본체(25)의 체결부 (22)(23)사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28)로 이루어진 배관용 연결구(20)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하는 파이프(29)(30)를 배관용 연결구(20)의 본체(25)내측에 삽입설치된 패킹체(27)의 양측방으로 각각 삽입시킨 후, 본체(25)의 체결부(22)(23)에 체결볼트 (28)를 체결하게 되면, 본체(25)의 양단부가 슬라이드부(24)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점차 조여지게 되므로써 패킹체(27)를 파이프(29)(30)의 외측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키게 되어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PVC재질로 된 파이프의 연결하게 될 경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구의 밀폐력을 높이기위해서 본체(25)의 체결부(22)(2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8)를 최대한 조이게 되면, 본체(25)의 전ㆍ후단부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21a)(21b)가 PVC재질로 된 파이프(29)(3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직접적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연결하고자 하는 PVC재질로 된 파이프(29)(30)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시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본체(25)와 체결볼트(28)가 체결되는 체결봉(22a)(23a)이 주로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되어 재료비와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제조단가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는 그 직경이 커짐에 따라 금속재질로 된 본체(25)와 체결봉(22a)(23a)의 무게로 인하여 중량이 현저히 증대되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배관연결작업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양측에 복수개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는 본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둘레에는 탄성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는 복수개의 밀폐돌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패킹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에 비해 구성이 간소화되고 중량이 대폭 경감되어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취급이 더욱 더 용이해지게할 뿐 아니라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금속재질로 된 본체의 양 끝단부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가 파이프의 외측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더욱 더 견고하게 밀착된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므로 밀폐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관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2 : 본체
3 : 연결관부 3a : 가압돌기부
4a, 4b : 걸림돌기부 5 : 절개부
6, 7 : 체결부 8 : 체결볼트
9 : 패킹체 9a : 밀폐돌기부
10a, 10b : 탄성지지부 11a, 11b : 걸림홈부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4a)(4b)가 각각 형성된 연결관부(3)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절개부(5)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5)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체결볼트 (8)가 체결되는 체결부(6)(7)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연결관부(3)의 내측에 삽입설치되고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는 상기 연결관부(3)의 걸림돌기부(4a)(4b)가 결합되는 걸림홈부(11a)(11b)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면둘레에는 탄성지지부(10a)(10b)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는 밀폐돌기부(9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무재질로 된 패킹체(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데, 사출성형시 본체(2)의 연결관부(3)에 형성되는 체결부(6)(7)에는 복수개의 체결볼트(8)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공(6a)과 체결공(7a)이 각각 형성되도록 금속재질로 된 인서트 (insert)가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는 기본적으로 2개의 체결볼트(8)에 의해 체결되며, 체결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본체(2)의 크기도 커지게 되므로 본체(2)의 체결부(6)(7)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6a)과 체결공(7a)의 수를 2개이상으로 늘려 형성하므로써, 본체(2)에 체결되는 체결볼트(8)의 수를 2개이상으로 증대시켜 연결구(1)의 결합상태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하는 파이프(29)(30)를 배관용 연결구(1)의 본체(2)내측에 삽입설치된 패킹체(9)의 양측방으로 각각 삽입시킨 후 본체(2)의 체결부(6)(7)에 체결볼트(8)를 체결하여 적정한 토크를 가하게 되면, 본체(2)의 연결관부(3)가 원주방향으로 점차 조여지게 되면서 패킹체(9)를 파이프(29)(30)의 외측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는 밀폐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볼트 (8)에 강한 토크를 가해 체결하더라도 본체(2)의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부(4a)(4b)가 파이프(29)(30)의 외측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패킹체(9)의 탄성지지부(10a)(10b)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촉되므로 본체(2)의 수축으로 인한 가압력에 의해 파이프(29)(30)가 파손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이러한 본체(2)의 수축으로 인한 가압력이 패킹체(9)의 탄성지지부(10a) (10b)를 파이프(29)(30)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더욱 더 견고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연결구(1)의 설치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연결관부(3)의 내측면둘레에 본체(2)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패킹체(9)의 외측면둘레를 가압하게 되는 가압돌기부(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체결볼트(8)의 체결시 본체(2)의 수축력이 가압돌기(3a)를 통해 패킹체(9)의 밀폐돌기부(9a)에 더욱 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파이프(29)(3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1)의 밀폐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연결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양측에 복수개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는 본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둘레에는 탄성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는 복수개의 밀폐돌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패킹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에 비해 구성이 간소화되고 중량이 대폭 경감되어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취급이 더욱 더 용이해지게 할 뿐 아니라 종래의 금속재질로 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금속재질로 된 본체의 양 끝단부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가 파이프의 외측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 PVC재질로 된 파이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더욱 더 견고하게 밀착된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므로 밀폐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양 끝단부의 내측면둘레에 걸림돌기(4a)(4b)가 각각 형성된 연결관부(3)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절개부(5)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5)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체결볼트(8)가 체결되는 체결부(6)(7)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의 연결관부(3)의 내측에는, 양 끝단부의 외측면둘레에 상기 연결관부(3)의 걸림돌기부(4a)(4b)가 결합되는 걸림홈부(11a)(11b)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면둘레에 탄성지지부(10a)(10b)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의 내측면둘레에 밀폐돌기부(9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체(9)가 삽입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연결관부(3)의 내측면둘레에는 본체(2)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패킹체(9)의 외측면둘레를 가압하게 되는 가압돌기부(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KR1020030052358A 2003-07-29 2003-07-29 배관용 연결구 KR10054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58A KR100540783B1 (ko) 2003-07-29 2003-07-29 배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58A KR100540783B1 (ko) 2003-07-29 2003-07-29 배관용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492U Division KR200331506Y1 (ko) 2003-07-29 2003-07-29 배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643A true KR20030067643A (ko) 2003-08-14
KR100540783B1 KR100540783B1 (ko) 2006-01-11

Family

ID=3222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358A KR100540783B1 (ko) 2003-07-29 2003-07-29 배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2B1 (ko) * 2006-09-11 2007-05-08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
US20200173585A1 (en) * 2013-05-02 2020-06-04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07B1 (ko) * 2007-09-28 2009-07-20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배수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2B1 (ko) * 2006-09-11 2007-05-08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
US20200173585A1 (en) * 2013-05-02 2020-06-04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783B1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7755A (en) Pipe coupling
CA2779058C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2175152B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EP1281907B1 (en) Sleeve-type pipe joint with axially compressed packing ring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331506Y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100945494B1 (ko) 금속관 연결구조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CN220688329U (zh) 一种管道连接件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KR100324470B1 (ko) 관 연결구
EP1028281B1 (en) High tensile strenght coupling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CN220540544U (zh) 一种不锈钢波纹管接头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