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757A -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 - Google Patents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757A
KR20030066757A KR10-2003-7008522A KR20037008522A KR20030066757A KR 20030066757 A KR20030066757 A KR 20030066757A KR 20037008522 A KR20037008522 A KR 20037008522A KR 20030066757 A KR20030066757 A KR 2003006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frequency
signal
voltage controll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리스윌리엄에이.
Original Assignee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7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10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607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using vibrating tuning f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1/00Oscillators
    • Y10S331/02Phase locked loop having lock indicat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yroscope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을 신속히 초기화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루프 기동신호는 공진주파수보다 큰 기동 주파수에서 상기 발진장치 시스템의 구동을 시작한다. 상기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에 이르고 상기 기동 신호가 제거될 때까지, 상기 기동신호는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QUICK START RESONANT CIRCUIT CONTROL}
진동형 정전 구동 음차(tuning fork)를 사용하는 압전 진동형 자이로스코프는 다양한 각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음차(tuning fork)는 위상 고정 루프(PLL)를 포함하는 폐루프 구동 회로에 관련된 것이다.
위상 고정 루프(PLL) 공진 구동 회로는, 음차(tuning fork)의 진동을 나타내는 센서신호와, 상기 음차(tuning fork)의 진동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와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초기 전력 공급 시 상기 음차(tuning fork)는 위상 비교기에 출력 피드백 신호를 공급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회로의 기동시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 입력신호가 0이 때문에,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음차의 주파수와는 관계가 없다. 증폭된 백색 잡음이 시스템을 통해 정피드백(positivefeedback) 되기 시작할 때, 점차적으로 시스템이 기동된다.
상기 음차 센서가 공진주파수 f0를 갖고 공진 시스템의 효율이 Q일 때, 기동 시간은 f0에 의해 Q를 나눔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정전적으로 구동되고, 픽오프(pickoff)를 갖는 진공 음차 센서에서, 일반적으로 100,000의 Q와 20,000의 f0는 5초의 기동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기 음차가 작동을 시작할 때 공진주파수에서 최초 과구동된다면, 기동 시간은 감소될 수 있으나, 유사한 음차 간에 ±20% 범위에서 변동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정 회로에서 상기 음차의 공진주파수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효율을 위해 구동 주파수는 Q의 1/5인 센서 공진주파수 ±f0의 범위 내에 존재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공진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문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 PLL) 회로에서 증폭기에 의해 구동되는 공진 음차(resonant tuning fork)의 기동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기 도시한 부분 회로도이다.
발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는, 상기 발진장치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증폭기와, 상기 발진장치의 작동에 의한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위상차에 비례하는 평균 전압을 갖는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위상검출기와, 상기 위상검출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상검출기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가 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와,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출력 주파수는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기동주파수에서 시작되도록 상기 시스템에 전력이 공급될 때에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기동신호(starting signal)를 제공하며,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가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할 때까지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의 출력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신호원을 포함한다. .
또한, 상기 장치와 방법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와,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에서 발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기 회로와, 상기 발진장치의 진동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회로에 전력이 공급될 때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기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신호원과,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발진장치의 발진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고, 이 위상차에 비례하는 평균 전압을 갖는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에 오차신호를 제공하는 위상검출기와, 발진장치의 진동의 주파수가 그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동신호는 상기 발진장치의 예상되는 공진주파수 범위보다 큰 값으로 미리 결정된 기동주파수에서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을 제공하며,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동된다.
발진장치를 위한 폐루프 공진 구동 회로의 기동 방법은,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로 예상되는 주파수 범위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에서 상기 발진장치를 기동하기 위해 상기 회로에 개루프 기동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 이를 때까지 구동신호를 더 낮은 신호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기동신호를 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진장치가 공진주파수에서 발진할 때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정피드백(positive feedback) 경로를 갖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공진장치 시스템의 발진을 신속하게 초기화하는 방법은,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출력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최대 주파수에서 시작하고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작은 최소 주파수로 감소(sweep)되도록,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에 감쇠형 개루프(decaying open loop) 기동전압을 적용하는 단계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상기 공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서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기동 전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정피드백 경로를 갖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공진장치 시스템의 발진을 신속하게 초기화하는 방법은,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출력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최대 주파수에서 시작하고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작은 최소 주파수를 향해 감소되도록,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에 감쇠형 개루프 기동전압을 제공하는 단계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에 이르렀을 때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상기 공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서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고정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동 전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은 종래의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10)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12)는 외부 전압원(Vin)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준신호(13)에서 위상 고정된다. 위상검출기(14)는 상기 기준신호(13)와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12)의 출력신호인 피드백 신호(16) 사이의 위상차를 연속적으로 감시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16)는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12)에 의해 직접 제공되거나, 로컬 오실레이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믹서로부터 생성되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서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12)로부터 선택적으로 유도된다. 상기 위상검출기(14)는 출력 오차 전압(18)을 생성하고, 이어 상기 출력 오차 전압(18)은 위상 고정 루프의 정경로를 통해 저대역 통과 필터(20)를 거쳐 루프 증폭기 게인부(22)로 진행한다. 상기 고정 루프 회로(10)의 출력신호(16)의 주파수와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출력전압(23)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12)의 입력으로 피드백된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12)의 출력 오차 신호(16)가 설정된 획득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1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높은 Q 공진장치(26)의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높은 Q 공진장치(26)를 구동하기 위한 위상 고정 루프 회로(24)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공진장치는 비율 및 가속도 감지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전적으로 구동되는 마이크로 머신형(micromachined) 실리콘 음차이다.
상기 공진장치(26)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구동신호(28)를 입력받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신호(28)는 증폭기 또는 구동기 회로(3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음차(26)가 정전기에 의해 구동될 때,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동기 회로(30)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의 출력신호(32)의 주파수에서 고정된 크기로 구동신호(28)를 제공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이다.
위상 고정 루프 회로(24)의 정루프는 상기 공진장치의 발진을 표시하는 공진장치(26)로부터 피드백 신호(38)를 제공받는 위상검출기(36)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검출기(36)는 피드백 신호(38)를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의 출력신호(32)와 비교하고, 필터(42)에 결합되는 출력신호(40)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필터(42)는 저대역 통과 필터이다.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42)는 출력전압(48)을 생성하는 증폭기부(46)에 출력전압(44)을 제공한다. 피드백 루프는 상기 출력전압(48)을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의 입력에 연결함으로써 닫히게 된다.
도2에 도시된 회로에 최초로 전력이 인가될 때, 상기 음차(26)는 진동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음차(26)로부터 상기 위상검출기(38)에 피드백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는 증폭기(46)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전압(48) 없이 작동을 시작하므로, 그 출력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의 정전 요소값에 의해 결정되는 최소 주파수이다. 즉, 상기 위상검출기(36)는 최초에 입력신호(32)를 가지지만, 신호(38)는 거의 0이다. 단지, 상기 증폭기(46)로부터 백색잡음이 루프 내에 초기에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잡음은 음차의 구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차례로 인가하기 시작하는 출력신호(28)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잡음신호(28)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음차(26)의 진동 크기도 증가하며, 상기 위상검출기의 입력(38)은 위상 고정 루프를 음차(26)의 공진주파수에 고정하기에 충분한 수준에 이른다. 상기 음차(26)는 매우 높은 Q를 가지거나 좁은 진동/신호 대역을 가지므로, 상기 신호(28)가 공진주파수로서 대체되는 백색 잡음 및 신호를 가지더라도 상기 신호(38)는 음차(26)의 공진주파수이다.
도2에 도시된 공진 구동 회로(24)의 보다 신속한 작동의 시작을 위해서, 기동신호(50)가 구동신호원(52)으로부터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동신호(50)는, 음차(26)의 공진주파수의 진동으로 예상되는 범위보다 큰 주파수에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34)를 최초 구동하는 높은 전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동신호(50)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 주파수의 크기를 감소(sweep)시킨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파수가 음차(26)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하면, 위상 고정 루프가 상기음차(26)의 공진주파수에서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위상 고정 루프(24)는 고정되고 구동신호원(52)은 기동신호(50)를 제거한다.
도3은 공진 구동 회로(54)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위상 고정 루프(PLL) 집적 회로(56)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 신호(58)를 이용하여, 구동기 회로(60) 및 위상 고정 루프 회로(56)의 기준 입력(62)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기 회로(60)는 구동 신호(66)를 이용하여 음차(64)를 구동한다. 상기 음차(64)가 발진할 때, 음차(64)의 발진을 표시하는 피드백 신호(68)가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56)의 입력단자(70)에 연결된다. 위상 검출기의 출력단(72)에서의 신호는 저항기(76), 캐패시터(78) 및 저항기(80)를 포함하는 1차 필터(74)에 연결된다. 상기 1차 필터(74)의 출력은 출력단(82)으로부터 위상 고정 루프 회로(56)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84)에 결합된다. 저항기(88), 캐패시터(90) 및 스위치(92)를 포함하는 구동기 회로(86)는 양전압원(94)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저항기(88)의 저항값은 저항기(76)의 저항값보다 훨씬 크며, 캐패시터(90)의 용량값은 캐패시터(78)의 용량값보다 훨씬 크다. 스위치(92)는 회로에 전력이 인가될 때 닫힌다.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84)은 높은 값으로 시작되고, 이어 저항기(76) 및 캐패시터(90)의 시상수에 따른 비율로 감소한다.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58)은 거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최대 주파수에서 시작하며, 그 최소 주파수까지 감소(sweep)한다. 주파수가 감소하는 동안, 구동기 회로(60)는 감소하는 주파수에서 최대 구동 신호(66)를 제공한다. 주파수의 감소는 위상 고정 루프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58)이 음차의 공진주파수에 이를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공진주파수에서 위상 고정 루프는 고정되고, 위상 고정 루프 회로(56)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 신호(96)는 스위치(92)의 접촉을 개방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92) 접촉의 개방은 구동신호를 제거하고 위상검출기의 출력(72)이 상기 음차의 공진주파수에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주파수를 제어하게 한다. 음차 발진이 원하는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증폭기 및 구동기(60)는 최대 수준에서 음차(64)의 구동을 지속한다.
상술한 시스템, 장치, 구조 및 방법은 정전 구동 음차와 같은 공진장치를 위한 구동회로의 신속한 기동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적용 또는 변형을 포함하고자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한정을 위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른 실시형태의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 전체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발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위상 고정 루프 회로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발진장치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상기 발진장치의 동작에 비례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위상차에 비례하는 평균 전압을 갖는 출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위상검출기;
    상기 위상검출기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상검출기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입력신호가 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및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가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초기 주파수에서 시작되도록 전력이 상기 시스템에 인가될 때에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기동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가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할 때까지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된 신호원을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신호는,
    상기 발진장치의 동작이 공진주파수에 도달하면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자동 이득 제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은,
    상기 발진장치의 발진이 상기 발진 장치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장치는,
    마이크로머신형(micromachined) 실리콘 음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차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정전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
  7. 소정의 공진주파수에서 발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에서 발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기 회로;
    상기 발진장치의 발진이 시작되기 전에 회로에 전력이 인가될 때, 상기 발진장치의 예상되는 공진주파수의 범위보다 큰 값으로 미리 결정된 기동주파수에서,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을 제공하며,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기동 신호를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제공하기 위한 구동신호원;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발진장치의 진동을 지시하는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고, 상기 위상차에 비례하는 평균 전압을 갖는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에 오차신호를 제공하는 위상검출기; 및
    상기 발진장치의 발진 주파수가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진장치 구동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장치는,
    음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장치 구동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차는,
    정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마이크로머신형 실리콘 음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장치 구동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일 상태에서는 기준 전압원에 상기 구동신호원을 연결하며, 상기 발진장치의 발진 주파수가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구동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1. 발진장치를 위한 폐루프 공진 구동 회로의 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로 예상되는 주파수 범위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에서 상기 발진장치를 기동하기 위해 상기 회로에 개루프 기동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발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 이를 때까지 구동신호를 보다 낮은 주파수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기동신호를 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진장치가 공진주파수에서 계속 발진할 때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루프 기동신호를 변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진장치가 구동되는 주파수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신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개루프 기동신호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장치는,
    정전적으로 구동되는 마이크로머신형 실리콘 음차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5. 정피드백 경로를 갖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공진장치 시스템의 발진을 신속하게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출력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최대 주파수에서 시작하고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작은 최소 주파수를 향해 감소되도록,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입력에 감쇠형 개루프(decaying open loop) 기동전압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에,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상기 공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기동 전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 초기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발진은,
    상기 기동 전압이 제거된 후에, 상기 공진주파수에서 계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 초기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은,
    음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초기화 방법.
  18. 정피드백 경로를 갖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공진장치 시스템의 발진을 신속하게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출력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최대 주파수에서 시작하고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보다 작은 최소 주파수를 향해 감소되도록,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입력에 감쇠형 개루프 기동전압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때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상기 공진장치의 공진주파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고정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동 전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 초기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회로는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한 후에, 상기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을 계속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 초기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장치 시스템은,
    음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장치시스템 발진의 초기화 방법.
KR10-2003-7008522A 2000-12-22 2001-12-13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 KR20030066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46,268 2000-12-22
US09/746,268 US6585338B2 (en) 2000-12-22 2000-12-22 Quick start resonant circuit control
PCT/US2001/048918 WO2002065055A2 (en) 2000-12-22 2001-12-13 Quick start resonant circuit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757A true KR20030066757A (ko) 2003-08-09

Family

ID=2500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22A KR20030066757A (ko) 2000-12-22 2001-12-13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5338B2 (ko)
EP (1) EP1344020A2 (ko)
JP (1) JP2004521335A (ko)
KR (1) KR20030066757A (ko)
WO (1) WO20020650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0087C5 (de) * 2002-08-30 2011-12-01 Austriamicrosystems Ag Vibrationskreisel
GB2401467B (en) * 2003-05-09 2006-01-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ovable or removable unit for a motor vehicle
US7190237B2 (en) * 2004-05-27 2007-03-13 Continental Automotive, Inc. Open-loop start-up method for a resonating device
JP2006349409A (ja) * 2005-06-14 2006-12-28 Denso Corp 静電駆動・容量検出型のジャイロセンサのセンサ回路
DE102005034702A1 (de) * 2005-07-26 2007-02-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icheren Inbetriebnahme eines Drehratensensors
DE102005043592A1 (de) * 2005-09-12 2007-03-15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Vibrationskreisels und Sensoranordnung
EP1989742A1 (en) * 2006-03-02 2008-11-12 Nanofactory Instruments AB Control signal for inertial slider
US7365613B2 (en) * 2006-08-21 2008-04-2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determining resonant frequency
JP4775576B2 (ja) * 2006-09-20 2011-09-21 エプソントヨコム株式会社 速度センサおよびその調整方法
US7719367B2 (en) 2007-01-03 2010-05-18 Apple Inc. Automatic frequency calibration
US7986193B2 (en) 2007-01-03 2011-07-26 Apple Inc. Noise reduction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utomatic frequency modulation
US20100121596A1 (en) * 2008-11-12 2010-05-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frequency estimation for accelerometers
EP2336717B1 (en) 2009-12-21 2012-09-19 STMicroelectronics Srl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having an oscillating ma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having an oscillating mass
IT1397592B1 (it) * 2009-12-21 2013-01-16 St Microelectronics Rousset Dispositivo microelettromeccanico con massa oscillante e metodo per controllare un dispositivo microelettromeccanico con massa oscillante.
US8539834B2 (en) 2010-02-15 2013-09-24 Stmicroelectronics S.R.L. Microelectromechanical gyroscope with calibrated synchronization of actuation and method for actuating a microelectromechanical gyroscope
GB201005875D0 (en) * 2010-04-08 2010-05-26 Silicon Sensing Systems Ltd Sensors
US8624679B2 (en) 2010-04-14 2014-01-07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MS phase locked loop
JP5561237B2 (ja) * 2011-04-27 2014-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振動子駆動回路
US9228916B2 (en) * 2012-04-13 2016-01-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lf calibrating micro-fabricated load cells
US9835455B2 (en) 2014-04-24 2017-12-05 Nxp Usa, Inc. Drive circuitry and method for a vibration gyroscope
US9644965B2 (en) * 2014-10-09 2017-05-09 Nxp Usa, Inc. System comprising a mechanical resonator and method therefor
US10168194B2 (en) 2015-12-24 2019-01-01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multi-oscillator system
CN109931921A (zh) * 2017-12-15 2019-06-25 西安邮电大学 一种用于激光陀螺的自动跟踪抖动控制系统及实现方法
CN108562286B (zh) * 2018-06-13 2024-02-23 中国兵器工业集团第二一四研究所苏州研发中心 可重构的mems陀螺数字测控系统中数字锁相环电路
CN116839561B (zh) * 2023-09-01 2023-10-31 四川图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半球谐振陀螺垂向基座驱动电极的高压驱动起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3960A (en) * 1972-03-01 1973-07-03 Rca Corp Circuit for driving frequency standard such as tuning fork
JPS5610792A (en) * 1979-07-06 1981-02-03 Taga Denki Kk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ultrasonic-wave converter
US5113116A (en) * 1989-10-05 1992-05-12 Firma J. Eberspacher Circuit arrangement for accurately and effectively driving an ultrasonic transducer
GB2266149B (en) 1992-04-10 1995-08-16 British Aerospace Single axis rate sensor noise reduction
US6031427A (en) 1997-03-06 2000-02-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for sweeping a phase lock loop into lock with automatic initiation and shutdown
US5897569A (en) * 1997-04-16 1999-04-27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 generator with supervisory control circuitry
JP3932661B2 (ja) 1998-03-31 2007-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速度センサ駆動回路
US6084481A (en) 1999-04-26 2000-07-04 Hewlett-Packard Company Phase lock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witched drive signal
US6157804A (en) * 2000-03-22 2000-12-05 Xerox Corporation Acoustic transfer assist driv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85338B2 (en) 2003-07-01
US20030090334A1 (en) 2003-05-15
WO2002065055A3 (en) 2003-01-23
JP2004521335A (ja) 2004-07-15
EP1344020A2 (en) 2003-09-17
WO2002065055A2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6757A (ko) 공진회로의 신속 기동 제어
US58958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 sensing in a container
US6510737B1 (en) Inertial rate sensor and method with improved tuning fork drive
JP4741668B2 (ja) ヨーレートセンサの使用開始方法およびヨーレートセンサの使用開始のための回路装置
CN109313060B (zh) 电子振动传感器以及用于操作电子振动传感器的方法
US7849746B2 (en) Driver device,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JPH08213836A (ja) 発振開始時の発振特性を改良した発振機と発振方法
JP2004286503A (ja) 振動子の駆動方法および振動子の駆動装置
EP1387152B1 (en) Coil impedance detection for objec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573017B2 (ja) 振動子を用いた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JP2008089577A (ja) 駆動装置、物理量測定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187050A (ja) 共振周波数を探索および決定する方法、および共振周波数を探索および維持するチュ―ナ
JP2000028364A (ja) 角速度センサ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H0820258B2 (ja) 振動ジャイロの駆動方法
WO2024057606A1 (en) Mechanical resonator-based oscillators and related methods for generation of a phase used to compensate for temperature-dependent frequency errors
US4801837A (en) Piezoelectric load measurement apparatus and circuits
CN113296397B (zh) 基于参数激励的陀螺仪快速起振的方法和装置
JPH09203639A (ja) 角速度検出装置
KR20020046482A (ko) 차지 펌프형 아날로그 위상고정루프
US20230314138A1 (en) Mems gyroscope start-up process and circuit
JPH0236777A (ja) 超音波モーターの駆動装置
JP2002151954A (ja) 発振器
JPS5916221B2 (ja) 圧電振動子の共振回路
KR100224311B1 (ko) 마이크로 자이로스코프용 구동회로
JPS62130326A (ja) 水晶式気体圧力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