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199A - 주사용 약품병 - Google Patents

주사용 약품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199A
KR20030066199A KR1020020006532A KR20020006532A KR20030066199A KR 20030066199 A KR20030066199 A KR 20030066199A KR 1020020006532 A KR1020020006532 A KR 1020020006532A KR 20020006532 A KR20020006532 A KR 20020006532A KR 20030066199 A KR20030066199 A KR 2003006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ottle
injection
bottle body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근
Original Assignee
정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근 filed Critical 정인근
Priority to KR102002000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6199A/ko
Publication of KR2003006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2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용 약품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품을 분말상태로 분리 보관하다가 증류수로 혼합시켜 주사액으로 사용함으로써 보관기간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는 주사액 약품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전단부를 공지의 고정마개(15)와 고무덮개(16)를 이용하여 밀폐하면서 그 후단부를 개방하고, 그 내부에 제1,2피스톤(30,35)을 이용하여 약품분말(8)과 증류수(9)를 분리 보관하되, 제2피스톤(35)의 가압에 의해 증류수(9)가 제1피스톤(30)의 체크오리피스(31)를 통해 유출되어 약품분말(8)과 혼합되도록 설치되는 병몸체(10)와; 그 로드몸체(22)가 상기 병몸체(10)의 결합부(12)에 나사 또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병몸체(10)의 후단부를 개폐하고, 그 로드(21)가 개방된 병몸체(10)의 후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35)을 가압하게 되는 플런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약품병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주사용 약품병{BOTTLE FOR CHARGING MEDICINE USING FOR INJECTION}
본 발명은 주사용 약품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품을 분말상태로 분리 보관하다가 증류수로 혼합시켜 주사액으로 사용함으로써 보관기간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는 주사액 약품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사액 약품병(2)은 2가지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상의 약품은 보관온도 등에 의해 그 변질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종래의 주사액 약품병(2)은 그 내부에 담긴 액상의 약품이 변질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기간이 정해져 있는데, 그 보관기간이 매우 짧아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사액 약품병(2)의 보관기간은 생명에 관계되기 때문에 반드시 준수하여야 하고, 보관기간이 경과한 주사액 약품병은 반드시 폐기하여야 하므로 보관기간이 짧으면 주사액 약품병의 폐기량도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약품을 분말상태로 분리 보관하다가 증류수로 혼합시켜 주사액으로 사용함으로써 보관기간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는 주사액 약품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주사약 약품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사기 2: 주사액 약품병 8: 약품분말 9: 증류수 10: 병몸체 11: 단턱 12: 결합부 15: 고정마개 16: 고무덮개 20: 플런저 21: 로드 22: 로드몸체 30: 제1피스톤 31: 체크오리피스 35: 제2피스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전단부를 공지의 고정마개와 고무덮개를 이용하여 밀폐하면서 그 후단부를 개방하고, 그 내부에 제1,2피스톤을 이용하여 약품분말과 증류수를 분리 보관하되, 제2피스톤의 가압에 의해 증류수가 제1피스톤의 체크오리피스를 통해 유출되어 약품분말과 혼합되도록 설치되는 병몸체와; 그 로드몸체가 상기 병몸체의 결합부에 나사 또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병몸체의 후단부를 개폐하고, 그 로드가 개방된 병몸체의 후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가압하게 되는 플런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약품병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품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약품병은 병몸체(10)의 전방측을 기존의 주사액 약품병과 마찬가지로 고정마개(15)를 이용하여 고무덮개(16)로 밀봉하게 되지만 병몸체의 후방측을 개방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몸체(10)는 그 후방측을 플런저(20)의 로드몸체(22)에 의해 개폐되도록 개방시키게 되고, 그 내부의 전방측에 건조상태의 약품분말(8)을 제1피스톤(30)을 이용하여 밀어 넣게 된다.
그리고, 병몸체(10)내에는 제1피스톤(30)의 후방측에 증류수가 제2피스톤(35)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제1피스톤(30)에는 그 중앙에 체크오리피스(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크오리피스(31)는 약품분말(8)을 증류수(9)측으로 역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류수가 제2피스톤(35)에 의해 일정압이상으로 가압되지 않는 한 약품분말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병몸체(1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2)에는 플런저(20)의 로드몸체(22)가 나사결합되거나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플런저(20)는 로드몸체(22)와 로드(21)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드(21)는 주사액 약품병의 보관시 병몸체(1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나, 주사액 약품병의사용시 병몸체(10)의 후방측으로 밀어 넣어져 제2피스톤(35)을 전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약품병은 병몸체(10)내에 건조상태의 약품분말(8)과 증류수(9)를 분리 보관하게 되고, 이때 약품분말상태는 외부환경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 의해 그 보관기간을 현저히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주사액 약품병의 사용시에는 로드몸체(22)를 병몸체(10)의 결합부(12)로부터 분리하게 되고, 로드(21)를 병몸체의 후방측으로 밀어 넣어 제2피스톤(35)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로드(21)에 의해 전진되는 제2피스톤(35)은 증류수(9)를 가압하게 되고, 일정압 이상으로 압축되는 증류수는 체크오리피스(31)를 통해 유출되어 약품분말(8)과 혼합되면서 점차 주사액을 만들게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주사액은 고무덮개(16)을 통해 주사기(1)에 의해 채취되어 사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병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11)은 제2피스톤(35)의 가압에 의한 제1피스톤(30)의 전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써 약품분말(8)과 증류수(9)의 충분한 혼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주사액 약품병은 2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보관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약품병은 병몸체(10)내에 건조상태의 약품분말(8)과 증류수(9)를 제1피스톤(30)과 제2피스톤(35)을 이용하여 분리 보관함으로써 보관시 변질우려를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약품병은 주사액의 약품이 다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원액을 분말상태로 만들어 다수의 제1피스톤(30)으로 분리 보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제2피스톤(35)을 로드(21)를 이용하여 밀게 되면 다수의 제1피스톤(30)이 순차적으로 전진되면서 최종적으로 다수의 혼합물이 혼합된 수사액이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약품을 분말상태로 분리 보관하다가 증류수로 혼합시켜 주사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그 보관기간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고, 늘어난 보관기간에 따라 폐기량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그 전단부를 공지의 고정마개(15)와 고무덮개(16)를 이용하여 밀폐하면서 그 후단부를 개방하고, 그 내부에 제1,2피스톤(30,35)을 이용하여 약품분말(8)과 증류수(9)를 분리 보관하되, 제2피스톤(35)의 가압에 의해 증류수(9)가 제1피스톤(30)의 체크오리피스(31)를 통해 유출되어 약품분말(8)과 혼합되도록 설치되는 병몸체(10)와;
    그 로드몸체(22)가 상기 병몸체(10)의 결합부(12)에 나사 또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병몸체(10)의 후단부를 개폐하고, 그 로드(21)가 개방된 병몸체(10)의 후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35)을 가압하게 되는 플런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약품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10)의 내주면에 단턱(11)이 형성되어 상기 제2피스톤(35)의 가압에 의한 상기 제1피스톤(30)의 전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약품병.
KR1020020006532A 2002-02-05 2002-02-05 주사용 약품병 KR2003006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2A KR20030066199A (ko) 2002-02-05 2002-02-05 주사용 약품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2A KR20030066199A (ko) 2002-02-05 2002-02-05 주사용 약품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51U Division KR200275611Y1 (ko) 2002-02-05 2002-02-05 주사용 약품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99A true KR20030066199A (ko) 2003-08-09

Family

ID=3222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32A KR20030066199A (ko) 2002-02-05 2002-02-05 주사용 약품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619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768A (en) * 1979-09-14 1981-03-10 Ty Perla J Hypodermic syringe
US5122117A (en) * 1990-06-05 1992-06-16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 Component mixing syringe
US5211285A (en) * 1992-03-19 1993-05-18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elescoping, pharmaceutical mixing container
KR970008158U (ko) * 1995-08-24 1997-03-27 주식회사새한제약 분말 및 액상약제 혼합용 약병
KR20000010755A (ko) * 1996-05-03 2000-02-25 케스트렐 에스.에이. 주사기 부속품으로서 사용되는 유리병
KR100276374B1 (ko) * 1992-07-07 2000-12-15 아그네타 시그리드 탠너펠트 이중 챔버 분사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768A (en) * 1979-09-14 1981-03-10 Ty Perla J Hypodermic syringe
US5122117A (en) * 1990-06-05 1992-06-16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 Component mixing syringe
US5211285A (en) * 1992-03-19 1993-05-18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elescoping, pharmaceutical mixing container
KR100276374B1 (ko) * 1992-07-07 2000-12-15 아그네타 시그리드 탠너펠트 이중 챔버 분사 카트리지
KR970008158U (ko) * 1995-08-24 1997-03-27 주식회사새한제약 분말 및 액상약제 혼합용 약병
KR20000010755A (ko) * 1996-05-03 2000-02-25 케스트렐 에스.에이. 주사기 부속품으로서 사용되는 유리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0154A (en) Caulker for dispensing two viscous components
JP6306096B2 (ja) バイパスカートリッジのためのラックピニオン駆動装置
US5897028A (en) Two component adhesive dispensing unit
DE102015116245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von Glasampullen sowie Zementiervorrichtung
KR880010994A (ko) 반죽한 물질을 담는 통
ATE551044T1 (de) Medizinischer mehrkammer-behälter
ATE299383T1 (de) Mehrfachdosierungspritze
BRPI0408982A (pt) cápsula estanque, tampão para recipiente e recipiente com gargalo ou pescoço para a distribuição de lìquidos ou de produtos pastosos
WO2004093733A3 (en) Device for forming a hardened cement in a bone cavity
US7806297B2 (en) Device for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a free-flowing material
TW200637711A (en) Multi-component cartridge
DK1814802T3 (da) Flerkomponentpatron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EP0093185A1 (en) Caulker for dispensing two viscous components
KR200275611Y1 (ko) 주사용 약품병
KR20030066199A (ko) 주사용 약품병
CN204684363U (zh) 一种装有注射剂的组合式注射器
CH667438A5 (it) Dispositivo per mantenere separate sino al momento dell&#39;uso, all&#39;interno di un contenitore due diverse sostanze, in particolare resine a due componenti.
KR200275653Y1 (ko) 주사용 약품병
JP2010500057A (ja) ピストン付き注入器
US1154677A (en) Hypodermic syringe.
RU2237495C1 (ru) Многокамерный шприц
JP2003275306A (ja) 薬液供給器及び薬液カートリッジ
CN215131446U (zh) 双腔眼药瓶
KR102032865B1 (ko) 이종 물질 혼합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