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901A -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901A
KR20030064901A KR1020020004969A KR20020004969A KR20030064901A KR 20030064901 A KR20030064901 A KR 20030064901A KR 1020020004969 A KR1020020004969 A KR 1020020004969A KR 20020004969 A KR20020004969 A KR 20020004969A KR 20030064901 A KR20030064901 A KR 2003006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ocessor
aggregate
dredged soil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무
홍성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환경
홍성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환경, 홍성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환경
Priority to KR102002000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901A/ko
Publication of KR2003006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저수지, 호수 등에 있어서 하상의 정리나 퇴적된 토사를 준설할때 생성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경우 준설토는 오니나 토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이 매립용이나 고수부지 정리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도에 불과하고, 일부 세척하여 모래를 생산하고는 있으나 모래 표면이나 내부에는 오니나 토분이 포함되어 있어 건설용 골재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준설토의 골재 표면에 묻어 있는 불순물이나 골재와 함께 섞여 있는 토분이나 오니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섞어 처리기에서 처리한 후 선별기로 급송시켜 처리재와 처리재 외의 모래, 물, 토분, 오니 등의 기타 처리물을 분리시킨 다음, 처리재는 재활용하고, 상기 기타 처리물은 분류기로 급송하고 세골재만을 분리하여 세척 및 수분제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준설토와 처리재로부터 골재의 효과적인 생산과, 부족한 건설골재의 생산에 기여하고, 폐자원의 자원화와 자연보호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CONSTRUCTION AGGRIGATE PRODUCTION METHOD AND SYSTEMS OF RIVER DREDGED SOILS}
본 발명은 하천, 저수지, 호수 등에 있어서 하상의 정리나 퇴적된 토사를 준설할때 생성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경우 준설토는 대부분 오니나 토분이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이 매립용이나 고수부지 정리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도이고, 일부 세척하여 모래를 생산하고 있으나 모래 표면이나 모래의 내부에는 오니나 토분이 포함되어 있어 건설용 골재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천, 저수지, 호수 등에 있어서 하상의 정리나 퇴적된 토사를 준설할때 생성되는 준설토의 경우, 모래와 토분 및 각종 오니가 섞여 있는 상태이므로, 이들 준설토와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를 함께 처리하게 되면 모래를 포함한 골재의 표면처리 및 입형의 개선에 효과적이리라는 판단하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섞어 처리기에서 처리한 후 선별기로 급송시켜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모래, 물, 토분, 오니 등의 기타 처리물을 분리시키고, 상기 기타 처리물은 분급기로 급송시키고 모래와 같은 세골재만을 분리하고 세척 및 수분제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준설토로부터 세골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하여 부족한 건설골재의 생산에도 기여하면서 폐자원의 자원화와 자연보호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를 이루는 여러 처리기에서 생성된 오니, 토분, 탁수는 집수, 여과 및 정수시켜 물은 재활용하고 토분 및 오니 등은 케익 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 재활용의 비중을 높히면서 주변 환경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골재생산방법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2는 도1의 방법을 구체화한 장치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제1 및 제2처리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4는 도3의 일부 절결 종단면도,
도5는 도4의 Ⅶ-Ⅶ선 확대 단면도,
도6은 도3 및 도4에 있어서 공전로울이 설치된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절결 확대도,
도7은 도4의 Ⅸ-Ⅸ선 확대 단면도,
도8은 도4의 Ⅹ-Ⅹ선 확대 단면도,
도9는 도4의 XI-XI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차처리기, 3. 2차처리기, 4,50,51. 급송컨베어, 5. 3차처리기,
7. 4차처리기, 10. 원통형 본체, 12. 투입구, 14,42. 배출구,
16. 돌출부재, 18,36. 공전로울, 22,38. 외부구동원, 24. 급수라인
26. 슈트, 28. 기대, 30. 원통형 프레임, 32. 입구부,
34. 통공, 40. 하부 배출부, 44. 배출슈트, 46. 물분사파이프,
48. 노즐, 72. 분급기 수조, 74. 스크류컨베어 76. 진동스크린,
82. 물분사기, 84. 공기분사기, 78,80. 배출컨베어, 86. 침사조,
88. 용수여과기, 90. 펌프, 92. 필터프레스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 목적을 달성하고자,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섞어 통체 형태의 1차 처리기에 넣고 회전 작동하는 상기 1차 처리기 내부에서 마찰 내지 구름접촉에 의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함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원통형 선별기와 같은 2차 처리기에 넣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분리된 처리재는 상기 1차 처리기로 회송하여 재활용하는 제3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분리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은 분급기와 같은 제4처리기에 공급하여 제4처리기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는 제4공정, 상기 제4공정에서 생산된 세골재를 제외하고 배출되는 오니, 토분및 오탁수를 침사지로 유입시키고 오탁수를 용수여과기로 보내어 이를 거쳐 생산되는 맑은 물은 용수로 재활용하고 나머지 오니와 토분 등은 필터프레스에서 케익 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공정을 단계별 및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준설토를 처리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넣고 내부에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처리기와, 상기 1차처리기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1차처리기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넣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는 2차처리기와, 상기 2차처리기에서 분리된 조골재 형태의 처리재의 경우에는 상기 1차처리기로 순환 급송하는 3차처리기와, 상기 2차처리기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급송컨베어를 거쳐 공급하고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는 4차 처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1 및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준설토를 처리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넣고 내부에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 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처리기(1)와, 상기 1차처리기(1)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1차처리기(1)에서처리된 처리물을 넣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는 원통형 선별기 형태의 2차처리기(3)와, 상기 2차처리기(3)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급송컨베어(50,51)를 거쳐 상기 1차처리기(1)로 순환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3차처리기(5)와, 상기 2차처리기(3)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컨베어나 슈트와 같은 급송기구(6)를 거쳐 공급하고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는 분급기 형태의 4차 처리기(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1 및 도2에 도시한 경우, 도3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처리기(1)는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갖추고 내부 공간에 돌출부재(16)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0)와, 이 원통형 본체(10)를 받쳐주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전로울(18)과, 상기 원통형 본체(10)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구동원(22)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입구(12)와 인접된 위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24)과 준설토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위한 슈트(Chute)(26)가 설치되고, 제1처리기(1)는 기대(28)상에 투입구(12)가 배출구(14)보다 높게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2차처리기(3) 역시 도3, 도4,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처리기(1)의 배출구(14)가 원통형 프레임(30)의 입구부(32)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은 원통형 프레임(30)을 받쳐주고 다수의 통공(34)을 갖는 타공판 형태로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전로울(36)과 원통형 프레임(30)을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외부구동원(38)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프레임(30)과 이격되어 감싼 상태로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으로부터 통공(34)을 경유 배출되는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하부 배출부재(40)와 원통형 프레임(30)에 마련된 배출구(42)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으로부터 통공(34)을 경유하지 못하고 배출구(4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슈트(44)를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형 프레임(3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물분사파이프(46)를 설치하고 물분사파이프(46)의 노즐(48)은 물분사 방향이 원통형 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처리물이 치우쳐지는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원통형 프레임(30)은 입구부(32)가 배출구(42)보다 그 설치 위치가 높도록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때, 전술한 1차처리기(1)의 경우에 원통형본체(10)의 내측엔 일정 간격마다 중심에 개공부(17a)를 갖는 분리격벽(17)을 마련하여 1차처리기(1)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이들 분리격벽(17)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체류하면서 개공부(17a)을 통과하여 그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1,2차처리기(1,3)에 설치되는 공전로울(18,36)의 경우엔 원통형본체(10) 및 원통형프레임(30)에 각각 설치된 링타이어(Ring Tire)(19,39)와 상호간 맞닿은 상태에서 구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1,2차처리기(1,3)에 있어서 원통형본체(10) 및 원통형프레임(30)을 구동시키는 외부구동원(22,38)의 경우에 도3, 도7 및 도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와 체인에 의한 구동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처리기(5)는 도2,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슈트(44)를 거쳐 배출되는 처리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컨베어(50)와 상기 1차처리기(1)로 급송하기 위한 재급송컨베어(51)의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4차처리기(7)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급기 형태로서 상기 하부배출부재(40)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하부배출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컨베어(6)를 갖춘 분급기수조(72) 내측에 외부구동원에 의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크류(74)를 설치하고 스크류(74)의 상부 끝단으로서 분급기수조(72)의 일측과 인접하여 진동스크린(76)과 한쌍의 배출컨베어(78,80)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이 경우에도 인접하여 설치된 진동스크린(76)의 상부에 세골재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물분사기(82)와 세척된 세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기분사기(8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외에 상기 1차 내지 4차처리기(1,3,5,7)를 거치면서 생산된 조골재와 세골재를 제외하고, 이들 조골재와 세골재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되고 배출되어지는 오탁수와 부산물로 배출되는 각종 오니, 토분 등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침사조(86)로 모았다가 오탁수는 여과기(88)를 거치면서 여과시켜 펌프(90)를 거쳐 재사용하게 되며 남게되는 오니와 토분은 필터프레스(92)를 거쳐 케익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과정을 본 발명인 골재의 생산 방법에 입각하여 공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제1공정은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슈트(26) 및 급수라인(24)에 의하여 원통 형태의 1차 처리기(1)에 있어서 투입구(12)를 거쳐 원통형 본체(10)의 내부에 투입하고, 1차 처리기(1)의 원통형 본체(10)가 외부구동원(22)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원통형 본체(10)의 내부에서 마찰 내지 구름접촉에 의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함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정이다. 이때, 이와 같은 처리재에 의한 마쇄 및 파단 작용에 의하여 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거나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은 닦여지고, 약한 골재나 오니덩어리는 파쇄되어 미립분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제2공정
다음, 상기 제1공정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원통형 선별기와 같은 2차 처리기(3)에 넣고 조골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게 된다. 즉, 2차처리기(3)의 원통형 프레임(30)의 입구부(32) 내측으로 전체 처리물이 급송되어지고, 원통형 프레임(30)이 외부구동원(38)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내측에 위치한 전체 처리물중 처리재는 배출구(42)와 배출슈트(44)를 거쳐 제3처리기(5)로 급송이 이루어지고, 처리재를 제외하고 통공(34)을 거쳐 원통형 프레임(30)의 외부로 배출된 처리물은 하부배출부재(40)를 거쳐 후술되는 제4처리기(7)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물분사파이프(46)의 노즐(46)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부분적인 세척과 함께 통공(3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공정
다음, 상기 제2공정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3차처리기(5)를 거쳐 다시 상기 제1`공정의 1차처리기(1)로 순환 급송시키는 공정이다. 즉, 3차처리기(5)로서 급송컨베어(50)(51)를 채택하여 이들 컨베어(50,51)를 통하여 처리재를 제1처리기(1)로 순환 급송하여 재활용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4공정
다음, 상기 제2공정에서 분리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은 분급기와 같은 제4처리기(7)에 공급하여 제4처리기(7)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게 된다. 즉, 분급기수조(72) 내측에 급송된 제2공정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처리물은 수중에서 스크류(74)에 의하여 분리되어 그 중 세골재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필요시에 진동스크린(76)을 거치면서 세골재의 크기별로 분류하고, 물분사기(82)에 의한 표면의 세척과 공기분사기(84)에 의한 수분제거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출컨베어(78,80)를 거쳐 세골재의 크기별로 각각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5공정
다음, 상기 제4공정에서 생산된 세골재를 제외하고 배출되는 오니, 토분 및 오탁수를 침사지(86)로 유입시키고 오탁수를 용수여과기(88)로 보내어 이를 거쳐 생산되는 맑은 물은 용수로 재활용하고 나머지 오니와 토분 등은 필터프레스(92)에서 케익 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공정 내지 제5공정이 순차적으로이루어지는 골재의 생산방법과 이러한 생산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제1 내지 제4처리기(1,3,5,7)가 상호간 연동되도록 이루어져,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표면 처리와 입형을 개선하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하고 모래, 물, 토분, 오니 등의 세골재를 포함한 기타 처리물을 분리시키며, 상기 기타 처리물을 분급기 형태의 제4처리기(7)로 급송하고 세골재만을 분리하여 세골재는 각각 별도의 세척 및 수분제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하고, 부족한 건설골재의 생산에도 기여하면서 폐자원의 자원화와 자연보호에도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를 이루는 제1 내지 제4처리기(1,3,5,7)에서 생성된 오니, 토분, 탁수는 집수, 여과 및 정수시켜 물은 재활용하고 토분 및 오니 등은 케익 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 재활용의 비중을 높히면서 주변 환경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통체 형태의 1차 처리기에 넣고 회전 작동하는 1차 처리기 내부에서 마찰 내지 구름접촉에 의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함께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원통형 선별기와 같은 2차 처리기에 넣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분리된 처리재는 상기 1차 처리기로 순환 급송하여 재활용하는 제3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분리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은 분급기와 같은 제4처리기에 공급하여 제4처리기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는 제4공정, 그리고
    상기 제3공정 및 제4공정에서 처리된 처리재와 세골재를 제외하고 배출되는 오니, 토분 및 오탁수를 침사지로 유입시키고 오탁수는 용수여과기로 보내어 이를 거쳐 생산되는 맑은 물은 용수로 재활용하고 나머지 오니와 토분 등은 필터프레스에서 케익 상태로 만들어 별도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공정을 포함하여,
    단계별 및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2. 준설토를 처리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처리재로서 일반 조골재나 건설폐기물 콘크리트로 생산한 재활용 조골재에 준설토와 물을 함께 넣고 내부에서 마쇄 및 파단작용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진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처리기(1)와,
    상기 1차처리기(1)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1차처리기(1)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넣고 처리재와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분리하는 2차처리기(3)와,
    상기 2차처리기(3)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급송컨베어(50,51)를 거쳐 상기 1차처리기(1)로 순환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3차처리기(5)와,
    상기 2차처리기(3)에서 처리된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급송기구(6)를 거쳐 공급하고 내부에서 세척된 세골재만을 분리시켜 세골재를 생산하는 4차 처리기(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처리기(1)는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갖추고 내부 공간에 돌출부재(16)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0)와, 이 원통형 본체(10)를 받쳐주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전로울(18)과, 상기 원통형 본체(10)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구동원(22)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12)와 인접된 위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24)과 준설토와 처리재를 공급하기 위한 슈트(Chute)(26)가 설치되고, 1차처리기(1)는 기대(28)상에 투입구(12)가 배출구(14)보다 높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처리기(3)는 원통형 선별기 형태로서, 상기 1차처리기(1)의 배출구(14)가 원통형 프레임(30)의 입구부(32)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은 원통형 프레임(30)을 받쳐주고 다수의 통공(34)을 갖는 타공판 형태로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전로울(36)과 원통형 프레임(30)을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구동원(38)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프레임(30)과 이격되어 감싼 상태로 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으로부터 통공(34)을 경유 배출되는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하부 배출부재(40)와 원통형 프레임(30)에 마련된 배출구(42)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원통형 프레임(30)으로부터 통공(34)을 경유하지 못하고 배출구(4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슈트(44)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되, 원통형 프레임(3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물분사파이프(46)를 설치하고, 원통형 프레임(30)은 입구부(32)가 배출구(42)보다 그 설치 위치가 높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파이프(46)에 설치되는 노즐(48)의 물분사방향이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처리기(1)의 원통형본체(10)의 내측엔 일정 간격마다 중심에 개공부(17a)를 갖는 분리격벽(17)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처리기(5)가 상기 배출슈트(44)를 거쳐 배출되는 처리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컨베어(50)와 상기 1차처리기(1)로 순환 급송하기 위한 급송컨베어(51)의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차처리기(7)는 분급기 형태로서, 상기 하부배출부재(40)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하부배출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컨베어(6)를 갖춘 분급기수조(72) 내측에 외부구동원에 의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크류(74)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74)의 상부 끝단으로서 분급기수조(72)의 일측과 인접하여 진동스크린(76)과 한쌍의 배출컨베어(78,80)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진동스크린(76)의 상부에 세골재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물분사기(82)와 세척된 세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기분사기(84)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20020004969A 2002-01-29 2002-01-29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64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69A KR20030064901A (ko) 2002-01-29 2002-01-29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69A KR20030064901A (ko) 2002-01-29 2002-01-29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901A true KR20030064901A (ko) 2003-08-06

Family

ID=3221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69A KR20030064901A (ko) 2002-01-29 2002-01-29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9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74B1 (ko) * 2008-04-16 2008-09-24 (주)케이디에스 분산 세척 및 자기 충돌에 의한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432A (ja) * 1998-12-01 2000-06-20 Kumagai Gumi Co Ltd 浚渫土砂の処理方法
KR20010003390A (ko) * 1999-06-23 2001-01-15 장영호 하천오니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1212600A (ja) * 2000-02-02 2001-08-07 Ohbayashi Corp 浚渫泥土の処理方法
KR20020076887A (ko) * 2001-03-31 2002-10-11 엘지건설 주식회사 퇴적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96274A (ko) * 2001-06-19 2002-12-31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432A (ja) * 1998-12-01 2000-06-20 Kumagai Gumi Co Ltd 浚渫土砂の処理方法
KR20010003390A (ko) * 1999-06-23 2001-01-15 장영호 하천오니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1212600A (ja) * 2000-02-02 2001-08-07 Ohbayashi Corp 浚渫泥土の処理方法
KR20020076887A (ko) * 2001-03-31 2002-10-11 엘지건설 주식회사 퇴적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96274A (ko) * 2001-06-19 2002-12-31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74B1 (ko) * 2008-04-16 2008-09-24 (주)케이디에스 분산 세척 및 자기 충돌에 의한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534067B1 (ko) 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1957650B1 (ko) 침사 부선장치, 다단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CN104475441A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9829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CN107127210A (zh) 一种土壤淋洗修复系统及方法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CN213967995U (zh) 一种疏浚砂石再利用处置系统
KR200422043Y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JP4697719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KR200275792Y1 (ko)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0475431B1 (ko) 대용량 토양세척장치
KR100648972B1 (ko) 유기물질 회수장치
KR20030064901A (ko) 준설토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JP3635138B2 (ja) ドラムスクリーン
CN217141397U (zh) 一种碎石筛分清洗回收系统
KR101609134B1 (ko) 준설물 전처리 장치
JP2000093895A (ja) 掘削残土・汚泥の土質別分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