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264A -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264A
KR20030064264A KR1020020076396A KR20020076396A KR20030064264A KR 20030064264 A KR20030064264 A KR 20030064264A KR 1020020076396 A KR1020020076396 A KR 1020020076396A KR 20020076396 A KR20020076396 A KR 20020076396A KR 20030064264 A KR20030064264 A KR 2003006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filter
sewage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우배용
박상균
이영화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환 filed Critical 윤성환
Priority to KR102002007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264A/ko
Publication of KR2003006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2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화조에서 1차로 정화 처리되어 오니 등이 침전 처리된 오폐수를 펌프로 유입시키어 약품처리에 의하여 2차적으로 정화, 정수되도록 하여 BOD가 최하로 처리토록하고, 다음에 다수의 스크린 필터 및 카본필터 등을 거치도록 하여 3차적으로 정수 처리되도록 하며, 또한 이어서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가 설치된 여과탱크를 거쳐 최종적으로 하천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의 근본원인을 정화 처리하여 처리 방류수가 생물에 대해 생리적 활성작용을 증대시키어 결국, 하천의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수가 침전, 정화처리되는 정화탱크(10)와; 상기 정화탱크(10)에서 1차 정화된 오수를 유입시키어 약품투입통(50)으로부터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시켜 오수를 정화, 정수처리하는 정수탱크(900)와; 상기 정수탱크(900)에 이어서 필터수납실(200)과 여과탱크(800)가 일체로 단일화되어 오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처리기(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탱크(900)에는 약품투입통(50)내의 이송스크류(51)가 구동모터(920)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약품을 분출구(53)를 통하여 정수탱크(900)내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A waste water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많은 용수를 필요로 하는 대형식당, 스포츠 센터, 호텔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의 정수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정화조에서 1차로 정화 처리되어 오니 등이 침전 처리된 오폐수를 펌프로 유입시키어 약품처리에 의하여 2차적으로 정화, 정수되도록 하여 BOD가 최하로 처리토록하고, 다음에 다수의 스크린 필터 및 카본필터 등을 거치도록 하여 3차적으로 정수 처리되도록 하며, 또한 이어서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가 설치된 여과탱크를 거쳐 최종적으로 하천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의 근본원인을 정화 처리하여 처리 방류수가 생물에 대해 생리적 활성작용을 증대시키어 결국, 하천의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식당, 스포츠 센터, 특급호텔 등은 대부분 수영장 시설과 같은 체육 및 위락 시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은 많은 용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많은 용수를 사용하는 만큼 배출되는 오폐수도 많으며, 한때는 폐수를 하천에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근본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 처리한 후에 방류시키기 위한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폐수 및 하수의 처리 방법은 예를들면 오폐수 및 하수 중에 함유된 각종 유,무기물질을 영양원으로 하여 강제 폭기에 의한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이렇게 배양된 미생물과 오폐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오폐수 및 하수 중에 함유된 각종 유,무기물질을 산화, 분해, 응집, 흡착, 침전 등의 단계적 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대부분 채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 방법에는 크게 활성오니법과 생물막법 및 이들을 혼용한 방법이 있는데, 이중 활성오니법에서는 유기질분은 주로 세균, 균류를 섭취하는 반면 생물막법에서는 원생동물 특히 섬모충유가 압도적으로 많아 오폐수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 방법은 정상 상태에서 미생물이 담체에 모여 있으므로 용존 산소의 효율적 사용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설비가 대용량으로 하여야 함에 따라서 설비 및 유지비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로서는 근래에 개발된 오수정화 장치를 살펴보면 원통형의 탱크 내부에 제 1,2혐기성탱크와, 접축폭기실과, 침전실이 격벽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획설치되고, 침전실과 관통된 여과분해실이 상기 제 1,2혐기성탱크의 상부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외부에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제 1,2혐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진 후에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며, 접촉폭기실로 유입된 폐수는 내부에 설치된 접촉부재에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이 제거된 후에 침전실로 유입되며, 침전실로 유입된 폐수는 함유되었던 슬러지가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쌓이게 되고 상부를 통하여 여과분해실로 유입된다. 재차 여과분해실로 유입된 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미처리물이 여과재에 의하여 여과 및 분해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접촉폭기실에 장치된 접촉판에 다수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미생물에 의하여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 하수등의 폐수는 그 배출되는 양이 시간이나 시기에 따라 많이 차이가 있게 되므로 상기 미생물에 의한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즉,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과다한 경우에는, 일시에 유입되는 많은 양이 접촉폭기실에 체류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미처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다음 단계로 이동되므로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설비가 대용량으로 하여야 함에 따라서 설비 및 유지비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및 분리가능한 정수탱크에 약품을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하여 탱크내의 오수를 연속적으로 정화,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 정수탱크에 이어서 연결할 수 있는 정수처리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정수처리기는 본체를 필터수납실과 여과탱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단일화하였으며, 상기 필터수납실에는 펌프와 다수의 필터체들을 형성하며, 또한 필터체에는 오폐수가 침전 및 희석 정화되는 정화탱크와의 유출관으로 연결되어, 1차 정수된 오수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필터체들을 거치면서 필터링하도록 하며, 이 필터링된 오수는 다시 배수관을 통하여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좋케하여 하천 등으로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정수탱크와 정수처리기를 분리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 및 오니의 오염정도에 따라서 분리,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탱크와 정수처리기가 각각의 단일화하면서 소형으로 제작가능하여 설비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설비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수가 침전, 정화처리되는 정화탱크와; 상기 정화탱크에서 1차 정화된 오수를 유입시키어 약품투입통으로부터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시켜 오수를 정화, 정수처리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에 이어서 필터수납실과 여과탱크가일체로 단일화되어 오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처리기;로 구성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에는, 약품투입통내의 이송스크류가 구동모터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약품을 분출구를 통하여 정수탱크내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처리기는 일정깊이를 갖는 박스형태로써 칸막이벽으로 구획된 처리기본체와; 상기 처리기본체의 한쪽에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다수의 원통형의 필터체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필터수납실과; 상기 처리기본체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필터수납실의 필터체와 배수관으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되고,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가 적층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여과되어 드레인관으로 통하여 배출되도록 된 여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의 설치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기의 필터체의 연결예를 나타낸도,
도 5a,b 는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기의 필터체의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의 정수탱크의 분리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정수탱크에 장착되는 약품투입통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약품투입통 51 : 이송스크류
52 : 커플링 53 : 분출구
54 : 피니언휠 55 : 원주이빨
56 : 돌출편 57 : 철사
100 : 처리기본체 110 : 칸막이벽
200 : 필터수납실 300 : 펌프
400 : 필터체 410 : 원통체
420 : 뚜껑 430 : 하단연결구
440 : 중공관 441 : 유통구
450 : 필터 460 : 상단연결구
500 : 상단연결관 600 : 하단연결관
700 : 배수관 710 : 분출관
800 : 여과탱크 801 : 드레인관
810 : 여과재 900 : 정수탱크
920 : 구동모터 940 : 구동축
960 : 펌프 970 : 혼합임펠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수가 침전, 정화처리되는 정화탱크와(10); 상기 정화탱크(10)에서 1차 정화된 오수를 유입시키어 약품투입통(50)으로부터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시켜 오수를 정화, 정수처리하는 정수탱크(900)와; 상기 정수탱크(900)에 이어서 필터수납실(200)과 여과탱크(800)가 일체로 단일화되어 오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처리기(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탱크(900)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품투입통(50)내의 이송스크류(51)가 구동모터(920)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약품을 분출구(53)를 통하여 정수탱크(900)내로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900)에는 혼합임펠러(970)가 형성되어 정수탱크(900)내의 정수하고자 하는 물과 상기 약품이 서로 잘 혼합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우선, 정수탱크(900)에의 약품투입통(50)은, 정수탱크(900)위에 가로질러 고정된 받침브라켓(910)에 DC구동모터(920)가 고정되고, 이 구동모터(920)에 감속기(930)가 연결되어 구동되며, 또한 감속기(930)에는 구동축(9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브라켓(910)의 위에는 고정브라켓(950)이 세워져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브라켓(950)에 약품투입통(50)이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도시생략)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약품투입통(5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상의 통체로 형성되어 아래부분에 이송스크류(51)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이송스크류(51)에는 커플링(52)이 나사(59)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920)의 구동축(940)과 결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받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51)에 피니언휠(54)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송스크류(51)에 피니언휠(54)의 원주이빨(55)이 이맞물림구동으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상기 피니언휠(54)의 원주면에는 돌출편(5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56)에는 약품투입통(50)내의 고정편(58)에 고정된철사(57)의 한쪽 끝단이 접촉되어 있어서, 피니언휠(54)이 회전하면 돌출편(56)이 철사(57)를 튕겨 약품투입통(50)에 진동을 주어서 분말 약품이 약품투입통(50)벽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철사(57)는 진동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대략 "??"자형상으로 절곡시키어 한쪽 끝단은 상기 피니언휠(54)의 돌출편(56)에 접촉되도록 하고, 다른 한쪽은 약품투입통(50)의 내벽에 고정된 고정편(58)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920)와, 구동모터(92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51)의 회전구동 및 제어는 콘트롤박스(4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게 된다. 예를들어 정화탱크(10)의 오수가 펌프(960)에 의하여 정수탱크(900)로 유입되고 또한 정수탱크(900)내의 오수량을 센서가 감지하면 센서는 상기 구동모터(920)를 구동시키어 약품투입통(50)의 분출구(53)를 통하여 약품이 정수탱크(900)내에 투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900)에 혼합임펠러(970)는 정수탱크(900)의 위에 상기 약품투입통(50)과 이웃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질러 설치된 브라켓에 모터(971)가 설치되고 이 모터(971)에 종방향으로 모터축(972)이 설치되고 이 모터축(972)에 임펠러(973)가 여러단으로 설치되어 있어 있다.
상기 혼합임펠러(970)의 임펠러(973)는 모터축(972)으로부터 일정길이로 뻗어서 정수텡크(900)내의 오수와 약품투입통(50)으로부터 추출되는 약품을 혼합하여 정화 및 정수되게 한다.
상기 혼합임펠러(970)의 구동은 약품투입통(50)과 마찬가지로 정수탱크(900)내의 오수량을 센서가 감지하면 센서는 상기 모터(971)를 구동시키어 혼합임펠러(970)를 적당한 속도로 회전시키어 약품이 오수와 잘 혼합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혼합임펠러(970)의 속도는 정수탱크(900)의 크기 및 오수 수용량 등을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정수탱크(900)에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처리기본체(1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폐수를 1,2차로 정화, 정수시키는 정화조(10) 및 정화탱크(900)와의 유출관(11)으로 연결하여 하천(30)으로 방출되는 방류수를 최종적으로 정화하게 된다.
상기 정화조(10)는 대형식당, 스포츠 센터, 특급호텔 등의 대형 시설물에서 배출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1차적으로 정화하게 되며, 1차 정화된 오수는 콘트롤박스(4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며, 또한 센서(2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정화조(10)에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센서로드(20)의 신호에 의하여 후술하는 처리기본체(100)내에 장착된 펌프(300)를 가동시키어 정화조(10)내의 오수가 유출관(11)을 통하여 처리기본체(100)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센서로드(20)는 정화조(10)의 깊이보다 긴 로드이며 이 센서로드(20)에는 체결부재(21)가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이 체결부재(21)의 한쪽 끝단에 로그형의 센서(22)가 고정되어, 센서(22)의 위치 감지 신호가 콘트롤박스(40)에 전달되어 펌프(300)의 가동을 온,오프하게 된다.
예를들어 정화조(10)의 물이 상기 센서(22)의 감지센서 범위에 있으면펌프(300)가 가동하여 정화조(10)내의 1정화된 물은 유출관(11)을 통하여 펌프(960)에 의하여 정수탱크(900)로 유입되고, 또한 정수탱크(900)의 물은 처리기본체(100)에 유입구(201)로 유입되어 펌프(300)를 거쳐 후술하는 필터체(400)들을 거쳐 여과탱크(800)로 유입되게 되며, 또한 정화조(10)의 물이 상기 센서(22)의 감지범위 밖에 즉, 물이 낮은 경우 펌프(300)의 가동을 중단하게 된다.
다음, 상기 처리기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깊이를 갖는 박스형태로써 대략 중앙에 칸막이벽(110)이 형성되어 도면의 오른쪽은 필터수납실(200)공간을 구성하고, 또한 왼쪽은 여과탱크(800)를 구성하며, 처리기본체(100)는 뚜껑(130)을 덮어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처리기본체(100)에 필터수납실(200)과 여과탱크(800)를 단일체로 구성한 점이 중요하며, 또한 운반 및 설치위치를 쉽게 조정 보상할 수 있도록 처리기본체(100)의 바닥에 바퀴(120)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바퀴(120)에는 위치고정용 브레이크(도시생략)사 설치되도록 하여 적정위치에 고정시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상기 필터수납실(200)에는 도 2 와 같이 펌프(300)와 다수의 필터체(400)가 연결관(500,600)들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300)와 필터체(400)들의 연결은 쉽게 설명하자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300)와 첫 번째의 필터체(400)와의 상단연결관(5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첫 번째의 필터체(400)와 두 번째 필터체(400)와는 하단연결관(6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두 번째의 필터체(400)와 세 번째 필터체(400)와는 상단연결관(5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세 번째의 필터체(400)와 네 번째 필터체(400)와는 하단연결관(6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네 번째의 필터체(400)와 다섯 번째 필터체(400)와는 상단연결관(5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다섯 번째의 필터체(400)의 하단에 배수관(700)이 연결되어, 상기 필터체(400)들을 거친 정화수가 상기 여과탱크(800)로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체(400)들은, 최초의 필터체(400)가 펌프(300)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한쪽 필터체(400)와 상단연결구(460)에 연결관(500)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의 필터체(400)와는 하단연결구(430)에 연결관(600)이 연결되어, 다수의 필터체(400)들이 상,하로 연결관(500,600)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체(400)는,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깊이의 바닥이 있는 원통체(410)에 원통형의 필터(450)가 장착되며, 위쪽의 개구부는 뚜껑(420)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원통체(410)의 중앙에는 유통구(441)가 뚫려있는 중공관(440)이 고정되고, 상기 중공관(440)의 하단에 개구된 하단연결구(430)에 하단연결관(600)이 연결되며, 원통체(410)의 상단 둘레벽(411)에 뚫은 상단연결구(460)에 상단연결관(5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공관(440)의 하단연결구(430) 및 상단연결구(460)로 오수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통체(410)에 뚜껑(420)의 고정에 있어서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중공관(440)의 윗쪽에 볼트(47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뚜껑(420)을 볼트(470)에 관통 결합시킨 후, 볼트(470)에 너트(480)를 체결하여 고정하여 원통체(410)에 뚜껑(4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뚜껑(42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팩킹(도시생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체결방법 대신에 원통체(410)에 뚜껑(420)을 별도의 클램프 등의 결합수단(도시생략)에 의하여 고정하여도 된다.
도 5a에서 필터체(400)에서의 정화수의 유통을 설명하면, 하단연결관(600), 하단연결구(430) 및 중공관(440)으로 유입되어 중공관(440)의 유통구(441)들을 통하여 필터(450)로 유입되어 원통체(410)의 위쪽에 설치된 상단연결구(46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5b의 필터체(400)에서는, 상단연결구(460)를 통하여 유입된 정화수는 필터(450)를 거쳐 중공관(440)의 유통구(441)등을 통하여 중공관(440)내로 유입되어 하단연결구(430)를 통해 하단연결관(600)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필터체(400)의 필터(450)는 Sub, 폴리에스터, 셀룰로스, 활성탄 및 MF(UF)중공사막을 소재로한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300)와 연결된 필터체(400)는 대체로 굵은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메쉬의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배수관(700)과 가까운 필터체(400)일수록 미세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메쉬의 필터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제균 및 항균기능을 부여하는 필터를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탈취필터를 장착하여 악취 등이 제거된 방류수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여과탱크(800)는 상기 필터수납실(200)의 필터체(400)와 배수관(700)으로 연결되고, 또한 이 배수관(700)에 분출관(710)이 결합되어 필터체(400)들을 거친 정화수가 유입되게 된다.
상기 여과탱크(8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탄 및 모래 등의여과재(810)가 적층되어 상기 배수관(70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여과되어 드레인관(801)으로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여과탱크(800)의 분출관(710)은 상기 여과재(810)에 매몰된 상태에서 배수관(7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정화수를 여과재(810)에 분출시키게 되며, 또한 여과탱크(800)에도 위치센서(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적당량의 정화수가 여과되도록 하며, 여과탱크(800)의 하단으로 유입된 여과수는 대체로 BOD가 10mg/L 이하의 수질로 정화되어 드레인관(801)을 통하여 하천(30)으로 방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오수의 농도 및 오수량에 따라서 정수탱크(900)를 설치하지 않고 바로 정수처리기본체(100)와 연결시키어 정수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및 분리가능한 정수탱크에 약품을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하여 탱크내의 오수를 연속적으로 정화,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 정수탱크에 이어서 연결할 수 있는 정수처리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정수처리기는 본체를 필터수납실과 여과탱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단일화하였으며, 상기 필터수납실에는 펌프와 다수의 필터체들을 형성하며, 또한 필터체에는 오폐수가 침전 및 희석 정화되는 정화탱크와의 유출관으로 연결되어, 1차 정수된 오수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필터체들을 거치면서 필터링하도록 하며, 이 필터링된 오수는 다시 배수관을 통하여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좋케하여 하천 등으로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정수탱크와 정수처리기를 분리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 및 오니의 오염정도에 따라서분리,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탱크와 정수처리기가 각각의 단일화하면서 소형으로 제작가능하여 설비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설비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오수가 침전, 정화처리되는 정화탱크(10)와; 상기 정화탱크(10)에서 1차 정화된 오수를 유입시키어 약품투입통(50)으로부터 자동으로 일정량씩 투입시켜 오수를 정화, 정수처리하는 정수탱크(900)와; 상기 정수탱크(900)에 이어서 필터수납실(200)과 여과탱크(800)가 일체로 단일화되어 오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처리기(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900)에는 약품투입통(50)내의 이송스크류(51)가 구동모터(920)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약품을 분출구(53)를 통하여 정수탱크(900)내로 투입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처리기는, 일정깊이를 갖는 박스형태로써 칸막이벽(110)으로 구획된 처리기본체(100)와; 상기 처리기본체(100)의 한쪽에 펌프(300)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300)와 연결되어 다수의 원통형의 필터체(400)가 연결관(500,600)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필터수납실(200)과; 상기 처리기본체(100)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필터수납실(200)의 필터체(400)와 배수관(700)으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되고, 활성탄 및 모래 등의 여과재(810)가 적층되어 상기 배수관(70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여과되어 드레인관(801)으로 통하여 배출되도록 된여과탱크(8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KR1020020076396A 2002-12-03 2002-12-03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KR20030064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96A KR20030064264A (ko) 2002-12-03 2002-12-03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96A KR20030064264A (ko) 2002-12-03 2002-12-03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264A true KR20030064264A (ko) 2003-07-31

Family

ID=322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396A KR20030064264A (ko) 2002-12-03 2002-12-03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2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31B1 (ko) * 2006-01-31 2007-01-04 진성언 회전식 약액운 혼합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007657B1 (ko) * 2008-09-24 2011-01-13 박덕수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CN107619130A (zh) * 2017-11-02 2018-01-23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于净化废水的系统
CN116161763A (zh) * 2023-04-26 2023-05-26 山东泰北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含硫含硝废水循环净化的污水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84A (ko) * 1993-06-30 1995-01-03 최병조 수처리 장치
KR19990010946A (ko) * 1997-07-19 1999-02-18 남궁창호 일라이트(illite)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20010025319A (ko) * 2000-12-13 2001-04-06 정병욱 정수장치 및 이동형 정수장치
KR100293979B1 (ko) * 1998-11-10 2001-09-17 김덕중 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
KR20020089762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맑은물 폐수처리장치
KR100365305B1 (ko) * 2000-02-15 2002-12-26 조창균 상수도 소독약품 분쇄 정량 투입기
KR200343493Y1 (ko) * 2003-12-13 2004-03-02 문영택 오, 폐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84A (ko) * 1993-06-30 1995-01-03 최병조 수처리 장치
KR19990010946A (ko) * 1997-07-19 1999-02-18 남궁창호 일라이트(illite)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100293979B1 (ko) * 1998-11-10 2001-09-17 김덕중 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
KR100365305B1 (ko) * 2000-02-15 2002-12-26 조창균 상수도 소독약품 분쇄 정량 투입기
KR20010025319A (ko) * 2000-12-13 2001-04-06 정병욱 정수장치 및 이동형 정수장치
KR20020089762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맑은물 폐수처리장치
KR200343493Y1 (ko) * 2003-12-13 2004-03-02 문영택 오, 폐수 정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31B1 (ko) * 2006-01-31 2007-01-04 진성언 회전식 약액운 혼합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007657B1 (ko) * 2008-09-24 2011-01-13 박덕수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CN107619130A (zh) * 2017-11-02 2018-01-23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于净化废水的系统
CN107619130B (zh) * 2017-11-02 2024-02-02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于净化废水的系统
CN116161763A (zh) * 2023-04-26 2023-05-26 山东泰北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含硫含硝废水循环净化的污水处理装置
CN116161763B (zh) * 2023-04-26 2023-08-18 山东泰北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含硫含硝废水循环净化的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292A (en)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US10167216B2 (en) High efficiency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413427B2 (en) Nitrogen reduc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4615807A (en)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11407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wastewater including aerobic and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US9481591B1 (en) Device and process to treat and disinfect sewage, food processing wastewater and other biologically contaminated water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CN1931750B (zh) 石油化工污水回用处理工艺
WO1994027921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030064264A (ko) 오폐수의 정수처리시스템
CN201338976Y (zh) 医疗机构污水处理一体化设备
ZA200201560B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nd treating waste water in order to obtain drinking water.
KR200293979Y1 (ko) 오폐수의 정수처리기
KR100574672B1 (ko)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RU273618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112811717A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工艺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JP2574649B2 (ja) 好気性畜産廃棄物浄化槽
KR100191865B1 (ko) 완전 밀폐형 호기성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GB15973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ewage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KR100430034B1 (ko)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17947904U (zh) 一种spf级实验动物废水处理系统
RU2769426C1 (ru)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аэротенк с аэробной стабилизацией избыточного активного ила
JPH09108672A (ja) 並行2段膜分離型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