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503A -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503A
KR20030063503A KR1020020003650A KR20020003650A KR20030063503A KR 20030063503 A KR20030063503 A KR 20030063503A KR 1020020003650 A KR1020020003650 A KR 1020020003650A KR 20020003650 A KR20020003650 A KR 20020003650A KR 20030063503 A KR20030063503 A KR 2003006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
assembly
duct
instrument panel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796B1 (ko
Inventor
남 열 김
종 원 이
다니엘 우드만
연 수 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한국지이플라스틱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한국지이플라스틱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96B1/ko
Priority to AU2003200022A priority patent/AU2003200022A1/en
Priority to JP2003004778A priority patent/JP2003237417A/ja
Priority to BR0300059-1A priority patent/BR0300059A/pt
Priority to RU2003101704/11A priority patent/RU2236359C1/ru
Priority to CNB031027865A priority patent/CN1200829C/zh
Publication of KR2003006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다수의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을 가지는 세장 열가소성 전면 빔 부재를 포함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가 구비된다. 빔 조립체는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들을 가지는 세장 열가소성 빔 부재를 또한 포함한다. 전면 빔 부재는 빔 구조체에 공조 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를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에 다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을 가지고 빔 구조체를 형성하는 후면 빔 부재에 결합된다. 후면 빔 부재는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결합되도록 정렬되고 크기가 이루어진 복수의 반응 표면들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INSTRUMENT PANEL BEAM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자동차 계기판(Instrument Panel;I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기판 빔 조립체(IP beam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계기판 조립체들은 빔 구조체 및 상기 빔 구조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용(decorative) 계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장식용 패널들은 충돌시에 차량 탑승자들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 보호대로서 작용한다. 계기판 조립체는 자동차 몸체, 통상적으로는 A-필러에 부착된 빔 구조체를 갖는 자동차의 승객석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인 계기판 빔 구조체들은 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다.
다수의 차량 시스템들, 예를 들면, 난방, 환기, 및 공조(HVAC) 시스템들은 계기판 내에 포함되어 있다. HVAC 시스템은 계기판내에 포함된 다수의 공기 분배 덕트를 포함하고 있다. 공지된 계기판들에서, HVAC 덕트들은 계기판 빔 구조체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들이다. 복수의 요소들은 조립의 복잡성을 증가시켜, 제조시간 및 노동비를 증가시킨다.
미국 특허, 제5,312,133호는 강빔(steel beam) 및 그 강빔에 부착된 덕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계기판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다. 덕트 시스템은 그 덕트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접착제로 함께 결합되는 전면 채널 부재 및 후면 채널 부재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549,344호는 금속 지지빔, 플라스틱 기초 부재, 및 다수의 덕트들을 포함하는 계기판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다. 덕트들은 별개로 형성되어 일체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기초 부재에 열판 가열(hot plate heat) 용접된다. 이후, 기초 부재 및 덕트들이 금속 지지빔에 부착된다.
미국 특허, 제5,676,216호는 무릎 보호대 조립체, 계기판, 강화 조립체, 빔 덕트 조립체 및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계기판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다. 빔 조립체는 집적된 공기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두 피스 빔 구조체를 가진다. 빔 구조체의 각각의 피스는 시트 몰딩 컴파운드(SMC)로 형성되고 접착제로 함께 결합된다. 강화 조립체는 계기판의 무릎 보호대를 지지하도록 별개의 금속 강화 부재들을 포함한다.
일 태양에 있어, 다수의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를 가지는 세장(elongate) 열가소성 전면 빔 부재를 포함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가 제공된다. 빔 조립체는 또한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들을 가지는 세장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를 포함한다. 전면 빔 부재는 빔 구조체에 공조 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defrost duct)를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의 복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과 빔 구조체를 형성하는 후면 빔 부재에 결합된다. 후면 빔 부재는 복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결합되는 크기(sized)를 가지고 정렬된 복수의 반응 표면을 더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 계기판 빔 조립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세장 전면 빔 부재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면 빔 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의 부분과 실질적으로 L-형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덕트 채널들 및 복수의 에너지 흡수부들을 더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세장 후면 빔 부재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면 빔 부재는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덕트 채널들, 및 복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복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결합되도록 크기가 된 복수의 반응 표면들을 포함한다. 후면 빔 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 부분 및 전면 빔 부재의 L-형 부분과 결합되도록 윤곽진 실질적으로 L-형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방법은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의 복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이 빔 구조체에 복수의 덕트들을 형성하도록 빔 구조체를 형성하는 후면 빔 부재에 전면 빔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 다수의 몰딩된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들을 가지는 열가소성 전면 빔 부재를 포함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가 제공된다. 빔 조립체는 또한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몰딩된 덕트 채널들을 가지는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를 포함한다. 전면 빔 부재는,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의 복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이 빔 구조체에 공기 공조 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를 형성하도록 빔 구조체를 형성하는 후면 빔 부재에 결합된다. 후면 빔 부재는 복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corrugated energy absorbers)들과 결합되도록 정렬되고 크기가 되는 복수의 반응 표면들을 더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계기판 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계기판 빔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1의 A-A라인을 통해 도시된 계기판 빔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B-B라인을 따른 계기판 빔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C-C라인을 따른 계기판 빔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계기판 빔 조립체
12 : 빔 구조체
14 :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
16 : 중앙 스택
18, 20 : 단부 브라켓
22 ; 전면 빔 부재
24 : 후면 빔 부재
26 : 전면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
28, 30 : 사이드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
32, 40 : 메인 공조 덕트 채널
49 : 공조 덕트 출구
일체로 몰딩된 HVAC 덕트들 및 에너지 흡수부들을 가지는 열가소성 빔 구조체를 포함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가 이하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열가소성 빔 구조체는 계기판의 장식 패널(들)을 지지하고 있다. 일체 몰딩된 HVAC 덕트들 및 에너지 흡수부들은 공지된 계기판 구조체보다 적은 부품수를 초래하여, 단순화된 계기판 제조 및 더욱 낮아진 제조 노동 비용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빔 구조체는 다수의 열가소성 물질들 중 하나로 몰딩될 수 있다. 적절한 열가소성 물질들은 국한되지 않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카본에이트/ABS 혼합물, 코폴리카본에이트-폴리에스테르, 아크릴릭-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폴리프로필렌 디아민 수정된)-스티렌(AES), 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의 NORYL GTX?), 폴리카본에이트/PET/PBT, 폴리부틸렌 -프탈레이트 및 임팩트 수정자(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의 XENOY?수지), 폴리아미드, 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고 임팩트 폴리스티렌(HIPS), 저/고 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빔 조립체(10)의 사시도이며, 도2는 계기판 빔 조립체(10)의 분해도이다. 계기판 빔 조립체(10)는스티어링 컬럼 지지체(14), 빔 구조체(12)에 부착된 제1 및 제2 단부 브라켓(10, 20)을 가지고 몰딩된 열가소성 빔 구조체(12)를 포함한다.
빔 구조체(12)는 전면 빔 부재(22) 및 후면 빔 부재(24)에 의해 형성된다. 전면 빔 부재(22)는 몰딩된 HVAC 덕트, 채널들, 중앙 스택(16), 상세하게는, 전면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26), 사이드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들(28,30) 및 메인 공조 덕트 채널(32) 및 중앙 스택(16)을 포함한다. 후면 빔 부재(24)는 몰딩된 HVAC 덕트 채널들, 상세하게는, 전면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34) 및 메인 공조 덕트 채널(40)을 포함한다. 전면 빔 부재(22)는 다수의 공조 덕트 출구(49)들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면 디프로스트 채널(26)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방 확개형 사이드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이 삽입 고정된다.
전면 빔 부재(22) 및 후면 빔 부재(24)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진동 용접(vibration welding)에 의해 결합되고, 변형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가열 본딩, 접착제 본딩 및 고정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합되어도 좋다.
다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50)는 전면 빔 부재(22)의 하단 측면 에지(52)로부터 연장된다. 에너지 흡수부(50) 및 전면 빔 부재(22)의 주 몸체부(54)는 하나의 피스로 몰딩되어 있다. 채널 지지 로드(56)는 에너지 흡수부(50)들 사이로 연장된다. 채널 지지체 로드(56)는 글러브 박스 힌지(glove box 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응 표면(60)들은 후면 빔 부재(24)의 주 몸체부(64)의 하단에지(6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반응 표면(60)은 전면 빔 부재(22)로부터 연장되는 에너지 흡수부(50)와 정렬되며 대응하는 에너지 흡수부(50)들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다. 에너지 흡수부(50) 및 반응 표면(60)들의 조합은 충격중에 승객 무릎을 보호한다. 무릎 보호대(도시되지 않음)는 계기판의 일부이며 에너지 흡수부(50)에 의해 지지된다. 충돌 상태동안, 에너지는 승객의 무릎으로부터 무릎 보호대 그리고 에너지 흡수부(50)로 전달된다. 반응 표면(60)에 대한 에너지 흡수부(50)의 크러싱(crushing)은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승객 무릎에 대한 부상을 방지한다.
복수의 강성 리브(66, stiffening ribs)들은 전면 빔 부재(22)의 외 표면(68)으로부터 연장된다. 강성 리브(66)들은 사이드 윈도우 디프로스트 덕트 채널(28)들과 메인 공조 덕트 채널(3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14)는 하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70)와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70-1)의 합체로 이루어지며, 이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스틸 자재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스티어링 지지 부재(68,70)들은 예를 들면, 체결구(fasteners)들로 함께 결합된다.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14)는 예를 들면, 고정구들로 빔 구조체(12)에 결합된다. 하부 스티어링 지지 부재(70)는 차량 엑셀레이터, 브레이크 및 클러치 페달들(도시되지 않음)을 부착하기 위한 중공의 페달 브라켓부를 포함해도 된다.
제1 및 제2 단부 브라켓(18, 20)은 빔 구조체(12)의 대향 단부(74,76)들에 부착한다. 후면 빔 부재(24)는, 빔 구조체(12)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제1 및 제2 단부 브라켓(18,20)들이 맞물리도록 크기가 이루어지게끔 형성된 스냅 피트 연장부들을 포함해도 된다. 단부 브라켓(18,20)들은 채널 부분(82,84)들을 각각 포함한다. 채널 부분(82,84)들은 탈거 가능한 로더 브라켓(86,88)들을 각각 수용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탈거가능한 로더 브라켓들은 계기판 빔 조립체(10)를 자동차의 승객석 내에 배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단부 브라켓(18.20)들은 전체적으로 계기판넬이 조립되어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그(JIG)를 삽입할 수 있는 홀(18-1, 20-1)을 갖는다. 또한 단부 브라켓(18)은 스티어링 컬럼 지지부 상부(90-1)에 용접되어 측면 강성 및 진동 소음을 개선시켜 주도록 되어있다.
후면 빔 부재(24)는 전면 빔 부재(22)를 후면 빔 부재(24)에 고정하기 이전에 전면 및 후면 빔 부재(22,24)들을 정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로케이터 핀들을 더 포함해도 된다.
미설명 부호(90)는 휴즈박스 지지를 위한 휴즈박스 마운팅으로서, 후면 빔 부재(24)에 일체로 가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후면 빔부재(22, 24)의 단부는 단부 브라켓(18, 20)을 매개로 접합이 보강되도록 스냅 피트부가 탄성변형하여 단부 브라켓(18, 20)에 끼워져 걸림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상기 계기판 빔 조립체는 조수석 에어백, 운전석 계기판 와이어 묶음(WIRE HARNESS), 조수석 적재함(GLOVE BOX), 휴즈 박스(FUSE BOX), 및 계기판 덮개 등이 장착되고, 측면 충돌 시에도 운전석 계기판넬 조립체를 충분히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갖는 구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3은 도1의 A-A라인을 따른 빔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전면 빔 부재(22) 및 후면 빔 부재(24)에 의해 한정된 메인 공조 덕트(48) 및 전면 윈도우 덕트(42)를 도시한다. 전면 빔 부재(22)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92)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94)를 포함한다. 후면 빔 부재(24)는 전면 빔 부재(22)의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94)과 결합되도록 윤곽진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98) 및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96)을 포함한다. 계기판 리테이너 패널(100)은 빔 구조체(12)에 부착된다. 계기판 리테이너 패널(100)은 빔 구조체(12)에 직접 부착되는 에어백 모듈(104)에 인접 위치된 에어백 도어(102)를 포함한다.
도4는 도1의 B-B라인을 따른 빔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4는 빔 구조체(12)에 부착된 전면 윈도우 덕트(42), 메인 공조 덕트(48) 및 계기판 리테이너(100)를 도시한다.
도5는 도1의 B-B라인을 따른 빔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5는 빔 구조체(12) 및 스티어링 컬럼(106)에 부착된 하부 스트어링 컬럼 지지 부재(70) 및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68)에 의해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14)를 도시한다.
한편, 상기한 디프로스트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전면의 윈도우를 재상하기 위한 덕트이고, 상기한 공조덕트는, 차량 실내 승객에게 공조된 공기 흐름을제공하기 위한 덕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5)

  1. 계기판 빔 조립체에 있어서,
    다수의 덕트 채널 절반부,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 및 중앙 스택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된 풀커버(full-cover) 형식의 열가소성 전면 빔 부재;
    상기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 절반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로서, 상기 후면 빔 부재에 결합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상기 전면 및 후면 빔 부재의 상기 다수의 대응 덕트 채널들이 상기 빔 구조체에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 및 공조 덕트를 형성하도록 빔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정합되도록 정렬되고, 정합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반응 표면들을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 및
    상기 전면 빔 부재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부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빔 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 빔 부재의 상기 L-형 단면 형상부는 상기 후면 빔 부재의 상기 L-형 단면 형상부와 정합되어 중첩된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된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 컬럼 지지체 및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되며 차량 브레이크 또는 엑셀 레이터, 클러치 페달을 부착하기 위한 중공의 페달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하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은 다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상기 에너지 흡수부들 중 적어도 둘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지지 로드는 글러브 박스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된 중심 스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심 스택은 자동차 시스템 제어체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의 제1단부에 부착된 제1단부 브라켓 및 상기 빔 구조체의 제2단부에 부착된 제2단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공조 덕트 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빔 부재는 상기 단부 브라켓들과 맞물리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부 브라켓은 탈거가능한 로더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계기판 빔 조립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물질의 전면 빔 부재를 몰딩하는 단계;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결합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 다수의 반응 표면들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 및 상기 전면 빔 부재의 L-형 단면 형상부와 결합되도록 윤곽진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물질의 후면 빔 부재를 몰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빔 부재를 상기 후면 빔 부재에 결합시켜, 상기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의 다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이 상기 빔 구조체에 다수의 덕트들을 형성하도록 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금속으로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열가소성 물질로 하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몰딩하는 단계;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를 상기 하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티어링 컬럼 지지체를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은 다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적어도 두 에너지 흡수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채널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로 중심 스택을 몰딩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 스택을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제1단부 브라켓 및 제2단부 브라켓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단부 브라켓을 상기 빔 구조체의 제1단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부 브라켓을 상기 빔 구조체의 제2단부에 부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브라켓 중 어느 하나가 강으로 형성되어 스티어링 컬럼부 상단 측면에 용접되어 차량의 측면 강성 및 진동 소음을 개선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빔 부재를 상기 후면 빔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진동 용접, 가열 본딩, 접착 본딩, 및 고정구들로 상기 전면 빔 부재를 상기 후면 빔 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계기판 빔 조립체에 있어서,
    다수의 몰딩 덕트 채널들 및 다수의 접철식 에너지 흡수부들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전면 빔 부재;
    상기 전면 빔 부재 덕트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몰딩 덕트 채널들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로서, 상기 후면 빔 부재에 결합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상기 전면 및 후면 빔 부재들의 상기 다수의 대응하는 덕트 채널들이 상기 빔 구조체에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 및 공조 덕트를 형성하도록, 빔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후면 빔 부재는 상기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들과 결합되도록 정렬되고 크기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반응 표면들을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면 빔 부재; 및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빔 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 단면 형상부 및 실질적으로 L-형 단면 형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면 빔 부재의 상기 L-형 단면 형상부는 상기 후면 빔 부재와 결합되도록 윤곽지는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에 결합된 상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 및 하부 스티어링 컬럼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빔 부재는 상기 에너지 흡수부들 중 적어도 둘 사이로 연장되며, 글러브 박스 힌지를 포함하는 채널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에 결합되고, 자동차 시스템 제어체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 중심 스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체의 제1단부에 부착된 제1단부 브라켓 및 상기 빔 구조체의 제2단부에 부착된 제2단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빔 조립체.
  24. 차체폭방향으로 차실 전방측에 배열되는 계기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덕트 채널 절반부가 일체로 구획형성되고, 다수의 에너지 흡수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절반 커버체 형식으로 수지재로 이루어진 전면 빔부재;
    상기 전면 빔부재의 덕트 채널 절반부들에 대응하는 덕트 채널 절반부들이 일체로 구획 형성된 후면 빔부재;
    상기 전후면 빔부재 덕트 채널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프로스트 덕트 및 공조 덕트를 형성하도록 굴곡형 단면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대향 착접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면 빔부재 중 어느 하나의 빔부재에는 다수의 에너지 흡수를 위한 외팔보 형상의 산형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조립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빔부재의 착접은 진동 융착, 가열 본딩, 접착 본딩 및 고정구에 의해 맞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조립체.
KR10-2002-0003650A 2002-01-22 2002-01-22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46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50A KR100461796B1 (ko) 2002-01-22 2002-01-22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U2003200022A AU2003200022A1 (en) 2002-01-22 2003-01-06 Instrument panel beam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03004778A JP2003237417A (ja) 2002-01-22 2003-01-10 計器板ビーム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BR0300059-1A BR0300059A (pt) 2002-01-22 2003-01-17 Conjunto de viga de painel de instrumentos e respectivo método de fabrico e conjunto de painel de instrumentos
RU2003101704/11A RU2236359C1 (ru) 2002-01-22 2003-01-21 Узел поперечины приборного щит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B031027865A CN1200829C (zh) 2002-01-22 2003-01-21 仪表板横梁组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50A KR100461796B1 (ko) 2002-01-22 2002-01-22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03A true KR20030063503A (ko) 2003-07-31
KR100461796B1 KR100461796B1 (ko) 2004-12-14

Family

ID=2778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650A KR100461796B1 (ko) 2002-01-22 2002-01-22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3237417A (ko)
KR (1) KR100461796B1 (ko)
CN (1) CN1200829C (ko)
AU (1) AU2003200022A1 (ko)
BR (1) BR0300059A (ko)
RU (1) RU223635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6630B2 (ja) * 2010-12-03 2013-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ニーボルスター
US8596712B2 (en) * 2011-07-01 2013-12-03 Honda Motor Co., Ltd. Vehicle cabin intrusion management
DE102011056699B4 (de) * 2011-12-20 2018-11-0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strumententafelträgers sowie Instrumententafelträger
CN103934620B (zh) * 2014-05-08 2016-06-01 安徽大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板横梁的分总成焊接夹具
KR101746452B1 (ko) * 2015-11-16 201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바 연결구조
FR3048403B1 (fr) * 2016-03-04 2018-03-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utillage de preparation de planches de bord
CN107416034B (zh) * 2016-05-24 2024-02-1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顶部外装饰总成
CN106826312B (zh) * 2016-12-30 2019-02-26 安徽大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零件用夹具
CN106584171B (zh) * 2016-12-30 2018-10-26 安徽大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用夹具
CN108791514A (zh) * 2018-07-12 2018-11-13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仪表板塑料横梁总成
CN113459959B (zh) * 2021-06-30 2023-04-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板显示连屏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960A (en) * 1992-12-17 1994-05-17 Ford Motor Company Two piece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al cross vehicular beam
JP2753444B2 (ja) * 1993-05-14 1998-05-20 株式会社カンセイ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部構造
JP3596554B2 (ja) * 1994-08-18 2004-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796B1 (ko) 2004-12-14
BR0300059A (pt) 2003-09-09
CN1200829C (zh) 2005-05-11
RU2236359C1 (ru) 2004-09-20
JP2003237417A (ja) 2003-08-27
CN1445120A (zh) 2003-10-01
AU2003200022A1 (en)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123B2 (en) Instrument panel thermoplastic energy absorbers
JP3585566B2 (ja) 膝受けを具備する自動車用計器板
US6273495B1 (en) Plastic cross beam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integrally formed duct connectors
JP3357569B2 (ja) ダッシュボード
US9033399B2 (en) Energy absorber elements and vehicle systems
KR100314289B1 (ko) 구조적계기패널지지조립체
US6305733B1 (en) Cockpit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520849B1 (en) Integrated structural HVAC system
US8534739B2 (en) Cross car beam assembly including reinforced polymerized elements
KR100461796B1 (ko)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1213139A (ja) 車両用空気案内ダクト
US10494032B2 (en) Vehicle cross-car beam
AU2002250119B2 (en) Instrument panel beam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384723B2 (en) Vehicle cross-car beam
US6872134B2 (en) Dashboard assembly
US20050048904A1 (en) Vehicle air duct assembly of an integrated beam structure
WO2003045763A1 (en) Instrument panel thermoplastic energy absorbers
GB2335396A (en) A dashboard assembly for a vehicle
JP2005119469A (ja) 車両空気ダクト
JP334053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4504829B2 (ja) 自動車のルーフトリム取付構造
WO2003051682A1 (en) Passenger side inflatable restrant bracket
KR20220153966A (ko) 카울 크로스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