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665A - 고효율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665A
KR20030062665A KR1020020002993A KR20020002993A KR20030062665A KR 20030062665 A KR20030062665 A KR 20030062665A KR 1020020002993 A KR1020020002993 A KR 1020020002993A KR 20020002993 A KR20020002993 A KR 20020002993A KR 20030062665 A KR20030062665 A KR 2003006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ust
dust collector
high efficiency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863B1 (ko
Inventor
황정호
지준호
강석훈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0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리어 유전체 방전과 교류(AC) 전기장을 이용하여 소각로, 발전소 및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고효율 집진장치에 있어서, 접지되어 있는 하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유전체전극과, 상기 하부 유전체전극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상부 유전체전극 및 상기 상부 유전체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상부전극으로 구성되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의 후단에서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 및 상기 하부 평판전극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고압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상부 평판전극으로 구성되는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집진장치 또는 백 필터로 구성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집진장치{A high efficiency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고효율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리어 유전체 방전과 교류(AC) 전기장을 이용하여 소각로, 발전소 및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고효율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소각장이나 발전소 등에서는, 각종 오염된 공기(먼지)를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전기 집진장치나 백 필터 등의 입자 포집장치를 통해 걸러낸 후 배출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소각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의 허용기준이 점점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의 환경 규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미세 먼지는, 대기중에서 장시간 부유하기 때문에 시계(視界)를 감소시키거나 중금속이나 다른 유해한 기체 성분들과 화학 반응을 통해 2차 오염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 인체내로 유입되는 경우 폐 깊숙이 침투해 폐내에 장기간 머무르면서 암이나 돌연변이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입자 지름이 1㎛ 이하인 미세 먼지를 대기로 방출하기 전에,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나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로 전기 집진장치 또는 백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 집진장치는, 주로 화력 발전소의 배출 가스를 집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발생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입자들을 집진하는 집진전극으로 구성되어, 그 전체 질량의 집진효율은 99% 이상이지만, 입자지름이 0.1~1㎛인 미세 입자의 경우는 85%로서 상대적으로 미세 입자의 집진 효율이 낮았다. 즉, 입자지름이 1㎛ 이하인 미세 입자의 집진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집진효율을 결정하는 지배적 요인인 포화 하전량이 입자 표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또한, 백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풍량을 처리하기 어렵고, 운전과정에서 압력강하가 크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통해 미세 먼지를 대전시키고, 교류(AC) 전기장을 이용하여 미세 먼지를 큰 먼지에 부착시켜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고효율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배리어 유전체 방전과 교류(AC) 전기장을 이용한 고효율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통해 발생되는 기체상의 이온들로 인해 먼지 입자가 양극성으로 대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류(AC) 전기장 내에서 양극성으로 대전된 미세 먼지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응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효율 집진장치에 있어서, 접지되어 있는 하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유전체전극과, 상기 하부 유전체전극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상부 유전체전극 및 상기 상부 유전체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상부전극으로 구성되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의 후단에서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 및 상기 하부 평판전극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고압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상부 평판전극으로 구성되는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집진장치 또는 백 필터로 구성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리어 유전체 방전과 교류(AC) 전기장을 이용한 고효율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먼지)가 유입되어, 배리어 유전체 방전에 의해 양극성으로 대전되는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에서 대전되어 극성이 서로 다른 입자들이 상대운동을 하게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먼지)중에서 입자 지름이 작은 먼지가 입자 지름이 큰 먼지에 부착하게 하는 응집부(30) 및 상기 응집부(30)에서 응집되어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부(50)로 구성되어 있다.
하전부(10)는, 접지되어 있는 하부전극(14a)과, 상기 하부전극(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유전체전극(13a)과, 상기 하부 유전체전극(13a)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상부 유전체전극(13b) 및 상기 상부 유전체전극(1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는 5~15㎸의 교류전압(15)이 인가되는 상부전극(14b)으로 구성되어,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일으킨다.
또한, 응집부(30)는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고,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36a) 및 상기 하부 평판전극(36a)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고압의 교류전압(37)이 인가되는 상부 평판전극(36b)으로 구성되어, 교류(AC) 전기장을 일으킨다.
또, 집진부(50)는 상기 응집부(30)의 후단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장치(51) 또는 백 필터(5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통해 발생되는 기체상의 이온들로 인해 먼지 입자가 양극성으로 대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1에 도시된 19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교류(AC) 전기장내에서 양극성으로 대전된 먼지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응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1의 20 부분의 확대도이다.
우선, 하전부(10)에서는 미리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는 5~15㎸의 교류전압(15)이 상부전극(14b), 상부 유전체전극(13b), 하부 유전체전극(13a), 접지되어 있는 하부전극(14a)으로 인가되어, 상기 상부 유전체전극(13b)과 하부 유전체전극(13a) 사이의 공간에서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일으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유전체전극(13b) 및 하부 유전체전극(13a)에서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어, 상부 유전체전극(13b) 및 하부 유전체전극(13a) 사이의 공간에 양(+)이온(11)과 음(-)이온(12)이 고농도로 혼재하는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즉, 상부 유전체전극(13b) 및 하부 유전체전극(13a)에서 스트리머 코로나가 발생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유전체 전극(13b, 13a) 사이의 공간에는 양이온(11)과 음이온(12)이 고농도로 혼재하는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다음에, 미 도시된 소각로, 발전소 및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먼지)가, 상술한 플라즈마 상태가 형성된 하전부(10)로 유입된다. 이때, 오염된 공기(먼지)는 상부 유전체전극(13b) 및 하부 유전체전극(13a)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플라즈마 상태의 공간을 통과한다. 즉, 오염된 공기(먼지)는 플라즈마 상태의 양극성 이온, 즉 양(+)이온 (11) 및 음(-)이온(12)과 각각 충돌하여 각각 양극과 음극을 가지는 양극성 이온으로 대전된다.
또한,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응집부(30)는, 고압의 교류전압(37)이 인가되는 상부 평판전극(36b) 및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36a)으로 구성되어 교류(AC) 전기장을 형성한다. 또, 상기 응집부(30)에서도 미리 고압의 교류전원(37)이 상부 평판전극(36b) 및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36a)으로 인가되어, 상기 상부 평판전극(36b)과 하부 평판전극(36a) 사이의 공간에 교류(AC) 전기장이 미리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하전부(10)에서 양극성 이온으로 대전된 공기가 교류(AC)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응집부(30)로 유입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집부(30)로 유입된 공기(먼지)는 상기 교류전원(37)의 교류주파수와 입자의 하전량에 따라 공기(먼지)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기 응집부(30)에서 배출된다. 즉, 상기 하전부(10)에서 양극성으로 대전되어 상기 응집부(30)로 유입되는 공기(먼지)는, 상부 평판전극(36b)과 하부 평판전극(36a)에 의해 형성된 교류(AC)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이때, 입자의 하전량은 입자의 표면적에 비례하므로 하전량이 많은 큰 입자는 유입방향과 수직으로 빠르게 먼 거리를 왕복하고, 작은 입자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짧은 거리를 움직인다. 이 과정에서 입자들 사이에 상대적인 속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입자의 극성이 다른 경우, 양극 입자(33)와 음극 입자(3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충돌 확률이 높아져서 응집이 쉽게 일어난다.
결국, 입자 크기의 분포는 큰 먼지 입자들의 비율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미세 먼지 입자의 수는 감소하게 된다. 즉, 미세 먼지가 큰 먼지에 부착하게 되면서 미세 먼지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다음에, 상기 응집부(30)에서 배출되는 공기(먼지)가 전기 집진장치(51) 또는 백 필터(53)로 이루어지는 집진부(50)로 유입된 후, 입자 크기가 큰 먼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대기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장이나 소각로 등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먼지)를 배출하는 경우, 대기로 방출되는 입자 지름이 1㎛ 이하인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효율 집진장치에 있어서,
    접지되어 있는 하부전극(14a)과, 상기 하부전극(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유전체전극(13a)과, 상기 하부 유전체전극(13a)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상부 유전체전극(13b)과, 상기 상부 유전체전극(1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압의 교류전압(15)이 인가되는 상부전극(14b)으로 구성되어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일으키는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접지되어 있는 하부 평판전극(36a) 및 상기 하부 평판전극(36a)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고압의 교류전압(37)이 인가되는 상부 평판전극(36b)으로 구성되어, 교류(AC) 전기장을 형성하는 응집부(30)와;
    상기 응집부(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염된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부(50)를 포함하는 고효율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압(15, 37)은, 5~15㎸의 범위내에서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하부 및 상부 유전체전극(13a, 13b)은, 각각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압(15, 37)은, 5~15㎸의 범위내에서 50㎐~1㎑ 정도의 교류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하부 및 상부 유전체전극(13a, 13b)은, 각각 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50)는 전기 집진장치(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50)는 백 필터(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집진장치.
KR10-2002-0002993A 2002-01-18 2002-01-18 고효율 집진장치 KR10047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93A KR100475863B1 (ko) 2002-01-18 2002-01-18 고효율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93A KR100475863B1 (ko) 2002-01-18 2002-01-18 고효율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65A true KR20030062665A (ko) 2003-07-28
KR100475863B1 KR100475863B1 (ko) 2005-03-15

Family

ID=3221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93A KR100475863B1 (ko) 2002-01-18 2002-01-18 고효율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787B1 (ko) * 2005-01-25 2007-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오염물질포집을 위한 입자 샘플러 및 그 입자 샘플러의 성능평가장치
KR100836346B1 (ko) * 2007-01-19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컨디셔너
KR20150084370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WO2016028062A1 (ko) * 2014-08-18 2016-02-25 주식회사 엘지전자 공기정화장치
KR20190071247A (ko) * 2017-12-14 2019-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KR20190076140A (ko) * 2017-12-22 2019-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공기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63B1 (ko) * 2012-03-20 2013-11-27 한국기계연구원 촉매입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용액 회수장치 및 방법
KR102198109B1 (ko) 2019-02-11 2021-0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 세정형 전기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228B1 (ko) * 1997-01-21 1999-04-15 엘지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 탈취장치
KR100249197B1 (ko) * 1997-08-21 2000-03-15 구자홍 전기집진기
JP3790395B2 (ja) * 1999-11-05 2006-06-28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3790394B2 (ja) * 1999-11-05 2006-06-28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787B1 (ko) * 2005-01-25 2007-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오염물질포집을 위한 입자 샘플러 및 그 입자 샘플러의 성능평가장치
KR100836346B1 (ko) * 2007-01-19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컨디셔너
KR20150084370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WO2016028062A1 (ko) * 2014-08-18 2016-02-25 주식회사 엘지전자 공기정화장치
KR20190071247A (ko) * 2017-12-14 2019-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KR20190076140A (ko) * 2017-12-22 2019-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863B1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3411B2 (ja) 高電圧電場を用いる排出ガス浄化と騒音低減の方法及びその装置
RU22623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гломерации частиц
US5695549A (en) System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s from a gas stream
CN101869872B (zh) 双极荷电强化微细颗粒物聚并装置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EP0713562B1 (en) Electronic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Gu et al. A new pin-to-plate corona discharger with clean air protection for particulate matter removal
Kildesø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agglomeration of aerosols in alternating electric fields
KR100475863B1 (ko) 고효율 집진장치
CN201669162U (zh) 双极荷电强化微细颗粒物聚并装置
CN105709597B (zh) 一种等离子体反应器联合覆膜滤袋的烟气除尘脱汞装置及其处理方法
PH12014000396B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Thonglek et al. Soot treatment by using high voltage pulse energiz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0009857A2 (en) Fly ash agglomerator, flue equipped with this agglomerator and process for removing suspended charged particles of mixed size from a volume of gas
Zukeran et al. Agglomeration of particles by ac corona discharge
JPH0724357A (ja) 放射線効果によるエアロゾルの除去方法
CN111097251B (zh) 一种多场分区细颗粒物高效脱除的装置及方法
CN111054168B (zh) 一种多通道细颗粒物高效脱除的装置及方法
KR102079297B1 (ko)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KR100538989B1 (ko) 교류 고전압을 이용한 먼지 제거장치
CN215197584U (zh) 一种增强型等离子体废气处理装置
Yasumoto et al. Effect of electrode thickness for reducing ozone generation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0120103184A1 (en) Electrostatic filtration system
CA1249529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s from industrial gases
CN1951571B (zh) 电动吸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