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610A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610A
KR20030061610A KR1020020002265A KR20020002265A KR20030061610A KR 20030061610 A KR20030061610 A KR 20030061610A KR 1020020002265 A KR1020020002265 A KR 1020020002265A KR 20020002265 A KR20020002265 A KR 20020002265A KR 20030061610 A KR20030061610 A KR 2003006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duct
image forming
cool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571B1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5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용지 휨 방지장치는 용지 배지경로 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각팬이 마련된 덕트와,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된 휨 방지롤러와, 휨 방지롤러에 대면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지배지경로 상에 설치되어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용지의 휨을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시켜 용지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용지의 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Sheet curl-reduction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장치를 통과한 용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지 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용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배지라는 일련의 프로세스과정을 통하여 용지 상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한다. 특히, 정착단계에서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고온 및 고압의 압착에 의하여 용지에 융착된다.
용지는 정착단계를 통과하면서 고온 및 고압에 의하여 휘어진다. 이러한 용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정착온도를 낮추거나, 배지경로를 늘이거나 용지배지경로의 각도를 조정하여 용지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 휨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중 하나인 미국 특허번호 5,218,411호에 개시된 내용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지배지경로 상에 용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되어 회전하며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고온 및 고압하여 융착 시키는 정착장치(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착장치(13)에 인접하여 일측은 본체(1b)에 힌지결합(32a)되어 있고, 솔레노이드(43)에 연결되어 개폐되면서 외부공기를 본체내부로 흡입 또는 차단시키는 플래퍼(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지배지경로 상에는 용지식별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용지의 종류를 식별한다.
따라서, 상기 용지식별센서에 의하여 일반적인 용지로 식별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3)에 의하여 상기 플래퍼(32)는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본체 내로 흡입되어 정착장치(13)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용지를 식힌다. 일반적인 용지는 50℃이상에서 변형이 시작되어 휨이 발생되는 데, 상기 정착장치(13)를 통과한 용지는 약 100℃정도가 되므로 변형되어 휨이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지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으므로, 차가운 외부공기를 장치 내로 유입시켜 흐르게 함으로써 온도를 낮춘다.
상기 용지식별센서에 의하여 OHP용지로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43)에 의하여 상기 플래퍼(32)를 차폐시켜 외부공기가 본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OHP용지는 80℃이상의 조건에서 휨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플래퍼(32)를 닫아 외부공기의 흡입을 차단하여 본체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용지 휨 방지장치는 용지온도강하 또는 본체의 온도강하를 위해서 별도의 차폐장치와 동력절환을 위한 솔레노이드 장치가 요구되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의하여 원가가 상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실제로 온도강하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용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용지 휨 방지장치가 요구되어져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효과적으로 휨이 발생된 용지를 원래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개선된 휨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휨 방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휨 방지장치가 적용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 휨 방지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지 휨 방지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정착장치170...용지 휨 방지장치
171...덕트173...휨 방지롤러
174...돌기부175...가압롤러
176...냉각팬178...개구부
179...배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는 감광매체로부터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지나면서 용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지 배지경로 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각팬이 마련된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된 휨 방지롤러와, 상기 휨 방지롤러에 대면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팬은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휨 방지롤러의 회전축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덕트에는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휨 방지롤러는 상기 용지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휨 방지장치가 적용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장치(120), 전사장치(130), 정착장치(140), 용지공급장치(150), 용지 휨 방지장치(17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120)는 상기 광 주사장치(110)에 의하여 상기 감광매체(1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사장치(130)는 용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121)에 대면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121)에 형성된 소정 색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장치(140)는 용지배지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장치(130)에 의하여 화상이 전사된 용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킨다.
상기 용지공급장치(150)는 상기 현상장치(120)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21)와 이에 대향되게 설치된 전사장치(130)사이에 용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롤러에 의하여 이송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 휨 방지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지 휨 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지 휨 방지장치(170)는 상기 정착장치(140)를 통과하면서 고온 및 고압으로 용지에 화상이 융착되면서 고온 및 고압에 의하여 휘어진 용지를 원래 편평한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덕트(171), 휨 방지롤러(173), 가압롤러(175) 및 냉각팬(176)을 구비한다.
상기 덕트(171)는 상기 용지배지경로 상에 소정 공간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휨 방지롤러(173), 가압롤러(175)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냉각팬(17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착장치(140)를 통과한 용지가 배지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178)가 마련되며, 상기 냉각팬(176)에 의하여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7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휨 방지롤러(173)는 상기 덕트(171)에 축(17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화살표 P)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다. 상기 휨 방지롤러(173)의 외주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러(175)는 상기 휨 방지롤러(173)에 대면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휨 방지롤러(173)의 대향하는 상기 돌기부(174)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정착장치(140)를 통과하면서 그 진행방향에 대하여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휘어진 용지는 상기 휨 방지롤러(173)와 가압롤러(175)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기부(174)와 가압롤러(175)에 의하여 용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힘을 받으면서 휨이 펴진다. 상기 휨 방지롤러(173)와 가압롤러(175)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76)은 상기 덕트(171)의 일측에 회전축(17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덕트(171)내부로 화살표 S방향을 따라 흡입시킨다. 이때, 상기 냉각팬의 회전축(177)은 상기 휨 방지롤러의 회전축(172)보다도용지가 배지되는 방향으로 더 치우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휨 방지롤러(173)와 가압롤러(175)사이를 통과하면서 휨이 펴져 편평한 상태로 된 용지에 상기 덕트(171)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시켜 용지의 온도를 더욱 강하시켜 효과적으로 휨이 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냉각팬(176)에 의하여 상기 덕트(171)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용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용지에 흐르면서 용지의 온도를 강하시킨다. 용지의 온도가 강하되는 율은 상기 냉각팬(176)에 의하여 상기 덕트(171)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를수록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는
용지배지경로 상에 설치되어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용지의 휨을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시켜 용지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용지의 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감광매체로부터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지나면서 용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지 배지경로 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각팬이 마련된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된 휨 방지롤러와;
    상기 휨 방지롤러에 대면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용지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휨 방지롤러의 회전축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롤러는 상기 용지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KR10-2002-0002265A 2002-01-15 2002-01-15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KR10039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265A KR100396571B1 (ko) 2002-01-15 2002-01-15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265A KR100396571B1 (ko) 2002-01-15 2002-01-15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610A true KR20030061610A (ko) 2003-07-22
KR100396571B1 KR100396571B1 (ko) 2003-09-02

Family

ID=3221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265A KR100396571B1 (ko) 2002-01-15 2002-01-15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2685B2 (en) * 2014-02-27 2022-04-05 Windmöller & Hölscher K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and discharging a web of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2685B2 (en) * 2014-02-27 2022-04-05 Windmöller & Hölscher K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and discharging a web of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571B1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2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rtition configured to separate air flow and sheet feeding paths
JP4759161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244065A (ja) 複写・印刷機の熱遮断空気循環装置
KR20000006581A (ko) 세척부를구비한프로세스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JP200633758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20573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4887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9657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휨 방지장치
US10338503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rotary member to suppress vaporized component escape
JP355615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9299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781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1220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59887A (ja) 現像装置
JPH11184293A (ja) 定着装置
JP7064852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12935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82258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20010138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8661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遮熱部品
JPS6184663A (ja) 画像形成装置
JP3055213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311284A (ja) 現像装置
BR0102579B1 (pt) Transporte a vácuo e aparelho de impressão
JP201219424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