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007A -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007A
KR20030057007A KR1020010087378A KR20010087378A KR20030057007A KR 20030057007 A KR20030057007 A KR 20030057007A KR 1020010087378 A KR1020010087378 A KR 1020010087378A KR 20010087378 A KR20010087378 A KR 20010087378A KR 20030057007 A KR20030057007 A KR 2003005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voice data
por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007A/ko
Publication of KR2003005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P) 게이트웨이에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내장하여 사용자들이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고, USB허브를 사용하여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를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있는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B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의 판별 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IP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통신 서비스와 인터넷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VoIP Gateway with USB-Port}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P) 게이트웨이에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내장하여 사용자들이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고, USB허브를 사용하여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를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있는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활용 분야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요즘,기존 음성 통화의 디지털화 및 데이터망으로의 흡수를 가능케하는 VOIP(Voice Over IP)기술에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다. VoIP는 음성데이타를 64Kbps급 디지털로 변환한 후 압축을 수행하고 이를 IP데이타에 RTP헤더로 감싸 안은 후 기존 데이터망에 수용되는 방식이므로, Burst한 데이터 트래픽에 영향받지 않는 음질이 가장 큰 이슈로 등장한다.
또한, 상기 VoIP는 네트워크의 표준인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도 함께 전송하는 통신기술로서 Internet과 통신의 통합에 의한 다양한 제품 및 부가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IP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IP망에 연결되어 음성 서비스를 할 수있는 VoIP 게이트웨이가 필요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VoIP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VoIP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140), VoIP 게이트웨이(110, 13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05, 135), IP망(120)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140)는 컴퓨터, 전화기, 팩스 등의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140)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비음성 데이터를 VoIP 게이트웨이(110, 130)나 PSTN(105, 135)을 거쳐 상기 VoIP 게이트웨이(110, 130)에 전송한다.
VoIP게이트웨이(110, 130)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할수 있도록 다른 통신망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VoIP게이트웨이(110, 130)는 게이트웨이를 모니터하고 관리하고, IP망(120)과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가지고 있다.
상기 VoIP 게이트웨이(110, 130)는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비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IP망(120)에 전송한다. 상기 IP망(120)에서 ISP들은 PSTN이나 다른 IP망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ISP는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회사나 기관일 수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컴퓨터에서 모뎀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상기 ISP를 경유해야한다. 상기 PSTN(105, 135)은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음성 위주의 공중 전화망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PSTN(105, 135)에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VoIP 게이트웨이(110, 130)에 전송된다.
이하 도 1a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140)를 이용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상기 전화번호는 상기 VoIP게이트웨이(110, 130)를 통하여 IP망(120)에 전송된다. 상기 IP망(120)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즉, 상기 전화번호와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받기 원하면, ADSL모뎀, 일반 전화모뎀 또는 IP망에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VoIP게이트웨이의 외관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oIP게이트웨이(200)는 RS232C 포트(202), 전화 포트(204), LAN 포트(206)를 포함한다.
RS232C포트(202)는 모뎀과 단말기 또는 모뎀과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1:1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RS232C포트(202)는 상기 VoIP게이트웨이를 모니터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S232C포트(202)는 컴퓨터(210)의 시리얼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컴퓨터(210)에서는 통신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의 모니터와 관리를 할 수 있다.
전화 포트(204)는 복수의 전화기(220)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 포트(204)는 RJ-11포트일 수 있다.
LAN포트(206)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상기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를 호출할 경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가 전화기(220)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보내면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전화 포트(204)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화 포트(204)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처리 과정을 거친후 LAN 포트(206)로 전송되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를 호출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LAN포트(206)를 통해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친후 상기 전화 포트(204)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220)로 전송되어 상기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LAN포트(206)는 RJ-45포트일 수 있다.
상기 VoIP 게이트웨이(200)에 전송된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한다.
도 3은 종래의 VoIP 게이트웨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RS232C 포트(300), 전화포트(310), LAN 포트(320), 중앙 제어부(330), 음성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RS232C 포트(300), 전화포트(310), LAN 포트(320)는 도 2와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앙 제어부(330)는 RS232C포트(30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30)는 상기 데이터 유형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이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340)에 전송된다.
만약, 상기 데이터 유형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가 비음성데이터이면, 상기 중앙 제어부(330)는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LAN 포트(3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330)는 상기 LAN 포트(320)를 통해 전송된 비음성 데이터를 RS232C포트(300)에 전송하고, 상기 LAN포트(320)를 통해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34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340)는 상기 중앙 제어부(33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IP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IP 데이터를 LAN 포트(3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40)는 상기 전화 포트(32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IP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IP 데이터를 LAN 포트(3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40)는 상기 LAN포트(320)로부터 전송된 IP데이터를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 제어부(330) 또는 전화 포트(310)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VoIP게이트웨이는 상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340)에 전송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340)는 상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여 LAN 포트(320)에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들이 VoIP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서비스를 받으면 다른 사용자들은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1개의 PC로 1개의 게이트웨이를 모니터 및 관리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개의 PC로 1개의 게이트웨이를 모니터 및 관리를 하는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VoIP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VoIP게이트웨이의 외관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VoIP 게이트웨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게이트웨이의 외관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LAN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나타낸 도면.
도 8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AN포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허브를 이용한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 관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40 : 사용자 단말기
110, 130, 200, 400 : VoIP게이트웨이
105 : PSTN 120 : IP망
202, 300 : RS232C포트
204, 404, 310, 510 : 전화포트
206, 320, 406, 510 : LAN 포트
402, 500 : USB 포트 330, 530 : 중앙 제어부
340, 540 : 음성 처리부 550 : 데이터 처리부
612, 622 :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614, 624 :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616, 626 : 스위치 910 : USB 허브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USB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의 판별 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IP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비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USB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의 판별 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IP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것은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동안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게이트웨이의 외관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oIP게이트웨이(400)는 USB 포트(402), 전화 포트(404), LAN 포트(406)를 포함한다.
USB포트(402)는 각종 주변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보다 더 쉽게 복수의 주변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일 수 있다.
상기 USB 포트(402)는 상기 VoIP게이트웨이(400)를 모니터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SB 포트(402)는 컴퓨터(410)의 USB 포트와 연결되어 하나의 게이트웨이나 또는 하나의 USB 허브에 연결되어 하나의 컴퓨터에서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USB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통신 에뮬레이터를 실행시키면 상기 통신에뮬레이터를 통해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관리할 수 있다.
전화포트(404)는 복수의 전화기(420)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화포트(404)는 예를 들어, RJ-11일 수 있다.
LAN포트(406)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상기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를 호출할 경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AN포트(406)는 예를 들어 RJ-45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IP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와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를 호출하는 경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가 전화기(420)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보내면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전화 포트(404)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화 포트(404)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처리 과정을 거친후 LAN 포트(406)로 전송된다.
또한,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를 호출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LAN포트(406)를 통해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친후 상기 전화 포트(404)를 통하여 해당 전화기(420)로 전송되어 상기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VoIP게이트웨이는 USB 포트(500), 전화 포트(510), LAN포트(520), 중앙 제어부(530), 음성 처리부(540), 데이터 처리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USB 포트(500), 전화 포트(510), LAN포트(520)에 대한 설명은 도 3과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앙 제어부(530)는 USB포트(50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530)는 상기 데이터 유형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이면 상기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540)에 전송된다.
만약, 상기 데이터 유형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중앙 제어부(530)는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550)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5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550)에서 전송된 비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540)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540)는 상기 중앙 제어부(53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IP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55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540)는 상기 전화 포트(51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IP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530)에 전송한다. 상기 IP 데이터는 발신자 주소, 수신자 주소, 에러체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있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54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550)로부터 전송된 IP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되는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550)는 상기 음성 처리부(540)로부터 전송된 IP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530)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550)는 상기 LAN 포트(520)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상기 음성 처리부(540) 또는 상기 중앙 제어부(53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600)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내보내는 송신부(610)와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610)와 수신부(620)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612, 614, 622, 624), 데이터의 처리 우선 순위에 상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616. 626)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612, 614, 622, 624)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 622), 비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 624)를 포함한다. 즉, 전송되는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송신부(610)의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에 저장되고, 수신되는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수신부(620)의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22)에 저장된다.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송신부(610)의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에 저장되고, 수신되는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수신부(620)의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24)에 저장된다.
상기 스위치(616. 626)는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처리 순서에 상응하여 온/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음성 데이터의 처리 우선 순위가 비음성 데이터 처리 순서보다 높은 경우, 상기 스위치(616. 626)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622)에 온(On)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16. 626)의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 622)의 온으로 상기 음성 데이터는 LAN 포트에 전송된다.
상기 음성 데이터가 LAN 포트에 전송된 후,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구간이 있다. 상기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구간, 상기 데이터 처리부(600)가 상기 음성 데이터를 받는 구간에는 상기 스위치(616. 626)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 624)에 온되어 상기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 624)에 저장된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데이처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한다.
먼저,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할때를 살펴보기로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에 저장되고, 비음성 데이터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두 버퍼중에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에 있는 음성 데이터의 처리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상기 스위치(616)는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에 온(On)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손실보다는 지연에 상당히 민감하고 비음성 데이터는 지연보다는 손실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처리 순서가 상기 비음성 데이터 처리 순서보다 높다. 상기 스위치(616)의 온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는 LAN포트에 전송된다.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2)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스위치(616)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14)에 온되어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LAN 포트에 전송한다.
즉, 음성 통신은 항상 주어진 대역을 전부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보내고 나면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구간이 있다. 상기 비음성 데이터는 상기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구간에 LAN 포트에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600)는 먼저 버퍼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음성 데이터가 다시 저장되기를 기다리는시점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600)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보내는 시점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비음성 데이터를 상기 LAN포트에 전송하면, 할당된 대역으로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를 충돌없이 각각의 QoS를 보장하면서 음성과 비음성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이룰수 있다.
반대로 LAN을 통해 데이터를 받는 경우를 살펴보자.
LAN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600)에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로 분류된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22)에 전송되고, 상기 비음성 데이터는 상기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624)에 전송된다. 상기 버퍼에 전송된 데이터는 USB 포트와 음성 처리부로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LAN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S700),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단한다(S71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S720), 상기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에 전송되어 IP데이터로 변환된다(S730). 상기 IP 데이터는 발신자 주소 정보, 수신자 주소 정보, 데이터 유형 정보, 에러 검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IP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에 전송되어(S740),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이면,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된다(S750).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전송된 IP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해당 버퍼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50의 수행후,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S760). 그런다음 상기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S770).
도 8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AN포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AN 포트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S800),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단한다(S81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면(S820),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한다(S830).
그런 다음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에 전송한다(S840).
단계 820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비음성 저장 버퍼에 저장한다(S850).
그런다음 상기 저장된 비음성 데이터를 USB 포트에 전송한다(S860).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허브를 이용한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VoIP게이트웨(920)의 USB 포트는 하나의 USB허브(910)의 USB포트에 연결하여 컴퓨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퓨터(900)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VoIP 게이트웨이(920)를 모니터와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USB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컴퓨터(900)에서 통신 에뮬레이터를 실행시키면 상기 통신 에뮬레이터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920)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음성 통신 서비스와 인터넷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VoIP게이트웨이에 내장한 USB포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VoIP게이트웨이를 1개의 PC로 관리할 수있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USB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의 판별 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IP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유형은 음성 데이터, 비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비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장치.
  5. USB 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판별 결과 상기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IP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가 비음성 데이터인 경우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P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의해 상기 IP데이터를 LAN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받는 동안 비음성 데이터 저장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KR1020010087378A 2001-12-28 2001-12-28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KR20030057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78A KR20030057007A (ko) 2001-12-28 2001-12-28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78A KR20030057007A (ko) 2001-12-28 2001-12-28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007A true KR20030057007A (ko) 2003-07-04

Family

ID=322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378A KR20030057007A (ko) 2001-12-28 2001-12-28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70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48B1 (ko) * 2007-01-24 2007-09-2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48B1 (ko) * 2007-01-24 2007-09-2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953B2 (en) Internet telephony unit and software for enabling internet telephone access from traditional telephone interface
US7177401B2 (en) TTY communication over packet networks
US7782876B2 (en) Wireless voice data gateway
US6542472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6993012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6345047B1 (en) Computer telephony adapter and method
US200601616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using an instant messenger
US6895000B2 (en) Internet phone using a USB interface to transmit signals
KR100607140B1 (ko) 인터넷 전화기
US8316119B2 (en) Method for switching connections between an IP-only phone and a soft phone to a server
US20020071424A1 (en) Packet voice telephony apparatus and method
MX2008010573A (es) Tecnicas para facilitar llamadas de emergencia.
US7193739B2 (en) Real time fax-over-packet for broadband access gateways
US20020122415A1 (en) Internet phone using a USB interface to transmit signals
KR20030057007A (ko) USB포트를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 구현 방법 및장치
US6658020B1 (en) Voice data exchange system
JP2002542718A (ja) 単一の電話ラインを用いて複数のアクセスを与える通信制御器
KR20010094490A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JP4350273B2 (ja) 電話システム、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及び電話機
KR20010035641A (ko) 외부에서 사설망 내부와 통신하는 인터넷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75181B1 (ko) Ums 서비스 시스템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JPH11177615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WO2005057330A2 (en) Method for establishing virtual intranet over internet based on a digital closed network constructed from a telephone exchange and a key telephone system and the virtual intranet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