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561A -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561A
KR20030056561A KR1020010086803A KR20010086803A KR20030056561A KR 20030056561 A KR20030056561 A KR 20030056561A KR 1020010086803 A KR1020010086803 A KR 1020010086803A KR 20010086803 A KR20010086803 A KR 20010086803A KR 20030056561 A KR20030056561 A KR 2003005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aphic data
graphic
broadcas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556B1 (ko
Inventor
안병익
윤찬호
박찬민
김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1-008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5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원시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특성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그래픽 데이터도 포함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형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때 통신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BJECT ORIENTED GRAPHIC DATA BY USING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에서도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그래픽 데이터도 표시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송 시스템이라 함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중시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이나, 청각적 효과를 중시하는 라디오 시스템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제약되지 않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 숫자, 그래픽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 신용 카드 결제 서비스, 교통정보, 증권 정보 등의 일반적인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무선망 내에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방송)하고, 전체 가입자 중 원하는 가입자(또는 당해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들이 동시에 당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가 방송 주기를 감지하면서 당해 가입자가 신청한 서비스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텍스트 형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당해 휴대용 단말기가 방송 주기를 감지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푸시 서비스(push service) 형태로 서버에서 당해 휴대용 단말기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 내에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뉴스 속보, 날씨, 증시 현황 등)와 광고의 내용을 담은 텍스트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당해 가입자에게 중요한 정보의 제공일 수는 있으나 텍스트 서비스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구성되는 정보의 유형이 텍스트로 제한되어, 당해 가입자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모두 확인한 후에야 당해 정보가 의미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그래픽 데이터도 포함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형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내에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당해 가입자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데이터만으로도 방송 데이터의 개괄적인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방송의 주기마다 다른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대기화면 표시의 주기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화면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형 단문 메시지 내에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그래픽 데이터까지 포함되더라도, 당해 방송형 단문 메시지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때 통신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방송용 메시지의 포맷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방송용 메시지가 실제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기까지의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적용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정보 제공자 단말기
120 :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130 : 사용자 단말기
142 : 망 연동 장치(IWF)
144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46 : 교환기(MSC)
148 :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150 : 홈 위치 등록기(HLR)
152 : 기지국 제어기(BSC)
154 : 기지국(BTS)
202 : 송수신부
204 : 제어부
206 : 저장부
208 : 데이터 처리부
210 : 표시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원시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정보(예를 들어, 상기 기본 도형의 모양 정보, 표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등)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방송용 데이터에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수신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변환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그래픽 데이터를 구성하는 리젼(region)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표시 명령은 기본 도형 도시 명령, 색깔 선택 명령, 표시 위치 지정 명령, 크기 결정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본 도형은 원, 선, 삼각형, 사각형, 타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원시 방송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 정보(예를 들어, 상기 기본 도형의 모양 정보, 표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등)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도록 하는 대기화면 설정 명령과 상기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화면 설정 변경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대기화면 설정 변경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기화면 설정 명령과 상응하여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와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변환 방송용 데이터내의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에 부가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변환 방송용 데이터에 코드 그래픽 데이터(즉,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색깔 정보, 상기 영역의 크기, 상기 영역의 모양이 텍스트 형식의 코드로 구성된 것)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은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용도와 사용자 단말기의 대기화면 자동 변경을 위한 용도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방송 서비스의 용도로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우선 설명하고,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대기화면 자동 변경을 위한 용도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제한없이 적용되어 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도 웹 서버, 방송국 서버,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외부 시스템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방송용 데이터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즉, 도 1은 정보 제공자가 통신망과 결합된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등)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와 수신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입력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서 당해 방송 데이터와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당해 수신자 정보와 상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서 자체적으로 방송 데이터를 제작하거나,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방송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검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경우 등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정보 제공자 단말기(110),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 사용자 단말기(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망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14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44),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6), 방문자 위치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sister)(148),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sistor)(150),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52),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망 연동 장치(IWF)(142)는 모뎀과 PPP 서버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별도의 무선 모뎀 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만으로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 PC 통신망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정보 제공자 단말기(110)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44)간의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정보 제공자가 통신망과 결합된 정보 제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방송용 메시지와 수신자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으로 전송되는 방송용 메시지는 텍스트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당해 그래픽 데이터는 종래의 비트맵 타입이 아닌 텍스트 형식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44)는 정보 제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방송용 메시지와 수신자 정보를 교환기(MSC)(146)로 전송한다.
교환기(MSC)(146)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148)와 홈 위치 등록기(150)를 이용하여 당해 방송용 메시지가 전송되어져야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위치를 파악하고, 당해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당해 방송용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기지국(BTS)(154)으로 당해 방송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기(MSC)(146)는 단문 서비스용 트랜스 포트 프로토콜 처리 기능,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44)의 대표 번호 식별 및 접속 기능, 공중 교환통신망(PSTN)으로부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44)로의 중계호 처리 및 트렁크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148)는 단문 메시지 가입자 인증 기능과 단문 메시지 발착신시 단문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 검색 기능, 위치 등록이 되지 않는 발착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150)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거주 영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의 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BTS)(154)은 기지국 제어기(BSC)(152)의 제어에 의해 교환기(MSC)(146)로부터 수신한 방송용 메시지를 당해 수신자 정보와 상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BSC)(152)는 8개 이상의 기지국(BTS)(154)을 관리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30)간의 통화시에 64kbps의 음성 PCM신호를 IS-96 음성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8kbps 이하로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BTS)(154)은 액세스/페이징 채널을 통한 단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며, 트래픽 채널을 통한 단문 송수신 기능,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단문으로 포맷 변환/역변환하는 기능 및 서비스 옵션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30)는 송수신부(202), 제어부(204), 저장부(206), 데이터 처리부(208), 표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02)는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30) 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04)는 송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용 데이터가 표시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130) 내에 포함된 각 수단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06)는 송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용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축적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처리부(208)는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송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용 데이터 또는 저장부(206) 내에 축적된 방송용 데이터를 표시부(2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데이터 내에 포함된 그래픽 데이터는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어질 그래픽의 색깔, 크기, 도형의 위치 등의 정보가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방송용 데이터 내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도 텍스트 형식의 코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8)는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통해 해석하고, 사용자 단말기(130) 내의 표시부(21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형태의 그래픽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208)는 하드웨어적인 별도의 수단으로 구성되지 않고, 종래의 사용자 단말기(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208)가 별도로 구성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30)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종이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표시부(220)는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208)를 통해 변환된 그래픽 포맷과 상응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방송용 메시지의 포맷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서 자체적으로 방송 데이터를 제작하거나,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방송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검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경우 등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여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방송용 포맷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주체가 실제로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 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30) 또는 별도의 방송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으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 정보(예를 들어, 날씨 정보, 캠페인 정보, 증시 현황 등)를 수집한다.
단계 315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단계 310을 통해 수집된 방송 정보 내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서 현재 수행하여야 할 방송 정보가 안전 운전에 대한 캠페인 정보인 경우를 가정하여 410에 '안전 운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신호등을 상징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계 315의 검사를 통해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다는 검사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5의 검사 결과로 만일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3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35로 진행한다.
단계 320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단계 310을 통해 수집된 방송 정보 내에 포함된 그래픽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기본 도형(예를 들어, 점, 선, 면, 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등) 및 텍스트 데이터로 분리한다.
물론, 단계 320에서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이 실질적이고 물리적으로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분리하거나 분할하는 것이 아니고, 당해 그래픽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영역들에 대한 외곽선을 감지하여 관련 정보만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320을 통해 분리된 후의 그래픽 데이터가 420에 도시되어 있다.
즉, 410에 도시된 '안전운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신호등을 상징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2개의 크기가 다른 사각형(421, 422), 크기가 동일하나 표시 위치가 상이한 3개의 원(423, 424, 425)과 '안전운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426)만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25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단계 320을 통해 분리된 각각의 구성 요소를 텍스트 형식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를 텍스트 형식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를 도 4에 도시된 방송용 메시지의 포맷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 그래픽 데이터의 형식은 특정 통신 규약에 제약되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규약에 동시에 적절하게 변환되어 적용되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코드 그래픽 데이터의 형식으로 NAPLPS(North American Presentation Level Protocol Syntax) 통신 규약을 적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APLPS(North American Presentation Level Protocol Syntax)는 북미 프레젠테이션 단계 통신규약 구문으로,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지역에서 비디오텍스 화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제표준 방식의 하나로서 캐나다 통신부가 개발한 비디오텍스 텔디돈(Teldidon)을 기초로 한다.
텔디돈은 비디오텍스의 정보 전달방식으로, 그림 정보는 화상 표현의 사전에 정해진 PDI(Picture Description Instruction) 명령에 의해 도형을 표시하는 알파지오메트릭 방식(alphageometric method)을 채용하여 점, 선, 원 등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조합해서 표현하고, 문자 정보는 코드를 사용해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운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신호등 형태의 그래픽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에 코드 그래픽 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로서 ASCII 코드를 지원하므로 430과 같은 포맷이 적용될 수 있다.
430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 포맷에서 C-Set1과 C-Set2는 각각의 G-Set을 제어하고, 어느 그래픽 세트를 선택하는지도 C-Set에 의해 제어된다. 즉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는 C-Set에 의해 어느 G-Set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며, G-set이 텍스트(ASCII)로 선택이 되어있으면 문자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PDI의 경우는 도형의 종류와 그의 따른 색상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G-Set1과 G-Set2는 그래픽 세트(Graphic Set)로 텍스트뿐 아니라, PDI(Picture Description Instruction), 즉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명령어와 그의 값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보충 세트(Supplementary Set) (예를 들어, 강조 문자, 기호 등), 모자이크 세트(Mosaic Set), 매크로 세트(Macro Set), DRC 세트(Dynamically Redefinable Character Set)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430에 도시된 포맷에서 그래픽 데이터 등에 포함되는 명령어 등의 구성은 예를 들어 명령어 코드와 명령어 수행 정보 코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410에 도시된 신호등 모양의 그래픽 데이터와 '안전운행'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는 420에 도시된 도형 그래픽과 '안전운행'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로 분리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이고, 이하 420에 도시된 도형 그래픽 데이터와 '안전운행'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형 그래픽을 전송하기 위하여 C-Set1에서 PDI G-set이라는 것을 선택하면, 이제 G-set1에서는 색깔 선택, 모양 선택, 위치 선택, 선 그리기 등 다양한 명령어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우선, 421의 도형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색상을 검정으로 선택하고, 당해 도형이 그려질 위치를 선택하며 그 형태는 사각형이라는 텍스트형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라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3F 00 24 64 7C 6E 31 64 5E 67'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3F'는 색상을 결정(Set Color)하도록 하고 뒤에 오는 코드를 색상 정보로 인식하도록 하는 데이터이고, '00'은 당해 도형의 색상이 검정색(black)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24'는 시작점의 위치를 지정(Point Set Absolute)하도록 하는 코드로서 뒤에 오는 코드를 시작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64 7C 6E'는 x=30, y=38의 위치를 지정하는 코드이다.
또한, '31'은 뒤에 오는 코드에서 지정되는 위치까지 사각형을 생성한 후 사각형 내부를 현재 선택된 색깔(즉, 검정색)로 채우도록 하는 코드이고, '64, 5E, 67'은 dx(30), dy(50)의 값으로서 현재 위치에서 폭(width)과 높이(height)를 정하도록 하는 코드이다.
상술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421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422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하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24 64 69 40 31 64 4B 55'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앞서 421을 표시할 때와 다른 점은 422의 도형에 대한 색상 결정 코드가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는 422에서도 42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적용되므로 생략된 것이며, 물론 생략하지 않고 동일한 포맷으로 중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24'는 도형이 표시될 위치의 시작점 위치를 지정(Point Set Absolute)하도록 하는 코드로서 뒤에 오는 코드를 시작점으로 인식하도록 하며, '64 69 40'은 x=40, y=8의 위치를 지정하는 코드이다.
또한, '31'은 뒤에 오는 코드에서 지정되는 위치까지 사각형을 생성한 후 사각형 내부를 현재의 색깔(즉, 검정색)로 채우도록 하는 코드이고, '64, 5E, 67'은 dx(10), dy(30)의 값으로서 현재 위치에서 폭(width)과 높이(height)를 정하도록 하는 코드이다.
상술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422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423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하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3F 52 2D 64 6E 40 64 49 52 64 62 40'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3F'는 색상을 결정하도록 하고 뒤에 오는 코드를 색상 정보로 인식하도록 하는 데이터이고, '52'는 당해 도형의 색상이 녹색(green)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2D'는 원형을 표시하고 현재 선택된 색깔로서 도형 내부를 채우도록 하는 코드(Arc Fill)로서, 당해 원형을 도시할 때 필요로 되는 시작점, 중간점, 끝점의 정보는 뒤에 오는 코드를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에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한 점으로 되는 경우에는 중간점과 원의 지름 값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64 6E 40'은 시작점을 지정하는 코드로서 x=40, y=48이라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고, '64 49 52'는 x축과 y축을 기준하여 각각의 지름 10이라는 것을나타내며, '64 6E 40'은 끝점을 지정하는 코드로서 x=40, y=48이라는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하게 되어 원 모양의 도형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423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424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하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3F 76 2D 64 6F 47 64 49 52 64 6F 47'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앞서 423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하기 위해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다른 코드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76'은 당해 도형의 색상이 오렌지색(Orange)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는 '64 6F 47'은 x=40, y=63이라는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이때도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므로 원 모양의 도형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425에 해당하는 도형을 표시하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3F 64 2D 65 69 46 64 49 52 65 69 46'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424를 표시할 때와 마찬가지로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64'는 당해 도형의 색상이 빨간색(Red)임을 의미하고,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는 '65 69 46'은 x=40, y=78라는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이때도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므로 원 모양의 도형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426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게 426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코드 텍스트데이터로 표시하면, 그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24 6C 56 42 0F ESC 7E BC C8 C0 FC BF EE C0 FC'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24'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텍스트가 표시될 위치의 시작점 위치를 지정(Point Set Absolute)하도록 하는 코드로서 뒤에 오는 코드를 시작점으로 인식하도록 하며, '6C 56 42'는 x=80, y=50의 위치를 지정하는 코드이다.
이제 텍스트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다른 G-set에 있으므로 앞서 설정한 PDI에서 ASCII로 전환 해주어야 한다. 이것도 C-set에서 G-set에 ASCII를 활성화(activate)하여 이루어진다.
'0F'는 ASCII 텍스트를 G-Set1에 선택하도록 하는 코드이고, 'ESC 7E'는 8비트일 경우 G-set2도 ASCII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이다.
그리고, 'BCC8'은 '안'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코드이고, 'C0FC'은 '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코드이며, 'BFEE'은 '운'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코드이고, 'C0FC'은 '전'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코드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방송용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방송용 데이터의 내용은 '3F 00 24 64 7C 6E 31 64 5E 67 24 64 69 40 31 64 4B 55 3F 52 2D 64 6E 40 64 49 52 64 6E 40 3F 76 2D 64 6F 47 64 49 52 64 6F 47 3F 64 2D 65 69 46 64 49 52 65 69 46 24 6C 56 42 0F ESC 7E BC C8 C0 FC BF EE C0 FC'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30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단계320 및 단계 325를 통해 그래픽 데이터를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이 완료(즉, 코드 그래픽 데이터 생성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330의 검사를 통해 코드 그래픽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단계 335로 진행하여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방송용 메시지로 통신망을 통해 적절한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25로 다시 진행하여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의 변환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방송용 메시지가 실제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기까지의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5는 이제까지 설명한 사항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제시된 도면으로, 방송 정보의 내용이 일기예보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이 우선 '오늘 날씨 맑음'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맑은 날씨를 상징하는 해 모양의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를 수집하였다면, 우선 당해 방송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기본 도형(예를 들어, 점, 선, 면, 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등) 및 텍스트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기본 도형과 텍스트 데이터를 도형의 모양, 색상 및 표시될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와 코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후,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된 그래픽 데이터와 코드 텍스트 데이터로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방송용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방송용 데이터 포맷을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30)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으로부터 방송용 데이터 포맷을 수신한 후, 방송용 데이터 포맷 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형식의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로 해석한 후, 해석된 방송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도 5에는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영역(예를 들어, 기본 도형, 텍스트 등)이 순차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석이 완료된 후 하나의 그래픽 형태로 한꺼번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적용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현재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는 대기화면, 벨소리 등을 사용자의 의도나 취향에 적합하도록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대기화면, 벨소리 등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웹서버 등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후, 원하는 애니메이션, 벨소리 등을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다운로드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벨소리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당해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요금을 지불하여야 하며, 이러한 요금 부담 때문에 보다 많은 횟수로 대기화면 등을 변경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가 자동으로 대기화면에 적용될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사용자의 모드 선택(예를 들어, 대기화면 자동 변경 모드)이 선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일기예보를 위한 방송용 데이터(즉,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가 일정 시간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고,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가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자동 설정 및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최초의 대기화면 이미지가 날짜(예를 들어, 4/24), 요일(예를 들어, (월)) 및 시간 데이터(예를 들어, 5:47 pm)만을 제공하는 디폴트(default) 상태의 대기화면인 경우에, 5시 50분에는 '오늘 날씨 맑음'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해 모양의 그래픽 데이터가 대기 화면 상태에서 제시되고, 5시 53분에는 '내일은 비'라는 텍스트 데이터와 먹구름과 비가 내리는 모양의 그래픽 데이터가 대기 화면 상태에서 제시된다.
즉, 이 경우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3분)마다 방송용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된 방송용 데이터가 대기화면으로 자동 설정 및 변환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방송용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 간격이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정시간동안 계속하여 동일한 이미지가 대기화면으로 제시되지 않고, 동시에 여러 개의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다음번의 방송용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계속 바뀌는 형태의 대기화면이 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방송용 데이터가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표시부(2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동일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인 기술 지식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그래픽 데이터도 포함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형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내에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당해 가입자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데이터만으로도 방송 데이터의 개괄적인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형 단문 메시지 내에 텍스트 데이터뿐 아니라 그래픽 데이터까지 포함되더라도, 당해 방송형 단문 메시지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때 통신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방송의 주기마다 다른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기화면 표시의 주기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화면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원시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기본 도형의 모양 정보, 표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신된 변환 방송용 데이터내의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코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변환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구성하는 리젼(region)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표시 명령은 기본 도형 도시 명령, 색깔 선택 명령, 표시 위치 지정 명령, 크기 결정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도형은 원, 선, 삼각형, 사각형, 타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
  5.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원시 방송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원시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기본 도형의 모양 정보, 표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도록 하는 대기화면 설정 명령과 상기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환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기화면 설정 명령과 상응하여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와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대기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수신된 변환 방송용 데이터내의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설정 변경 방법.
  6.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제1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제1 방송용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수단;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도형과 상응하는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여기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기본 도형의 모양 정보, 표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코드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변환된 코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방송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
  9. 방송 시스템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에 부가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방송용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방송용 데이터에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색깔 정보, 상기 영역의 크기, 상기 영역의 모양이 텍스트 형식의 코드로 구성된 것임-;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 그래픽 데이터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표시 명령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그래픽 표시 명령에 상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
  11.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제5항에 기재된 대기화면 설정 변경 방법을 실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설정 변경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5항에 기재된 대기화면 설정 변경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86803A 2001-12-28 2001-12-28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KR10044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03A KR100449556B1 (ko) 2001-12-28 2001-12-28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03A KR100449556B1 (ko) 2001-12-28 2001-12-28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561A true KR20030056561A (ko) 2003-07-04
KR100449556B1 KR100449556B1 (ko) 2004-09-22

Family

ID=3221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803A KR100449556B1 (ko) 2001-12-28 2001-12-28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140A1 (en) * 2005-08-17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783103B1 (ko) * 2006-06-19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192A (ja) * 1999-04-20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361170B1 (ko) * 2000-02-10 2002-11-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림 문자를 전송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0367466B1 (ko) * 2000-05-04 2003-01-10 박주섭 인터넷상에서 수학기호와 도형을 코드화하여 표현하는양방향 학습/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5055A (ko) * 2000-05-18 2001-11-28 윤영철 무선단말기용 이미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5076A (ko) * 2000-05-18 2001-11-28 양재혁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약도 제공 방법
KR100357866B1 (ko) * 2000-05-31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화상 단문메시지 송수신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140A1 (en) * 2005-08-17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US7801513B2 (en) 2005-08-17 2010-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US8103209B2 (en) 2005-08-17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1209425B1 (ko) * 2005-08-17 2012-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783103B1 (ko) * 2006-06-19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556B1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759B1 (ko) 무선 문자 메세지로부터 전화번호를 삽입 및 추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398692A2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ple language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US6766163B1 (en) Method and system of displaying teletext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US6188909B1 (en)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20050215271A1 (en)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digital mobile station
EP1659817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originating international cal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EP1231798A2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400033A (zh) 将短消息文本内容图形化的方法及其设备
KR100449556B1 (ko)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객체형 그래픽 데이터 전송 시스템및 방법
US11144963B2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CN101150799A (zh) 一种在移动终端上显示天气信息的方法和系统
CN101394594A (zh) 一种传送消息的方法及相关设备
KR100216571B1 (ko) 코드분할다중 접속 통신망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KR10086311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및 표시 방법
JP2002312279A (ja) 情報通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その通信方法、及び情報通信端末
CN105848250A (zh) 为服务标示集添加图标的方法及装置、展示图标的终端
KR20080011881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969284B1 (ko) 문자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49554B1 (ko) 단말기상의 객체를 이용한 그래픽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CN105306851B (zh) 投影的方法及移动热点设备
KR100678174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fota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94667B1 (ko) 재난경보 표시 방법
KR1006821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sms 컬러 문자 표시 방법
KR10097570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광판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