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188A -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188A
KR20030056188A KR1020010086362A KR20010086362A KR20030056188A KR 20030056188 A KR20030056188 A KR 20030056188A KR 1020010086362 A KR1020010086362 A KR 1020010086362A KR 20010086362 A KR20010086362 A KR 20010086362A KR 20030056188 A KR20030056188 A KR 2003005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glass fiber
polypropylene resin
n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115B1 (ko
Inventor
양준호
홍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1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폴리프로필렌 36.0 ∼ 78.0 중량%, (B) 나일론 10.0 ∼ 30.0 중량%, (C) 유리섬유 10.0 ~ 30.0 중량%, (D) 상용화제로서 변성 폴리프로필렌 1.0 ~ 4.0 중량% 및 유기실란계 화합물 0.01∼2.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일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약품성, 성형성이 뛰어나 자동차 내장부품, 가전부품, 산업자재 등의 공업적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이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화학구조상 무극성을 나타내어 2차 가공성, 특히 도장성 및 타 소재와의 접착성이 열세하고, 결정성 구조로 인하여 치수 안정성이 미흡하며, 강성, 내열성 또한 유사한 용도로 경쟁적으로 적용되는 폴리스티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수지보다 다소 열세하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무기 충진재 또는 타 수지를 배합시킨 소재의 개발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강도 및 내열성 그리고 그 밖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무기 충진재로서 유리섬유, 카본섬유, 위스커 등과 같은 침상형 충진재, 운석, 활석 등과 같은 판상형 충진재, 탄산칼슘, 알루미나 등과 같은 구상형 충진재 등을 이용한다. 특히, 유리섬유가 충전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강도 및 고내열성을 갖는다. 또한, 유리섬유는 높은 이축율(aspect ratio)의 섬유상 구조로 인해 판상형 또는 구상형의 충진재에 비해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물성향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기 충진재와는 달리, 폴리아미드 수지중의 하나인 나일론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초고강도 및 고내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일론 적용시의 상용성 문제만 해결된다면, 일반적인 기계적 물성의 향상과 더불어, 나일론이 지니고 있는 강인성, 내마모성, 내유성 등의 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과 나일론ㆍ유리섬유를 혼합하고 이들의 상용화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상용화제를 부가하여 혼합시킴으로써,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36.0 ~ 78.0 중량%, 나일론 10.0 ∼ 30.0 중량%, 유리섬유 10.0 ∼ 30.0 중량%, 상용화제로서 변성 폴리프로필렌 1.0 ~ 4.0 중량% 및 유기실란계 화합물 0.01∼2.0 중량%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A) 성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MI)가 5~70g/10분(ASTM D1238, 230℃)이고, 결정성을 갖는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5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부품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용융지수가 70g/1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의 (B) 성분인 나일론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대표격인 나일론6, 나일론66 또는 둘의 혼합형인 나일론6/66으로서, 그 함량은 10.0 ~ 30.0 중량%가 바람직하다. 10.0 중량% 미만에서는 나일론의 성능발현이 미흡하며, 3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분리가 두드러지게 되어 투입량을 증가시켜도 더 이상의 물성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C) 성분인 유리섬유는 무기 충진재로서 평균입경이 5 ~ 15㎛, 바람직하게는 9 ~ 13㎛이고, 길이가 1 ~16㎛인 것의 사용이 가능하며, 그 함량은 10.0 ~ 30.0 중량%가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평균입경이 5㎛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하는 동안에 깨지게 되어 강성발현 효과가 미흡해지며,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없음과 동시에 성형품의 변형이 악화되어 외관 상태가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유리섬유 길이는 특정길이로의 제한없이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며, 혼련 작업성 측면에서 통상 1 ~ 8㎛정도 길이의 쵸핑된 스트랜드(chopped strand)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리섬유 함량이 10.0 중량% 미만일 때는 강성발현의 효과가 미흡하며, 30.0 중량% 초과일 때는 "휨"현상 등이 유발되어 외관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D) 성분은 폴리프로필렌/나일론/유리섬유 블렌드의 혼련성 향상을 위한 상용화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유기실란계 화합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해 변성한 것으로, 그 함량은 1.0 ~ 4.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함량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충진재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계면 접착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어 물성 향상 효과가 없으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량을 증가시켜도 더 이상의 물성 향상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유기실란계 화합물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적정량은 0.01 ~ 2.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0 중량%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보강재, 충진재,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핵제, 난연제, 안료, 염료 등과 같은 통상의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특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 탈크, 탄소섬유, 탄산칼슘, 클레이, 실리카, 알루미나, 카본블랙, 수산화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한 혼련이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가공조건을 이용하고, 폴리프로필렌 융점 이상에서의 배합이 가능하다. 단, 무기 충진재인 유리섬유의 형상을 충분히 유지시키기 위하여, 압출기 도중에서의 유리섬유의 동시 또는 개별투입이 필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축 압출기에 표 1에서 나타난 배합비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유리섬유,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유기실란계 화합물을 배합하고, 이들 100중량부에 대하여 0.7 중량부로 산화방지제 및 장기 내열 안정제를 투입한 후, 용융 혼합시키고 압출하여 펠렛(pellet)상의 블렌드(blend)물를 제조하고 80℃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다만,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는 혼련시의 온도를 240℃로 조절하고, 비교예 3, 4에서는 260℃로 조절하였다. 상기의 블렌드를 사출 성형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는 나일론과 무기 충진재인 유리섬유의 도입이 물성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나일론이 도입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보다 강도 및 내열성이 상당히 높게 나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와 대비해 볼 때에도, 동등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경우는 나일론이 도입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보다 강도, 내열성이 높게 나왔으며, 폴리프로필렌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와 물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주)
*폴리프로필렌 : 하이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삼성종합화학, 용융지수(MI)는 5~70g/10분
*나일론 : KN Series, 코오롱, 저/중/고점도
*유리섬유 : 글라스파이버, (주)금강, 입경 9~13㎛/길이 1~16㎛
*변성 폴리프로필렌 :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삼성
종합화학
*유기실란계 화합물(1) : 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유기실란계 화합물(2) : 베타-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물성측정방법>
1) 밀도
ASTM D1505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2) 비캇(Vicat) 연화온도
ASTM D152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4) 굴곡탄성율
ASTM D790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A) 폴리프로필렌 36.0 ∼ 78.0 중량%, (B) 나일론 10.0 ∼ 30.0 중량%, (C) 유리섬유 10.0 ~ 30.0 중량%, (D) 상용화제로서 변성 폴리프로필렌 1.0 ~ 4.0 중량% 및 유기실란계 화합물 0.01∼2.0 중량%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폴리프로필렌이 용융지수가 5 ~ 70g/10분인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유리섬유가 평균입경이 5 ~ 15㎛이고, 길이가 1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실란계 화합물이 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베타-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10086362A 2001-12-27 2001-12-27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9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62A KR100792115B1 (ko) 2001-12-27 2001-12-27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62A KR100792115B1 (ko) 2001-12-27 2001-12-27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88A true KR20030056188A (ko) 2003-07-04
KR100792115B1 KR100792115B1 (ko) 2008-01-04

Family

ID=3221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362A KR100792115B1 (ko) 2001-12-27 2001-12-27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8681A (zh) * 2011-12-30 2012-07-11 福建晟扬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非开挖专用电力波纹管及其制备方法
EP3578593A1 (en) * 2018-06-05 2019-1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136A (ja) * 1983-11-09 1985-06-08 Chisso Corp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S6466268A (en) * 1987-09-08 1989-03-13 Nissan Motor Resin molding material
JPH06179784A (ja) * 1992-12-14 1994-06-28 Tosoh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組成物
KR940014657A (ko) * 1992-12-29 1994-07-19 하기주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BR9815778A (pt) * 1998-02-13 2001-10-30 Solutia Inc Composição nanocompósita de polìmer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8681A (zh) * 2011-12-30 2012-07-11 福建晟扬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非开挖专用电力波纹管及其制备方法
EP3578593A1 (en) * 2018-06-05 2019-1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0564049A (zh) * 2018-06-05 2019-12-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纤维增强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10564049B (zh) * 2018-06-05 2022-05-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纤维增强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115B1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1309B (zh) 一种汽车用耐寒超韧增强尼龙6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70078477A (ko) 항균력이 우수한 드럼세탁기 저수조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US20190225793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oduce the same
EP0273228A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N113912947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7053154B2 (en) Impact modified polyolefin compositions
JPH05194804A (ja) 強化ポリプロピレン成形用組成物
CN110698768A (zh) 一种兼具阻燃、抗菌性能的柔性触感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120212A (ko) 황토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향상된 기계적특성 및 미려한 외관특성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 황토고분자 물품
JPS59152953A (ja) ポリアリ−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KR19990038126A (ko)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5028983A (zh) 耐化性好的低成本pok/pp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52225B1 (ko) 폴리아미드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286857B1 (ko) 내충격성보강용무정형폴리프로필렌계수지조성물
KR100509908B1 (ko)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휨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523915B1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KR100620356B1 (ko) 유동성, 강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5136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808722B1 (ko) 전도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685976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CN113897044B (zh) 一种pc/eva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2047381A (ja) 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