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5Y1 -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 Google Patents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5Y1
KR200300545Y1 KR20-2002-0029762U KR20020029762U KR200300545Y1 KR 200300545 Y1 KR200300545 Y1 KR 200300545Y1 KR 20020029762 U KR20020029762 U KR 20020029762U KR 200300545 Y1 KR200300545 Y1 KR 200300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dust
area
reg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정
Original Assignee
권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정 filed Critical 권태정
Priority to KR20-2002-0029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비산 및 낙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분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온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재인 제 1 원사(30)가 성기게 엮여진 제 1 영역(24); 상기 제 1 영역(24)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원사(30)와 다른 색깔을 갖는 제 2 원사(32)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제 1 원사(30)와 함께 일방향으로 엮여진 제 2 영역(26); 및 상기 제 2 영역(26)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원사(32)의 일부가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엮이면서 상기 제 2 영역(26)과 대비되는 제 3 영역(28)으로 이루어지는 분진망(20); 및 상기 분진망(20)의 일면에 소정두께로 부착되는 보온덮개(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A Dust Net With Banner Function For keeping warm}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비산 및 낙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분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발생한 먼지의 비산을 막고, 낙하, 추락등의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도시미관상의 이유 등을 들어 분진망을 설치한다. 도 1은 종래의 분진망이 건설현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건축중인 건물(10)의 중간높이의 둘레에 경사지게 소정 높이로 분진망(20)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진망은 나무판 등으로 만들거나 그물, 철망 등으로 만들기 때문에 하중이 많이 나가거나 구멍을 통해 물건이 추락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분진망을 분진망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망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의 일부를 벗겨낸 경우에는 비닐이나 가마니 등을 덮어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곤 하였고, 바닥에 깔기 위해서는 별도의 바닥재를 준비하곤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본 고안의 목적은 분진망의 제작단계에서 글자나 무늬를 동시에 제작하여 배너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도, 보온덮개를 부착하여 보온 기능, 덮개 , 쿠션재, 임시 보호재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인 제 1 원사(30)가 성기게 엮여진 제 1 영역(24);
상기 제 1 영역(24)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원사(30)와 다른 색깔을 갖는 제 2 원사(32)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제 1 원사(30)와 함께 일방향으로 엮여진 제 2 영역(26); 및
상기 제 2 영역(26)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원사(32)의 일부가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엮이면서 상기 제 2 영역(26)과 대비되는 제 3 영역(28)으로 이루어지는 분진망(20); 및
상기 분진망(20)의 일면에 소정두께로 부착되는 보온덮개(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원사(30)는 녹색사이고, 상기 제 2 원사(32)는 흑색사이고, 상기 제 1 영역(24)은 연속되는 육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온덮개(100)는 폐섬유사로 구성되며, 두께가 5mm ~ 10mm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진망이 건설현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진망중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분진망중 B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그림이 있는 건설현장용 분진망의 부분 정면도,
도 6은 도 5중 A-A방향의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건물, 14 : 기둥,
16 : 간판, 20 : 분진망,
24 : 제 1 영역, 26 : 제 2 영역,
28 : 제 3 영역, 30 : 제 1 원사,
32 : 제 2 원사. 100 : 보온덮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 기둥(14)을 세우고 분진망(20)을 펼쳐서 설치한다. 분진망(20) 내는 제 1 영역(24), 제 2 영역(26) 및 제 3 영역(28)으로 대별되며,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면에는 보온덮개(100)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영역(24)은 예를 들어 녹색의 원사만을 이용한 녹색 바탕으로, 상하에서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아무런 글씨나 모양이 나타나지 않는다.
제 2 영역(26)은 제 1 영역(24)의 가운데로서, 녹색바탕에 흑색 원사가 수평방향으로 지나감에 따라 연한 흑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영역(26)은 다양한 형태로 문자나 무늬 등의 디자인이 가능한 영역이다.
제 3 영역(28)은 실제로 제 2 영역(26)과 명암 및 채도 대비를 통해 문자나 무늬를 형성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짙은 흑색으로 "안전제일" 이라는 글자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진망중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의 제 1 원사(30)는 합성수지(P.E. 소재)를 얇고 균일한 실 형태로 뽑은 것이다. 이러한 제 1 원사(30)를 이용하여 도 3 과 같이 연속된 육각형 형태의 분진망을 제작한다.
본 고안의 분진망은 직물용 직조기(미도시)를 변형시켜 제작한다. 종래의 분진망용 직조기는 무늬나 글씨를 새겨 넣을 수 없었고, 직물용 직조기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반면 제 1 원사(30)와 같은 합성수지의 실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직물용 직조기의 일부를 변형시켜 본 고안을 제작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분진망중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26)에는 녹색의 제 1 원사(30) 사이로 흑색의 제 2 원사(32)가 규칙적으로 지나간다. 제 2 원사(32)는 제 1 원사(30)와 색상만 다르고 재질이나 형상은 동일하다. 흑색의 제 2 원사(32)는 육각형의 형상중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중간마다 제 1 원사(30)와 엮여 있어 쳐지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2 원사(32)의 혼용으로 인해 제 2 영역(26)은 제 1 영역(24) 보다 다소 짙은 배경을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문자나 무늬를 이루는 부분은 흑색의 제 2 원사(32)가 인접한 육각형 부분과 함께 엮이면서 밀도가 높아지고, 일부는 둥글게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영역(28)에서 제 2 원사(32)는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매우 짙은 색상을 띄게 된다. 이러한 색상은 제 2영역(26)과 대비됨으로써 식별할 수 있는 글자 또는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그림이 있는 건설현장용 분진망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제 3 영역(28)이 대나무 그림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대나무 그림 외에 다양한 형태의 그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나무 형상, 만화, 회사 로고, 물고기, 자연, 체크무늬, 바둑판 무늬 등을 들 수 있다.
도 6은 도 5중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망(20)의 일면에는 보온덮개(100)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보온덮개(100)는 폐섬유 또는 폐섬유사를 잘게 찢어서 성기도록 원단형태로 가공한 것으로서 두께는 5mm ~ 10mm 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보온덮개(100)는 폐섬유사 사이에 많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솜이불과 같은 느낌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은 먼저 분진망(20)을 직조한 다음 보온덮개 성형기(미도시)에 분진망(20)과 폐섬유사를 함께 투입하여 보온덮개(100)가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분진망(20)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폐섬유사는 감기거나 뭉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폐섬유사의 일부가 분진망(20) 사이의 빈공간으로 빠져 나오도록 하면, 분진망(20)과 보온덮개(100)는 단단하게 부착되고 손으로 강제로 떨어뜨려야 분리되는 특성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녹색의 분진망에 흑색으로 글씨나 무늬를 새겨 넣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색상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흰색과 흑색, 적색과 금색, 녹색과 노란색, 은색과 흑색 등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육각형을 기본 형태로 하는 분진망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사각형, 둥근 사각형, 지그재그 형 등 다양한 기본형태도쉽게 응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분진망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가 일부 벗겨진 곳에 깔아 보행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고, 마감되지 않은 바닥에 깔아 임시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울타리, 펜스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농어촌의 비닐 하우스 덮개, 사무소, 야외경기 등에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에 따르면 분진망의 제작단계에서 글자나 무늬를 동시에 제작하여 간편하게 분진망을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보온덮개를 부착하여 보온 기능, 덮개 , 쿠션재, 임시 보호재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재인 제 1 원사(30)가 성기게 엮여진 제 1 영역(24);
    상기 제 1 영역(24)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원사(30)와 다른 색깔을 갖는 제 2 원사(32)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제 1 원사(30)와 함께 일방향으로 엮여진 제 2 영역(26); 및
    상기 제 2 영역(26)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원사(32)의 일부가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엮이면서 상기 제 2 영역(26)과 대비되는 제 3 영역(28)으로 이루어지는 분진망(20); 및
    상기 분진망(20)의 일면에 소정두께로 부착되는 보온덮개(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사(30)는 녹색사이고, 상기 제 2 원사(32)는 흑색사이고, 상기 제 1 영역(24)은 연속되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100)는 폐섬유사로 구성되며, 두께가 5mm ~ 10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KR20-2002-0029762U 2002-10-05 2002-10-05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KR200300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762U KR200300545Y1 (ko) 2002-10-05 2002-10-05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762U KR200300545Y1 (ko) 2002-10-05 2002-10-05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5Y1 true KR200300545Y1 (ko) 2003-01-10

Family

ID=4939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762U KR200300545Y1 (ko) 2002-10-05 2002-10-05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299A (ko) * 2004-09-04 2004-10-13 장정근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야광분진망
KR100983634B1 (ko) 2009-12-04 2010-09-24 최덕환 보온 잡색 피이 망사 양생포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온 잡색 피이 망사 양생포
KR101999208B1 (ko) 2018-08-08 2019-07-11 주식회사 보건환경산업 분진비산방지용 분진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299A (ko) * 2004-09-04 2004-10-13 장정근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야광분진망
KR100983634B1 (ko) 2009-12-04 2010-09-24 최덕환 보온 잡색 피이 망사 양생포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온 잡색 피이 망사 양생포
KR101999208B1 (ko) 2018-08-08 2019-07-11 주식회사 보건환경산업 분진비산방지용 분진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2095A (zh) 图案化拼块和包括其的地面覆盖物
JP2004524452A (ja) 直交的に曖昧なカーペットタイル
MXPA04012242A (es) Modulos de tapete, ambiguos ortogonalmente, que tienen elementos curvados.
KR200300545Y1 (ko) 배너기능을 갖는 보온덮개 분진망
KR101873301B1 (ko) 직조형 보행 매트
KR200229847Y1 (ko)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분진망
KR100804634B1 (ko)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KR200378770Y1 (ko)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야광분진망
KR20040087299A (ko)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야광분진망
AU2010212281A1 (en) Artificial grass
AU2011101368A4 (en) Artificial grass
CN204455556U (zh) 超细纤维螺旋纺材簇绒提花面料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20100007021U (ko)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KR200402375Y1 (ko) 3d 카펫타일의 구조
CN2217247Y (zh) 具有警示作用的鹰架网
JP7448968B2 (ja) つる性植物登はん防止用シートネット
CN2298302Y (zh) 建筑网
JP2021029129A (ja) 保護盤
CN215331045U (zh) 楼梯阳台防护网
KR200249969Y1 (ko) 토목 건축용 분진 방지망
JPH0333461Y2 (ko)
KR200369516Y1 (ko) 모기장 방충망지
KR101271666B1 (ko)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DE20017838U1 (de) Textile Bodenbeläge mit dreidimensionalen Strukturen und Mustern vielfältigster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