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079A -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079A
KR20030054079A KR1020010084180A KR20010084180A KR20030054079A KR 20030054079 A KR20030054079 A KR 20030054079A KR 1020010084180 A KR1020010084180 A KR 1020010084180A KR 20010084180 A KR20010084180 A KR 20010084180A KR 20030054079 A KR20030054079 A KR 2003005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uator
value
base station
level
corr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564B1 (ko
Inventor
최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5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불록은 기준 전력과 상기 기지국 검사 유닛부에서 측정한 안테나 최종 출력을 비교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를 상기 감쇠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보정치가 입력되면 상기 감쇠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에 대응하는 송신 감쇠기 레벨을 정하고 상기 송신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재설정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감쇠기 값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고, 감쇠기 값의 일정 정도의 오프셋을 두어 관리함으로써 감쇠기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기준 출력의 변화를 방지하여 안테나의 최종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METHOD FOR CORRECTING TRANSMISSION POWER I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y Access: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은 이동단말(Mobile Station: MS)과 최적의 인터페이스 환경 구성을 위해 셀 프레닝(Cell planning)을 통한 일정한 셀 카버리지(Cell Coverage)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셀 프레닝은 기지국의 RF 하드웨어 장치들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셀 카버리지 조정을 위해, 기지국 내부의 특정 하드웨어의 게인(Gain)을 제어한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출력을 내보내기 위한 송신부의 관련 하드웨어들은 그 특성이 모두 동일하지 않기때문에, 게인 제어를 통한 동일한 수치 적용이 이루어지더라도, 각 송신 경로별 출력은 조금씩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안테나의 최종 출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송신출력보정의 기능인 감쇠기(Attenuator)의 조절을 통해 하드웨어 내부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기지국의 최종 출력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반면, 송신출력보정 기능은 이론에 의해 계산된 시스템 기준 출력과 기지국 점검을 위한 기지국 검사 유닛부에서 측정한, 최종 출력 측정 전력을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예상 보정치는 기준 출력에 기지국 검사 유닛부에서 측정 출력을 제한 것을 말한다. 기준 출력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도시하였다. 하기의 <수학식 1>에서 -12dB는 중간주파수 Digital 장치(IFDA) Total Digital Gain Power가 2845일 때 측정한 Power이고, Digital Gain Power는 모뎀 내부에서 각 채널별로 실제로 곱해주는 디지털 도메인 상의 Power값이고, 2845는 파이롯 인덱스가 137이고 페이징 인덱스가 133이고 동기 인덱스가 97일 때의 Total Digital Gain Power 값이다. SYSTEM_GAIN은 IFDA단에서 안테나단까지의 시스템 이득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감쇠기 값(TX_ATTEN)은 기준 출력의 값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그러므로 감쇠기 값이 변하게 되면 기준 출력 값이 변하게 되고, 기준 출력이 변하게 되면 송신출력보정을 위한 보정치가 변하게 된다. 기지국은 안테나의 최종 출력은 같으나, 내부 감쇠기가 다를 경우 감쇠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준 출력이 달라져 기지국별 또는 기지국내 각 경로별 보정하는 정도가 달라 질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여러 기지국에 원하는 동일한 안테나 출력을 얻고자 하기 위해서 다른 기지국 또는 같은 기지국의 다른 RF 패스의 감쇠기 값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출력보정을 위한 기준 출력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 있는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과 기지국 검사 유닛부와 감쇠기 제어부를 통해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불록은 기준 전력과 상기 기지국 검사 유닛부에서 측정한 안테나 최종 출력을 비교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를 상기 감쇠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보정치가 입력되면 상기 감쇠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에 대응하는 송신 감쇠기 레벨을 정하고 상기 송신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재설정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기지국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쇠기 제어부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0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송신출력보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으로 전달한다. 104단계에서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 검사 유닛부(140)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한다.
106단계에서 기지국 검사 유닛부(140)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감쇠기 값을 획득하기 위한 요구 메시지를 감쇠기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108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상기 요구한 감쇠기 값을 응답 메시지에 실어 상기 기지국 검사 유닛부(140)로 전달한다.
110단계에서 기지국 검사 유닛부(140)는 안테나 최종 출력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와 상기 감쇠기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받은 감쇠기 값을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으로 전달한다.
112단계에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은 안테나 최종 출력과 관련된 기지국 채널 전력 데이터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자원 관리부(160)로 전달한다. 114단계에서 자원 관리부(160)는 상기 요구한 메시지를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으로 전달한다.
116단계에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은 상기 입력받은 안테나 최종 출력과 관련된 기지국 채널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기준 출력과 안테나 최종 출력을 비교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를 감쇠기 변경 요구 메시지에 실어 상기 감쇠기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118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쇠기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감쇠기 변경 요구 메시지에 있는 보정치에 대응하는 송신 감쇠기 레벨을 정하고, 상기 송신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설정하고, 설정했다는 메시지를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말하는 송신감쇠오프셋 값으로 설정한다는 말은 예를 들어, 기준 감쇠기 값이 12dB이면 상기 감쇠기 값이 저장되는 단위는 10dB단위이다. 따라서 감쇠기 값은 10dB이고 송신감쇠오프셋 값은 2dB가 된다. 여기서 만약에 보정치가 6dB 감쇠라면 송신 감쇠기 레벨이 6dB가 증가되어야 하므로 기준 감쇠기 값은 18dB이다. 따라서 설정되는 값은 감쇠기 값 10dB이고 송신감쇠오프셋 값 8dB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만일 보정치가 10dB 감쇠라면, 송신 감쇠기 레벨이 8dB 증가하여 기준 감쇠기 값은 22dB가 된다. 여기서, 감쇠기 값의 저장 단위는 10dB이므로 감쇠기 값은 20dB이고, 송신감쇠오프셋값은 2dB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120단계에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130)은 상기 설정했다는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100)로 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쇠기 제어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로 있다. 210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보정치 수신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보정치 수신이 있으면 감쇠기 제어부(150)는 220단계를 수행하고, 보정치 수신이 없으면 200단계로 복귀한다.
220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상기 보정치에 대응하는 감쇠기의 레벨을 정한다. 230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240단계를 수행하고,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2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재설정한다.
240단계에서 감쇠기 제어부(150)는 감쇠기 레벨을 감쇠기 값에 더하여 10단위로 감쇠기 값을 조정하고 나머지 임계값 내의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재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감쇠기 값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고, 감쇠기 값의 일정 정도의 오프셋을 두어 관리함으로써 감쇠기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기준 출력의 변화를 방지하여 안테나의 최종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있다.

Claims (1)

  1. 기지국에 있는 진단 인터페이스 블록과 기지국 검사 유닛부와 감쇠기 제어부를 통해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불록은 기준 전력과 상기 기지국 검사 유닛부에서 측정한 안테나 최종 출력을 비교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를 상기 감쇠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보정치가 입력되면 상기 감쇠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에 대응하는 송신 감쇠기 레벨을 정하고 상기 송신 감쇠기 레벨이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감쇠기 레벨을 송신감쇠오프셋 값에 더하여 재설정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10084180A 2001-12-24 2001-12-24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KR10084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180A KR100842564B1 (ko) 2001-12-24 2001-12-24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180A KR100842564B1 (ko) 2001-12-24 2001-12-24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079A true KR20030054079A (ko) 2003-07-02
KR100842564B1 KR100842564B1 (ko) 2008-07-01

Family

ID=3221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180A KR100842564B1 (ko) 2001-12-24 2001-12-24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5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526A (en) * 1995-09-08 1998-02-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KR100223365B1 (ko) * 1996-10-08 1999-10-15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KR100270647B1 (ko) * 1998-09-10 2000-11-01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출력보정장치 및 방법
KR20010059646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자동보정 기능을 가지는 기지국 송신전력측정기 및 그보정방법
KR100834653B1 (ko) * 2001-11-02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 전력 검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564B1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075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ower at which an access packet is sent by a mobile in a mobile radio system
RU2388147C2 (ru) Внешний контур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ля f-dpch
JPH11234202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601180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에서의 목표 신호대 잡음 비의 조정
US8340571B2 (en) Repeater equipped with attenuator and variable attenuation method in the repeater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the same
KR20050099643A (ko) Tdd 통신 시스템의 다중 하향 링크 시간 슬롯에 대한하향 링크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5531265A (ja) パワー制御中継器における順方向リンク利得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MXPA05004524A (es) Control de modems multiples en una terminal inalambrica utilizando dinamicamente los limites variables de potencia de transmision de los modems.
US2004016689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US9794157B2 (en) Optimal open loop power control for random access channel
EP1045530B1 (en) Improved channel adaptive fast power control in CDMA
JP4373924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電力制御システム外部ループ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80311864A1 (en) Determining the Current Value of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874621B1 (ko) 수신 신호 강도의 추정
KR100723804B1 (ko) 스마트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호 절단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42665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30054079A (ko)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JP2002526973A (ja) ポイントトゥポイント通信におけるコチャネル干渉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537783B1 (ko) Cdma 중계기의 출력 자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7414A (ko) 코딩된 복합 운송 채널에 어떠한 주기적 리던던시 체크결과도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의 외부 루프 파워 제어 방법
KR20000060540A (ko) 순방향 링크에 할당되는 디지털 이득을 사용한 호 허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256955B1 (ko) 송수신기의 송신신호 감쇄 조정 방법 및 송수신기
KR10066151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송전력 측정시 현재의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목표 전송전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방법
CN100518003C (zh) 外环功率控制方法
KR20000056803A (ko) 무선 채널간 상대 이득 할당 및 보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